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241B1 -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 - Google Patents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241B1
KR102496241B1 KR1020220120446A KR20220120446A KR102496241B1 KR 102496241 B1 KR102496241 B1 KR 102496241B1 KR 1020220120446 A KR1020220120446 A KR 1020220120446A KR 20220120446 A KR20220120446 A KR 20220120446A KR 102496241 B1 KR102496241 B1 KR 102496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old
air
liner
mesh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꿈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꿈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꿈비
Priority to KR102022012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241B1/ko
Priority to JP2023150530A priority patent/JP2024046745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1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6Use of three-dimensional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8Linings or cush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이동수단에 설치된 카시트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되 하절기에는 냉공기를 제공하거나 동절기에는 더운공기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요소를 차단시키거나 보온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수단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연결수단이 구비된 코팅원단과, 상기 코팅원단과 적층 구조를 이루도록 서로 재봉되는 한 쌍의 방수지원단과, 상기 방수지원단과 동일 형상으로 성형되되 한 쌍의 상기 방수지원단 사이에 위치하는 적층구조로 재봉되는 제1메쉬원단 및 상기 코팅원단과 동일 형상으로 성형되되 상기 방수지원단과 적층 구조를 이루도록 서로 재봉되며, 외면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부재가 구비된 제2메쉬원단을 포함하되, 상기 방수지원단은 상기 팬부재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가 이동로로 유입되어 부풀어짐과 동시에 상기 제2메쉬원단 방향으로 흡입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Liner for both cold and hot air}
본 기술은 이동수단에 설치된 카시트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되 하절기에는 냉공기를 제공하거나 동절기에는 더운공기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요소를 차단시키거나 보온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아직 신체가 발달하지 않아 독립 보행이 어렵기 때문에 보호자들은 외출 시 포대기 등을 사용하고, 비교적 장시간 외출 시에는 유모차나 차량을 사용한다.
또한, 이러한 유모차 및 차량 이동 시에는 유아의 안전을 위해 카시트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카시트는 유아가 안정적으로 착석할 수 있도록 좌판 혹은 등받이를 구비한 상태에서 카시트에 착석한 유아의 낙상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벨트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통 이러한 카시트는 안락감을 제공하기 위해 탄력성 있고 부드러운 충진재가 내장된다.
하지만, 카시트를 오랜 시간 사용하게 되면, 몸을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유아의 특성상 카시트와 맞닿은 부위에 지속적인 통풍이 어려워 유아의 여린 피부를 자극하게되며, 따라서 땀띠나 짓무름 등을 유발시켜 유아의 피부건강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1821146호 ‘통풍 기능을 갖는 유아 착좌용 시트’는 유모차 또는 유아용 카시트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외부의 깨끗한 공기를 강제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유아의 등 또는 엉덩이 부위로 강제 배출하는 공랭식 유아 착좌용 시트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착좌용 시트는 이너시트의 내부에 구비된 통풍시트를 통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되, 이너시트의 표면을 통해 바람이 배출되기 위한 별도의 통기공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시트 자체의 통기성에 기대어 바람을 배출시키기 때문에 적절한 양의 기체 유통이 발생되지 못할 우려가 존재한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국내공개실용 제20-2011-0001542호 ‘유아용 통풍 카시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유아용 카시트의 바디프레임의 앉음판의 후면부에 송풍기 유니트에 설치되어, 등받이와 앉음판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공기 배출 구멍이 형성되어 송풍기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아용 카시트의 바디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공기통로를 통하여 등받이와 앉음판의 표면에 형성된 공기배출 구멍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어 유아용 카시트의 표면과 접촉하고 있는 유아의 신체에 발생할 수 있는 땀과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카시트가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카시트는 그 형상이 의자형태로 지정된 별도의 바디 프레임을 항상 소지하여 이 바디 프레임을 원하는 위치에 장착하여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휴대가 불가능해 