KR102500108B1 -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0108B1 KR102500108B1 KR1020200170840A KR20200170840A KR102500108B1 KR 102500108 B1 KR102500108 B1 KR 102500108B1 KR 1020200170840 A KR1020200170840 A KR 1020200170840A KR 20200170840 A KR20200170840 A KR 20200170840A KR 102500108 B1 KR102500108 B1 KR 1025001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release
- lever member
- locking
- le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2—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reducing air resistance by modifying contour ; Constructional features for fast vehicles sustaining sudden variations of atmospheric pressure, e.g. when crossing in tun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에 설치되고, 출몰홀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출몰홀부를 통해 돌출 또는 삽입되면서 상기 사이드커버에 구비되는 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사이드커버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돌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잠금돌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잠금돌기를 상기 본체 외측으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본체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본체 외측으로 돌출된 후에 상기 잠금돌기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유지부; 상기 잠금유지부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잠금돌기를 상기 본체 내측으로 삽입시키면서 상기 사이드커버의 폐쇄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 및 상기 해제부의 작동에 의해 개방작동이 진행되는 경우에 상기 레버부재 또는 상기 해제부에 누적되는 이물질에 의해 개방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작업자의 조작력을 상기 잠금유지부에 직접 전달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비상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터치 방식으로 커버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 손쉽게 커버를 개방시킬 수 있어 철도 차량 응급조치 및 유지보수 작업 시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개폐장치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해제레버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를 사용하여 직접 잠금유지부의 해제작동을 진행할 수 있는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운행되고 있는 고속열차는 대차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운행됨에 따라 공기저항이 약 7~8% 증가하고, 대차부의 충격소음 및 공력소음이 그대로 방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자갈 혹은 이물질이 대차부로 유입되어 주요 부품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대차부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공기저항 및 소음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발도 진행되고 있으며, HEMU-430X와 같은 시험열차에서는 대차부에 대차페어링을 볼트 등의 결합수단으로 체결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00-0013662호에서는 차량의 차체외판과 연결된 측면프레임의 절곡된 하부에 지지구조체를 장착한 후, 지지구조체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부에 볼트를 통해 대차커버를 결합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속열차의 차체에 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대차페어링을 체결하는 경우, 대차부 또는 대차페어링의 수리 시 대차페어링을 차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어려워 유지보수 시간이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실제 고속열차에 적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차 페어링이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대차 페어링은, 고속열차의 차체의 제1 면에 고정되는 제1커버부재, 및 회전을 통해 고속열차의 대차부를 개폐하는 제2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대차 커버부와, 제1면과 다른 면인 차체의 제2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제2커버부재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제1방향으로 길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대차 커버부를 회전시키는 개폐 조절부와, 대차 커버부에 의한 대차부의 개폐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제2커버부재에서 제2결합부와 결합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4297호(2019년 11월 13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고속열차용 자동 개폐형 대차페어링)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대차페어링은,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대차페어링이 개폐되므로 별도의 구동부가 구비되어야 대차페어링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대차페어링의 개폐장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렵고, 대차페어링을 수동으로 개폐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철도 차량 수리작업에 진행되는 경우에 대차페어링을 개방하고 다시 폐쇄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다른 대차페어링은, 개폐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철도 차량 주행 중에 누적되는 이물질이 개폐장치에 누적되어 철도 차량 응급조치 및 유지보수 작업 시 개폐장치에 누적되는 이물질에 의해 개폐장치의 작동을 용이하게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커버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 손쉽게 커버를 개방시킬 수 있어 철도 차량 응급조치 및 유지보수 작업 시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개폐장치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해제레버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를 사용하여 직접 잠금유지부의 해제작동을 진행할 수 있는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에 설치되고, 출몰홀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출몰홀부를 통해 돌출 또는 삽입되면서 차체 사이드커버에 구비되는 홀부에 삽입되어 차체 사이드커버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돌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잠금돌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잠금돌기를 상기 본체 외측으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본체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본체 외측으로 돌출된 후에 상기 잠금돌기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유지부; 상기 잠금유지부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잠금돌기를 상기 본체 내측으로 삽입시키면서 차체 사이드커버의 폐쇄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 및 상기 해제부의 작동에 의해 개방작동이 진행되는 경우에 상기 레버부재 또는 상기 해제부에 누적되는 이물질에 의해 개방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작업자의 조작력을 상기 잠금유지부에 직접 전달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비상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금돌기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에는 