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632B1 -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632B1
KR102496632B1 KR1020160112635A KR20160112635A KR102496632B1 KR 102496632 B1 KR102496632 B1 KR 102496632B1 KR 1020160112635 A KR1020160112635 A KR 1020160112635A KR 20160112635 A KR20160112635 A KR 20160112635A KR 102496632 B1 KR102496632 B1 KR 102496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 information
wearable device
indicator
sound
rep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665A (ko
Inventor
박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2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6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5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공정에 맞는 정보(날짜, 시간, 차종, 사양, 부품코드, 컬러코드 등)를 해당 표시기에 표시하여 작업자의 사양 오인식으로 인한 작업 능률 저하를 방지하는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공정정보 표시기가 소정의 통신영역을 갖는 중계기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로 공정정보를 전달하고, 웨어러블 기기는 진동, 소리, 문자 등을 통해 공정정보를 출력함으로써, 해당 공정에 대한 작업자의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각 공정정보를 해당 표시기로 전달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공정정보를 중계기를 통해 해당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표시기; 및 상기 표시기로부터 전송받은 공정정보를 출력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OVIDING ASSEMBLY PROCESS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공정에 맞는 정보(날짜, 시간, 차종, 사양, 부품코드, 컬러코드 등)를 해당 표시기에 표시하여 작업자의 사양 오인식으로 인한 작업 능률 저하를 방지하는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고정된 표시기(공정정보 PC)를 통해 공정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발생하는 작업자의 인식저하를 감소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각 기능에 따라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생산라인은 다수의 단계에 따른 조립 또는 검사 작업 등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 생산라인의 상당 부분은 자동화를 통하여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있지만, 로봇 등에 의한 자동화된 공정보다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이 더욱 효율적인 공정도 실재한다. 일례로, 언더 커버 조립작업은 작업자에 수행되는 수작업의 하나이다.
차량의 언더 커버는 엔진 또는 변속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먼지나 기타 다른 불순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부착하는 커버로 재질은 합성수지이다. 이하, 언더 커버는 엔진 언더 커버, 변속기 언더 커버, 변속기 왼쪽 사이드 커버, 및 변속기 오른쪽 사이드 커버를 포함하여 통칭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는 이러한 언더 커버 조립작업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a에는 언더 커버 조립작업의 흐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b에는 조작 패널의 구성도가 예시되어 있다.
도 1에 따르면, 언더 커버 작업라인의 경우에 차량은 운전 작업자에 의해 각 작업 위치로 이송되고, 각 작업 위치에서는 운전 작업자의 대표특성 지정에 따라 라인 작업자가 특정의 부품을 조립하게 된다.
보다 세분하여 설명하면, 운전 작업자는 작업대상 차량을 운전하여 라인으로 진입한다(S110).
작업라인으로 차량을 진입시키는 운전 작업자는 차량 사양을 판단한다. 그래서 운전 작업자는 조작 패널을 조작하여 해당 차량의 대표특성을 라인 작업자에게 통지하게 된다(S120, S130).
이에 따라 라인 작업자는 조작 패널을 확인하여 작업대상 차량의 대표특성을 인지하고 해당 차량의 각 사양을 판단하여 지정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S140).
이러한 단계 S110 내지 S140에 따른 작업 흐름은 도 2a의 (a) 내지 (d)에 도시되어 있다.
도 2a의 (b)에서 운전 작업자가 조작하는 조작 패널(210)과 (c)에서 라인 작업자가 확인하게 되는 조작 패널(220)의 표시 내용은 연동된다.
조작 패널(210, 220)의 표시내용이 도 2b에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SR은 엔진 언더 커버만 장착, A1+A/T는 엔진 언더 커버와 변속기 오른쪽 사이드 장착, SR/TCI는 변속기 언더 커버 장착을 각각 지시한다. 계속해서 A1/내수는 변속기 오른쪽 사이드 장착, A1/수출은 엔진 언더 커버와 변속기 오른쪽 사이드 장착, SR/LPG는 변속기 언더 커버 장착을 각각 지시하는 것에 해당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생산공정에 따라 작업대상 차량의 사양이 자주 변경됨으로써 운전 작업자가 작업대상 차량의 정확한 사양을 명확히 지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운전 작업자는 작업대상 차량의 대표특성만을 파악하여 그에 따라 조작패널을 조작하여 라인 작업자에게 통지하게 된다. 예를 들면, (포터+메뉴얼+TCI엔진)과 같은 것이 차량의 대표특성이 된다.