활용도가 떨어지는 것은 물론, 공기배출에 의한 냉온도에 국한되어 있어 겨울철에는 실용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9-0001174호 (2019.01.04) 국내등록특허 제10-1955968호 (2019.03.04) 국내등록특허 제10-1821146호 (2018.01.17)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아의 등과 둔부를 쾌적하게 유지하되 접철 상태에서도 바람이 둔부와 등에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냉온은 물론, 유아의 보온에도 적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에어라이너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과제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는 카시트(C)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연결수단(110)이 구비된 코팅원단(100)과, 상기 코팅원단(100)과 적층 구조를 이루도록 서로 재봉되는 한 쌍의 방수지원단(200)과, 상기 방수지원단(200)과 동일 형상으로 성형되되 한 쌍의 상기 방수지원단(200) 사이에 위치하는 적층구조로 재봉되는 제1메쉬원단(300) 및 상기 코팅원단(100)과 동일 형상으로 성형되되 상기 방수지원단(200)과 적층 구조를 이루도록 서로 재봉되며, 외면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부재(410)가 구비된 제2메쉬원단(400)을 포함하되, 상기 방수지원단(200)은 상기 팬부재(410)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가 이동로(230)로 유입되어 부풀어짐과 동시에 상기 제2메쉬원단(400) 방향으로 흡입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팅원단(100)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켓(120)이 형성되되, 상기 포켓(120)에는 체온을 조절하기 위한 냉온부재(130)가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냉온부재(130)는 사람의 머리가 닿는 부분이나 엉덩이가 닿는 부분에 수납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방수지원단(200)은 상기 제1메쉬원단(300)과 상기 제2메쉬원단(400) 사이에 구비되는 제1방수지(210) 및 상기 제1메쉬원단(300)과 상기 코팅원단(100) 사이에 구비되는 제2방수지(2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방수지(210) 외면에는 상기 팬부재(410)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다수의 통공(21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메쉬원단(400)과 상기 제1방수지(210) 외면에는 이동로(230)와 연통할 수 있게 상기 팬부재(410)가 삽입 설치되는 삽입공(213)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메쉬원단(300) 외면에는 상기 팬부재(410)를 통해 이동로(230)로 흡입된 외부공기에 의해 한 쌍의 상기 방수지원단(200)이 원활하게 부풀어질 수 있도록 개구부(310)가 천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팬부재(410)는 다수의 흡입공(413)이 형성된 케이스(411) 및 상기 케이스(4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시 상기 흡입공(413)을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이동로(230)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모터(415)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공(413)은 상기 케이스(411) 하부에 위치하도록 천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상부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치죈 팬부재의 회전을 통해 외부공기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방수진원단에 유입되어 팽창이 이루어지면 냉온부재를 거쳐 통공이 형성된 제1방수지 및 통기성을 갖는 제2메쉬원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카시트 사용자에 대한 신체 온도를 조절시키는 냉공기나 온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카시트, 유모차 뿐 아니라 식탁의자, 아기바운서, 아기 요, 아기 매트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를 나타낸 분해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코팅원단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대한 방수지원단의 분해도 및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대한 제2메쉬원단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팬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이하, 간략하게 '라이너'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1)는 사용자인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카시트(C)에 장착 후, 사용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1)는 크게 코팅원단(100), 방수지원단(200), 제1메쉬원단(300) 및 제2메쉬원단(400)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를 더 참조하면 상기 코팅원단(100)은 폴리우레탄(PU) 코팅이 이루어진 폴리재질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되 일면은 카시트(C)와 면접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타면에는 후에 설명하는 내부에 제1메쉬원단(300)이 구비된 한 쌍의 방수지원단(200) 및 제2메쉬원단(400) 순으로 적층 구조를 갖도록 테두리 부분이 재봉되어 일체로 성형된 라이너(1) 형상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원단은 방수원단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재질의 특성을 통하여 사용자 신체의 발(마람직하게는 허벅지와 종아리 부분)은 물론, 등(Back)이 접촉되는 부분으로 카시트(C)와의 마찰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한다.