상기 레버부재가 가압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상기 본체 외측으로 밀거나 상기 본체 내측으로 당길 수 있는 이동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이동홈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압축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본체 외측으로 회전시키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금유지부는, 상기 레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본체 내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후크부재가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블록에 형성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해제부는, 상기 후크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재의 작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레버부재의 외벽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해제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본체 내측으로 삽입시키면 상기 후크부재와 상기 걸림턱부가 걸림결합되어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해제레버를 누르면 상기 해제레버 및 상기 후크부재가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턱부와 걸림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본체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해제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비상개방부는, 상기 레버부재 또는 상기 해제레버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해제작동이 진행되지 않을 때에 작업자가 상기 레버부재 내측으로 손 또는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후크부재와 상기 걸림턱부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버부재에 형성되는 해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비상개방부는, 상기 해제홈부를 통해 삽입되는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에 의해 걸림결합되어 당겨지면서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걸림턱부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크부재와 상기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해제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비상개방부는, 상기 레버부재 또는 상기 해제레버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해제작동이 진행되지 않을 때에 작업자가 상기 레버부재 내측으로 손 또는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후크부재와 상기 걸림턱부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버부재의 중앙부에 상기 후크부재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통과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는, 커버로부터 돌출되어 사이드커버에 삽입되는 잠금돌기가 구비되고, 잠금돌기를 출몰시키면서 커버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커버를 개방시키는 레버부재가 구비되고, 레버부재의 폐쇄상태를 원터치 방식으로 해제시키는 해제부가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차체 사이드커버를 개방시킬 때에 해제부를 조작하여 손쉽게 사이드커버를 개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는, 레버부재 및 해제부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개방작동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 작업자의 조작력을 잠금유지부에 직접 전달하여 커버의 폐쇄상태를 해제시키는 비상개방부가 구비되므로 이물질의 누적에 의해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개방되지 않을 때에 작업자가 비상개방부를 작동시켜 잠금유지부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의 개방작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 및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의 개방작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 및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의 개방작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는, 철도 차량 차체에 대향되는 차체 사이드커버에 설치되고, 출몰홀부(12)가 형성되는 본체(10)와, 출몰홀부(12)를 통해 돌출 또는 삽입되면서 차체에 구비되는 홀부에 삽입되어 사이드커버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돌기(3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잠금돌기(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잠금돌기(30)를 본체(10) 외측으로 돌출시키거나 본체(10)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레버부재(50)와, 레버부재(50)의 작동에 의해 잠금돌기(30)가 본체(10) 외측으로 돌출된 후에 잠금돌기(30)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유지부(70)와, 잠금유지부(70)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 잠금돌기(30)를 본체(10) 내측으로 삽입시키면서 사이드커버의 폐쇄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80)와, 해제부(80)의 작동에 의해 개방작동이 진행되는 경우에 레버부재(50) 또는 해제부(80)에 누적되는 이물질에 의해 개방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작업자의 조작력을 잠금유지부(70)에 직접 전달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비상개방부(8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본체(10)는, 정면 형상이 저면 및 양측면이 일체로 연결되는 사각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되어 레버부재(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구된 상부에는 제1연결축(14) 및 제2연결축(16)이 설치되어 본체(10)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전면은 패널로 마감되어 잠금돌기(30)가 출몰되는 출몰홀부(12)가 형성되고, 본체(10)의 후단부는 사이드커버에 형성되는 홀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본체(10)의 중앙부에는 슬라이딩블록(32)이 슬라이딩될 때에 슬라이딩블록(32)의 상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속축(18)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잠금돌기(30)의 내측에는 본체(1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블록(32)이 구비되고, 슬라이딩블록(32)에는 레버부재(50)가 가압되면서 슬라이딩블록(32)을 본체(10) 외측으로 밀거나 본체(10) 내측으로 당길 수 있는 이동홈부(34)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레버부재(50)는, 본체(10)의 중앙부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레버부재(50)의 일단부에는 이동홈부(34)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압축(54)이 설치되고, 회전축(52)에는 레버부재(50)를 본체(10) 외측으로 회전시키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56)가 설치된다.
슬라이딩블록(32)에 형성되는 이동홈부(34)는, 슬라이딩블록(32)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 곡선을 그리며 굴곡되므로 이동홈부(34)로 삽입되는 가압축(54)이 이동홈부(34)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슬라이딩블록(32) 및 슬라이딩블록(32)에 일체로 연결되는 잠금돌기(30)를 본체(10) 외측으로 돌출시키면서 잠금작동을 진행하게 된다.
레버부재(50)의 후측 단부가 본체(10)로부터 멀어지게 회전되면 레버부재(50)의 전방 측 단부에 설치되는 가압축(54)이 본체(10)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홈부(34)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슬라이딩블록(32)을 본체(10) 내측으로 당기게 되므로 슬라이딩블록(32) 및 잠금돌기(30)가 본체(10) 내측으로 당겨지면서 개방작동을 진행하게 된다.
