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095B1 -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095B1
KR102500095B1 KR1020220143346A KR20220143346A KR102500095B1 KR 102500095 B1 KR102500095 B1 KR 102500095B1 KR 1020220143346 A KR1020220143346 A KR 1020220143346A KR 20220143346 A KR20220143346 A KR 20220143346A KR 102500095 B1 KR102500095 B1 KR 102500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clamping
unit
axial
rever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헌
Original Assignee
대동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3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5Segment changing devices for supporting or guid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22D11/1246Nozzles;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6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adjusting the mould size or mould t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60Pouring-nozzl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X축방향 클램핑부와, Y축방향 클램핑부 그리고 Z축방향 클램핑부를 이용하여 제 1, 2클램핑바를 세그먼트의 제 1, 2전방 체결구의 내면에 가압 밀착시키도록 하여 상기 제 1, 2클램프바의 3차원 위치 조정을 통해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된 세그먼트를 하나의 반전장치에서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한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The inversion apparatus of continuous casting unit segment}
본 발명은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X축방향 클램핑부와, Y축방향 클램핑부 그리고 Z축방향 클램핑부를 이용하여 제 1, 2클램핑바의 3차원 위치 조정을 통해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된 세그먼트를 하나의 반전장치에서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한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장에서 정련된 용강은 래들(Ladle)로 담겨져 연속주조기로 이송되고, 연속주조기에서 주조되어 주편 예컨대, 슬라브, 빌렛 등의 주편을 생산한다.
이와 같은 연속주조기는 통상 래들, 턴디쉬(Tundish), 주형(Mold) 및 여러 개의 세그먼트(Segment)들로 조합된 냉각대로 구성되어 있는데, 통상 이와 같은 냉각대의 각 세그먼트들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이동하는 주편의 양측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된 롤들이 주편의 이동방향으로 일정길이 떨어져 연속된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롤 사이에는 주편의 표면으로 물과 공기를 혼합한 냉각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들이 주편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지도록 각각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를 통하여 주편을 냉각시킨다.
세그먼트는 연주공장에서 사용이 완료된 경우 운송차량을 통해 수리공장으로 운반되어 수리되게 된다. 세그먼트의 수리작업은 보통 프레임 분해작업과, 가이드롤 교체작업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가이드롤이 하부프레임에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즉 상부프레임을 분해해야만 상기 가이드롤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이드롤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부프레임을 뒤집어야 하는 반전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상기 세그먼트 반전장치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435460 호(명칭: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회전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상부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회전장치로서, 세그먼트 상부프레임이 안착되어지면 지지암이 회전되고 롤푸셔가 롤을 지지한 다음 롤이 상부로 향하도록 세그먼트 상부프레임을 회전시켜 뒤집게 되는 회전어셈블리와, 상기 세그먼트 상부프레임의 규격에 맞게 가이드되면서 회전어셈블리의 작동으로 세그먼트 상부프레임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어셈블리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세그먼트의 경우에는 연속주조기의 상황에 따라 대략 3가지 정도의 사이즈로 규격화 되어 있으며, 따라서 세그먼트 각각의 규격에 맞추어 회전장치선행기술의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회전장치를 고정하기가 불가능하여 세그먼트의 사이즈별로 회전장치를 각각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435460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X축방향 클램핑부와, Y축방향 클램핑부 그리고 Z축방향 클램핑부를 이용하여 제 1, 2클램핑바를 세그먼트의 제 1, 2전방 체결구의 내면에 가압 밀착시키도록 하여 상기 제 1, 2클램프바의 3차원 위치 조정을 통해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된 세그먼트를 하나의 반전장치에서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한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그먼트의 후방을 지지하는 무빙유닛, 상기 세그먼트의 전방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세그먼트를 반전시키는 반전유닛 및 상기 반전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세그먼트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는 제 1, 2전방 체결구에 각각 클램핑되며 상기 세그먼트를 고정하는 클램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한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반전유닛에 설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제 1, 2설치공간이 마련된 제 1, 2승강브라켓, 상기 제 1, 2설치공간에 좌,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1, 2클램핑블럭, 상기 제 1, 2클램핑 블럭의 중앙을 관통하며 상기 제 1, 2전방 체결구에 각각 삽입되는 제 1, 2클램핑바, 상기 제 1, 2클램핑블럭의 전방에 고정되는 제 1, 2z축방향 실린더. 