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479B1 -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479B1
KR102495479B1 KR1020220003777A KR20220003777A KR102495479B1 KR 102495479 B1 KR102495479 B1 KR 102495479B1 KR 1020220003777 A KR1020220003777 A KR 1020220003777A KR 20220003777 A KR20220003777 A KR 20220003777A KR 102495479 B1 KR102495479 B1 KR 102495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late
fusion
box
f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선영
Original Assignee
송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선영 filed Critical 송선영
Priority to KR102022000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50/86Forming integral handles; Attaching separate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접이식 경량 박스의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성형판이 안착되는 소정면적으로 형성된 안착선반; 및 상기 안착선반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손잡이의 일측이 가열 및 가압되어 융착결합되도록 상하 이동되는 손잡이융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융착부는 하부에 배치되어 평탄한 압착면이 하측에 형성되는 압착냉각판; 상기 압착냉각판과 복수개의 쇼크업쇼버가 연결되며 하부에 복수개의 융착폴이 형성되는 융착블럭; 상기 융착블럭의 상측에 접촉되어 배치되어 복수개의 알루미늄 박판이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동작이 형성되도록 작동되는 실린더가 결합되는 실린더연결블럭; 을 포함하는 접이식 경량 박스손잡이 융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Welding apparatus of handle for Foldable box of light weight}
본 발명은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에 적용되는 손잡이를 융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운반하고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포장박스는 제조비용이 저렵한 종이골판지로 제작된 박스는 물론 내구성이나 내마모성을 갖는 플라스틱 골판지로 제작된 박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포장박스는 선행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체(20)가 벽체(10)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1몸체(22)와 제2몸체(24)로 각각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22)와 상기 제2몸체(24)가 마주하는 접촉지점에 형성된 접힘부재(26) 및, 상기 제1몸체(22)와 상기 제2몸체(24)내에 형성된 격벽부재(28)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박스는 운반을 위해 손잡이부분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손잡이부분은 플라스틱과 같은 성형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컨테이너박스에 손잡이를 형성하는 작업은 용융점이 다른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을 성형하는 작업으로 가열점에 정확한 가열이 필요한 작업이다. 이를 위한 정밀 성형기술을 개발하는 노력이 추진중에 있다.
공개특허 제10-2014-0091370(2014.07.21.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에 손잡이 결합공정이 자동화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접식이 경량 박스가 안착되는 소정면적으로 형성된 안착선반; 상기 안착선반의 일측에 배치되어 알루미늄손잡이의 일측이 가열 및 가압되도록 상하 이동되는 손잡이융착부; 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박스 손잡이 융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이식 경량 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는 안착선반에 의해 고정되는 알루미늄 박스를 손잡이융착부의 동작으로 손잡이 결합공정이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플라스틱손잡이와 같은 열 변형에 주의가 필요한 부품에 융착작업 할 수 있도록 융착부 주변 냉각 효율이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손잡이 융착 장치에 의해 융착되는 손잡이의 앞판의 앞, 뒷면과 뒷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세팅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손잡이융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냉각판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경량 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는 알루미늄박스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성형판(M10)이 안착되는 소정면적으로 형성된 안착선반(100)과, 안착선반(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손잡이의 일측이 가열 및 가압되어 융착 결합되도록 상하 이동되는 손잡이융착부(20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손잡이 융착 장치에 의해 융착되는 손잡이의 앞판(M21)의 앞, 뒷면과 뒷판(M22)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접이식 경량 박스의 일측면(M10)(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성형판(M10)이라고 지칭하도록 함)은 직육면체 형태의 접이식 경량 박스에서 일측벽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형성된 사각 판넬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형판(M10)은 알루미늄과 같은 강도와 강성이 형성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형판(M10)은 상부측에 좌우대칭으로 2 개의 홈(M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성형판(M10)에 형성된 2 개의 홈(M10a)은 손잡이(M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이 될 수 있다. 손잡이(M20)가 결합되는 홈(M10a)은 사각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M2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형판(M10)에 결합되는 손잡이(M20)는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돌출부(M21c)와 복수개의 융착돌기(M21d)가 형성된 앞판(M21)과,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사각 판으로 형성된 뒷판(M2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판(M21)은 성형판(M10)이 안착선반(100)에 배치되기전에 배치되어 알루미늄박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앞판(M21)은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홈(M21a)과 상측에 절반의 비율을 차지하는 단홈(M21b) 및 단홈(M21b)의 반대측에 절반의 비율로 형성되는 돌출부(M21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판(M21)의 반대측면에는 복수개의 융착돌기(M21d)가 형성될 수 있다. 