코팅원단(100) 외면에는 카시트(C)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1)가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연결수단(11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110)은 한 쌍의 밴트 양단에 구비되어 암수 형태로 탈착하는 클립 또는 탄성력에 의해 길이연장이 가능한 밴드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카시트(C)와 탈부착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코팅원단(100)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수납이 가능한 포켓(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켓(120)에는 수납물(예를 들어, 유아가 사용하기 위한 생활용품 등) 이외에도 특히, 동절기에 사용자의 신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온부재(130)가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냉온부재(130)는 냉동이나 가열이 가능하되 패드에 수용가능한 젤(Gel)의 형태로 포켓(120)에 수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켓(120) 내부는 이동로(230)와 연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후에 설명하는 팬부재(410)를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이동로(230)로 유입시에 상기 냉온부재(130)로 인하여 냉공기나 더운공기가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포켓(120)에 수납되는 냉온부재(130)는 외기와 접촉하여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포켓(120) 내면이나 상기 냉온부재(130)를 감싸는 흡수재(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본 발명인 라이너(1) 외부로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냉온부재(130)에 사용되는 패드의 재료는 PVC로 내구성은 물론, 치수 안정성이 효과적인 것을 사용하여 냉동이나 가열시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냉온부재(130)가 삽입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1)는 통상 유모차에 사용 시에 사용자인 유아의 머리, 등 부분이 제품과 밀착되어 있다.
아이의 안전을 위해서 안전벨트도 고정시켜주기 때문에 사용자를 장시간(예를 들어 1시간 이상)에 결쳐 유모차에 태워 이동하는 과정에서 머리, 등 부분의 온도가 높아지며 이는 땀띠, 발진 등을 일으키게 된다.
하여, 라이너(1)를 사용시에 필연적으로 닿을 수밖에 없는 머리, 목, 등 부분의 집중적으로 열기를 낮춰주기 위해서는 팬부재(140)의 기능 외에 냉매제의 역할이 필요하다.
또한 겨울철에는 온팩으로 기능을 변경하여 사용함으로써 외출 시, 사용자의 체온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첨부된 표-1 및 표-2인 '냉온부재 온도테스트'를 참조할 수 있다.
Figure 112022100223354-pat00001
첨부된 표-1(냉팩테스트 분석표) 에서와 같이,
팬부재(140)의 작동 없이 그냥 앉아 있는 시간이 길수록 온도(7도가량 높아짐)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냉온부재(130)를 통해 냉기가 발산시에 온도 격차가 매우 커지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팬부재(140)만 작동 시, 초반 30분은 시원했으나 앉아 있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체온의 영향으로 사용자의 등 쪽 온도 측정 시, 온도가 더 오르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냉기를 발산하는 냉온부재(130)와 팬부재(140)를 혼용 작동 시에는 30~60분 단계에서 가장 차갑게 느껴졌으며 2~3도가량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팬부재(130)만 작동시의 온도 차이도 확연하게 나며, 냉온부재(140)의 영향으로 오래 앉아있을 시에도 온도가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하고 오래 시원함을 느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2시간 정도 되었을 때, 냉온부재(130) 냉기가 모두 녹거나 사라지게 되지만 냉기는 3시간이상 가량 지속되어 앉아 있는 동안 냉한 기운을 받을 수 있었다.(3시간가량 됐을 시 온도 : 26.1도)
이는, 냉온부재(130)에 의한 냉기가 라이너(1)에 남아있어 급격하게 온도가 오르는 현상을 방지해준다.
팬부재(140)만 작동할 때와 냉온부재(130) 삽입 후 작동할 때 A구간에서 2~3도 가량 확연한 차이가 난다.
