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743B1 -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743B1
KR102495743B1 KR1020210171938A KR20210171938A KR102495743B1 KR 102495743 B1 KR102495743 B1 KR 102495743B1 KR 1020210171938 A KR1020210171938 A KR 1020210171938A KR 20210171938 A KR20210171938 A KR 20210171938A KR 102495743 B1 KR102495743 B1 KR 10249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cover
frame
lower frame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열
Original Assignee
강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열 filed Critical 강대열
Priority to KR102021017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743B1/ko
Priority to PCT/KR2022/018048 priority patent/WO202310126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1Anti-splash devices in sinks, e.g. splash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싱크대에 설치되도록 양측부가 후방으로 절곡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방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상부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방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을 회동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고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에 의하면, 싱크대에 형성되고 상부프레임의 회동각도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물튀김 차단장치를 구성하여, 물이 사용자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옷이 젖지 않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AUTOMATIC WATER SPLASH PROTECTION DEVICE FOR SINK}
개시된 내용은 싱크대에 형성되고 상부프레임의 회동각도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물튀김 차단장치를 구성하여, 물이 사용자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옷이 젖지 않도록 하는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에서의 세척 작업시 싱크대 상판보다 수도꼭지가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세척물이나 세척자의 손에 물이 부딪혀 싱크대 사방으로 물이 튀어 주변과 방바닥과 세척자의 옷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싱크대에서의 세척 작업시 물이 싱크대 밖으로 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세척물이 최대한 세척조 바닥면쪽으로 낮게 위치해야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세척자가 자세를 최대한 낮추어 허리를 많이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싱크대의 전체높이를 높이고 세척조의 바닥면을 깊게 하는 방법이 있지만, 각각의 사람마다 키차이가 있고 싱크대 사용방법과 싱크대 주변의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인 구조의 획일화는 효과가 없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종래에는 싱크대에 탈착되는 물 튀김 방지판을 구성하고 사용자의 키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설거지를 하는 경우 수돗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옷이 젖지 않도록 하는 싱크대 물튀김 방지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싱크대 물튀김 방지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6203호(2012.10.08. 공고)에는 상기 싱크대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싱크대의 상판 앞쪽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을 통해 상기 싱크대 외부로 수직으로 인출 동작하는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을 지지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며 상기 차단판을 상, 하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설거지를 행하는 과정에서 물이 튀었을 때, 이를 차단시켜 물이 주변이나 사용자에게 튀어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차단판이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싱크대 물튀김 차단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1851호(2014.02.21. 공개)에는 단면이 'Λ'형상으로 된 물 튀김 방지대가 저면에 구비된 부착수단에 의해 상기 싱크대의 상면 가장자리에 부착시켜 물 튀김을 차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물을 자주 사용하는 싱크대로부터 물 튀김을 방지하고 싱크대 및 주변을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게 하는 싱크대의 물 튀김 방지 및 세척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95514호(2021.08.31. 공고)에는 싱크대 저수조와 사용자 사이의 싱크대 상판에 설치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판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팔이 위치되는 부위에 함몰되는 팔 삽입홈이 형성되어, 각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주방에 설치되는 싱크대에 부착하여 조리물이나 식기 세척 시 사용하는 수도꼭지의 물이 튀기어 밖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싱크대 물튀김 방지판이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싱크대 물튀김 차단장치의 경우에는 싱크내 내부에 설치되어 탈착이 불가하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싱크대의 물 튀김 방지 및 세척장치의 경우에는 구동장치와 연결하여 사용 또는 미사용시에 자동으로 개폐되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고 싱크대 상판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보기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싱크대 물튀김 방지판의 경우에는 싱크대와 사용자 사이에 한 방향으로만 형성되어 물이나 찌꺼기들이 측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차단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6203호(2012.10.08. 공고)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1851호(2014.02.21. 공개)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95514호(2021.08.31. 공고)
개시된 내용은 싱크대에 형성되고 상부프레임의 회동각도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물튀김 차단장치를 구성하여, 물이 사용자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옷이 젖지 않도록 하는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싱크대에 설치되도록 양측부가 후방으로 절곡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방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상부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방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을 회동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고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 하단부에는 물받이부재가 더 포함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양단부에 걸림부가 구비되는 다수개의 커버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 상기 커버 및 상기 물받이부재는 상기 싱크대의 규격에 맞게 좌, 우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박스에는 적외선센서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커버가 