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597A -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597A
KR20120095597A KR1020110015014A KR20110015014A KR20120095597A KR 20120095597 A KR20120095597 A KR 20120095597A KR 1020110015014 A KR1020110015014 A KR 1020110015014A KR 20110015014 A KR20110015014 A KR 20110015014A KR 20120095597 A KR20120095597 A KR 20120095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transfer
cylinder
gri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191B1 (ko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김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홍 filed Critical 김재홍
Priority to KR1020110015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19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50/86Forming integral handles; Attaching separat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65D25/2826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upper (top) wall, e.g.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24Straps used as handles with anchoring elements fixed in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편이 포장박스에 형성된 삽입구에 끼워져 포장박스에 결합되는 포장박스용 손잡이를 자동으로 포장박스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박스 제작 과정에서 포장박스에의 손잡이 결합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박스 손잡이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A)는,
호퍼(11)의 수용공간 내에 컨베이어(12)가 마련된 손잡이 공급부(10)와;
상기 손잡이 공급부(10) 하부에 위치하면서, 나선구간(21a)으로부터 이어지는 선단이 직선구간(21b)으로 된 피더(21)가 마련된 손잡이 정렬부(20)와;
상기 손잡이 정렬부(20) 전방에 위치하면서, 피더(21)로부터의 손잡이(100)를 수용하는 안착대(31)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대(31)상에 회전실린더(32)가 마련된 손잡이 회전부(30)와;
상기 손잡이 회전부(30) 일측 후방에 위치하면서, 손잡이 회전부(30)로부터의 손잡이(100)를 이송플레이트(42)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실린더(41)가 마련된 손잡이 이송부(40)와;
상기 손잡이 이송부(40) 전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이송플레이트(42)에 위치하는 손잡이(100)를 회전거치대(53)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실린더(51)가 마련된 손잡이 거치부(50)와;
상기 손잡이 거치부(50) 전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회전거치대(53)상에 거치된 손잡이(100)를 포장박스(200)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실린더(61)가 마련되고, 제3이송실린더(61) 전방에 가이드(63)가 마련된 손잡이 결합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grip combination apparatus for packing box }
본 발명은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단부의 걸림편이 포장박스상의 삽입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포장박스용 손잡이를 포장박스에 자동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박스 제작 과정에서 포장박스에의 손잡이 결합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박스 손잡이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 음료 등의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박스에는 파지의 편의를 위한 손잡이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포장박스 손잡이는 과거 포장박스 상단 일부가 접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포장박스 상단 일부가 접혀 이루어지는 포장박스 손잡이는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는 하였으나,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조공장 인력 또는 판매업소의 인력 또는 구매자가 직접 포장박스 상단을 정해진 방식으로 접어야만 했으므로 사용에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고, 종이로 된 특성상 내구성이 취약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미쳤을 때 손잡이가 쉽게 파손되었으므로 자칫 이동중에 곤란함을 겪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최근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편이 포장박스상에 형성된 삽입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합성수지제 포장박스용 손잡이가 다양한 종류의 포장박스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제 포장박스용 손잡이는 애초 포장박스 제작 과정에서 결합되어 나오는 것이어서 판매업소 인력 또는 구매자가 별다른 작업을 행하지 않더라도 즉시 활용할 수 있는 것이었으므로 사용이 간편한 것일 뿐만 아니라 재질의 특성상 견고하므로 이동중에 손잡이 파손으로 인한 곤란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의 합성수지제 포장박스용 손잡이는 판매업소 인력 또는 구매자에게는 편한 반면, 포장박스 제조업체 측에서는 포장박스 제작 과정에서 손잡이를 일일이 포장박스에 결합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했으므로 포장박스에의 손잡이 결합에 상당한 인력과 시간을 소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포장박스 제작 업체에서는 포장박스에의 손잡이 결합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를 갈망하고 있으나, 현재까지에는 포장박스용 손잡이를 포장박스에 자동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포장박스 제작 업체에서는 여전히 상당한 인력과 시간을 들여 수작업으로 포장박스에의 손잡이 결합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양단부의 걸림편이 포장박스상의 삽입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포장박스용 손잡이를 포장박스에 자동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박스 제작 과정에서 포장박스에의 손잡이 결합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호퍼가 마련되고, 호퍼의 수용공간 내에 호퍼 외부로 이어지는 컨베이어가 마련된 손잡이 공급부와;