이는, 팬부재(140)만 작동 시엔 앉아있는 사용자의 체온으로 인해 어느 정도 온도가 올라가므로 시원해지는 온도가 냉온부재(130)에 비해 약하게 되므로 여름철 더운 외부에서 사용할 시, 상기 내온부재(130)는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시원함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Figure 112022100223354-pat00002
한편, 표-2인 '온팩테스트 분석표(전자레인지에 2분간 데운상태)'에 대한 분석에 의하면,
30분 정도 앉아 있었을 시, 사용자의 체온과 온기를 발산하는 냉온부재(130)의 기능이 합쳐져 7도 이상의 온도가 높아졌다.
일반적으로 약 2시간가량 움직임 없이 앉아있었을 때의 온도를 30분 안에 같은 온도의 효과를 나타내주었다.
아울러, 30분~1시간 사이의 온도가 가장 따뜻하게 느껴졌으며 2시간 이후부터는 서서히 온도가 떨어지기 시작했으나 온기가 3시간 이상 지속 되어 훈훈함이 느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여름철에만 주로 사용했던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1)에 온기를 제공하는 냉온부재(130)를 삽입하여 겨울철에도 사용자의 체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따뜻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냉기 또는 온기를 방산하는 냉온부재(130)를 추가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계절과 온도에 맞게 사용자의 체온을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는 결론을 도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방수지원단(200)은 상술한 코팅원단(100)과 적층구조를 갖도록 재봉되되 팬부재(410)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가 사용자 신체에 균일하게 냉기나 온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방수지(210) 및 제2방수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방수지(210)와 제2방수지(220)는 모두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인 방수성 재질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는 동일 형상으로 성형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머리, 등 및 다리 부분까지 커버될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때, 제1방수지(210)와 제2방수지(220) 사이인 이동로(230) 내측으로는 통기성을 갖는 제1메쉬원단(300)이 동일 형상을 갖도록 함께 재봉되되 팬부재(410)에서 흡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이동로(230)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는 개방된 상태를 갖도록 재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메쉬원단(400)과 면접하는 제1방수지(210) 외면에는 이동로(230)와 연통되게 다수의 통공(211)이 천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211)의 형성 위치는 사용자의 신체 중 머리, 등, 허리 및 다르 등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하절기에 상대적으로 땀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에 대한 피부질환 발생을 방지시키는 효과를 극대화한다.
아울러, 제1방수지(210) 외면에는 통공(211) 이외에 제2메쉬원단(400)에 형성된 삽입공(213)과 대향되는 위치에 또 다른 삽입공(213)이 이동로(230)와 연통되게 천공 형성되어 팬부재(410)를 통한 외부공기가 유입시에 한 쌍의 상기 삽입공(213)을 통해 상기 이동로(230) 내부로 공급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한편, 제2방수지(220)는 상술한 제1방수지(210)와 달리, 팬부재(410)에 의한 외부공기가 이동로로 유입시에 상기 제1방수지(210)와 상기 제2방수지(220)가 풍선의 형태로 팽창될 수 있도록 하며, 팽창에 이용된 유입공기는 상술한 냉온부재(130)에 의해 온도가 달리 적용되어 통공(211)을 거쳐 제2메쉬원단(400)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시원함(또는 따듯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제1메쉬원단(300) 외면에는 개구부(310)가 천공 형성되어 한 쌍의 방수지원단(200)이 용이하게 팽창할 수 있는 구조를 만족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메쉬원단(300)은 쿠션감 및 통기성의 재질로 성형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310)의 형성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1메쉬원단(300)이 통기성의 재질로 성형되어 있어도 팬부재(410)를 통해 외부공기 유입량에 비하여 방수지원단(200)의 팽창시간이나 팽창률이 그 유입량에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상기 개구부(310)의 형성을 통하여 상기 방수지원단(200)의 팽창효과가 더욱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메쉬원단(400)은 상술한 코팅원단(100)과 함께 본 발명인 라이너(1)의 외관을 형성하되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사용자의 신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온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팬부재(41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팬부재(410)는 한 쌍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셋 이상이 형성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예컨대 제2메쉬원단(400)은 상술한 제1메쉬원단(300)과 동종의 재질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되 제1방수지(210)가 감싸지도록 방수지원단(200) 및 코팅원단(100)와 함께 재봉되어 일체화된다.
