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232B1 - 싱크대용 워터가드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워터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232B1
KR101567232B1 KR1020140101445A KR20140101445A KR101567232B1 KR 101567232 B1 KR101567232 B1 KR 101567232B1 KR 1020140101445 A KR1020140101445 A KR 1020140101445A KR 20140101445 A KR20140101445 A KR 20140101445A KR 101567232 B1 KR101567232 B1 KR 101567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nk
water
lifting
ro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규
Original Assignee
이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규 filed Critical 이준규
Priority to KR102014010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1Anti-splash devices in sinks, e.g. splash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에서 사용자가 설거지 또는 음식을 준비할 때 사용하는 수전의 물 또는 오물이 튀어 옷이 젖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워터가드를 사용자의 신장 차이에 상관없이 단계별로 확장 및 축소가능하게 구성시켜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싱크대용 워터가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싱크대의 저수조 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을 뚫고, 싱크대 내부에 권취봉에 감겨진 방수막을 복원스프링에 의해 잡아당겨 장공으로 인출하고, 복원스프링에 충격을 가해 방수막이 다시 감기도록 구성되었으나, 종래 물튀김 방지장치는 싱크대에 장공이 없으면 사용할 수 없는 구성으로서, 기존 장공이 없는 싱크대에 설치가 불가한 가장 큰 단점이 있어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싱크대를 훼손하지 않고 물이나 오물을 차단하는 승강하는 승강판과 그 승강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워터가드를 설치하며, 그 워터가드를 사용자의 신장에 상관없이 차단할 수 있도록 승강판을 승가록킹수단을 이용하여 단계별로 확장 및 축소가능하게 하며, 비사용시에는 포스트를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싱크대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때 사용자의 팔에 간섭되지 않게 하는 동시에 물기가 흘러내려 자연건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싱크대용 워터가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워터가드{Guard for sink to prevent water splashing}
본 발명은 싱크대용 워터가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에서 사용자가 설거지 또는 음식을 준비할 때 사용하는 수전의 물 또는 오물이 튀어 옷이 젖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워터가드를 사용자의 신장 차이에 상관없이 단계별로 확장 및 축소가능하게 구성시켜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싱크대용 워터가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터가드는 물 튀김 방지 판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체로 싱크대(개수대)에서 사용자가 수전의 물을 이용하여 설거지를 하거나 또는 과일 채소를 세척할 때 사용자에게 물이 튀어 옷을 적시게 되고, 또는 채소를 다듬거나 생선 등의 고기류를 손질할 때 발생한 오물이 옷에 묻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앞치마를 허리 또는 목에 두르고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앞치마를 일일이 챙겨서 착용하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앞치마 역시 물이나 오물이 튀게 마련이고 이를 자주 세탁하지 않으면 오물이 썩어 음식을 만드는데 비위생적인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 특허등록 제466431호(명칭: 싱크대의 물튀김 방지장치)를 제공하였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싱크대의 저수조 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을 뚫고, 상기 장공의 내측에는 밀폐패킹을 끼움으로 결합하여 양단에 인출공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인출공을 관통하는 한 쌍의 고정관을 싱크대의 내측에 설치하고, 상기 각 고정관의 내부에는 플랙시블 지지대를 각각 결합하여 출몰자재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양측의 플래식블 지지대에는 방수막을 고정하여 방수막의 하단측에 권취봉에 결합한 상태에서 저수조의 외벽에 고정된 권취관의 개방부를 통해 내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복원스프링에 의해 복원력이 작용되게 구성된 것이다.