레버부재(50)의 후방 측 단부가 본체(10)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잠금작동이 진행되면 잠금유지부(70)의 작동에 의해 레버부재(50)가 본체(10)와 결합되면서 잠금돌기(30)가 본체(10)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잠금유지부(70)는, 레버부재(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72)와, 레버부재(50)가 본체(10) 내측으로 회전되면 후크부재(72)가 걸림결합되도록 슬라이딩블록(32)에 형성되는 걸림턱부(74)와, 후크부재(72)가 걸림턱부(74)로부터 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76)를 포함한다.
따라서 레버부재(50)를 본체(10) 내측으로 회전시키면 가압축(54)이 슬라이딩블록(32)을 밀어 잠금돌기(30)가 본체(10)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잠금작동이 이루어지고, 잠금작동이 완료되어 레버부재(50)가 본체(10) 내측으로 회전되면 후크부재(72)가 걸림턱부(74)에 걸림결합되면서 슬라이딩블록(32)를 구속함과 동시에 레버부재(50)의 회전운동도 구속된다.
이때,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1탄성부재(56)는 레버부재(50)를 본체(10)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므로 레버부재(50)가 본체(10)와 결합되면 제1탄성부재(56)가 압축된 상태로 가압된다.
본 실시예의 해제부(80)는, 후크부재(72)와 일체로 형성되고, 후크부재(72)의 작동축(82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레버부재(50)의 외벽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해제레버(82)를 포함한다.
따라서 레버부재(50)를 본체(10) 내측으로 삽입시키면 후크부재(72)와 걸림턱부(74)가 걸림결합되어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해제레버(82)를 누르면 해제레버(82) 및 후크부재(72)가 회전되면서 걸림턱부(74)와 걸림결합이 해제되어 제1탄성부재(56)의 복원력에 의해 레버부재(50)가 본체(10)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해제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비상개방부(83)는, 레버부재(50) 또는 해제레버(82)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해제작동이 진행되지 않을 때에 작업자가 레버부재(50) 내측으로 손 또는 공구를 삽입하여 후크부재(72)와 걸림턱부(74)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레버부재(50)에 형성되는 해제홈부(84)를 포함한다.
따라서 철도 차량 운행 중에 발생되는 이물질이 레버부재(50)와 본체(10) 사이에 누적되거나 해제레버(82)와 레버부재(50) 사이에 누적되어 레버부재(50) 또는 해제레버(82)의 회전 운동이 간섭되는 경우에는 해제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레버부재(50)의 하단에 형성되는 해제홈부(84)를 통해 작업자가 손가락을 삽입하거나 공구를 삽입하여 후크부재(72)와 걸림턱부(74)의 걸림결합을 직접 시키면서 해제작동을 구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의 비상개방부(83)는, 해제홈부(84)를 통해 삽입되는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에 의해 걸림결합되어 당겨지면서 후크부재(72)를 걸림턱부(74)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후크부재(72)와 본체(10) 사이에 설치되는 해제와이어(86)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해제와이어(86)는 후크부재(72)의 배면과 제2연결축(16) 사이에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해제홈부(84)를 통해 손가락 또는 공구를 삽입하여 해제와이어(86)에 걸림결합시키고, 해제와이어(86)를 레버부재(50) 외측으로 당기면 후크부재(72)가 레버부재(50)에 설치되는 구동축(72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걸림턱부(74)와 걸림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해제홈부(84)만 구비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업자가 보다 손쉽게 후크부재(72)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 따른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 스냅후크장치의 비상개방부(83)는, 레버부재(50) 또는 해제레버(82)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해제작동이 진행되지 않을 때에 작업자가 레버부재(50) 내측으로 손 또는 공구를 삽입하여 후크부재(72)와 걸림턱부(74)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레버부재(50)의 중앙부에 후크부재(72)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통과홀부(8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통과홀부(88)는 후크부재(72)의 배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므로 작업자가 통과홀부(88)를 통해 손가락이나 공구를 삽입할 때에 후크부재(72)에 가깝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후크부재(72)의 해제작동을 원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통과홀부(88)는 원형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로써, 원터치 방식으로 커버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 손쉽게 커버를 개방시킬 수 있어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 개폐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개폐장치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해제레버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를 사용하여 직접 잠금유지부의 해제작동을 진행할 수 있는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개폐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출몰홀부
14 : 제1연결축 16 : 제2연결축
18 : 구속축 30 : 잠금돌기
32 : 슬라이딩블록 34 : 이동홈부
50 : 레버부재 52 : 회전축
54 : 가압축 56 : 제1탄성부재
70 : 잠금유지부 72 : 후크부재
74 : 걸림턱부 76 : 제2탄성부재
80 : 해제부 82 : 해제레버
82a : 작동축 84 : 해제홈부
86 : 해제와이어 88 : 통과홀부
14 : 제1연결축 16 : 제2연결축
18 : 구속축 30 : 잠금돌기
32 : 슬라이딩블록 34 : 이동홈부
50 : 레버부재 52 : 회전축
54 : 가압축 56 : 제1탄성부재
70 : 잠금유지부 72 : 후크부재
74 : 걸림턱부 76 : 제2탄성부재
80 : 해제부 82 : 해제레버
82a : 작동축 84 : 해제홈부
86 : 해제와이어 88 : 통과홀부
Claims (8)
