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093B1 - 스티어링 핸들 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핸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093B1
KR102497093B1 KR1020197028677A KR20197028677A KR102497093B1 KR 102497093 B1 KR102497093 B1 KR 102497093B1 KR 1020197028677 A KR1020197028677 A KR 1020197028677A KR 20197028677 A KR20197028677 A KR 20197028677A KR 102497093 B1 KR102497093 B1 KR 102497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steering handle
lock spring
hook portion
damper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5386A (ko
Inventor
유타 미나미
히데노리 히고
겐이치 유쿠마츠
히데하루 가에리야마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62D7/2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acting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스티어링 핸들 구조는, 에어백 모듈 (10) 의 장착판부 (12) 에 형성된 장착공 (12a) 에 유지되는 통상의 가이드 부재 (30) 와, 스티어링 핸들 (1) 에 형성되고, 가이드 부재 (30) 에 삽입되는 후크부 (2) 와, 장착판부 (12) 에 있어서의 장착공 (12a) 의 가장자리부와 가이드 부재 (30)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댐퍼 고무 (20) 와, 가이드 부재 (30) 에 유지되는 로크 스프링 (40) 을 구비한다. 로크 스프링 (40) 은, 가이드 부재 (30) 에 삽입된 후크부 (2) 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가이드 부재 (30) 로부터 후크부 (2) 가 빠져나오는 것을 규제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핸들 구조
본 발명은, 스티어링 핸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운전석용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모듈화된 후에 스티어링 핸들의 보스부에 장착된다. 모듈화된 운전석용 에어백 (이하, 에어백 모듈이라고 한다) 을 스티어링 핸들에 장착하는 방식으로서, 장착이 간단한 스냅인 방식으로 불리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주행 중의 스티어링 핸들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다이내믹 댐퍼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질량체로서의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핸들에 대해 탄성적으로 장착하는 것도 실시되고 있다.
하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는, 다이내믹 댐퍼 기능을 실현하면서, 스냅인 방식에 의해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핸들에 장착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각 특허문헌에 기재된 것에서는, 다이내믹 댐퍼 기능을 실현하면서 스냅인 방식에 의해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핸들에 장착하기 위한 기구가 상당히 복잡하고 필요한 부품 점수도 많아져, 이 점에 있어서 대책이 요망되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2896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030552호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부품 점수가 적은 간단한 기구에 의해, 다이내믹 댐퍼 기능을 실현하면서 스냅인 방식에 의해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핸들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스티어링 핸들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티어링 핸들과 이것에 장착되는 에어백 모듈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핸들 구조로서, 상기 에어백 모듈의 장착판부에 형성된 장착공에 유지되는 통상 (筒狀) 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스티어링 핸들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되는 후크부와, 상기 장착판부에 있어서의 장착공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댐퍼 고무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유지되는 로크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된 상기 후크부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후크부가 빠져나오는 것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스티어링 핸들의 심금 (芯金) 에 에어백 모듈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스티어링 핸들의 심금에 에어백 모듈을 장착한 상태를 운전석측으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 은, 후크부가 형성된 스티어링 핸들의 심금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에어백 모듈측에 장착되는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스티어링 핸들과 에어백 모듈의 장착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가이드 부재에 삽입된 후크부가 로크 스프링에 의해 걸려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에어백 모듈이 후퇴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혼 센서 부분에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8 은, 가이드 부재에 삽입된 후크부가 로크 스프링에 의해 걸려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에어백 모듈이 전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혼 센서 부분에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 은, 로크 스프링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가이드 부재를 도 11 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 은, 가이드 부재에 로크 스프링을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는, 에어백 모듈에 대한 가이드 부재와 로크 스프링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 에 대응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6 에 대응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1 은 스티어링 핸들의 심금이다. 