제 1, 2z축방향 실린더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2클램핑블럭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2클램핑바에 각각 핀결합되는 제 1, 2z축방향 로드로 구성하여 상기 제 1, 2z축방향 실린더의 구동으로 상기 제 1, 2클램핑바를 상기 세그먼트의 제 1, 2전방 체결구에 진입 및 인출시키는 z축방향 클램핑부, 상기 제 1, 2승강브라켓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2x축방향 실린더, 상기 제 1, 2x축방향 실린더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2클램핑블럭의 외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2x축방향 로드로 구성하여 상기 제 1, 2x축방향로드를 좌,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2클램핑바를 상기 제 1, 2전방 체결구의 내면 좌, 우측에 각각 가압 고정시키는 x축방향 클램핑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면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2y축방향 실린더, 제 1, 2y축방향 실린더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2승강브라켓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 1, 2y축방향 로드로 구성하여 상기 제 1, 2y축방향 로드를 상, 하로 작동시켜 상기 제 1, 2승강브라켓을 상, 하 이동시켜, 상기 제 1, 2승강브라켓의 제 1, 2설치공간에 끼워져 있는 제 1, 2클램핑바를 상기 제 1, 2전방 체결구의 내면 상, 하부에 각각 가압 고정시키는 y축방향 클램핑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전유닛은 로터리실린더, 상기 로터리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어 회전 동작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피동기어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의 동력으로 회전 동작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세그먼트의 전방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의 구동으로 상기 세그먼트를 반전시키는 반전샤프트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축방향 클램핑부와, Y축방향 클램핑부 그리고 Z축방향 클램핑부를 이용하여 제 1, 2클램핑바를 세그먼트의 제 1, 2전방 체결구의 내면에 가압 밀착시키도록 하여 상기 제 1, 2클램프바의 3차원 위치 조정을 통해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된 세그먼트를 하나의 반전장치에서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한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세그먼트 반전장치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반전유닛 및 클램핑유닛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클램핑유닛에서 z축방향 클램핑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z축방향 클램핑부의 동작으로 제 1, 2클램핑바가 제 1, 2전방 체결구에 진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클램핑유닛에서 x축방향 클램핑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x축방향 클램핑부의 동작으로 제 1, 2클램핑바가 제 1, 2전방 체결구의 내면 좌, 우측에 가압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클램핑유닛에서 y축방향 클램핑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y축방향 클램핑부의 동작으로 제 1, 2클램핑바가 제 1, 2전방 체결구의 내면 상, 하부에 가압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다양한 실시 예를 들어 기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세그먼트 반전장치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반전유닛 및 클램핑유닛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그먼트 반전장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세그먼트(20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전,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무빙유닛(20), 회전유닛(30) 그리고 회전유닛(30)에 설치되는 클램핑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무빙유닛(20)은 세그멘트(200)의 후방 결합구(212)에 결합되되, 상기 세그먼트(200)의 사이즈에 맞추어 베이스(10) 상에서 전,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수단이다.
상기 무빙유닛(20)은 무빙다이(22), 상기 무빙다이(22)에 지지되며 상기 세그먼트(200)의 후방 샤프트(212)를 받쳐주는 받침대(24) 그리고 상기 무빙유닛(20)을 세그먼트(200)의 규격에 맞추어 전, 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무빙실린더(26), 상기 무빙실린더(26)의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무빙다이(22)의 전 후 이동 가능하게 받쳐주는 왕복대(28), 상기 왕복대(28)의 전, 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9)로 구성한다.
상기 무빙실린더(26)의 구동으로 무빙다이(22)는 전, 후 이동하며 세그먼트의 사이즈에 맞추어 받침대(24)를 세그먼트(200)의 후방 샤프트(212)에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반전유닛(30)은 상기 세그멘트(200)의 전방 결합구(210)를 받쳐주며 세그먼트(200)의 수리작업등을 위해 세그먼트(200)의 위쪽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반전시키도록 하는 유닛이다.