즉, 플래식블 지지대를 잡아당겨 들어올리면 장공으로 권취된 방수막이 상승하여 차단하고, 사용을 마치면 복원스프링이 복원되도록 충격을 가하면 방수막이 권취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물튀김 방지장치는 싱크대에 장공이 없으면 사용할 수 없는 구성으로서, 기존 장공이 없는 싱크대에 설치가 불가한 가장 큰 단점이 있어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을 마친 방수막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여 말린 상태로 권취하지 않으면 곰팡이나 물때가 생겨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사용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리소홀로 오염된 방수막 교체를 위한 보수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싱크대는 신장 차이를 갖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데 종래 방수막은 그러한 신장을 고려하지 않고 전체가 출몰됨으로써, 여러 사람이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싱크대를 훼손하지 않고 물이나 오물을 차단하는 워터가드를 설치하며, 그 워터가드를 사용자의 신장에 상관없이 차단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확장 및 축소가능하게 하며, 비사용시에는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싱크대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때 사용자의 팔에 간섭되지 않게 하는 동시에 물기가 흘러내려 자연건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싱크대용 워터가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싱크대에 설치된 수전과 마주하는 전면 양측에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측단부가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레일턱이 형성되는 기둥커버와 양측에 형성된 기둥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승강수단커버가 구비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 후면에 배치되고, 양측에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며, 최하부에는 수전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에 적정한 거리를 두고 홈부가 형성되어 싱크대 상면과 밑면이 일치되는 물받이대가 구비된 지지판와, 상기 레일턱이 삽입되도록 외측에 승강판레일이 형성되고, 걸림턱이 삽입되도록 내측에 지지판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대의 홈부 깊이로 높이가 형성되어, 싱크대의 상면 전방에 고정되는 플레이트가 구비된 포스트 및 상기 승강판과 지지판을 연결하는 동시에 승강판을 승강하도록 승강수단커버에 수용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워터가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레일에는 지지판이 상방향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판스토퍼를 형성하고, 상기 포스트와 플레이트를 분할하고, 분할된 포스트와 플레이트를 힌지축으로 연결시켜 포스트가 수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하부가 관통되어 승강공간을 확보하고, 그 승강공간은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된 회전방지홈이 관통되고, 내주연 후방 일구간에 스프링받침대가 구비되며, 전방에는 로드핀고정홈이 형성되어, 지지판의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로드핀고정홈에 고정되고, 자체탄성력을 갖는 로드핀 및 승강판에 형성된 승강수단커버의 상,하부와 고정되고, 상부에는 헤드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직경이 작은 기둥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승강공간으로 삽입되며, 회전방지홈에 대응하는 기둥에 회전방지돌기가 구비되며, 후방에는 스프링이 끼워진 상태로 스프링 상부는 헤드와 접촉하고, 하부는 스프링받침대에 걸려지도록 하는 스프링지지부가 형성되며, 전방에는 하트형상의 트랙그루브가 형성된 승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에 "V" 홈 형상의 록킹부와 하부에 "V" 면 형상의 가이드부가 구비된 하트형상으로 형성된 하트캠으로 형성하고, 하트캠의 일측은 승강판을 눌렀을 때, 고정된 로드핀을 따라 하강하는 하강부가 형성되고, 그 최상부에 형성된 하트 하단 형상의 안내부에 로드핀이 안내되어 록킹부에 걸림되고, 타측은 승강판을 눌러 록킹된 로드핀이 해제 이탈되어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상승부가 형성되고, 그 최하부에 형성된 록킹부에 로드핀이 걸리도록 이루어져 하트캠의 외측과 상승,하강부가 서로 연통하되, 상기 하트캠 최상부의 록킹부 중심에서 상방향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의 중심은 일치하거나, 또는 하강부 측으로 벗어나고, 하트캠의 최하부의 가이드부 중심에서 하방향에 배치되는 록킹부의 중심은 상승부 측으로 벗어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트캠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적정한 간격으로 단계별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그 간격에 하강부와 단차지게 진입이탈부가 형성되고, 그 진입 겸 이탈부의 타측 상승부에는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진입이탈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회전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편의 회전축을 고정부재 외부에서 회전시켜 회전편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에 대응하는 고정부재 위치에 각도조절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포스트는 사용자 방향으로 95°∼ 105°의 각도 범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싱크대의 전방에 워터가드를 설치함으로써, 싱크대를 훼손할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승강록킹수단을 이용하여 승강판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신장의 차이에 상관없이 물 튀김을 방지하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의 신장이 작으면 승강판을 하강시켜 사용하고, 사용자의 신장이 크면 승강판을 승강 확장시켜 보호받을 수 있다.
또한, 승강록킹수단에 단계별로 승,하강시키는 회전편을 설치함으로써, 승강판이 단계별로 확장 및 축소되어 높이를 구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스트와 플레이트를 회전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싱크대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때는 지지판과 승강판을 수전방향으로 절첩시켜 부피를 줄이는 동시에 다른 작업시 사용자의 팔에 간섭이 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첩된 지지판의 평평한 후면은 음식을 절단하는 도마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작업시 팔 관절이 이루는 "∨"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플레이트와 포스트의 각도를 95°∼ 105°의 범위로 사용자 방향으로 기울여 팔이 간섭없이 자유롭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가드가 싱크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가드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가드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에 승강판과 지지판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포스트가 지지판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판이 승강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포스트를 접어 지지판과 승강판이 싱크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단면하여 내부가 보이는 승강록킹수단을 분해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승강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승강부재가 하강하여 로드핀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회전편이 회전되어 높이가 낮게 승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나타내는 전면 또는 전방이란 싱크대(100)에 설치된 수전(101)방향을 나타내고 후면 또는 후방은 사용자가 있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이다.