심금 (1) 은 보스부 (1a) 를 가지고 있다. 보스부 (1a) 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에어백 모듈 (10) 이 장착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핸들 (심금 (1)) 의 보스부 (1a) 에는, 복수의 (당 실시형태에서는 3 개의) 후크부 (2) 가, 후방 (스티어링 핸들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후방) 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후크부 (2) 는, 예를 들어 주조에 의해 심금 (1) 과 일체 성형되어 있다. 각 후크부 (2) 는, 테이퍼상의 확대 선단부 (2a) 를 가지고 있다. 이 확대 선단부 (2a) 는 걸림 클로로서 기능한다. 또, 각 후크부 (2) 의 측면 중, 둘레 방향 소정 위치가, 평탄면 (2b)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 (2) 의 외주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리턴 스프링 (3) 이 장착된다. 리턴 스프링 (3) 의 후크부 (2) 로부터의 빠짐이, 후크부 (2) 의 확대 선단부 (2a) 에 의해 규제된다. 또, 보스부 (1a) 의 소정 위치에는, 혼 센서 (4) 가 유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 (10) 은, 본체부 (11) 와, 본체부 (11) 에 일체화된 장착판부 (12) 를 갖는다. 본체부 (11) 의 내부에는, 인플레이터와 접혀진 에어백이 수납되어 있다. 장착판부 (12) 는, 스티어링 핸들 (심금 (1)) 에 대한 에어백 모듈 (10) 의 장착부가 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판부 (12) 에는, 후크부 (2) 에 대응시켜, 복수의 (당 실시형태에서는 3 개의) 장착공 (12a)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장착공 (12a) 에는, 도 4, 도 6,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의 댐퍼 고무 (20) 가 끼워 맞춰져, 유지되어 있다. 이 댐퍼 고무 (20) 의 외주에는, 예를 들어 금속 혹은 경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스페이서 (21) 가 끼워 맞춰져 있다. 스페이서 (21) 에 의해, 댐퍼 고무 (20) 가 과잉으로 진동하는 것이 제한됨과 함께, 댐퍼 고무 (20) 의 확경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나 변위가 규제된다.
후크부 (2) 가 삽입되는 통상의 가이드 부재 (30) 가 장착공 (12a) 에 유지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 (30) 의 상세가, 도 4, 도 11, 도 12 에 나타내어진다. 가이드 부재 (30) 는, 댐퍼 고무 (20) 내를 덜컹거림 없이 삽입 통과 가능한 본체부 (31) 와, 그 일단측에 형성된 플랜지부 (32) 를 갖는다. 본체부 (31) 를 전방측 (스티어링 핸들측) 으로부터 댐퍼 고무 (20) 내에 삽입하였을 때, 플랜지부 (32) 가 장착공 (12a) 의 가장자리부 (댐퍼 고무 (20) 의 전단면) 에 맞닿는 것에 의해, 더 이상의 삽입이 규제된다.
가이드 부재 (30) 의 본체부 (31) 의 양 측면에는, 각각, 후술하는 로크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공 (31a, 31b)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 (31) 는, 삽입된 후크부 (2) 의 선단부를 덮도록 중공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 부 (플랜지부 (32) 와는 반대측의 단부) 에는 개구부 (31c) 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판부 (12) 에는, 가이드 부재 (30) 를 이용하여, 로크 스프링 (40) 이 유지되어 있다. 로크 스프링 (40) 은, 장착판부 (12) 를 사이에 두고, 가이드 부재 (30) 의 플랜지부 (32) 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스프링 (40) 은, 당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재를 U 자상으로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된 심재 (41) 와, 심재 (41) 를 거의 전체적으로 피복하는 피복재 (4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피복재 (42) 는, 예를 들어 연질 혹은 경질의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심재 (41) 및 피복재 (42) 로 이루어지는 로크 스프링 (40) 은, 상대향하는 1 쌍의 봉상부 (40a, 40b) 와, 1 쌍의 봉상부 (40a, 40b) 의 일단부끼리를 연결하는 굴곡된 연결부 (40c) 를 갖는다. 1 쌍의 봉상부 (40a, 40b) 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일방의 봉상부 (40a) 에 비해 타방의 봉상부 (40b) 가 길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방의 봉상부 (40a) 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1 쌍의 걸림 클로부 (40d) 가, 피복재 (42)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6, 도 8,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봉상부 (40a, 40b) 는, 가이드 부재 (30) 의 본체부 (31) 에 걸려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일방의 봉상부 (40a) 는, 본체부 (31) 의 유지공 (31a) 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이 삽입 상태에 있어서, 봉상부 (40a) 의 1 쌍의 걸림 클로부 (40d) (도 10) 사이에 본체부 (31) 가 직경 방향으로 끼워 넣어져 유지된다. 이와 같이 걸림 클로부 (40d) 가 본체부 (31) 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본체부 (31) 에 대해 1 쌍의 봉상부 (40a, 40b) 가 그 길이 방향으로 상대 변위하는 것이 규제된다.