상기 반전유닛(30)은 반전다이(31), 상기 반전다이(31)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로터리 실린더(32), 상기 로터리실린더(32)의 로드(34)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36), 상기 구동기어(36)와 치합되는 피동기어(38)가 구비된 슬리브(40), 상기 슬리브(40)를 관통한 상태로 볼트 고정되며 선단은 상기 세그먼트(200)의 전방 결합구(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40)의 구동으로 정, 역 회전하며 상기 세그먼트(200)를 반전시키는 반전샤프트(42), 상기 반전샤프트(42)의 선단에 결합되며 세그멘트(200)의 전방샤프트(210)를 받쳐주는 받침대(44)로 구성한다.
상기 클램프유닛(50)은 상기 반전유닛(30)에 설치되며 상기 반전유닛(30)의 회전 동작이 상기 세그먼트(200)로 전해질 수 있도록 상기 세그먼트(200)를 반전유닛(30)에 고정시키는 유닛이다.
상기 클램프유닛(50)은 사각틀 형태로 반전유닛(30)의 슬리브(40) 외경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프레임(60), 상기 본체프레임(6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x축방향 클램핑부(100), 상기 본체프레임(60)의 상면에 설치되는 y축방향 클램핑부(120), 상기 본체프레임(60)의 후방에 위치하는 z축방향 클램핑부(80) 및 상기 본체프레임(60)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제 1, 2설치공간(62, 64)이 마련된 제 1, 2승강브라켓(102, 104), 상기 제 1, 2설치공간(62, 64)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2클램핑블럭(66, 68)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x축방향 클램핑부(100), y축방향 클램핑부(120), z축방향 클램핑부(80)의 동력으로 좌, 우, 상, 하 그리고 전, 후방향으로 이동 동작하며 세그먼트(200)의 제 1, 2전방체결구(220, 222)에 걸림 고정되는 제 1, 2클램프바(70, 72)를 포함한다.
상기 x축방향 클램핑부(100)는 본체프레임(60)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1, 2x축방향 실린더(106, 108), 상기 제 1, 2x축방향 실린더(106, 108)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제 1, 2x축방향 로드(110, 112)로 구성한다.
상기 y축방향 클램핑부(120)는 본체프레임(6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 1. 2y축방향 실린더(122, 124), 제 1. 2y축방향 실린더(122, 124)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제 1. 2y축방향 로드(126, 128)로 구성한다.
상기 z축방향 클램핑부(80)는 본체프레임(6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1, 2z축방향 실린더(82, 84), 제 1, 2z축방향 실린더(82, 84)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제 1, 2z축방향 실린더(86, 88)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클램프유닛(50)은 다양한 규격 사이즈로 제작된 세그먼트(200)에 맞춰 제 1, 2클램핑바(70, 72)의 위치 역시 조정되어야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클램프유닛(50)의 클램핑 방식을 예를 들어, 복수개의 제 1, 2클램핑바(70, 72)가 세그먼트(200)의 제 1, 2전방체결구(220, 222)에 각각 삽입되고 나면 하나의 제 1클램핑바(70)는 제 1전방 체결구(220)의 내면 우측 상단에 접촉된 상태로 가압한다고 가정하면 다른 하나의 제 2클램핑바(72)는 제 2전방 체결구(222)의 내면 좌측 하단에 접촉된 상태로 가압하도록 하여 두 개의 제 1, 2클램핑바(70, 72)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과정에서 제 1, 2 전방 체결구(220, 222)의 내면 좌, 우측을 각각 가압하는 방식으로 세그먼트(200)를 제 1, 2클램핑바(70, 72)에 고정하게 되며, 이러한 클램핑 방식을 통해 세그먼트(200)의 규격에 따라 제 1, 2전방 체결구(220, 222)의 위치 및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이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클램핑유닛(50)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세그먼트(200)를 클램핑할 수 있다.