상기 손잡이 공급부의 컨베이어 선단 하부에 위치하면서, 나선구간으로부터 이어지는 선단이 직선구간으로 된 피더가 마련된 손잡이 정렬부와;
상기 손잡이 정렬부 전방에 위치하면서, 피더로부터의 손잡이를 수용하는 안착대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대상에 안착대를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가 마련된 손잡이 회전부와;
상기 손잡이 회전부 일측 후방에 위치하면서, 손잡이 회전부로부터의 손잡이를 이송플레이트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실린더가 마련된 손잡이 이송부와;
상기 손잡이 이송부 전방에 위치하면서, 손잡이 이송부의 이송플레이트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거치홈이 형성된 회전거치대 상단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실린더가 마련된 손잡이 거치부와;
상기 손잡이 거치부 전방에 위치하면서, 손잡이 거치부의 회전거치대상에 거치된 손잡이를 포장박스를 향해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실린더가 마련되고, 제3이송실린더 전방에 손잡이의 굴곡 형성을 위한 가이드가 마련된 손잡이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는, 손잡이 공급부를 통해 손잡이의 연속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손잡이 정렬부를 통해 연속 공급되는 손잡이의 자동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손잡이 회전부를 통해 안착대상에 안착된 손잡이의 자동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손잡이 이송부를 통해 회전 완료된 손잡이의 자동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손잡이 거치부를 통해 이송 완료된 손잡이의 자동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손잡이 결합부를 통해 거치상태로부터의 손잡이와 연속 공급되는 포장박스의 자동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관리에 필요한 소수의 인원만으로도 포장박스 제작 과정에서 포장박스에의 손잡이 결합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에서 손잡이 공급부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에서 손잡이 정렬부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에서 손잡이 회전부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에서 손잡이 이송부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에서 손잡이 거치부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에서 손잡이 결합부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를 통해 손잡이와 포장박스가 결합된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에서 손잡이 이송부 이후 구간이 2개의 라인으로 된 예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에서 손잡이 거치부의 회전거치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에서 손잡이 결합부의 가이드 승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A)는 손잡이 공급부(10)와, 손잡이 정렬부(20)와, 손잡이 회전부(30)와, 손잡이 이송부(40)와, 손잡이 거치부(50)와, 손잡이 결합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 공급부(10)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호퍼(11)가 마련된 것이고, 상기 호퍼(11)의 수용공간 내에 호퍼(11) 외부로 이어지는 컨베이어(12)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손잡이 공급부(10)에서 호퍼(11)의 수용공간 내측에 위치하는 컨베이어(12) 일단은 호퍼(11)의 수용공간 하부에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 공급부(10)에서 호퍼(11)의 수용공간 내측에 위치하는 컨베이어(12) 일단이 호퍼(11)의 수용공간 하부에 인접하는 것임으로써 호퍼(11) 하부에 위치하는 손잡이(100)까지도 컨베이어(12)를 통해 이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손잡이 공급부(10)에서 호퍼(11) 자체와 컨베이어(12) 자체는 통상적인 것이므로 구조 및 작동 원리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손잡이 정렬부(20)는 손잡이 공급부(10)의 컨베이어(12) 선단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면서, 나선구간(21a)으로부터 이어지는 선단이 직선구간(21b)으로 된 피더(21)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손잡이 정렬부(20)에서 피더(21)의 직선구간(21b) 바닥면은 선단으로 향하면서 상부로 들리며 일측으로 비틀리는 것이 바람직하고, 직선구간(21b) 선단 상부에는 걸림봉(21c)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 정렬부(20)에서 피더(21)의 직선구간(21b) 바닥면이 선단으로 향하면서 상부로 들리며 일측으로 비틀림으로써 직선구간(21b)을 따라 이동하는 손잡이(100)가 눕혀진 상태로부터 점차로 세워질 수 있게 되고, 직선구간(21b) 선단 상부에 걸림봉(21c)이 마련됨으로써 손잡이(100)가 점차로 세워지는 과정에서 손잡이(100) 상부의 걸림편(110)이 걸림봉(21c)에 걸리게 되므로 직선구간(21b)을 통과한 손잡이(100)는 걸림봉(21c)에 걸려 세워진 채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손잡이 정렬부(20)에서 피더(21)는 진동자(도면상 미도시)에 의해 진동하는 것이다.