로크 스프링 (40) 의 타방의 봉상부 (40b) 는, 본체부 (31) 의 유지공 (31b) 에 삽입된다. 이 삽입 상태에 있어서, 봉상부 (40b) 는, 본체부 (31) 의 내부를 지나며 또한 본단부 (31) 의 외측으로 크게 돌출되도록 배치 형성된다. 즉, 봉상부 (40b) 는, 본체부 (31) 를 관통함과 함께, 본체부 (31) 의 내부에 있어서 후크부 (2) 와 교차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외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1 쌍의 봉상부 (40a, 40b) 끼리의 간격이, 후크부 (2) 의 확대 선단부 (2a) 의 최대폭보다 작으며, 또한 후크부 (2) 의 기단부 (확대 선단부 (2a) 를 제외한 부분) 에 있어서의 평탄면 (2b) 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보다 약간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 (30) 에 대해 로크 스프링 (40) 이 조금 움직일 수 있도록, 봉상부 (40a, 40b) 는 약간의 간극을 둔 상태에서 유지공 (31a, 31b) 에 삽입되어 있다.
다음으로, 에어백 모듈 (10) 을 스티어링 핸들에 대해 장착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장착의 전준비로서, 에어백 모듈 (10) 의 장착판부 (12) 에 대해, 댐퍼 고무 (20), 스페이서 (21), 가이드 부재 (30), 로크 스프링 (40) 이 미리 장착된다. 또, 스티어링 핸들측에서는, 후크부 (2) 에 리턴 스프링 (3) 이 장착됨과 함께, 혼 센서 (4) 가 보스부 (1a) 에 고정된다.
상기 서술한 전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에어백 모듈 (10) 을, 스티어링 핸들의 심금 (1) 에 대해 접근시켜, 후크부 (2) 를 가이드 부재 (30) 내에 삽입시킨다.
가이드 부재 (30) 내에 후크부 (2) 가 삽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후크부 (2) 의 확대 선단부 (2a) 가 로크 스프링 (40) 의 1 쌍의 봉상부 (40a, 40b) 를 타고 넘는다. 즉, 확대 선단부 (2a) 는, 1 쌍의 봉상부 (40a, 40b) 끼리의 간격을 넓히도록 로크 스프링 (40) 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봉상부 (40a, 40b) 보다 후방까지 이동한다. 확대 선단부 (2a) 가 봉상부 (40a, 40b) 를 타고 넘은 시점에서, 로크 스프링 (40) 은,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1 쌍의 봉상부 (40a, 40b) 끼리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로 복귀한다. 이로써, 로크 스프링 (40) 이 확대 선단부 (2a) 에 걸려 고정되어, 가이드 부재 (30) 로부터 후크부 (2) 가 빠져나오는 것이 규제된다.
이상에 의해, 스티어링 핸들의 심금 (1) 에 에어백 모듈 (10) 을 조립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즉, 장착공 (12a) (댐퍼 고무 (20)) 에 대해 후크부 (2) 를 삽입한다는 스냅인 방식에 의해, 에어백 모듈 (10) 이 간단하게 스티어링 핸들에 장착되게 된다. 이 때, 후크부 (2) 의 평탄면 (2b) 에 로크 스프링 (40) 의 봉상부 (40a) 가 대면한다. 이 봉상부 (40a) 는, 후크부 (2) 의 회전 방지부로서 기능한다. 로크 스프링 (40) 은, 에어백 모듈 (10) 의 장착판부 (12) 에 대해, 후크부 (2) 의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도 6 ∼ 도 8 등 참조). 바꾸어 말하면, 로크 스프링 (40) 은, 장착판부 (12) 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가이드 부재 (30) 에 장착된다.
