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223B1 -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5223B1 KR102655223B1 KR1020220064973A KR20220064973A KR102655223B1 KR 102655223 B1 KR102655223 B1 KR 102655223B1 KR 1020220064973 A KR1020220064973 A KR 1020220064973A KR 20220064973 A KR20220064973 A KR 20220064973A KR 102655223 B1 KR102655223 B1 KR 1026552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ing
- vibration
- support member
- fixing member
- absorb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는, 와이어링이 삽입 지지되는 원통 형상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둘레에서 설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고, 러버 클립을 통해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지지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완충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체에 설치되어 러버 클립에 감겨진 고정부재를 통해 지지부재에 지지된 와이어링의 충격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링을 감싸는 지지부재와 러버 클립이 감기는 고정부재를 진동흡수부를 이용하여 진동 흡수가능하게 상호 연결함으로써, 와이어링이 러버 클립의 모서리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 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하네스(이하 와이어링이라 함)를 차체에 고정할 때 결합력이 요구될 경우 러버 클립을 적용하여 와이어링을 감싼 후 차체에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러버 클립은 와이어링을 감싸는 러버부재와, 러버부재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부와, 안착홈부에 안착된 상태로 감겨져 양측 단부를 모아주고, 차체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클립부재를 포함한다.
러버클립은 고정부영역과 진동부영역으로 나뉘어지고, 와이어링에 식별테이프를 접착 상태에서 러버부재와 클립부재를 감아준 상태로 차체에 체결함으로써, 와이어링을 견고하게 차체에 장착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러버 클립을 와이어링에 장착시 와이링에 장착위치를 나타내는 식별테이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러버 클립을 와이어링에 장착시, 러버 클립이 와이어링에서 유동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기존의 러버 클립은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고정부영역 기준 앞뒤영역에 대해 높은 진동이 와이어링에 가해질 경우 진동 흡수구조 부족으로 인해 러버부재가 파손되고, 파손되어 노출된 러버부재를 통해 금속재질의 클립부재의 모서리가 와이어링을 눌러 손상을 입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92229호(2020.12.10, 발명의 명칭: 와이어링의 고정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와이어링을 감싸는 지지부재와 러버 클립이 감기는 고정부재를 진동흡수부를 이용하여 진동 흡수가능하게 상호 연결함으로써, 와이어링이 러버 클립의 모서리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 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는, 와이어링이 삽입 지지되는 원통 형상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에서 설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고, 러버 클립을 통해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완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러버 클립에 감겨진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된 상기 와이어링의 충격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진동흡수부에 비해 양측으로 더 돌출되는 한 쌍의 감이장착부가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감이장착부에는 상기 와이어링에 설치된 후 테이프가 감겨져 상기 와이어링과 밀착되므로 상기 와이어링에서 죄우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이장착부는 상기 테이프의 감이 시 수축이 용이하도록 2개이상의 절개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러버 클립이 삽입되어 걸림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흡수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되어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흡수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에 확장 형성되어 연결되는 외측확장부;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확장 형성되어 연결되는 내측확장부; 및 상기 외측확장부와 내측확장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외측확장부와 내측확장부에서 연결되는 중심부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는 협소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흡수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에 양단이 설정구간씩 제1공간부를 갖도록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1완충연결부; 상기 제1완충연결부에 제2공간부를 갖도록 양측으로 연장되어 이웃하는 상기 제1완충연결부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2완충연결부; 및 상기 제2완충연결부에 제3공간부와 제4공간부를 갖도록 양측으로 연장되어 이웃하는 상기 제2완충연결부에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제3완충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완충연결부는 상기 제1완충연결부의 중심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완충연결부는 상기 제2완충연결부의 중심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는, 와이어링을 감싸는 지지부재와 러버 클립이 감기는 고정부재를 진동흡수부를 이용하여 진동 흡수가능하게 상호 연결함으로써, 와이어링이 러버 클립의 모서리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 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에서, 감이장착부에 테이프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의 조립 상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의 조립 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에서, 진동흡수부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에서, 진동흡수부의 다른 예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에서, 진동흡수부의 다른 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에서, 감이장착부에 테이프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의 조립 상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의 조립 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에서, 진동흡수부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에서, 진동흡수부의 다른 예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에서, 진동흡수부의 다른 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에서, 감이장착부에 테이프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의 조립 상태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의 조립 상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에서, 진동흡수부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에서, 진동흡수부의 다른 예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에서, 진동흡수부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는, 지지부재(100), 고정부재(200) 및 진동흡수부(300)(40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00)는 와이어링(10)이 삽입 지지되는 원통 형상의 구성이다. 지지부재(100)는 와이어링(10)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링(10)이 오차범위 내에서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재(100)는 와이어링(10)의 굵기가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다른 사양의 지지부재(100)를 제조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지지부재(100)의 두께는 후술하는 진동흡수부(300)(400)의 일측이 연결 고정되어 완충작용을 할 때, 완충 가압력을 버틸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200)는 지지부재(100)의 둘레에서 설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고, 러버 클립(30)을 통해 차체(10)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러버클립(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00)의 둘레에 감겨져서 양단부를 오므리고 합쳐서 차체(20)에 체결부재(30)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진동흡수부(300)(400)는 지지부재(100)와 고정부재(200) 사이에 완충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체(10)에 설치되어 러버 클립(30)에 감겨진 고정부재(200)를 통해 지지부재(100)에 지지된 와이어링(20)의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이다.