또한, 한 쌍의 팬부재(410)는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이동로(230)에 공급함에 따라 냉온부재(130)의 온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냉공기나 온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케이스(411) 및 공급모터(415)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2메쉬원단(400) 하부 전면에 설치된다(도 6 참조).
하여, 사용자가 카시트(C)에 착석한 이후에 해당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외부공기 흡입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케이스(411) 외면에는 외부공기 흡을 위한 다수의 흡입공(413)이 천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413)은 상기 케이스(411) 하부에만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오염도를 낮추는 장점과 동시에 사용자의 발이 닿는 부분에 대한 안전성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게 한다.
공급모터(415)는 케이스(411) 내부에 설치되되 배터리(미도시) 등을 통해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에는 다수의 날개로 이루어진 팬(미도시)이 구비되어 흡입공(413)을 통한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방수지원단(200)이 팽창할 수 있도록 이동로(230)측에 흡입된 공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라이너(1)는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나 보관의 용이성을 위해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봉제라인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상부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치죈 팬부재(410)의 회전을 통해 외부공기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방수지원단(200)에 유입되어 팽창이 이루어지면 냉온부재(130)를 거쳐 통공(211)이 형성된 제1방수지(210) 및 통기성을 갖는 제2메쉬원단(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카시트(C) 사용자에 대한 신체 온도를 조절시키는 냉공기나 온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
100: 코팅원단
110: 연결수단 120: 포켓
130: 냉온부재
200: 방수지원단
210: 제1방수지 211: 통공
213: 삽입공 220: 제2방수지
230: 이동로
300: 제1메쉬원단
310: 개구부
400: 제2메쉬원단
410: 팬부재 411: 케이스
413: 흡입공 415: 공급모터
C: 카시트

Claims (6)

  1. 카시트(C)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연결수단(110)이 구비된 코팅원단(100);
    상기 코팅원단(100)과 적층 구조를 이루도록 서로 재봉되는 한 쌍의 방수지원단(200);
    상기 방수지원단(200)과 동일 형상으로 성형되되 한 쌍의 상기 방수지원단(200) 사이에 위치하는 적층구조로 재봉되는 제1메쉬원단(300); 및
    상기 코팅원단(100)과 동일 형상으로 성형되되 상기 방수지원단(200)과 적층 구조를 이루도록 서로 재봉되며, 외면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부재(410)가 구비된 제2메쉬원단(400);을 포함하되,
    상기 방수지원단(200)은 상기 팬부재(410)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가 이동로(230)로 유입되어 부풀어짐과 동시에 상기 제2메쉬원단(400) 방향으로 흡입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고,
    한 쌍의 상기 방수지원단(200)은
    상기 제1메쉬원단(300)과 상기 제2메쉬원단(400) 사이에 구비되는 제1방수지(210); 및
    상기 제1메쉬원단(300)과 상기 코팅원단(100) 사이에 구비되는 제2방수지(2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방수지(210) 외면에는 상기 팬부재(410)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다수의 통공(2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원단(100)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켓(120);이 형성되되,
    상기 포켓(120)에는 체온을 조절하기 위한 냉온부재(130)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쉬원단(400)과 상기 제1방수지(210) 외면에는 이동로(230)와 연통할 수 있게 상기 팬부재(410)가 삽입 설치되는 삽입공(213)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쉬원단(300) 외면에는 상기 팬부재(410)를 통해 이동로(230)로 흡입된 외부공기에 의해 한 쌍의 상기 방수지원단(200)이 원활하게 부풀어질 수 있도록 개구부(310)가 천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재(410)는