에어백 모듈 (10) 은, 후크부 (2) 의 축 방향으로 소정 범위만큼 상대 변위 가능하다. 단, 리턴 스프링 (3) 의 탄성력에 의해, 통상적으로는, 에어백 모듈 (10) 이 후방측의 스트로크 엔드에 위치된다 (도 6, 도 7 참조).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리턴 스프링 (3)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에어백 모듈 (10) 을 가압 조작 (전방을 향하여 누르는 조작) 하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 (10) 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장착판부 (12) 에 형성된 가압부 (12b) (도 9 참조) 가, 스티어링 핸들측에 형성된 혼 센서 (4) 에 맞닿는다. 이로써, 혼이 작동하여 경보음이 발생한다.
주행 중, 스티어링 핸들이 진동하면, 댐퍼 고무 (20) 의 탄성과, 질량체로서의 에어백 모듈 (10) 의 질량을 이용한 다이내믹 댐퍼 기능이 발휘되어, 스티어링 핸들의 진동이 저감된다. 또한, 당 실시형태에서는, 장착판부 (12) 와 로크 스프링 (4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므로, 스티어링 핸들의 진동이 후크부 (2) (이것을 덮는 가이드 부재 (30)) 로부터 로크 스프링 (40) 을 통해 에어백 모듈 (10) 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과, 댐퍼 고무 (20) 의 탄성 등을 이용한 다이내믹 댐퍼 기능의 상승 효과에 의해, 진동의 저감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스페이서 (21) 는, 댐퍼 고무 (20) 가 과잉으로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로써, 댐퍼 고무 (20) 가 불필요하게 확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이내믹 댐퍼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차량의 충돌에서 기인하여 에어백 모듈 (10) 이 작동하면, 운전자를 향해 에어백이 팽창 전개된다. 이 때, 전개된 에어백이 후크부 (2) 의 선단부에 직접 맞닿는 것이 가이드 부재 (30) 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당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 (31) 의 정부 (頂部) 에 개구부 (31c) 가 형성된 가이드 부재 (30) 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후크부 (2) 를 본체부 (31) 내에 삽입할 때에 본체부 (31) 내의 공기를 빼내어 삽입 작업을 원활화시키기 위함이다. 단, 특별히 이와 같은 조치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개구부 (31c) 의 형성을 생략해도 된다.
여기서, 스페이서 (21) 는 필수는 아니고 생략할 수도 있다. 스페이서 (21) 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장착공 (12a) 을 통상으로 길게 형성하여, 그 내부에 댐퍼 고무 (20) 를 장착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로써, 장착공의 내주면에 스페이서 (21) 로서의 기능을 겸용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스냅인 방식에 의한 장착과 다이내믹 댐퍼 기능을 양립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품은, 당 실시형태에서는, 후크부 (2), 댐퍼 고무 (20), 스페이서 (21), 가이드 부재 (30), 로크 스프링 (40) 의 합계 5 점이다. 또한, 스페이서 (21) 를 생략하면 필요 부품을 4 점으로 끝낼 수 있다.
도 15,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당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부재 (30) 에 있어서의 본체부 (31) 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환상의 볼록부 (31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 (31d) 가 댐퍼 고무 (20) 의 내주면에 맞닿는 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 (30) 의 위치 결정이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실시된다.
본체부 (31) 의 외주면과 댐퍼 고무 (20) 의 내주면 사이에는 간극 (S1) 이 형성된다. 간극 (S1) 은, 볼록부 (31d) 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 (S1) 의 형성에 의해, 댐퍼 고무 (20) 의 가동역이 확대되어, 다이내믹 댐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볼록부 (31d) 의 형성 위치는, 댐퍼 고무 (20) 의 축 방향 대략 중간 위치에 형성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댐퍼 고무 (20) 의 축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 (31d) 를 경계로 하여 대략 동등한 길이의 간극 (S1) 이 형성된다. 또한, 당 실시형태에서는, 장착판부 (12) 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슬릿 (12c) 이 형성되어 있다.