진동흡수부(300)(400)는 지지부재(100)에 와이어링(10)이 삽입 설치되고, 고정부재(200)의 둘레에 러버 클립(30)을 장착하여 차체(20)에 고정한 상태에서, 와이어링(100)이 진동부영역에서 강한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지지부재(100)에 연결된 진동흡수부(300)(400)를 통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고정부재(200)의 둘레에 설치된 러버 클립(30)의 금속재질이 지지부재(100)를 통해 와이어링(10)의 둘레에 손상을 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진동흡수부(300)(400)은 최대한 수축되더라도 지지부재(100)와 고정부재(200) 간에 설정 거리를 이격시키므로 러버 클립(30)이 와이어링(10)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지지부재(100)에는 고정부재(200)와 진동흡수부(300)(400)에 비해 양측으로 더 돌출되는 한 쌍의 감이장착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감이장착부(110)에는 와이어링(10)에 설치된 후 테이프(50)가 감겨져 와이어링(10)과 밀착되므로 와이어링(10)에서 좌우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설정된 와이어링(10)를 지지부재(100)에 삽입시키고, 러버 클립(30)이 장착될 위치에 미리 한 쌍의 감이장착부(110)에 테이프(50)를 감아준 와이어링(10)의 납품이 이루어지므로, 러버 클립(30)을 고정부재(200)에 감아 장착하기 위해 와이어링(10)에서 위치를 식별하는 식별테이프가 필요 없게 된다.
감이장착부(110)는 테이프(50)의 감이 시 수축이 용이하도록 2개이상의 절개부(120)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개부(120)는 와이어링(10)의 굵기가 약간 작더라도 테이프(50)로 감아줄 때, 감이장착부(110)를 오므려지게 하여 와이어링(10)의 둘레에 감이장착부(110)를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와이어링(10)에서 지지부재(10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개부(120)의 내측면에는 테이프(50)가 감겨지면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굴곡지게 라운드 형성되는 굴곡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굴곡부(122)는 반원홈형상으로 도시하지만, 경우에 따라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고정부재(200)는 러버 클립(30)이 삽입되어 걸림 안착되는 안착홈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흡수부(300)는 지지부재(100)의 외측면과 고정부재(200)의 내측면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되어 완충을 수행할 수 있다. 진동흡수부(300)는 고정부재(200)의 내측면에서 지지부재(100)의 둘레측으로 감겨지는 형태로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진동흡수부(30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다수개의 진동흡수부(300)는 지지부재(100)의 둘레면에서 상호간의 사이 간격이 고정부재(200)의 내측면의 사이 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00)에 와이어링(10)이 삽입 설치되고, 고정부재(200)의 안착홈부(210)에 러버 클립(30)을 감아 차체(20)에 체결부재(40)를 통해 고정한 상태에서, 와이어링(10)에 진동이 가해지면, 지지부재(200)의 외측면과 고정부재(200)의 내측면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한 진동흡수부(300)에서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와이어링(10)이 상하좌우 사방으로 자유자재로 동작하면서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링(10)이 삽입된 지지부재(100)와 진동흡수부(300)는 완충할려는 방향으로 동작하지만, 러버 클립(30)이 감겨 차체(20)에 고정된 고정부재(200)는 진동이 최소화되어 러버 클립(30)이 와이어링(10)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예의 변형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흡수부(300)는 외측확장부(310), 내측확장부(320) 및 협소연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확장부(300)는 고정부재(200)의 내측면에 확장 형성되어 연결되는 구성이다. 외측확장부(300)는 고정부재(200)의 내측면에 접하는 부분이 가장 넓고, 고정부재(200)의 내측면에서 이격된 부위는 약간 협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내측확장부(320)는 지지부재(100)의 외측면에 확장 형성되어 연결되는 구성이다. 내측확장부(320)는 지지부재(100)의 외측면에 접하는 부분이 가장 넓고, 지지부재(100)의 외측면에서 이격된 부위는 약간 협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협소연결부(330)는 외측확장부(310)와 내측확장부(320) 사이를 연결하고, 외측확장부(310)와 내측확장부(320)에서 연결 중심부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는 구성이다.