그러나 운전 작업자가 차량의 대표특성만을 통지하게 되면, 라인 작업자는 작업대상 차량의 정확한 사양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사양인식 오류에 따른 이종 부품의 장착 또는 필요 부품의 미장착 현상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 작업자와 라인 작업자에 의해 운용되는 조작 패널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정보는 한계가 있으므로, 특이 차종의 경우에는 조작 패널에 표시할 수 없어 운전 작업자가 하차하여 라인 작업자에게 필요 작업을 구두로 직접 지시하여야 한다. 이러한 작업사양의 구두통보로 인하여 작업 지연이 불가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운전 작업자가 작업 사양을 오인식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 작업라인에서 작업오류가 이종 다발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재작업 및 부품 폐기에 따른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비효율성이 문제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3-0030529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공정에 맞는 정보(날짜, 시간, 차종, 사양, 부품코드, 컬러코드 등)를 해당 표시기에 표시하여 작업자의 사양 오인식으로 인한 작업 능률 저하를 방지하는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공정정보 표시기가 소정의 통신영역을 갖는 중계기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로 공정정보를 전달하고, 웨어러블 기기는 진동, 소리, 문자 등을 통해 공정정보를 출력함으로써, 해당 공정에 대한 작업자의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각 공정정보를 해당 표시기로 전달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공정정보를 중계기를 통해 해당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표시기; 및 상기 표시기로부터 전송받은 공정정보를 출력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공정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각 공정정보를 해당 표시기로 전달하는 단계; 각 표시기가 전달받은 공정정보를 해당 중계기를 통해 해당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각 웨어러블 기기가 전송받은 공정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각 공정에 맞는 정보(날짜, 시간, 차종, 사양, 부품코드, 컬러코드 등)를 해당 표시기에 표시하여 작업자의 사양 오인식으로 인한 작업 능률 저하를 방지하는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공정정보 표시기가 소정의 통신영역을 갖는 중계기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로 공정정보를 전달하고, 웨어러블 기기는 진동, 소리, 문자 등을 통해 공정정보를 출력함으로써, 해당 공정에 대한 작업자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 조립공정의 순서도,
도 2a는 도 1에 따른 자동차 조립공정의 흐름도,
도 2b는 도 2a에서 조작 패널의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은 각 공정에 맞는 정보(날짜, 시간, 차종, 사양, 부품코드, 컬러코드 등)를 해당 표시기에 표시하여 작업자의 사양 오인식으로 인한 작업 능률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서버(310), 각 공정마다 그에 상응하는 공정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기(320), 및 각 표시기(320)에 상응하는 중계기(330), 및 해당 중계기(330)에 상응하는 웨어러블 기기(34)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서버(310)는 일례로 생산지시 서버로서, 각 표시기(320)로 해당 공정에서 필요한 정보(일례로, 차종, 부품이름, 부품별 알림 형태(디스플레이, 진동, 소리) 등)를 전달한다. 이러한 서버(310)는 생산라인에서 이미 구현되어 있는 서버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표시기(320)는 일례로 공정정보 PC(Personal Computer)로서, 서버(310)로부터 수신한 공정정보를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표시기(320)의 화면은 CRT, LCD, LED, OLED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크기 또한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기(320)는 소정의 통신영역을 가지는 중계기(330)를 구비하며, 중계기(330)를 통해 해당 공정정보를 무선으로 웨어러블 기기(340)로 전송한다. 이때, 중계기(330)는 통신거리가 제한된 기기로서 일정거리(일례로, 3m, 5m, 7m 등) 내에 위치한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한다. 이러한 중계기(330)는 전파의 방향을 한쪽으로만 송신할 수 있는 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계기(330)를 중심으로 5m 이내에 서로 다른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위치하더라도 정해진 작업자의 웨어러블 기기와만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중계기(330)는 정해진 작업자의 웨어러블 기기와만 통신하기 위해 통신영역을 제한할 수도 있지만, 웨어러블 기기마다 갖고 있는 고유 코드를 확인하여 특정 웨어러블 기기와만 통신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결국, 중계기(330)의 용도는 정해진 웨어러블 기기로 해당 공정정보를 전송하는데 있다.
다음으로, 웨어러블 기기(340)는 해당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기기로서, 중계기(330)로부터 전송받은 공정정보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문자, 진동, 소리 등)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A 공정은 진동으로 출력하고, B 공정은 소리로 출력하며, C 공정은 무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B-1 공정은 사이렌소리로, B-2 공정은 나팔소리로, B-3 공정은 경적소리 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렇게 진동의 세기, 소리의 종류 등으로 각 공정을 구분할 수 있으나, 그 수가 너무 많으면 오히려 작업자의 혼동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그 수는 적절히 조절되어야 한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340)는 시계 형태, 목걸이 형태, 팔찌 형태, 발찌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340)는 중계기(330)로부터 공정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와, 각 공정정보에 상응하는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제어부의 제어하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미도시)와, 제어부의 제어하에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340)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공정정보를 화면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서버(310)가 각 공정정보를 해당 표시기(320)로 전달한다(401). 이때, 각 공정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정보로서 해당 공정 작업자에게 작업 내용을 지시하는 정보이다.