-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에 설치되고, 출몰홀부(12)가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출몰홀부(12)를 통해 돌출 또는 삽입되면서 대차 또는 대차 커버에 구비되는 홀부에 삽입되어 대차 커버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돌기(30);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잠금돌기(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잠금돌기(30)를 상기 본체(10) 외측으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본체(10)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레버부재(50);
상기 레버부재(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잠금돌기(30)가 상기 본체(10) 외측으로 돌출된 후에 상기 잠금돌기(30)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유지부(70);
상기 잠금유지부(70)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잠금돌기(30)를 상기 본체(10) 내측으로 삽입시키면서 대차 커버의 폐쇄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80); 및
상기 해제부(80)의 작동에 의해 개방작동이 진행되는 경우에 상기 레버부재(50) 또는 상기 해제부(80)에 누적되는 이물질에 의해 개방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작업자의 조작력을 상기 잠금유지부(70)에 직접 전달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비상개방부(83)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지부(70)는,
상기 레버부재(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72);
상기 레버부재(50)가 상기 본체(10) 내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후크부재(72)가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본체(1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블록(32)에 형성되는 걸림턱부(74); 및
상기 후크부재(72)가 상기 걸림턱부(74)로부터 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76)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개방부(83)는, 상기 레버부재(50)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해제작동이 진행되지 않을 때에 작업자가 상기 레버부재(50) 내측으로 손 또는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후크부재(72)와 상기 걸림턱부(74)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버부재(50)에 형성되는 해제홈부(84)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개방부(83)는, 상기 해제홈부(84)를 통해 삽입되는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에 의해 걸림결합되어 당겨지면서 상기 후크부재(72)를 상기 걸림턱부(74)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크부재(72)와 상기 본체(10) 사이에 설치되는 해제와이어(8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제와이어(86)는, 상기 후크부재(72)의 배면과, 상기 본체(10) 중앙부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축(16) 사이에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해제홈부(84)를 통해 손가락 또는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해제와이어(86)에 걸림결합시키고, 상기 해제와이어(86)를 상기 레버부재(50) 외측으로 당기면 상기 후크부재(72)가 상기 레버부재(50)의 중앙부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작동축(82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턱부(74)와 걸림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돌기의 내측에는 상기 슬라이딩블록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에는 상기 레버부재가 가압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상기 본체 외측으로 밀거나 상기 본체 내측으로 당길 수 있는 이동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본체 중앙부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이동홈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압축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본체 외측으로 회전시키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후크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레버부재의 외벽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해제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본체 내측으로 삽입시키면 상기 후크부재와 상기 걸림턱부가 걸림결합되어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해제레버를 누르면 상기 해제레버 및 상기 후크부재가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턱부와 걸림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본체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해제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
- 삭제
- 삭제
-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에 설치되고, 출몰홀부(12)가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출몰홀부(12)를 통해 돌출 또는 삽입되면서 대차 또는 대차 커버에 구비되는 홀부에 삽입되어 대차 커버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돌기(30);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잠금돌기(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잠금돌기(30)를 상기 본체(10) 외측으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본체(10)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레버부재(50);
상기 레버부재(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잠금돌기(30)가 상기 본체(10) 외측으로 돌출된 후에 상기 잠금돌기(30)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유지부(70);
상기 잠금유지부(70)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잠금돌기(30)를 상기 본체(10) 내측으로 삽입시키면서 대차 커버의 폐쇄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80); 및
상기 해제부(80)의 작동에 의해 개방작동이 진행되는 경우에 상기 레버부재(50) 또는 상기 해제부(80)에 누적되는 이물질에 의해 개방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작업자의 조작력을 상기 잠금유지부(70)에 직접 전달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비상개방부(83)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지부(70)는,