협소연결부(330)는 외측확장부(310)와 내측확장부(320)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점차 협소하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측면이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재(100)의 외측면과 고정부재(200)의 내측면에 접한 부위보다 중심부위에서 완충이 더 이루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협소연결부(330)는 외측확장부(310)와 내측확장부(320)이 비해 약간 얇게 형성하여 진동이 집중되도록 하여 고정부재(200)의 내측면에 직접 연결된 외측확장부(310)와, 지지부재(100)의 외측면에 직접 연결된 내측확장부(32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줄여줌으로써, 장시간 사용시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줄여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흡수부(400)는 제1완충연결부(410), 제2완충연결부(420) 및 제3완충연결부(430)를 포함한다.
제1완충연결부(410)는 고정부재의(200)의 내측면에 양단이 설정구간씩 제1공간부(412)를 갖도록 다수개 연결되는 구성이다. 제1공간부(412)는 고정부재의(200)의 내측면 및 제1완충연결부(410)의 외측면에서 원호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완충연결부(410)는 고정부재(200)의 내측면에 모두 6개 등간격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2완충연결부(420)는 제1완충연결부(410)에 제2공간부(422)를 갖도록 양측으로 연장되어 이웃하는 제1완충연결부(410)에 각각 다수개 연결되는 구성이다. 제2공간부(422)는 제1완충연결부(410)의 내측면 및 제2완충연결부(420)의 외측면에서 삼각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완충연결부(420)는 제1완충연결부(410)의 내측면에 모두 6개 등간격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3완충연결부(430)는 제2완충연결부(420)에 제3공간부(432)와 제4공간부(434)를 갖도록 양측으로 연장되어 이웃하는 제2완충연결부(420)에 각각 연결되면서 지지부재(100)의 외측면에 다수개 고정되는 구성이다. 제3공간부(432)는 제2완충연결부(420)의 내측면 및 제3완충연결부(430)의 외측면에서 삼각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고, 제4공간부(434)는 제3완충연결부(430)의 내측면 및 지지부재(100)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바닥면이 일부 굴곡져 있는 삼각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완충연결부(430)는 제2완충연결부(420)의 내측면에 모두 6개 등간격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2완충연결부(420)는 제1완충연결부(410)의 중심부에 각각 연결되어 양측으로 동일한 길이로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3완충연결부(430)는 제2완충연결부(420)의 중심부에 각각 연결되어 양측으로 동일한 길이로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완충연결부(420) 길이는 제1완충연결부(410)의 길이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제3완충연충부(430)의 길이는 제2완충연결부(420)의 길이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이하, 완충흡수부(400)의 작동을 살펴 보도록 한다.
지지부재(100)에 와이어링(10)이 삽입 설치되고, 고정부재(200)의 안착홈부(210)에 러버 클립(30)을 감아 차체(20)에 체결부재(40)를 통해 고정한 상태에서, 와이어링(10)에 진동이 가해지면 지지부재(100)가 진동하면서 지지부재(100)의 외측면과 제3완충연결부(430)의 중심부위를 통해 진동이 전달되면, 제3완충연결부(430)의 중심부위에서 양측으로 진동이 확장되고, 각각의 제2완충연결부(420)의 중심부위로 전달되면서 진동의 일부를 흡수한다.
연이어, 제2완충연결부(420)의 중심부위로 전달된 진동은 제2완충연결부(420)의 중심부위에서 양측으로 확장되고, 각각의 제1완충연결부(420)의 중심부위로 전달되면서 진동의 일부를 흡수한다.
그 다음, 제1완충연결부(420)의 중심부위로 전달된 진동은 제1완충연결부(420)의 중심부위에서 고정부재(200)의 내측면으로 전달되면서 대부분의 진동을 흡수 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100)에서 발생된 진동이 제3완충연결부(430), 제2완충연결부(420), 제1완충연결부(410)를 거치면서 점차 줄어들고, 고정부재(200)에서 대부분의 진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완충흡수부(400)의 진동 흡수과정은 제3완충연결부(430), 제2완충연결부(420), 제1완충연결부(410) 중 어느 초기단계에서 흡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1,제2,제3,제4공간부(412)(422)(432)(434)는 각각 상황에 따라 수축과 확장을 반복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도움을 주게 된다.