개폐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에 의하면, 싱크대에 형성되고 상부프레임의 회동각도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물튀김 차단장치를 구성하여, 물이 사용자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옷이 젖지 않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에 의하면,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 하단부에는 물받이부재가 더 포함되어, 하부프레임의 내부로 들어오게 된 물이 배수구와 물받이를 통해 싱크대로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양단부에 걸림부가 구비되는 다수개의 커버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절첩이 가능하고, 커버의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에 의하면, 상기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 상기 커버 및 상기 물받이부재는 좌, 우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싱크대의 규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에 의하면, 상기 컨트롤박스에는 적외선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감지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커버가 개폐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의 분해상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의 개방전 정면사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의 개방후 배면사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1)의 분해상태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1)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1)의 개방전 정면사시도이고,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1)의 개방후 배면사시도이며,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1)의 작동상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싱크대(100) 상단면에 설치되도록 양측부가 후방으로 절곡되는 하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방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부프레임(20)과, 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10)과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상부프레임(20)과 결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20)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30)와,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방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20)을 회동시키는 회전구동부(40) 및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전방에 구비되고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부(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프레임(10) 및 상부프레임(20)은 내수성, 내구성,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며, 합성수지, 연질합성수지, 스테인리스, 스테인리스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체에 무해하고 품질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하부프레임(10)은 수밀구조로 형성되고 컨트롤박스(50)와 회전구동부(40)가 연결되는 전선이 구비되는 배선로와, 상부가 개구되고 커버(30)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제 1 커버결합부(11)가 형성되며, ㅂ자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프레임(10)은 양측부가 절곡되어 물이나 찌꺼기들이 측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차단하고,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1)가 주방 바닥 또는 싱크대(100)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부프레임(20)은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프레임(20)의 내부 상면에 커버(30)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제 2 커버결합부(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커버(30)는 미사용시에 제 1 커버결합부(11) 및 제 2 커버결합부(21)에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상부프레임(20)의 회동에 따라 펼쳐지게 된다.
한편, 회전구동부(40)에는 회로기판, 모터, 톱니바퀴 등 다양한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기판은 컨트롤박스(50)에서 설정한 신호 값을 통해 모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모터는 상부프레임(20)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로서 컨트롤박스(50)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통하여 모터를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모터는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됨으로써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화석 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톱니바퀴는 상부프레임(20)과 결합되고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컨트롤박스(50)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통하여 톱니바퀴가 회전하여 회동각도를 조절한다.
또한, 회전구동부(40)에는 비틀림스프링 및 톱니바퀴 고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비틀림스프링은 스프링의 강성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을 이용한 스프링으로서, 톱니바퀴와 결합되어 자동으로 복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톱니바퀴 고정장치는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1)가 작동되는 동안 상부프레임(20)이 비틀림스프링으로 인하여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박스(50)는 회전구동부(40)와 연결되고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전원버튼 및 상부프레임(20)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버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트롤박스(50)에는 배터리잔량, 설정단계, 날짜, 요일 및 시간이 표시되는 LCD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타이머기능을 추가하여 설정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오프시킬 수 있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이처럼,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1)는 전원버튼을 누르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컨트롤박스(50)의 각도조절버튼을 조작하여 회동각도를 단계별로 설정하며, 설정한 값을 구동장치로 신호를 송출하여 설정된 단계를 통해 모터가 구동됨으로써, 모터와 결합되는 톱니바퀴가 회전하면서 상부프레임(20) 및 커버(30)가 회동된다.
전술한 하부프레임(10)에는 다수의 배출공(13)이 형성되고, 하부프레임(10)의 내측 하단부에는 물받이부재(15)가 더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프레임(10)은 상기 싱크대(10)측으로 향하는 일측면에 다수개로 통공된 배출공(13) 및 상기 배출공(13)이 배치된 높이 보다 소정으로 낮은 높이에서 상기 싱크대(100)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갖도록 구비되어, 하부프레임에 수용된 물을 싱크대로 배출시키는 물받이부재(15)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배출공(13)은 하부프레임(10)의 내부 수밀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제 2 커버결합부(21)의 내측에 형성되고, 배출공(13)에서 배출되는 물이 싱크대(100)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려가기 위해 배출공(13)의 하단에는 경사로가 형성되는 물받이부재(15)가 형성된다 .