상기 제 1, 2클램핑바(70, 72)는 제 1, 2클램핑블럭(66, 68)을 관통하며, 상기 제 1, 2클램핑블럭(66, 68)은 전술한 본체프레임(60)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2승강브라켓(102, 104)의 제 1, 2설치공간(62, 64)에 끼워진 상태로 X축방향 클램핑부(100) 및 Y축방향 클램핑부(120)의 구동으로 좌, 우 및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본체프레임(60)에는 제 1, 2승강브라켓(102, 104)이 설치되는 데, 상기 제 1, 2승강브라켓(102, 104)은 상기 본체프레임(6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2Y축방향 실린더(122, 124)의 제 1, 2Y축방향 로드(126, 128)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 1, 2Y축방향 실린더(122, 124)의 구동으로 상, 하 이동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 1,2승강브라켓(102, 104)의 내부에는 제 1, 2설치공간(62, 64)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2설치공간(62, 64)으로 제 1, 2클램핑블럭(66, 68)이 좌, 우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상기 제 1,2승강브라켓(102, 104)의 외측에는 제 1, 2X축방향 실린더(106, 108)가 올려진 상태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X축방향 실린더(106, 108)의 제 1, 2X축방향 로드(110, 112)는 상기 제 1, 2승강브라켓(102, 104)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2승강브라켓(102, 104)의 제 1, 2설치공간(62, 64)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2클램핑블럭(66, 68)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2X축방향 실린더(106, 108)의 구동으로 제 1, 2클램핑블럭(66, 68)은 상기 제 1, 2승강브라켓(102, 104)의 제 1, 2설치공간(62, 64)에서 좌, 우측 방향으로 이동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2승강브라켓(102, 104)은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6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2Y축방향 실린더(122, 124)의 구동으로 상기 제 1, 2X축방향 실린더(106, 108)를 상, 하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2X축방향 로드(110, 112)에 결합되어 있는 제 1, 2클램핑블럭(66, 68)은 상, 하 방향으로 이동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60)의 전방에는 제 1, 2z축방향 클램핑부(80)를 구성하는 제 1, 2z축방향 실린더(82, 84)가 위치하는 데, 상기 제 1, 2z축방향 실린더(82, 84)는 상기 제 1, 2승강브라켓(102, 104)의 제 1, 2설치공간(62, 64)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2클램핑블럭(66, 68)의 후면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z축방향 실린더(82, 84)의 1, 2z축방향 로드(86, 88)는 상기 제 1, 2클램핑블럭(66, 68)을 각각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2클램핑블럭(66, 68)의 중앙에 끼워져 있는 제 1, 2클램핑바(70, 72)에 핀(90, 92)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 1, 2클램핑바(70, 72)는 상기 제 1, 2z축방향 실린더(82, 84)의 구동으로 전, 후방으로 이동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램핑유닛(50)은 세그먼트(200)의 사이즈에 따라 각각 위치가 조정되어 있는 제 1, 2전방 체결구(220, 222)의 위치에 맞추어 제 1, 2클램핑바(70, 72)를 3차원적으로 위치 조정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세그먼트(200)를 하나의 장비로 클램핑하여 반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클램핑유닛 및 반전유닛 그리고 무빙유닛을 이용하여 세그먼트를 반전시키는 동작 과정을 기술하기로 한다.
세그먼트(200)의 가이드롤을 교체하기 위해 상부프레임을 뒤집는 반전 작업을 행할 때에는 먼저 클램핑유닛(50)을 구동시켜 반전을 위해 세그먼트(200)를 반전유닛(30)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먼저 도 7, 8에서와 같이 클램핑유닛(50)의 제 1, 2z축방향 실린더(82, 84)를 작동시켜 제 1, 2클램핑바(70, 72)를 세그먼트(200)의 제 1, 2전방체결구(220, 222)로 각각 진입시키도록 한다.
즉, 제 1, 2z축방향 실린더(82, 84)를 작동시키면 제 1, 2z축방향 로드(82, 84)는 제 1, 2클램핑블럭(66, 68)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2클램핑바(70, 72)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1, 2클램핑바(70, 72)는 세그먼트(200)의 제 1, 2전방체결구(220, 222)로 진입하게 된다.
다음,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제 1, 2x축방향 실린더(106, 108)를 구동시켜 제 1,2 전방체결구(220, 222)에 진입한 제 1, 2클램핑바(70, 72)를 우측 및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2클램핑바(70, 72)를 세그먼트(200)의 제 1. 2전방체결구(220, 222) 내면 우측 및 좌측을 가압하며 밀착되도록 한다.