한편, 완충흡수부(400)는 제1,제2,제3완충연결부(410)(420)(430)를 통한 3단계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단계를 증감시켜 진동 흡수 효율을 다양하게 조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는, 와이어링을 감싸는 지지부재와 러버 클립가 감기는 고정부재를 진동흡수부를 이용하여 진동 흡수가능하게 상호 연결함으로써, 와이어링이 러버 클립의 모서리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 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와이어링 20: 차체
30: 러버클립 40: 체결부재
100: 지지부재 110: 감이장착부
120: 절개부 122: 굴곡부
200: 고정부재 210: 안착홈부
300: 진동흡수부 310: 외측확장부
320: 내측확장부 330: 협소연결부
400: 진동흡수부 410: 제1완충연결부
412: 제1공간부 420: 제2완충연결부
422: 제2공간부 430: 제3완충연결부
432: 제3공간부 434: 제4공간부
30: 러버클립 40: 체결부재
100: 지지부재 110: 감이장착부
120: 절개부 122: 굴곡부
200: 고정부재 210: 안착홈부
300: 진동흡수부 310: 외측확장부
320: 내측확장부 330: 협소연결부
400: 진동흡수부 410: 제1완충연결부
412: 제1공간부 420: 제2완충연결부
422: 제2공간부 430: 제3완충연결부
432: 제3공간부 434: 제4공간부
Claims (8)
- 와이어링이 삽입 지지되는 원통 형상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에서 설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고, 러버 클립을 통해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완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러버 클립에 감겨진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된 상기 와이어링의 충격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흡수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되어 완충하며,
상기 진동흡수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측으로 감겨지는 형태로 다수개 구비하고,
다수개의 상기 진동흡수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면에서 상호간의 사이 간격이 고정부재의 내측면의 사이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진동흡수부에 비해 양측으로 더 돌출되는 한 쌍의 감이장착부가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감이장착부에는 상기 와이어링에 설치된 후 테이프가 감겨져 상기 와이어링과 밀착되므로 상기 와이어링에서 죄우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이장착부는 상기 테이프의 감이 시 수축이 용이하도록 2개이상의 절개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러버 클립이 삽입되어 걸림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에 확장 형성되어 연결되는 외측확장부;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확장 형성되어 연결되는 내측확장부; 및
상기 외측확장부와 내측확장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외측확장부와 내측확장부에서 연결되는 중심부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는 협소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4973A KR102655223B1 (ko) | 2022-05-26 | 2022-05-26 |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4973A KR102655223B1 (ko) | 2022-05-26 | 2022-05-26 |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5059A KR20230165059A (ko) | 2023-12-05 |
KR102655223B1 true KR102655223B1 (ko) | 2024-04-05 |
Family
ID=8915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4973A KR102655223B1 (ko) | 2022-05-26 | 2022-05-26 |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522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084303A1 (en) * | 2013-05-08 | 2016-03-24 | Nok Corporation | Center bearing support |
US20180068765A1 (en) * | 2016-09-05 | 2018-03-08 | Yazaki Corporation | Clamp mark and wire harnes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7086B1 (ko) * | 2006-03-27 | 2007-10-18 | 경신공업 주식회사 | 와이어 하네스용 프로텍터 |
KR200449761Y1 (ko) * | 2007-12-17 | 2010-08-06 | 경신공업 주식회사 |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
-
2022
- 2022-05-26 KR KR1020220064973A patent/KR1026552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084303A1 (en) * | 2013-05-08 | 2016-03-24 | Nok Corporation | Center bearing support |
US20180068765A1 (en) * | 2016-09-05 | 2018-03-08 | Yazaki Corporation | Clamp mark and wire harnes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5059A (ko) | 2023-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32216B2 (ja) | ワイヤーハーネス | |
US10875564B2 (en) | Steering wheel structure | |
EP3546242B1 (en) | Resonator wheel | |
US8314337B2 (en) | Grommet for wire harness | |
EP1847755B1 (en) | Piping fixing structure | |
EP2235417B1 (en) | A clip device, a system for attachment of conduits comprising said clip device as well as a heavy vehicle comprising said clip device | |
CN104242178A (zh) | 车门用配线装置 | |
JP2013046505A (ja) | ベルト付クランプ及びワイヤハーネス | |
JP5825196B2 (ja) | ワイヤーハーネス | |
WO2017159376A1 (ja) | グロメット | |
KR102655223B1 (ko) | 진동 흡수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 |
JP6817872B2 (ja) |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 |
JP4622592B2 (ja) |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 |
WO2014141935A1 (ja) | 固定部材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 |
WO2013039267A1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wire harness | |
JP2002064917A (ja) | コルゲート管の補助部材 | |
US9969347B2 (en) | Airbag device | |
JP6925845B2 (ja) | ハーネスの余長吸収構造 | |
JP4430994B2 (ja) | ワイヤハーネスの組付構造 | |
JP6871783B2 (ja) | エアバッグ装置 | |
JP7558870B2 (ja) | クランプカバー、カバー付きバンドクランプ及びそれを備えたハーネス配索構造 | |
JP7234893B2 (ja) | クッションシー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 |
JP2000304079A (ja) | 圧縮コイルばねに装着する軟質合成樹脂製チューブ及びそのチューブを装着した圧縮コイルばね | |
JPH11336715A (ja) | ケーブル用クランプ構造 | |
JP3485218B2 (ja) |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グロメ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