본 발명 워터가드(1)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크게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판(10)과 그 승강판(10) 후방에 배치되어 승강판(10)을 가이드하는 지지판(20)과, 상기 승강판(10)과 지지판(20)을 슬라이드 삽입시켜 싱크대(100)에 설치하는 포스트(30)와, 상기 승강판(10)과 지지판(20)을 상호 연결하여 승강판(10)을 승강시키는 승강록킹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판(10)은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지지판(20)에서 승강록킹수단(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여 워터가드(1)의 크기를 확장 및 축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싱크대(100)에 설치된 수전(101)을 마주하는 전면에 포스트(30)가 삽입되는 기둥커버(11)를 형성하되, 상기 기둥커버(11)는 전면 양측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포스트(30)가 수용되고, 그 끝단부가 내측방향으로 구부려져 연장된 레일턱(12)이 형성되어 후술할 포스트(30)의 승강판레일(31)에 삽입되며, 그 기둥커버(11) 사이에는 승강판(10)을 승강시키는 승강록킹수단(40)이 외부로 노출되어 닿은 물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디자인적으로 수려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승강수단커버(13)가 형성된다.
즉, 기둥커버(11)와 승강수단커버(13)의 후면은 포스트(30)와 승강록킹수단(40)이 진입 설치가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후면은 개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20)은 승강판(10) 후면에 배치되는 되어 승강판(10)이 상승하였을 때, 하부를 폐쇄시켜, 워터가드(1)를 넓게 확장하더라도 물이 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횡방향으로 길게 판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하부에 외부로 돌출된 걸림턱(21)이 각각 형성되어, 후술할 포스트(30)의 지지판레일(32)에 삽입되어 이탈을 방지하며, 최하부에는 수전방향으로 길게 물받이대(22)가 형성되되, 하면에 적정한 간격을 두고 홈부(23)가 형성되어 그 홈부(23)에 포스트(30)의 바닥 플레이트(34)가 수용되게 하여 물받이대(22)의 하면과 싱크대(100) 상면이 일치하여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스트(30)는 승강판(10)과 지지판(20)이 삽입된 상태로 싱크대(100)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싱크대(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보았을 때, 승강판(10)의 레일턱(12)이 삽입되도록 외측방향에 길게 승강판레일(31)이 형성되고, 내측방향에는 지지판(20)이 삽입되도록 길게 지지판레일(32)이 형성된다.
즉, 승강판레일(31)과 지지판레일(32)은 포스트(30)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구분하여 삽입되도록 구분하는 것이다.