융착돌기(M21d)는 앞판(M21)의 전체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융착돌기(M21d)는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뒷판(M22)과 끼워져 소정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뒷판(M22)은 앞판(M21)에 형성된 융착돌기(M21d)와 대응되는 위치에 융착돌기홀(M22a)이 형성된 사각판이 될 수 있다. 뒷판(M22)은 성형판(M10)이 안착선반(100)에 배치된 후 앞판(M21)의 융착돌기(M21d)에 융착돌기홀(M22a)이 끼워지도록 조립 및 배치되어 알루미늄박스로 완성될 경우 박스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안착선반(100)은 박스안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박스안착부(110)는 알루미늄박스의 일측이 성형되기 위해 안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박스안착부(110)는 상부면이 평평한 선반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박스안착부(110)는 성형판(M10)이 안착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박스안착부(110)는 좌우측의 상하부가 돌출된 단부가 형성되어 'ㅍ'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박스안착부(110)의 중심부분에 형성된 'ㅁ'형태의 공간(110a)의 폭은 도면과 같이 안착되는 성형판(M10)보다 작은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박스안착부(110)에 성형판(M10)이 안착될 경우 돌출된 양 끝단의 중심부는 박스안착부(11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공정이 끝난 알루미늄박스를 이송할 경우 박스안착부(110)에 접촉되지 않은 지점을 그립할 수 있어 운반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박스안착부(110)는 복수개의 고정블럭(120)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블럭(120)은 손잡이가 성형되는 성형판(M10)의 일측에 접촉되어 위치를 고정하기위해 배치되는 블럭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블럭(120)은 박스안착부(110)의 상하 및 좌우측에 배치되어 성형판(M10)의 외곽형태와 대응되는 사각의 경계를 구획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박스안착부(110)는 상부에 대칭형태로 손잡이세팅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세팅부(13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손잡이세팅부(130)은 알루미늄박스에 결합되는 손잡이가 성형되도록 안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세팅부(130)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내열성과 강도가 형성되는 재질이 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세팅부(130)는 손잡이(M2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세팅부(130)는 가압면(13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면(131)은 손잡이세팅부(130)의 전체형상을 형성하는 평탄한 면으로 형성된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압면(131)은 손잡이(M20)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되어 손잡이(M20)보다 소정 큰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세팅부(130)는 가압면(131)의 일측에 손잡이고정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고정홈(132)은 앞판(M21)에 형성된 돌출부(M21c)와 대응되는 형태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고정홈(132)은 가압면(131)에 형성된 직육면체형태의 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고정홈(132)은 앞판(M21)의 돌출부(M21c)가 삽입되어 성형판(M10)과 결합되는 공정에서 유동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손잡이융착부(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융착부(200)는 안착선반(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손잡이(M20)의 일측이 가열 가압되도록 융착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융착부(200)는 하부에 배치되는 압착판(211) 및 압착판(211)의 상측에 적층형태로 배치되는 냉각판(212)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압착냉각판(210)과, 압착냉각판(210)과 상부에는 복수개의 쇼크업쇼버(210b)의 연결형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융착폴(221)이 하부에 형성되는 융착블럭(220)과, 융착블럭(220)의 상측에 접촉되어 배치되어 복수개의 알루미늄 박판이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방열판(230)과, 방열판(23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동작이 형성되도록 작동되는 실린더(250)가 결합되는 실린더연결블럭(240); 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손잡이융착부(200)는 압착냉각판을 포함할 수 있다.
압착냉각판(210)은 손잡이융착부(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손잡이(M20)의 뒷판(M22)의 외곽둘레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판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착냉각판(210)은 압착판(211) 및 냉각판(212)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착냉각판(210)의 하부 및 좌우측에는 복수개의 쇼크업쇼버(210b)가 배치될 수 있다. 쇼크업쇼버(210b)는 스프링과 같은 완충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쇼크업쇼버(210b)는 일부가 압착냉각판(210)의 좌우측 상부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쇼크업쇼버(210b)는 압착냉각판(210)의 하강위치에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다라, 압착냉각판(210)은 승하강 작동중에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착냉각판(210)에 포함되는 압착판(211)은 하부에 손잡이(M20)와 직접접촉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압착판(211)은 스테인리스 소재와 같은 손잡이세팅부(1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착냉각판(210)에 포함되는 냉각판(212)은 압착판(211)과 동일한 재질 또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 판이 될 수 있다. 냉각판(212)은 압착판(211)의 상측에 배치되어 열융착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는 판이 될 수 있다.