당 실시형태에서는 추가로, 가이드 부재 (30) 의 플랜지부 (32) 와 댐퍼 고무 (20) 사이에 간극 (S2) 이 형성되어 있다. 즉, 댐퍼 고무 (20) 와 대향하는 플랜지부 (32) 의 후면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댐퍼 고무 (20) 로부터 이간되도록 경사짐으로써, 플랜지부 (32) 와 댐퍼 고무 (20) 사이에 쐐기 형상의 간극 (S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 (S2) 의 형성에 의해, 댐퍼 고무 (20) 의 가동역을 넓혀, 다이내믹 댐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있어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댐퍼 고무 (20) 를 가이드 부재 (30) 의 외주에 끼워 맞춰도 된다. 이 경우, 가이드 부재 (30) 의 외주에 환상의 유지 홈을 형성하여, 이 유지 홈에 댐퍼 고무 (20) 를 끼워 맞추는 것이 고려된다. 후크부 (2) 를 심금 (1) 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고, 이 후크부 (2) 를 고정구에 의해 심금 (1) 에 고정시키도록 해도 된다. 가이드 부재 (30) 는, 후크부 (2) 의 확대 선단부 (2a) 를 덮지 않는 형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명기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바람직하거나 혹은 이점으로서 표현된 것을 제공하는 것도 암묵적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의 정리>
이상의 실시형태를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스티어링 핸들 구조는, 에어백 모듈의 장착판부에 형성된 장착공에 유지되는 통상의 가이드 부재와, 스티어링 핸들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되는 후크부와, 상기 장착판부에 있어서의 장착공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댐퍼 고무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유지되는 로크 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로크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된 상기 후크부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후크부가 빠져나오는 것을 규제한다.
상기 스티어링 핸들 구조에 의하면, 후크부가 가이드 부재에 삽입됨으로써, 로크 스프링이 후크부에 걸려 고정되고, 이 로크 스프링에 의해 후크부의 빠짐 방지가 실시된다. 요컨대, 에어백 모듈을, 스냅인 방식에 의해 간단하게 스티어링 핸들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주행 중은, 댐퍼 고무의 탄성과, 질량체로서의 에어백 모듈의 질량을 이용한 다이내믹 댐퍼 기능에 의해, 스티어링 핸들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스냅인 방식에 의한 장착과 다이내믹 댐퍼 기능을 양립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품 점수가 적어도 되므로,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후크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부재가 로크 스프링을 유지하는 부재로서 겸용되므로, 구조의 간소화를 보다 촉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 스프링이 상기 후크부에 걸려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로크 스프링과 상기 장착판부 사이에, 양자를 비접촉으로 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티어링 핸들의 진동이 후크부로부터 로크 스프링을 통해 에어백 모듈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진동의 저감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스티어링 핸들측으로부터 상기 댐퍼 고무 내에 삽입 통과 가능한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일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에 있어서의 상기 스티어링 핸들측의 가장자리부에 맞닿는 플랜지부를 갖는다. 상기 로크 스프링은, 상기 장착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플랜지부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유지된다. 상기 본체부가 상기 장착공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로크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크 스프링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요컨대 별도 고정구 등의 다른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가이드 부재를 소정 위치에 장착해 둘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 스프링은, 상대향하는 1 쌍의 봉상부와, 그 1 쌍의 봉상부의 일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다. 상기 로크 스프링은, 상기 1 쌍의 봉상부 중 적어도 일방이 상기 가이드 부재 내를 관통하는 상태에서 그 가이드 부재에 유지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된 상기 후크부가 상기 1 쌍의 봉상부를 그 간격을 넓히도록 탄성 변형시키면서 타고 넘은 상태에서, 상기 로크 스프링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간격이 좁혀진 상기 1 쌍의 봉상부에 의해 상기 후크부의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의 빠짐을 규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탄성 변형에 의해 간격이 변화되는 1 쌍의 봉상부를 이용하여, 후크부의 빠짐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부의 측면 중 상기 로크 스프링에 대면하는 적어도 1 개의 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크 스프링이 후크부의 회전 방지부로서 기능하므로, 로크 스프링이 후크부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 스프링이 상기 후크부에 걸려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의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덮인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이 후크부의 선단부에 접촉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티어링 핸들 구조는, 상기 댐퍼 고무의 외주에 끼워 맞춰지며, 또한 그 댐퍼 고무가 확경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규제하는 스페이서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댐퍼 고무가 과잉으로 진동하는 것을 스페이서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댐퍼 고무가 불필요하게 확경 방향으로 변형 또는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이내믹 댐퍼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 스프링이 상기 후크부에 걸려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모듈이 상기 후크부의 축 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티어링 핸들 구조는, 상기 에어백 모듈을 상기 스티어링 핸들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에어백 모듈이 소정 이상의 힘으로 가압 조작되지 않는 한 혼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혼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본체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댐퍼 고무의 내주면에 맞닿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그 볼록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댐퍼 고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의 위치 결정을 볼록부를 이용하여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 댐퍼 고무의 가동역이 확대되므로, 다이내믹 댐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부와 그 플랜지부에 대향하는 상기 댐퍼 고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댐퍼 고무의 가동역을 확대시켜 다이내믹 댐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스티어링 핸들과 이것에 장착되는 에어백 모듈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핸들 구조로서,