또한, 하면에는 상기 물받이대(22)에 형성된 홈부(23)의 깊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34)가 형성되어 싱크대(100)의 전면 상방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물받이대(22)에 형성되는 홈부(23)는 포스트(30)의 플레이트(34)가 위치하는 해당부분에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30)와 플레이트(34)를 분할하여 포스트(30)가 수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시켜, 워터가드(1)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방으로 접어서 부피를 줄여 사용자가 싱크대(100) 및 수전(101)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분할한 포스트(30)의 하부와 플레이트(34)의 상부에 암수로 이루어진 구멍에 힌지축(35)을 끼워 연결하여 포스트(30)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었더라도 물받이대(22)의 홈부(23)에 플레이트(34)가 끼움되어 있어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승강판(10)과 승강록킹수단(40)으로 연결된 지지판(2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레이트(34)가 홈부(23)에서 이탈되도록 하되, 지지판(20)이 상방향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판레일(32)에는 지지판스토퍼(33)가 지지판(20) 전방으로 돌출된 물받이대(22)의 길이위치의 높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판(20)을 상승시키면 홈부(23)가 플레이트(34)를 벗어나 간섭없이 회전가능한 동시에 전방으로 접으면 물받이대(22)의 선단이 싱크대 상면과 접촉하여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30)는 플레이트(34)와 90°의 직립상태로 설치되어 물을 차단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팔은 설거지나 음식재료를 손질할 때, "∨"상태로 굽혀짐으로써, 수직보다는 기울기를 갖는 것이 사용자 팔에 간섭되지 않고, 워터가드()에 튀어진 물이나 오물이 비스듬한 승강판(10) 및 지지판()을 흘러 물받이대(22)를 넘어가지 않고 집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스트(30)는 사용자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플레이트(34)와 95°∼ 105°의 각도(θ) 범위로 형성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95°의 각도(θ)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스트(30)는 승강판(10) 및 지지판(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대체로 워터가드(1) 중앙 부분에서 세척을 하기 때문에 중앙 부분을 누르기가 가장 편리할 것이고, 이때, 누르는 힘을 지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승강판(10)과 지지판(20)의 중앙에 보조포스트(36)를 설치하되, 보조포스트(36)의 양측에는 지지판레일(32)을 형성하고, 보조포스트(36)가 삽입되는 지지판(20) 양측에는 지지판레일(3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공(37)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플레이트(34)를 수용하는 홈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록킹수단(40)은 첨부된 도면 도 8 내지 도 13과 같이, 승강수단커버(13)에 삽입 설치되어 승강판(10)과 지지판(20)을 서로 연결하는 동시에 승강판(10)이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하여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시켜 승강판(10)을 사용자가 한번 누르면 상승 고정되어 워터가드(1)를 확장하고, 다시 한번 누르면 하강하여 워터가드(1)를 축소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록킹수단(40)은 크게 고정부재(41)와 로드핀(42)과 승강부재(4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41)는 지자판(20)의 전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하부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관통되어 내부에 승강공간(41a)을 마련하고, 그 승강공간(41a)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된 회전방지홈(41b)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며, 승강공간(41a)의 내주연에서 사용자 방향인 후방 일구간에 스프링받침대(41c)가 구비되며, 그 전방에는 로드핀(42)이 끼워져 휘어졌을 때, 직립상태로 복원하도록 하는 로드핀고정홈(41d)이 형성된다.
상기 로드핀(42)은 로드핀고정홈(41d)에 고정되어 선단이 후술할 트랙그루브(44)에 접촉되어 승강판(10)을 승하강 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자체탄성력으로 트랙그루브(44)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 자유롭게 구부려져 정확히 안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승강부재(43)는 승강판(10)의 전면에 형성된 승강수단커버(13)에 수용되어 상부와 하부가 각각 고정되고, 상부에는 헤드(43a)가 형성되며, 그 헤드(43a)의 하부에는 작은 직경의 기둥(43b) 즉, 승강공간(41a)에 삽입되는 직경으로 길게 형성되고, 승강공간(41a)에 형성된 회전방지홈(41b)에 대응하는 기둥(43b)의 외측에는 회전방지돌기(43c)가 돌출형성되어 승강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로드핀(42)이 트랙그루브(44)의 정위치에서 접촉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승강부재(43)의 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스프링지지부(43d)가 형성되어, 그 스프링지지부(43)에 끼워져 상부는 헤드(43a)의 하면과 접촉하고, 하부는 스프링받침대(43d)의 상면에 걸려지는 스프링(43e)이 구성되어, 승강부재(43)가 눌려지면 헤드(43a)가 스프링(43e)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되며, 헤드(43a) 하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지지부(43d)는 기둥(43b)과 함께 고정부재(41)의 승강공간(41a)을 간섭없이 관통하여 하강하게 되고, 스프링(43e)의 압축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승강부재(43)의 전방에는 하트형상으로 형성된 트랙그루브(44)를 형성하여 고정된 로드핀(42)이 트랙을 따라 움직이면서 록킹 및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랙그루브(44)는 상부에 "V"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록킹부(44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V" 면 형상의 가이드부(442)가 형성되어 이를 하트형상으로 연결되는 하트캠(440)이 형성되며, 그 하트캠(440)의 일측 즉, 도면상에서 우측에는 승강판(10)을 누르면 로드핀(42)에 안내되어 하강시키는 하강부(44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승강판(10)을 다시 누르면 상승하도록 상승부(444)가 형성되어, 하트캠(440)의 외측과 상승,하강부(443)는 상호 연통되어, 로드핀(42)이 연통된 트랙과 지속적으로 접촉 안내할 수 있으며, 상기 하트캠(440) 최상부의 록킹부(441) 중심(C1)에서 그 상방향에 간격을 두고 연통되어 로드핀(42)이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442)의 중심(C2)을 상호 일치하거나 또는 하강부(443) 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하트캠(440)의 최하부의 가이드부(442) 중심(C3)에서 하방향에 배치되는 록킹부(441)의 중심(C4)은 상승부(444) 측으로 벗어나 형성된다.