이후, 표시기(320)가 서버(310)로부터 전달받은 공정정보를 중계기(330)를 통해 해당 웨어러블 기기(340)로 전송한다(402). 이때, 표시기(320)는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있어 서버(310)로부터 전달받은 공정정보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중계기(330)는 표시기(320)와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웨어러블 기기(340)와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보통, 하나의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1인 경우가 많으므로 하나의 중계기(330)에는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340)가 대응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하나의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하나의 중계기(330)는 다수의 웨어러블 기기(340)와 대응된다. 결국, 하나의 중계기(330)는 동일한 공정(동일 차종, 동일 부품, 동일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의 웨어러블 기기(340)와 통신한다.
이후, 각 웨어러블 기기(340)가 해당 중계기(330)를 통해 전송받은 공정정보를 출력한다(403). 이때, 웨어러블 기기(340)는 기 저장하고 있는 각 고정정보에 상응하는 출력 형태(진동, 소리, 문자 등)로 출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하나의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자동차를 조립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차종 및 부품 등을 혼동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해당 자동차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310 : 서버
320 : 표시기
330 : 중계기
340 : 웨어러블 기기

Claims (12)

  1. 각 공정정보를 해당 표시기로 전달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공정정보를 중계기를 통해 해당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표시기; 및
    상기 표시기로부터 전송받은 공정정보를 출력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A 공정은 진동으로 출력하고, B 공정은 소리로 출력하되,
    B-1 공정은 사이렌소리로, B-2 공정은 나팔소리로, B-3 공정은 경적소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기 설정된 거리에 위치한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고유 코드에 기초하여 특정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전송받은 공정정보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전송받은 공정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시계 형태, 목걸이 형태, 팔찌 형태, 발찌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7. 서버가 각 공정정보를 해당 표시기로 전달하는 단계;
    각 표시기가 전달받은 공정정보를 해당 중계기를 통해 해당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각 웨어러블 기기가 전송받은 공정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정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A 공정은 진동으로 출력하고, B 공정은 소리로 출력하되,
    B-1 공정은 사이렌소리로, B-2 공정은 나팔소리로, B-3 공정은 경적소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정보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를 통한 공정정보 전송 단계는,
    기 설정된 거리에 위치한 웨어러블 기기로 공정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정보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를 통한 공정정보 전송 단계는,
    고유 코드에 기초하여 특정 웨어러블 기기로 공정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정보 제공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받은 공정정보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정보 제공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받은 공정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정보 제공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시계 형태, 목걸이 형태, 팔찌 형태, 발찌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정보 제공 방법.
KR1020160112635A 2016-09-01 2016-09-01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6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635A KR102496632B1 (ko) 2016-09-01 2016-09-01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635A KR102496632B1 (ko) 2016-09-01 2016-09-01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665A KR20180025665A (ko) 2018-03-09
KR102496632B1 true KR102496632B1 (ko) 2023-02-07

Family

ID=6172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635A KR102496632B1 (ko) 2016-09-01 2016-09-01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6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4576A (ja) * 2002-09-11 2004-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作業用ウェアラブル装置、遠隔作業指示装置、遠隔作業指示方法および遠隔作業指示プログラム
KR101572941B1 (ko) * 2014-12-16 2015-1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벤트 알림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529A (ko) 2001-10-11 2003-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부품조립공정의 작업사양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30096372A (ko) * 2012-02-22 2013-08-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선 사양 지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양 지시 작업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4576A (ja) * 2002-09-11 2004-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作業用ウェアラブル装置、遠隔作業指示装置、遠隔作業指示方法および遠隔作業指示プログラム
KR101572941B1 (ko) * 2014-12-16 2015-1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벤트 알림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665A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3430B2 (en)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US716279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tem
US10062229B2 (en) Integrated garage door opener for connected vehicle
US931516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ing after-market components into a pre-existing vehicle system
US20160031388A1 (en) Apparatus for integrating data functions in a motion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CN109747540A (zh) 集成驾驶员辅助系统的方法、对应的系统、电路、套件
CN102700480A (zh) 车载平视显示器及基于该显示器的obd数据处理方法
US200402633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indicating receipt of a radio communication directed to a uniquely identified vehicle
CN105766008A (zh) 通信系统
KR102496632B1 (ko) 공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40708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ommunications link between a motor vehicle and a mobile user terminal, computer program product, mobile user terminal, system and motor vehicle
JP5804490B2 (ja) 車両の故障診断システムにおける電子制御装置および故障診断情報送信方法
US7049938B2 (en) Intra-vehicle LAN system combining electric power supply
SE541477C2 (en) Method and system for mitigating damages in association with a vehicle fire
CN109917775A (zh) 一种汽车安全网关数据传输方法及电子设备
US20160042668A1 (en) Vehicle wire installation devices and methods
JP201812886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8305177A (ja) 生産管理システム
DE112017007716T5 (de) Identifizieren eines fahrzeugs mit hilfe einer tragbaren vorrichtung
KR102603896B1 (ko) 차량 외부 음원의 시각화 방법
US103319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peaker installation code for a speaker array in a venue
US20050168572A1 (en) Vehicle on-board adapter and on-board system using thereof
US20190366920A1 (en) Heavy equipment safety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7238495B2 (ja) 車両運転システム
CN105492979A (zh) 机器和用于诊断机器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