    상기 에어백 모듈의 장착판부에 형성된 장착공에 유지되는 통상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스티어링 핸들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되는 후크부와,
    상기 장착판부에 있어서의 장착공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환상의 댐퍼 고무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유지되는 로크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스티어링 핸들측으로부터 상기 댐퍼 고무 내에 삽입 통과 가능한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일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에 있어서의 상기 스티어링 핸들측의 가장자리부에 맞닿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댐퍼 고무 내에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본체부가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당해 본체부에 상기 로크 스프링이 유지되고,
    상기 로크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된 상기 후크부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후크부가 빠져나오는 것을 규제하고,
    상기 로크 스프링이 상기 후크부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그 로크 스프링과 상기 장착판부 사이에, 양자를 비접촉으로 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핸들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스프링은, 상기 장착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플랜지부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장착공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로크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핸들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스프링은, 상대향하는 1 쌍의 봉상부와, 그 1 쌍의 봉상부의 일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로크 스프링은, 상기 1 쌍의 봉상부 중 적어도 일방이 상기 가이드 부재 내를 관통하는 상태에서 그 가이드 부재에 유지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된 상기 후크부가 상기 1 쌍의 봉상부를 그 간격을 넓히도록 탄성 변형시키면서 타고 넘은 상태에서, 상기 로크 스프링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간격이 좁혀진 상기 1 쌍의 봉상부에 의해 상기 후크부의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의 빠짐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핸들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의 측면 중 상기 로크 스프링에 대면하는 적어도 1 개의 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핸들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스프링이 상기 후크부에 걸려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의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핸들 구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고무의 외주에 끼워 맞춰지며, 또한 그 댐퍼 고무가 확경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규제하는 스페이서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핸들 구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스프링이 상기 후크부에 걸려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모듈이 상기 후크부의 축 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고,
    상기 에어백 모듈을 상기 스티어링 핸들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핸들 구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본체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댐퍼 고무의 내주면에 맞닿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그 볼록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댐퍼 고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핸들 구조.
  9. 제 2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그 플랜지부에 대향하는 상기 댐퍼 고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핸들 구조.
  10. 삭제
KR1020197028677A 2017-03-10 2018-02-08 스티어링 핸들 구조 KR102497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45625 2017-03-10
JP2017045625A JP6835633B2 (ja) 2017-03-10 2017-03-10 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構造
PCT/JP2018/004292 WO2018163698A1 (ja) 2017-03-10 2018-02-08 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386A KR20190125386A (ko) 2019-11-06
KR102497093B1 true KR102497093B1 (ko) 2023-02-06

Family

ID=63448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677A KR102497093B1 (ko) 2017-03-10 2018-02-08 스티어링 핸들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75564B2 (ko)
JP (1) JP6835633B2 (ko)
KR (1) KR102497093B1 (ko)
CN (1) CN110431050B (ko)
DE (1) DE112018000782T5 (ko)
WO (1) WO2018163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8257B2 (en) * 2016-12-15 2023-08-08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Coupling device for mounting an airbag module to be oscillating on a vehicle steering wheel
DE102016124530A1 (de) * 2016-12-15 2018-06-21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Kopplungsvorrichtung zur schwingfähigen Befestigung eines Gassackmoduls an einem Fahrzeuglenkrad
DE102017102463A1 (de) * 2017-02-08 2018-08-09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Lagereinheit, lenkradbaugrupp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ahrzeugbaugruppe