이와 같이, 트랙그루브(44)가 형성되면 최초 직립상태의 로드핀(42)은 최하부의 록킹부(441)에 위치한 상태에서 승강판(10)을 눌러 승강부재(43)가 하강하면 최하부의 가이드부(442) 중심(C3)이 상승부(444) 방향 즉, 좌측으로 벗어나 있기 때문에 우측 경사면이 먼저 로드핀(42)에 접촉되어 로드핀(42)을 하강부(443) 측인 우측으로 휘어지면서 상승하게 되며, 최상부층까지 이동한 로드핀(42)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개방된 록킹부(441) 방향으로 복원되어 수용되어 승강판(10)이 하강하여 고정된다.
이후, 다시 승강판(10)을 누르면 록킹부(441)가 하강하면서 로드핀(42)이 해제되고, 최상부에 위치한 가이드부(442)에서 상승부(444) 방향 즉, 좌측면과 접촉하면서 로드핀(42)이 좌측으로 휘어지면서 상승부(444)를 따라 이동하여 하부에서는 복원력에 의해 록킹부(441)로 안내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트랙그루브(44)에 1개의 하트캠(440)을 형성시켜 일정한 높이로 승강판(10)을 승강시킬 수 있고,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하트캠(440)을 형성시켜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단계별로 승강판(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별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하트캠(440)과 그 직하부에 로드핀(42)이 진입 및 이탈되는 진입이탈부(445)의 간격을 두고 다른 하트캠(440)을 형성하되, 그 진입이탈부(445)와 하강부(443)는 단차지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각 진입이탈부(445)로 진입하는 로드핀(42)이 걸려 딸깍하는 느낌과 소리로 단계진입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승강판(10)을 힘을 주어 길게 누르면 단차를 넘어가지 못한 로드핀(42)이 최상부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진입이탈부(445)의 타측 상승부 방향에는 회전을 통해 그 진입이탈부(445)의 타측을 폐쇄하거나 개방시키도록 회전축(446)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편(447)을 구성시킴으로써, 승강판(10)의 상승에 의해 하강하는 로드핀(42)을 개방된 진입이탈부(445)로 안내하여 진입시키거나 또는 폐쇄시켜 상승부(444) 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즉, 회전편(447)을 직립상태를 유지하면 진입이탈부(445)를 폐쇄하게 되어 로드핀(42)은 간섭없이 하강하게 되고, 회전편(447)의 회전축(446)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면 회전편(447)이 연동하여 상승부(444)를 폐쇄하는 동시에 진입이탈부(445)는 개방되어 로드핀(42)이 회전편(447)과 접촉되면서 복원력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안내되어 해당 단계위치의 록킹부(441)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고, 다시 승강판(10)을 누르게 되면 록킹부(441)가 하강하면서 로드핀(42)은 해제되어 가이드부(442)에 안내되어 하강부(443)로 진입 이동하여 승강판(10)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편(447)의 상부 선단은 상승부(44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시켜, 회전편(447)을 회전시키면 상부 경사부분과 상승부(444)가 상호 유격 없이 밀착되어 로드핀(42)이 원활하게 안내받을 수 있도록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회전편(447)은 사용자가 해당높이에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41)의 전면에 각도조절구멍(41e)을 형성시켜 십자 또는 일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진입이탈부(445)를 폐쇄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워터가드(1)의 사용상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승강판(10)을 하강시켜 워터가드(1)의 높이를 낮춘 상태로 싱크대(100) 전방 상면에 플레이트(34)를 고정한 후, 싱크대(100)에서 설거지나 채소를 손질하면 발생하는 물이나 오물이 전방에 위치하는 승강판(10)이 차단하여 사용자의 옷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워터가드(1)의 높이가 축소된 경우에는 키가 비교적 작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판(10)과 지지판(20)이 기울어지도록 각도를 갖는 포스트(30)에 의해 사용자가 작업시 팔에 간섭을 줄이는 동시에 튀겨진 물이나 오물이 물받침대(22)에 흘러 모이게 된다.