즉, 제 1x축방향 실린더(106)가 구동하여 제 1x축방향 로드(110)를 당겨주면 제 1클램핑바(70)가 설치되어 있는 제 1클램핑블럭(66)은 제 1승강브라켓(102)의 제 1설치공간(62)상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 1클램핑블럭(66)에 설치되어 있는 제 1클램핑바(70)는 제 1전방체결구(220)의 내면 우측을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제 2x축방향 실린더(108)가 구동하여 제 2x축방향 로드(112)를 당겨주면 제 2클래핑바(72)가 설치되어 있는 제 2클램핑블럭(68)은 제 2승강브라켓(104)의 제 2설치공간(64)상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 2클램핑블럭(68)에 설치되어 있는 제 2클램핑바(72)는 제 2전방체결구(222)의 내면 좌측을 가압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1과 도 1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 1, 2y축방향 실린더(122, 124)를 구동시켜 제 1, 2클램핑바(70, 72)를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2클램핑바(70, 72)를 세그먼트(200)의 제 1, 2전방체결구(220, 222) 내면 상, 하부를 가압하며 밀착되도록 한다.
즉, 제 1y축방향 실린더(122)가 구동하여 제 1y축방향 로드(126)를 밀어주면 제 1승강브라켓(102)은 상승하며 제 1클램핑바(70)가 설치되어 있는 제 1클램핑블럭(66)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 1클램핑블럭(66)에 설치되어 있는 제 1클램핑바(70)는 제 1전방체결구(220)의 내면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제 2y축방향 실린더(124)가 구동하여 제 2y축방향 로드(128)를 밀어주면 제 2승강브라켓(104)은 하강하며 제 2클래핑바(72)가 설치되어 있는 제 2클램핑블럭(68)은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 2클램핑블럭(68)에 설치되어 있는 제 2클램핑바(72)는 제 2전방체결구(222)의 내면 하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200)가 클램핑유닛(50)에 고정되고 난 뒤, 반전유닛(30)의 로터리실린더(32)를 구동시키면 상기 로터리실린더(32)의 로드(34)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기어(36)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36)와 피동기어(38)로 치합되어 있는 슬리브(40)는 회전하며 반전샤프트(42)를 회전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반전샤프트(42)의 선단이 삽입되어 있는 세그먼트(200)는 클램핑유닛(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반전샤프트(42)의 구동으로 반전 동작하며 아래의 가이드롤이 위를 향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10: 베이스 20: 무빙유닛
30: 반전유닛 50: 클램핑유닛
60: 본체프레임 62, 64: 제 1, 2설치공간
66, 68: 제 1, 2클램핑블럭 70, 72: 제 1, 2클램핑바
80: z축방향 클램핑부 82, 84: 제 1, 2z축방향 실린더
100: x축방향 클램핑부 102, 104: 제 1, 2승강브라켓
106, 108: 제 1, 2x축방향 실린더 120: y축방향 클램핑부
122, 124: 제 1, 2y축방향 실린더 200: 세그먼트
220, 222:제 1, 2전방체결구

Claims (2)

  1. 세그먼트(200)의 후방을 지지하는 무빙유닛(20), 상기 세그먼트(200)의 전방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세그먼트(200)를 반전시키는 반전유닛(30) 및 상기 반전유닛(30)에 설치되며 상기 세그먼트(200)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는 제 1, 2전방 체결구(220, 222)에 각각 클램핑되며 상기 세그먼트(200)를 고정하는 클램핑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한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50)은;
    상기 반전유닛(30)에 설치되는 본체프레임(60);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제 1, 2설치공간(62, 64)이 마련된 제 1, 2승강브라켓(102, 104);
    상기 제 1, 2설치공간(62, 64)에 좌,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1, 2클램핑블럭(66, 68);
    상기 제 1, 2클램핑 블럭(66, 68)의 중앙을 관통하며 상기 제 1, 2전방 체결구(220, 222)에 각각 삽입되는 제 1, 2클램핑바(70, 72);
    상기 제 1, 2클램핑블럭(66, 68)의 전방에 고정되는 제 1, 2z축방향 실린더(82, 84);
    제 1, 2z축방향 실린더(82, 84)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2클램핑블럭(66, 68)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2클램핑바(70, 72)에 각각 핀(90, 92) 결합되는 제 1, 2z축방향 로드(86, 88)로 구성하여 상기 제 1, 2z축방향 실린더(82, 84)의 구동으로 상기 제 1, 2클램핑바(70, 72)를 상기 세그먼트(200)의 제 1, 2전방 체결구(220, 222)에 진입 및 인출시키는 z축방향 클램핑부(80);
    상기 제 1, 2승강브라켓(102, 104)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2x축방향 실린더(106, 108);
    상기 제 1, 2x축방향 실린더(106, 108)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2클램핑블럭(66, 68)의 외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2x축방향 로드(110, 112)로 구성하여 상기 제 1, 2x축방향로드(110, 112)를 좌,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2클램핑바(70, 72)를 상기 제 1, 2전방 체결구(220, 222)의 내면 좌, 우측에 각각 가압 고정시키는 x축방향 클램핑부(100);