도 5는 냉각판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냉각판(212)은 냉각수유입호스(212a)가 외부에서 투입되어 일부분이 내부에 매립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냉각수유입호스(212a)는 냉각판(212)의 외부에서 투입되어 냉각판(212)에 파형곡선의 형태로 일측이 매립될 수 있다. 또한, 냉각수유입호스(212a)는 투입된 반대측면에 냉각수유입호스(212a)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냉각판(212)내부에 파형형태의 순환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수유입호스(212a)는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일측이 펌프와 탱크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수유입호스(212a)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순환되어 열융착과정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판(212)에서 냉각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손잡이융착부(200)는 융착블럭(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융착블럭(220)은 복수개의 융착폴(221)이 하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되어 융착공정을 수행하는 부품이 될 수 있다. 융착폴(221)은 손잡이(M20)의 융착돌기(M21d)를 가압 및 융착하여 원형형태로 성형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융착폴(221)은 융착돌기(M21d)와 대응되는 개수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융착폴(221)은 소정길이의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끝단이 구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손잡이융착부(200)는 융착블럭(220)의 상부에 방열판(230)이 배치될 수 있다. 방열판(230)은 얇은 알루미늄박판(231) 및 직육면체형태의 복수개의 지지대(232)가 교번적으로 배치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열판(230)은 하측에 접촉된 융착블럭(220)의 냉각속도를 빠르게 하여 융착폴(221)의 주변에 열이 가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방열판(230)의 상측에는 실린더연결블럭(240)이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연결블럭(240)은 방열판(230)과 연결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연결블럭(240)은 상측에 배치되어 손잡이융착부(200)의 전체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작되는 실린더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241)에 의해 전달된 힘은 실린더연결블럭(240)으로 전달되어 손잡이융착부(200)의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6을 참조하면, 먼저 손잡이(M20)의 앞판(M21)은 손잡이세팅부(13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성형판(M10)은 앞판(M21)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먼저 박스안착부에 배치된 앞판(M21)에 맞춰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성형판(M10)의 위에는 뒷판(M22)이 앞판(M21)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뒷판(M22)은 앞판에 형성된 융착돌기(M21d)가 융착돌기홀(M22a)에 삽입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손잡이(M20)와 성형판(M10)은 손잡이융착부(200)의 하강이동과 함께 융착공정되어 융착돌기(M21d)는 뒷판(M22)의 일측에서 원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M20)는 성형판(M10)에 고정 및 지지되어 접이식 경량 박스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공정이 완료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는 안착선반에 의해 고정되는 접이식 경량 박스를 손잡이융착부(200)의 상하이동 및 융착동작으로 손잡이 결합공정이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안착선반 110 : 박스안착부
120 : 고정블럭 130 : 손잡이세팅부
131 : 가압면 132 : 손잡이고정홈
200 : 손잡이융착부 210 : 압착냉각판
210a : 압착면 210b : 쇼크업쇼버
220 : 융착블럭 221 : 융착폴
230 : 방열판 240 : 실린더연결블럭
241 : 실린더 M10 : 성형판
M20 : 손잡이 M21 : 앞판
M21c : 돌출부 M21d : 융착돌기
M22 : 뒷판

Claims (5)

  1. 접이식 경량 박스의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성형판(M10)이 안착되는 소정면적으로 형성된 안착선반(100); 및
    상기 안착선반(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손잡이(M20)의 일측이 가열 및 가압되어 융착결합되도록 상하 이동되는 손잡이융착부(200); 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융착부(200)는
    하부에 배치되어 평탄한 압착면(210a)이 하측에 형성되는 압착냉각판(210);
    상기 압착냉각판(210)과 복수개의 쇼크업쇼버(210b)가 연결되며 하부에 복수개의 융착폴(221)이 형성되는 융착블럭(220);
    상기 융착블럭(220)의 상측에 접촉되어 배치되어 복수개의 알루미늄 박판이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방열판(230); 및
    상기 방열판(23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동작이 형성되도록 작동되는 실린더(241)가 결합되는 실린더연결블럭(240); 을 포함하는 접이식 경량 박스손잡이 융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선반(100)은
    상부면이 평평한 선반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성형판(M10)이 안착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어 좌우측의 상하부가 돌출되어 'ㅍ'의 형태로 형성되는 박스안착부(110);
    상기 박스안착부(110)의 상하 및 좌우 측에 복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성형판(M10)의 외곽 형태와 대응되는 사각의 경계가 구획되는 고정블럭(120); 및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M20)가 성형되도록 안착되는 손잡이세팅부(130); 을 포함하는 접이식 경량 박스 손잡이 융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세팅부(130)는
    전체형상을 형성하고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는 가압면(131); 및
    상기 손잡이(M20)가 고정되는 손잡이고정홈(132); 을 포함하는 접이식 경량 박스 손잡이 융착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손잡이(M20)는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돌출부(M21c)와 복수개의 융착돌기(M21d)가 형성된 앞판(M21)과,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사각 판으로 형성된 뒷판(M22)으로 형성되는 접이식 경량 박스 손잡이 융착장치.