사용자가 워터가드(1)의 높이를 높여 확대할 때는 승강판(10)을 누르면 승강부재(43)가 스프링(43e)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고, 이때 최상부의 록킹부(441)도 하강하면서 로드핀(42)의 구속이 해제되고, 그 상방향에 위치한 가이드부(442)의 좌측면에 로드핀(42)이 접촉되면서 상승부(444)로 휘어지고, 구속이 해제된 승강판(10)은 상승하여 로드핀(42)이 최하부의 록킹부(441)로 이동 후, 걸려 고정된다.
이렇게 로드핀(42)이 최하부에 위치한 록킹부(441)에 고정되면 승강판(10)의 상승 확장이 완료되고,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신장이 큰 사람이 사용가능하게 된다.
또는, 승강판(10)의 높이를 단계별로 확장 및 축소를 하고자하면 각도조절구멍(41e)으로 도구를 이용하여 회전축(446)을 회전시키면 연동된 회전편(447)이 상승부(444)를 차단하게 되고, 동시에 해당 단계의 진입이탈부(445)는 개방됨으로써, 로드핀(42)이 회전편(447)의 경사면을 따라 해당 단계의 록킹부(441)로 진입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승강판(10)의 누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워터가드(1)의 크기를 확장 및 축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워터가드(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승강판(10)을 하강시켜 부피를 축소한 상태에서, 지지판(20)을 들어올리면 승강판(10)과 지지판(20)이 포스트(30)의 승강판레일(31)과 지지판레일(32)에 안내되면서 상승하다가 지지판레일(32)의 지지판스토퍼(33)와 걸림턱(21)이 닿으면서 상승이 제한되고, 이러한 상태가 되면 물받침대(22)의 홈부(23)가 플레이트(34)를 벗어나 포스트(30)가 회전가능하게 되어 수전방향으로 승강판(10)과 지지판(20)이 회전된다.
이때, 플레이트(34) 상면 전방에 돌출형성된 회전방지돌기가(38) 형성되어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회전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팔이 간섭없이 자유로워져 다른 작업하기가 수월해지고, 지지판(20)의 평탄한 후면이 회전하여 노출됨으로써, 그 후면을 채소를 칼로 다듬거나 절단할 수 있는 도마로 사용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에 흡착판이 부착된 도마를 붙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워터가드(1)는 승강판(10)의 높이를 승강록킹수단(4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적절하게 확장 축소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팔 관절의 각도를 고려하여 기울기를 갖는 직립상태로 팔에 가해지는 간섭을 해소하여 사용자의 작업의 편리성을 꾀하였으며, 승강판(10)과 지지판(20)을 접어 부피를 축소시켜 비사용시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더불어 접어진 상태의 지지판(20) 후면을 도마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유용한 싱크대용 워터가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워터가드: 1 승강판: 10
기둥커버: 11 레일턱: 12
승강수단커버: 13 지지판: 20
걸림턱: 21 물받이대: 22
홈부: 23 포스트: 30
승강판레일: 31 지지판레일: 32
지지판스토퍼: 33 플레이트: 34
힌지축: 35 보조포스트: 36
설치공: 37 회전방지돌기: 38
승강록킹수단: 40 고정부재41
승강공간: 41a 회전방지홈:41b
스프링받침대: 41c 로드핀고정홈: 41d
각도조절구멍: 41e 로드핀: 42
승강부재:43 헤드: 43a
기둥: 43b 회전방지돌기: 43c
스프링지지부: 43d 스프링: 43e
트랙그루브: 44 하트캠: 440
록킹부:441 가이드부: 442
하강부: 443 상승부: 444
진입이탈부: 445 회전축: 446
회전편: 447 싱크대: 100
수전: 101

Claims (8)

  1. 판상으로 형성되어, 싱크대(100)에 설치된 수전(101)과 마주하는 전면 양측에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측단부가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레일턱(12)이 형성되는 기둥커버(11)와 양측에 형성된 기둥커버(11)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승강수단커버(13)가 구비된 승강판(10);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판(10) 후면에 배치되고, 양측에 걸림턱(21)이 각각 형성되며, 최하부에는 수전(101)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에 적정한 거리를 두고 홈부(23)가 형성되어 싱크대(100) 상면과 밑면이 일치되는 물받이대(22)가 구비된 지지판(20);
    상기 레일턱(12)이 삽입되도록 외측에 승강판레일(31)이 형성되고, 걸림턱(21)이 삽입되도록 내측에 지지판레일(32)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대(22)의 홈부(23) 깊이로 높이가 형성되어, 싱크대(100)의 상면 전방에 고정되는 플레이트(34)가 구비된 포스트(30); 및
    상기 승강판(10)과 지지판(20)을 연결하는 동시에 승강판(10)을 승강하도록 승강수단커버(13)에 수용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워터가드(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록킹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워터가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레일(32)에는 지지판(20)이 상방향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방자하도록 지지판스토퍼(33)를 형성하고,