물받이부재(15)는 내수성, 내구성,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며, 합성수지, 연질합성수지, 실리콘,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체에 무해하고 품질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물받이부재(15)가 하부프레임(1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더 견고하게 바닥을 지지함으로써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1)가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전술한 커버(30)는 양단부에 걸림부(33)가 구비되는 다수개의 커버프레임(31)으로 구성되어 절첩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30)는 절첩이 가능하도록 이음 연결된 다수개의 커버프레임(31)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프레임(31)은 양단에 상기 커버프레임(31)과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부(33)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33)는 상기 커버프레임(31)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된 걸림부(33)의 절곡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30)의 펼침시 이웃하는 걸림부(33)가 걸쳐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부프레임(20)이 개방됨에 따라, 제 2 커버결합부(21)와 결합되는 제 1 커버프레임(31a)이 상부로 회동하게 되고, 제 1 커버프레임(31a)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부(33)에 제 2 커버프레임(31b)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부(33)가 체결됨으로써, 커버프레임(31)이 절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삭제
또한, 상부프레임(20)이 폐쇄되는 경우에는, 각 커버프레임(31)이 제 1 커버결합부(1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순서로 적재되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커버(30)는 복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W자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서, 절첩 및 펼침 동작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상기 하부프레임(10), 상기 상부프레임(20), 상기 커버(30) 및 상기 물받이부재(15)는 싱크대(100)의 규격에 맞게 좌, 우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컨트롤박스(50)를 기준으로 하부프레임(10), 상부프레임(20), 커버(30) 및 물받이부재(15)의 내부에는 길이조절부가 형성되고, 좌, 우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컨트롤박스(50)에는 적외선센서(51)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감지여부에 따라 커버(30)가 개폐된다.
여기서, 적외선센서(51)가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는 30cm이내이고, 30cm 이내의 거리에서 사용자가 5초 이상 감지될 경우에, 자동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최후에 설정된 신호값에 따라 모터가 회동되어 커버(30)가 개방된다.
또한, 사용자가 적외선센서(51)로부터 30cm이상 떨어지고 5초 이상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자동으로 전원공급이 중단되고 커버(30)가 패쇄된다.
즉, 상기 컨트롤박스(50)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51)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거리 및 체류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및 체류시간과 기설정된 거리 및 체류시간을 비교하여 도출된 작동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커버(30)를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버튼이 없어도 사용자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커버(30)가 개폐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1)에 의하면, 싱크대(100)에 형성되고 상부프레임(20)의 회동각도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물튀김 차단장치를 구성하여, 물이 사용자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옷이 젖지 않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하부프레임(10)에는 다수의 배출공(13)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0)의 내측 하단부에는 물받이부재(15)가 더 포함되어, 하부프레임(10)의 내부로 들어오게 된 물이 배수구와 물받이를 통해 싱크대(100)로 배출되며, 커버(30)는 양단부에 걸림부(33)가 구비되는 다수개의 커버프레임(31)으로 구성되어, 절첩이 가능하고 커버의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하부프레임(10), 상부프레임(20), 커버(30) 및 물받이부재(15)는 좌, 우로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싱크대(100)의 규격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컨트롤박스(50)에는 적외선센서(51)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감지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커버(30)가 개폐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
10 : 하부프레임
11 : 제 1 커버결합부
13 : 배출공
15 : 물받이부재
20 : 상부프레임
21 : 제 2 커버결합부
30 : 커버
31 : 커버프레임
31a : 제 1 커버프레임
31b : 제 2 커버프레임
33 : 걸림부
40 : 회전구동부
50 : 컨트롤박스
51 : 적외선센서
100 : 싱크대

Claims (5)

  1. 싱크대 상단면에 설치되도록 양측부가 후방으로 절곡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일정 부피의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방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부프레임;