KR1020220003777A 2022-01-11 2022-01-11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 KR102495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777A KR102495479B1 (ko) 2022-01-11 2022-01-11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777A KR102495479B1 (ko) 2022-01-11 2022-01-11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479B1 true KR102495479B1 (ko) 2023-02-06

Family

ID=8522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777A KR102495479B1 (ko) 2022-01-11 2022-01-11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47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800A (ko) * 1998-06-01 2000-01-25 매클린토크 샤운 엘 고품위텔레비전비디오포맷의자동검출방법및그장치
KR200240039Y1 (ko) * 2001-05-04 2001-10-12 이선주 상자의 손잡이 커버판
KR100616265B1 (ko) * 2005-03-30 2006-11-23 김기석 고주파 융착법에 의하여 설계 제작된 다용도 박스 및 그제조방법
KR20120095597A (ko) * 2011-02-21 2012-08-29 김재홍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KR20140091370A (ko) 2013-01-11 2014-07-21 트라이월코리아주식회사 조립식 컨테이너박스의 접힘장치
KR101808194B1 (ko) * 2017-06-15 2018-01-18 (주)하이테크놀로지 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KR102194383B1 (ko) * 2020-06-02 2020-12-23 이윤상 합성수지 박스 열융착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800A (ko) * 1998-06-01 2000-01-25 매클린토크 샤운 엘 고품위텔레비전비디오포맷의자동검출방법및그장치
KR200240039Y1 (ko) * 2001-05-04 2001-10-12 이선주 상자의 손잡이 커버판
KR100616265B1 (ko) * 2005-03-30 2006-11-23 김기석 고주파 융착법에 의하여 설계 제작된 다용도 박스 및 그제조방법
KR20120095597A (ko) * 2011-02-21 2012-08-29 김재홍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KR20140091370A (ko) 2013-01-11 2014-07-21 트라이월코리아주식회사 조립식 컨테이너박스의 접힘장치
KR101808194B1 (ko) * 2017-06-15 2018-01-18 (주)하이테크놀로지 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KR102194383B1 (ko) * 2020-06-02 2020-12-23 이윤상 합성수지 박스 열융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479B1 (ko)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
JP6127524B2 (ja) 電池パック
CN112788914A (zh) 散热装置及散热系统
KR100516185B1 (ko) 열융착기
GB2353242A (en) A die set for welding U-shaped cooling fins to a base plate
JPH06179448A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用金型
JP6123299B2 (ja) 電池パック及び産業車両
KR100355298B1 (ko) 열교환기의 지지장치
CN212019885U (zh) 一种点焊机
CN211518527U (zh) 一种冷却塔填料热熔焊接机
CN210996638U (zh) 调角器椅座联接板表面止位圆弧开孔装置
CN110509495B (zh) 一种多工位控温注塑机
CN210723245U (zh) 电池侧封封装机构
CN209972925U (zh) 一种气动封口机
JP5650557B2 (ja) 中空板材の折り曲げ用溝加工装置及び中空板材の折り曲げ用溝加工方法
CN216033454U (zh) 一种可快速降温的零部件加工雕刻机
CN210802116U (zh) 先进铸锻交错叠加式散热器
CN213731800U (zh) 一种助力机械手用夹紧装置
CN214926214U (zh) 一种汽车前保险杠用模具
JP4365674B2 (ja) 樹脂成形用治具
CN218423801U (zh) 大行程流体分配作业装置用框架
JPH08164536A (ja) 射出成形装置並びにその射出ユニット及び型締ユニット
CN218366841U (zh) 一种pp片材的层组结构及生产设备
CN218311121U (zh) 一种连续式切割机
CN217047523U (zh) 一种带固定结构的熔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