    포스트(30)와 플레이트(34)를 분할하고, 분할된 포스트(30)와 플레이트(34)를 힌지축(35)으로 연결시켜 포스트(30)가 수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회전시, 승강판(10)과 승강록킹수단(40)으로 연결된 지지판(20)을 들어올려 물받이대(22)의 홈부(23)가 플레이트(34)를 벗어난 위치에서 간섭없이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워터가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록킹수단(40)은
    상,하부가 관통되어 승강공간(41a)을 확보하고, 그 승강공간(41a)은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된 회전방지홈(41b)이 관통되고, 내주연 하부측 후방 일구간에 스프링받침대(41c)가 구비되며, 내주연 하부측 전방에는 로드핀고정홈(41d)이 형성되어, 지지판(20)의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1);
    상기 로드핀고정홈(41d)에 고정되고, 자체탄성력을 갖는 로드핀(42); 및
    승강판(10)에 형성된 승강수단커버(13)의 상,하부와 고정되고, 상부에는 헤드(43a)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직경이 작은 기둥(43b)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41)의 승강공간(41a)으로 삽입되며, 회전방지홈(41b)에 대응하는 기둥(43b)에 회전방지돌기(43c)가 구비되며, 후방에는 스프링(43e)이 끼워진 상태로 스프링(43e) 상부는 헤드(43a)와 접촉하고, 하부는 스프링받침대(41c)에 걸려지도록 하여 하강시 고정부재(41)의 승강공간(41a)을 관통하는 스프링지지부(43d)가 형성되며, 기둥(43b) 전방에는 하트형상의 트랙그루브(44)를 형성시켜 로드핀(42)의 선단이 접촉된 상태로 승강 안내되어 록킹 및 해제되는 승강부재(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워터가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그루브(44)는
    상부에 "V" 홈 형상의 록킹부(441)와 하부에 "V" 면 형상의 가이드부(442)가 구비된 하트형상으로 형성된 하트캠(440)을 구성하고,
    상기 하트캠(440)의 일측은 승강판(10)을 눌렀을 때, 고정된 로드핀(42)을 따라 하강하는 하강부(443)가 형성되고, 그 최상부에 형성된 하트 하단 형상의 가이드부(442)에 로드핀(42)이 안내되어 록킹부(441)에 걸림되고, 타측은 승강판(10)을 눌러 록킹된 로드핀(42)이 해제 이탈되어 승강판(10)을 승강시키는 상승부(444)가 형성되며, 그 최하부에 형성된 록킹부(441)에 로드핀(42)이 걸리도록 이루어져 하트캠(440)의 외주연과 상승,하강부(444)(443)가 상호 연통하되,
    상기 하트캠(440) 최상부의 록킹부(441) 중심(C1)에서 상방향에 배치되는 가이드부(442)의 중심(C2)은 일치하거나, 또는 하강부(443) 측으로 벗어나고, 하트캠(440)의 최하부의 가이드부(442) 중심(C3)에서 하방향에 배치되는 록킹부(441)의 중심은 상승부(444) 측으로 벗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워터가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캠(440)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적정한 간격으로 단계별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그 간격에 하강부(443)와 단차지게 진입이탈부(445)가 형성되고, 그 진입이탈부(445)의 타측 상승부(444)에는 회전축(44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진입이탈부(445)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회전편(447)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편(447)으로 진입이탈부(445)를 폐쇄하면 상승부(444)는 개방되어 로드핀(42)은 트랙그루브(44)의 최하부까지 이동하고, 진입이탈부(445)를 해제하면 상승부(444)는 폐쇄되어 로드핀(42)이 회전편(447)에 안내되면서 해당 단계의 록킹부(441)로 진입하여 걸려지도록 하는 싱크대용 워터가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447)의 회전축(446)을 고정부재(41) 외부에서 회전시켜 회전편(447)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446)에 대응하는 고정부재(41) 위치에 각도조절구멍(41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워터가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30)는 사용자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플레이트(34)와 95°∼ 105°의 각도(θ) 범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워터가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에 설치된 포스트(30)와 포스트(30) 사이 물받이대(22)에 홈부(23)를 형성하고, 지지판(20)에는 연통하는 설치공(37)을 형성하여, 양측에 지지판레일(32)이 이루어져 설치공(37)에 끼움 되는 보조포스트(36)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워터가드.