    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상부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방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을 회동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고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싱크대 측으로 향하는 일측면에 다수개로 통공된 배출공; 및
    상기 배출공이 배치된 높이 보다 소정으로 낮은 높이에서 상기 싱크대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갖도록 구비되어, 하부프레임에 수용된 물을 싱크대로 배출하는 물받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절첩이 가능하도록 이음 연결된 다수개의 커버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프레임은,
    양단에 상기 커버프레임과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커버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된 걸림부의 절곡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펼침시 이웃하는 걸림부가 걸쳐져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박스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거리 및 체류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및 체류시간과 기설정된 거리 및 체류시간을 비교하여 도출된 작동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커버를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 상기 커버 및 상기 물받이부재는 상기 싱크대의 규격에 맞게 좌, 우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
  5. 삭제
KR1020210171938A 2021-12-03 2021-12-03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 KR102495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938A KR102495743B1 (ko) 2021-12-03 2021-12-03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
PCT/KR2022/018048 WO2023101267A1 (ko) 2021-12-03 2022-11-16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938A KR102495743B1 (ko) 2021-12-03 2021-12-03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743B1 true KR102495743B1 (ko) 2023-02-06

Family

ID=85224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938A KR102495743B1 (ko) 2021-12-03 2021-12-03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5743B1 (ko)
WO (1) WO2023101267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070A (ja) * 1994-06-29 1996-01-16 Toshiko Fujisaki 水はね防止板付流し台
JPH1161924A (ja) * 1997-08-25 1999-03-05 Yoshiki Katou 水はね防止ガード
KR101186203B1 (ko) 2011-11-14 2012-10-08 서종용 싱크대 물튀김 차단장치
KR20140021851A (ko) 2012-08-13 2014-02-21 이정인 싱크대의 물 튀김 방지 및 세척장치
KR101567232B1 (ko) * 2014-08-07 2015-12-31 이준규 싱크대용 워터가드
KR20190000952U (ko) * 2017-10-13 2019-04-23 김춘성 고속절단기용 불티 비산방지기구
KR200491746Y1 (ko) * 2018-12-24 2020-05-28 주식회사 지아이엘 물튀김방지판
KR102295514B1 (ko) 2020-11-02 2021-08-31 주식회사 태우라바텍 싱크대 물튀김 방지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070A (ja) * 1994-06-29 1996-01-16 Toshiko Fujisaki 水はね防止板付流し台
JPH1161924A (ja) * 1997-08-25 1999-03-05 Yoshiki Katou 水はね防止ガード
KR101186203B1 (ko) 2011-11-14 2012-10-08 서종용 싱크대 물튀김 차단장치
KR20140021851A (ko) 2012-08-13 2014-02-21 이정인 싱크대의 물 튀김 방지 및 세척장치
KR101567232B1 (ko) * 2014-08-07 2015-12-31 이준규 싱크대용 워터가드
KR20190000952U (ko) * 2017-10-13 2019-04-23 김춘성 고속절단기용 불티 비산방지기구
KR200491746Y1 (ko) * 2018-12-24 2020-05-28 주식회사 지아이엘 물튀김방지판
KR102295514B1 (ko) 2020-11-02 2021-08-31 주식회사 태우라바텍 싱크대 물튀김 방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267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5872B1 (en) Sanitary cleansing apparatus
US7533947B2 (en) Refrigerator
JP4999049B2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US20030019023A1 (en) Sanitary cleansing device
US20080109952A1 (en) Toilet device
JP4509810B2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102495743B1 (ko)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
JP3572224B2 (ja) 食器洗浄機
JP3472967B2 (ja) 洗浄機
JP4840979B2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2008035973A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20100040788A (ko) 변기시트 자동세척기능을 구비한 비데 장치 및 변기시트 자동세척방법
JP3117182B2 (ja) 局部洗浄装置
JP2003116746A (ja) 洋式便器に於ける便座洗浄装置
FR2646870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couvertures de piscines
KR20220021508A (ko) 양변기의 커버 자동 닫힘 장치
JP2519739Y2 (ja) 蓋付き小便器
JP2728100B2 (ja) 手乾燥装置
JP2004267348A (ja) 便蓋装置
JP5848482B1 (ja) 跳ね防止ユニット
JP7496405B2 (ja) 便器装置
KR20100045754A (ko) 위치값 설정을 통한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회동장치 및회동방법
JP2005120639A (ja) トイレユニット
KR101966244B1 (ko) 유해균 차단 변기커버를 구비한 좌변기
JP2003250654A (ja) ベン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