    다수의 흡입공(413)이 형성된 케이스(411); 및
    상기 케이스(4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시 상기 흡입공(413)을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이동로(230)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모터(415);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공(413)은 상기 케이스(411) 하부에 위치하도록 천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
KR1020220120446A 2022-09-23 2022-09-23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 KR102496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446A KR102496241B1 (ko) 2022-09-23 2022-09-23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
JP2023150530A JP2024046745A (ja) 2022-09-23 2023-09-15 冷温エアー兼用ライナ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446A KR102496241B1 (ko) 2022-09-23 2022-09-23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241B1 true KR102496241B1 (ko) 2023-02-06

Family

ID=8522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446A KR102496241B1 (ko) 2022-09-23 2022-09-23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4046745A (ko)
KR (1) KR1024962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9182A (ja) * 2012-03-23 2013-10-03 Sankoo:Kk 背当てパッド
KR101821146B1 (ko) 2017-06-23 2018-01-23 (주)키드림솔루션 통풍 기능을 갖는 유아 착좌용 시트
KR20180131950A (ko) * 2017-09-28 2018-12-11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유아용 쿨앤핫시트
KR20190001174A (ko) 2017-06-26 2019-01-04 홍두환 탈부착형 통풍시트
KR101941913B1 (ko) * 2017-11-28 2019-01-24 류학현 송풍 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9182A (ja) * 2012-03-23 2013-10-03 Sankoo:Kk 背当てパッド
KR101821146B1 (ko) 2017-06-23 2018-01-23 (주)키드림솔루션 통풍 기능을 갖는 유아 착좌용 시트
KR20190001174A (ko) 2017-06-26 2019-01-04 홍두환 탈부착형 통풍시트
KR20180131950A (ko) * 2017-09-28 2018-12-11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유아용 쿨앤핫시트
KR101955968B1 (ko) 2017-09-28 2019-03-12 (주)엘아이티씨 유아용 쿨앤핫시트
KR101941913B1 (ko) * 2017-11-28 2019-01-24 류학현 송풍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46745A (ja)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9403B2 (ja) 冷却寝具、冷却座布団、冷却マット、冷却椅子、冷却服、並びに冷却靴
US7708338B2 (en) Ventilation system for seat
US20120187740A1 (en) Seat pad that promotes cooling and ventilation
JP3169036U (ja) 冷気強制送風式保冷具
JP2010075377A (ja) 温度調節マットレス
KR200444437Y1 (ko) 송풍 및 온열 기능을 구비한 에어 시트
KR102496241B1 (ko) 냉온 에어 겸용 라이너
JPH10165259A (ja) 通気性マットレス及び送風パッド
KR102205114B1 (ko) 침대용 통기성 폼레이어 매트리스 및 그 제조방법
US20060163236A1 (en) Combined changing pad/textile warmer apparatus
JP3205161U (ja) マット
KR102201994B1 (ko) 힙시트용 안장구조체
JP2001327363A (ja) 身体支持装置
TWM608590U (zh) 透氣溫控床墊機構
KR200486474Y1 (ko) 유모차용 쿨링 시트
KR100553222B1 (ko) 건강 방석
JP3233527U (ja) 送風機構を備えた背凭れ装着具と、送風機構を有する背もたれを備えた車椅子
JP2004141210A (ja) 除湿機能付き着座装置
JPH11158710A (ja) 発熱または冷却用小型熱源内蔵型暖房または冷房衣服
JPH1156537A (ja) 布団用またはベッド用マット
TW558427B (en) Cooling device
CN210227576U (zh) 一种多用途婴儿清凉垫
JPS6328930Y2 (ko)
JP2004124828A (ja) 帯状送風装置
WO1999043238A1 (fr) Literie ventilee et vetements ven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