상기 레버부재(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72);
상기 레버부재(50)가 상기 본체(10) 내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후크부재(72)가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본체(1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블록(32)에 형성되는 걸림턱부(74); 및
상기 후크부재(72)가 상기 걸림턱부(74)로부터 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76)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개방부(83)는, 상기 레버부재(50)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해제작동이 진행되지 않을 때에 작업자가 상기 레버부재(50) 내측으로 손 또는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후크부재(72)와 상기 걸림턱부(74)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버부재(50)의 중앙부에 상기 후크부재(72)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통과홀부(88)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개방부(83)는, 상기 통과홀부(88)를 통해 삽입되는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에 의해 걸림결합되어 당겨지면서 상기 후크부재(72)를 상기 걸림턱부(74)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크부재(72)와 상기 본체(10) 사이에 설치되는 해제와이어(8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제와이어(86)는, 상기 후크부재(72)의 배면과, 상기 본체(10)의 중앙부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축(16) 사이에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통과홀부(88)를 통해 손가락 또는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해제와이어(86)에 걸림결합시키고, 상기 해제와이어(86)를 상기 레버부재(50) 외측으로 당기면 상기 후크부재(72)가 상기 레버부재(50)의 중앙부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작동축(82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턱부(74)와 걸림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0840A KR102500108B1 (ko) | 2020-12-08 | 2020-12-08 |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0840A KR102500108B1 (ko) | 2020-12-08 | 2020-12-08 |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1203A KR20220081203A (ko) | 2022-06-15 |
KR102500108B1 true KR102500108B1 (ko) | 2023-02-15 |
Family
ID=8198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0840A KR102500108B1 (ko) | 2020-12-08 | 2020-12-08 |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010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397503A1 (fr) | 1977-07-13 | 1979-02-09 | Alsthom Atlantique | Verrou |
JP2008038406A (ja) * | 2006-08-03 | 2008-02-21 | Saeki Kinzoku Kk | ドア開閉装置 |
US20120235425A1 (en) * | 2011-03-15 | 2012-09-20 | Thai Do | Pin latch having an intermediate position |
JP2013002135A (ja) * | 2011-06-16 | 2013-01-07 | Shiroki Corp | ロック装置 |
-
2020
- 2020-12-08 KR KR1020200170840A patent/KR1025001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397503A1 (fr) | 1977-07-13 | 1979-02-09 | Alsthom Atlantique | Verrou |
JP2008038406A (ja) * | 2006-08-03 | 2008-02-21 | Saeki Kinzoku Kk | ドア開閉装置 |
US20120235425A1 (en) * | 2011-03-15 | 2012-09-20 | Thai Do | Pin latch having an intermediate position |
JP2013002135A (ja) * | 2011-06-16 | 2013-01-07 | Shiroki Corp | ロック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1203A (ko) | 2022-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24767B1 (ko) | 해제가능한 자동차 도어 제동 기관 | |
CA2533757A1 (en) | Lock out mechanism for vehicle door outside handles | |
KR102500108B1 (ko) | 철도 차량 차체의 사이드커버용 스냅후크장치 | |
CN200949370Y (zh) | 乘用车前罩锁 | |
KR101209605B1 (ko) |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 | |
JP3824205B2 (ja) | 自動車におけるドア係止解除防止機構 | |
JP3604558B2 (ja) |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 |
KR101744587B1 (ko) | 자동차 도어 슬라이딩 자동 개폐장치 | |
KR102130451B1 (ko) | 차량용 체인 도어 | |
KR101613018B1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WO2008096496A1 (ja) | チルト式キャビンのストッパ構造 | |
JP4643064B2 (ja) | 鉄道車両用側引き戸のロック解除構造 | |
JP6660087B2 (ja) | プラットホームドア | |
JP2012016519A (ja) | 墜落防止用安全装置 | |
KR20220157537A (ko) | 철도차량 사이드 커버용 개폐장치 | |
JP3683723B2 (ja) | スライドドアのストッパ機構 | |
KR101585771B1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JP4435621B2 (ja) | ドアロック装置の安全機構 | |
JP2002219931A (ja) | 建設機械用エアコン装置の外気導入口カバーの開閉装置 | |
JP2007509803A (ja) | 自動車両の、事故防止のためにセンサ制御でアクティブに上昇されるフロントフードを、逆動するための装置 | |
JP3343073B2 (ja) | 建設機械のキャブフロント窓 | |
KR101305795B1 (ko) | 차량용 콘솔암레스트 조립체 | |
JP3807876B2 (ja) |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連結装置 | |
KR200216211Y1 (ko) |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 |
JP3738190B2 (ja) | 車両用収納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