KR1020140101445A 2014-08-07 2014-08-07 싱크대용 워터가드 KR101567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445A KR101567232B1 (ko) 2014-08-07 2014-08-07 싱크대용 워터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445A KR101567232B1 (ko) 2014-08-07 2014-08-07 싱크대용 워터가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232B1 true KR101567232B1 (ko) 2015-12-31

Family

ID=5512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445A KR101567232B1 (ko) 2014-08-07 2014-08-07 싱크대용 워터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2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46Y1 (ko) * 2018-12-24 2020-05-28 주식회사 지아이엘 물튀김방지판
KR20220112476A (ko) 2021-02-04 2022-08-11 이진국 물 튀김 방지기능을 갖는 앞치마
KR102495743B1 (ko) * 2021-12-03 2023-02-06 강대열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1960B1 (ja) * 2004-07-05 2005-10-05 巖 川村 移動台付き昇降姿勢補助具。
JP2007185422A (ja) * 2006-01-16 2007-07-26 Shigetaka Omote 流し台の水跳ね防止具
JP2007282647A (ja) * 2006-04-12 2007-11-01 Itsuki Kawamura 水回り設備用の人体支持装置
JP2010172438A (ja) * 2009-01-29 2010-08-12 Toto Ltd 昇降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水周り家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1960B1 (ja) * 2004-07-05 2005-10-05 巖 川村 移動台付き昇降姿勢補助具。
JP2007185422A (ja) * 2006-01-16 2007-07-26 Shigetaka Omote 流し台の水跳ね防止具
JP2007282647A (ja) * 2006-04-12 2007-11-01 Itsuki Kawamura 水回り設備用の人体支持装置
JP2010172438A (ja) * 2009-01-29 2010-08-12 Toto Ltd 昇降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水周り家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46Y1 (ko) * 2018-12-24 2020-05-28 주식회사 지아이엘 물튀김방지판
KR20220112476A (ko) 2021-02-04 2022-08-11 이진국 물 튀김 방지기능을 갖는 앞치마
KR102495743B1 (ko) * 2021-12-03 2023-02-06 강대열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
WO2023101267A1 (ko) * 2021-12-03 2023-06-08 강대열 싱크대용 물튀김 자동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232B1 (ko) 싱크대용 워터가드
US20050005775A1 (en) Locking device sustaining high pressure for coffee maker lid
US3416166A (en) Easy opening sliding door for bathtub
US4953473A (en) Combination serving tray, bed tray and bathtub tray
CN107075901A (zh) 脚操作的宠物门
US10271710B2 (en) Drying rack
US20160237729A1 (en) Hinge, in particular for a piece of furniture
CN110023577A (zh) 用于移动滑动门的装置和包括这种装置的家具物品
MX2007016205A (es) Dispositivo de excusado.
CN107288184A (zh) 一种去水器
KR102335469B1 (ko) 가구 받침대
US20200277770A1 (en) Height-adjustable sink
KR100821965B1 (ko) 세면대 승강장치
US1568321A (en) Golf-hole cup and tool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said cup
CN113445888A (zh) 一种高层建筑的阳台防护栏
JPH07124096A (ja) 洗浄機
KR200482988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세면장치
KR200402502Y1 (ko) 도어스토퍼
US20050082954A1 (en) Removable toe kick floor for cupboards vanities cabinets
KR200482878Y1 (ko) 구조가 개선된 사우나기
JP6497946B2 (ja) 折戸装置
WO2006134615A1 (en) A kit for the assembly and removal of the mobile wings of door and window frames
CA2489695A1 (en) Basin assembly
CN210145474U (zh) 一种弧形滑盖筹码盆
DE602004007328T2 (de) Kaffeemaschine mit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verschwenkbaren Filterträ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