    상기 본체프레임(60)의 상면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2y축방향 실린더(122, 124);
    제 1, 2y축방향 실린더(122, 124)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2승강브라켓(102, 104)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 1, 2y축방향 로드(126, 128)로 구성하여 상기 제 1, 2y축방향 로드(126, 128)를 상, 하로 작동시켜 상기 제 1, 2승강브라켓(102, 104)을 상, 하 이동시켜, 상기 제 1, 2승강브라켓(102, 104)의 제 1, 2설치공간(62, 64)에 끼워져 있는 제 1, 2클램핑바(70, 72)를 상기 제 1, 2전방 체결구(220, 222)의 내면 상, 하부에 각각 가압 고정시키는 y축방향 클램핑부(12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유닛(30)은;
    로터리실린더(32);
    상기 로터리실린더(32)의 로드(34)에 결합되어 회전 동작하는 구동기어(36);
    상기 구동기어(36)와 치합되는 피동기어(38)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프레임(60)에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36)의 동력으로 회전 동작하는 슬리브(40);
    상기 슬리브(40)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세그먼트(200)의 전방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40)의 구동으로 상기 세그먼트(200)를 반전시키는 반전샤프트(4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
KR1020220143346A 2022-11-01 2022-11-01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 KR102500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346A KR102500095B1 (ko) 2022-11-01 2022-11-01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346A KR102500095B1 (ko) 2022-11-01 2022-11-01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095B1 true KR102500095B1 (ko) 2023-02-16

Family

ID=8532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346A KR102500095B1 (ko) 2022-11-01 2022-11-01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0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1256A (ja) * 2005-06-07 2006-12-21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ロールセグメント反転支持装置
KR101435460B1 (ko) 2014-02-07 2014-08-28 포스마텍 주식회사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회전장치
KR102298552B1 (ko) * 2020-07-17 2021-09-06 (주)달성 연속주조기의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회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1256A (ja) * 2005-06-07 2006-12-21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ロールセグメント反転支持装置
KR101435460B1 (ko) 2014-02-07 2014-08-28 포스마텍 주식회사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회전장치
KR102298552B1 (ko) * 2020-07-17 2021-09-06 (주)달성 연속주조기의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회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2590B2 (ja) パンチング加工機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5627535B2 (ja) レーザー加工機械及び、該レーザー加工機械の装備替えのための方法
WO1999026737A1 (fr) Appareil et procede de changement de moules metalliques pour presses a retreindre l'epaisseur de la tole, et matrice metallique a presse
KR102500095B1 (ko)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반전장치
JP7457136B2 (ja) 溶接機
KR101254124B1 (ko)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반전장치
JP2000128323A (ja) 金型横倒し装置
US30521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riveted plate girders
KR100861963B1 (ko) 압연용 백업롤의 하드/소프트 라이너 분해장치
KR20130062501A (ko) 승강 장치
CN112935666B (zh) 一种用于叉车外门架搭电的半自动模具
JP2002102990A (ja) 円板状および環状の部材を圧延かつ成形するための変形装置
JP2022190220A (ja) 板歪修正装置
US3635066A (en) Roll assembly extractor for a rolling mill
CN219464461U (zh) 一种汽车导流板支架冲压翻边机构
CN220561437U (zh) 一种辊压机轴承组装平台
CN220196340U (zh) 一种辊压机主轴液压旋转升降台
CN218109037U (zh) 一种用于滑轨式巡检机器人的滑轨加工用冲孔装置
CN220426713U (zh) 一种方便定位的钢板锻造机
JP2012000673A (ja) 穴あけされたブシュブランクのためのブシュ拡開装置に用いられる供給装置および穴あけされたブシュブランクを鍛造するための方法
EP4043118B1 (en) Machine for assembling and handling molds for presses
JP5944211B2 (ja) 連続鋳造設備のモールド可変装置
KR100775229B1 (ko) 압연롤 시프팅장치
KR101330551B1 (ko)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KR101309981B1 (ko) 판재 터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