JP7015194B2 (ja) * 2018-03-19 2022-02-02 芦森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WO2020003777A1 (ja) * 2018-06-25 2020-01-0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におけるダンパユニットの取付固定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6953371B2 (ja) * 2018-08-21 2021-10-27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US10926698B2 (en) * 2018-12-17 2021-02-23 Key Safety Systems, Inc. Integrated steering wheel, vibration absorber, and driver airbag
FR3099437A1 (fr) * 2019-07-29 2021-02-05 Autoliv Development Ab Dispositif de montage amovible d’un module de coussin gonflable sur un volant
US20230174152A1 (en) * 2020-01-16 2023-06-08 Autoliv Development Ab Steering wheel device for vehicle
JP7410821B2 (ja) 2020-08-19 2024-01-10 Joyson Safety Systems Japan合同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N112092895A (zh) * 2020-09-30 2020-12-18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方向盘减震单元及汽车方向盘
KR20240033489A (ko) * 2022-09-05 2024-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휠과, 그 스티어링휠의 댐퍼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159A (ja) 2000-02-18 2001-08-28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組付構造
JP2009202859A (ja) 2008-02-01 2009-09-10 Honda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振動低減構造
JP2013082283A (ja) * 2011-10-07 2013-05-09 Ashimori Industry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部構造
JP2014111426A (ja) * 2012-11-12 2014-06-19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制振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7069A (en) * 1990-12-20 1992-02-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straint system mounting
DE29805210U1 (de) * 1998-03-23 1998-06-04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Aufprall-Schutzvorrichtung
DE29805207U1 (de) * 1998-03-23 1998-06-04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Lenkrad mit Airbag
EP1167132B1 (en) * 2000-06-27 2004-06-09 Toyoda Gosei Co., Ltd. Air bag module mounting structure
US6874808B2 (en) * 2002-09-20 2005-04-05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uniform gap between an airbag module and its surrounding structure
US7510209B2 (en) * 2004-09-10 2009-03-31 Delphi Technologies, Inc. Airbag module with integral 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making
JP5989449B2 (ja) * 2012-08-06 2016-09-07 タカタ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6454073B2 (ja) * 2014-02-03 2019-01-16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6488627B2 (ja) 2014-02-28 2019-03-27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6164175B2 (ja) 2014-07-30 2017-07-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2293578B1 (ko) * 2015-07-22 2021-08-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향휠 에어백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159A (ja) 2000-02-18 2001-08-28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組付構造
JP2009202859A (ja) 2008-02-01 2009-09-10 Honda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振動低減構造
JP2013082283A (ja) * 2011-10-07 2013-05-09 Ashimori Industry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部構造
JP2014111426A (ja) * 2012-11-12 2014-06-19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制振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49837A (ja) 2018-09-27
CN110431050A (zh) 2019-11-08
JP6835633B2 (ja) 2021-02-24
WO2018163698A1 (ja) 2018-09-13
KR20190125386A (ko) 2019-11-06
DE112018000782T5 (de) 2019-11-07
US20200331511A1 (en) 2020-10-22
US10875564B2 (en) 2020-12-29
CN110431050B (zh)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7093B1 (ko) 스티어링 핸들 구조
KR102497789B1 (ko)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의 댐퍼 유닛의 설치 고정 구조 및 스티어링 휠
JP6274675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構造
US11161472B2 (en) Coupling device for the attachment of an airbag module to a vehicle steering wheel in an oscillatory manner
US10406975B2 (en) Steering wheel structure
KR101621252B1 (ko) 패스너 클립
EP1787890A1 (en) Steering unit
JP7045967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に備えるダンパ構造
JP2018176898A (ja)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JP2009505031A (ja) ハウジング内の軸受レース用取付け装置
KR20200052231A (ko) 에어백 모듈, 상기 에어백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 및 이러한 에어백 모듈을 포함하는 조향 어셈블리
WO2013118590A1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ホーンスイッチ装置
JP6871783B2 (ja) エアバッグ装置
EP4234364A1 (en) Steering wh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P2628961B1 (en) Clip and fastening arrangement with a clip
JP3736133B2 (ja) 抜け止め装置及び等速ジョイント
CN212354123U (zh) 方向盘减振系统和方向盘
JP3717710B2 (ja) スプリングシートラバー
JP6626702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21071149A (ja) 留め具
US11648904B2 (en) Apparatus for coupling airbag module to steering wheel
JP5720993B2 (ja) 車両のブレーキ装置
KR102655223B1 (ko)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JP2004345464A (ja) 車輌のクッションパッドの固定構造
JP7280813B2 (ja) 留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