손잡이 정렬부(20)에서 피더(21)가 진동자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피더(21) 내에서의 손잡이(100)가 진행하며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진동자는 통상의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손잡이 회전부(30)는 손잡이 정렬부(20)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면서, 피더(21)로부터의 손잡이(100)를 수용하는 안착대(31)가 마련된 것이고, 상기 안착대(31)상에 안착대(31)를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32)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손잡이 회전부(30)에서 안착대(31)에는 세워진 상태의 손잡이(100) 형태에 상응하는 안착홈(31a)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 회전부(30)에서 안착대(31)에 세워진 상태의 손잡이(100) 형태에 상응하는 안착홈(31a)이 마련됨으로써 손잡이 정렬부(20)의 피더(2)로부터의 손잡이(100)가 안착홈(31a)에 끼워지며 세워진 채로 안착대(31)상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 회전부(30)에서 회전실린더(32)는 90° 승강 회전과 90° 하강 회전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 회전부(30)에서 회전실린더(32)가 90° 승강 회전과 90° 하강 회전이 가능한 것임으로써 안착대(31) 및 안착대(31)상에 안착된 손잡이(100)가 세워진 상태로부터 눕혀질 수 있게 되고, 눕혀진 이후 다시 세워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손잡이 회전부(30)에서 안착대(31)에는 1개 또는 2개의 손잡이(100)가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 이송부(40)는 손잡이 회전부(30) 일측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면서, 손잡이 회전부(30)로부터의 손잡이(100)를 이송플레이트(42)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실린더(41)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손잡이 이송부(40)에서 제1이송실린더(41)의 로드(41a) 선단에는 손잡이(100) 측면에 접하도록 된 접지편(41b)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 이송부(40)에서 제1이송실린더(41)의 로드(41a) 선단에 손잡이(100) 측면에 접하도록 된 접지편(41b)이 마련됨으로써 제1이송실린더(41)의 로드(41a)가 전진할 때 접지편(41b)을 통해 손잡이 회전부(30)로부터의 손잡이(100)를 전방으로 밀어 이송플레이트(42)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손잡이 이송부(40)에서 이송플레이트(42)의 후방 단부는 분리형으로 된 것이고, 분리형으로 된 이송플레이트(42) 후방 단부는 로드(43a)가 측방향으로 진행하는 보조실린더(43)에 연결된 것이다.
손잡이 이송부(40)에서 이송플레이트(42)의 후방 단부가 분리형으로 되고, 분리형으로 된 이송플레이트(42) 후방 단부에 로드(43a)가 측방향으로 진행하는 보조실린더(43)에 연결됨으로써 이송플레이트(42)에 2개의 손잡이(100)가 놓여졌을 때 2개의 손잡이(100) 중에서 후방 1개의 손잡이(100)가 이송플레이트(42) 후방 단부와 함께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 거치부(50)는 손잡이 이송부(40)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면서, 손잡이 이송부(40)의 이송플레이트(42)에 위치하는 손잡이(100)를 거치홈(53a)이 형성된 회전거치대(53) 상단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실린더(51)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손잡이 거치부(50)에서 제2이송실린더(51)의 로드(51a) 선단에는 승하강실린더(5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승하강실린더(52)의 로드(52a) 선단에는 돌출편(52b)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 거치부(50)에서 제2이송실린더(51)의 로드(51a) 선단에 승하강실린더(52)가 마련되고, 승하강실린더(52)의 로드(52a) 선단에 돌출편(52b)이 마련됨으로써 하강된 승하강실린더(52)의 로드(52a) 선단에 마련된 돌출편(52b)이 손잡이 이송부(40)의 이송플레이트(42)에 위치하는 손잡이(100)에 걸린 상태에서 제2이송실린더(51)의 로드(51a)가 전진함에 따라 이송플레이트(42)상의 손잡이(100)를 회전거치대(53) 상단의 거치홈(53a)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손잡이 거치부(50)에서 회전거치대(53)는 거치홈(53a)이 형성된 양 측판(53')의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54)이 모터(55) 구동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전체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 결합부(60)는 손잡이 거치부(50)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면서, 회전거치대(53)상에 거치된 손잡이(100)를 포장박스(200)를 향해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실린더(61)가 마련된 것이고, 제3이송실린더(61) 전방에 손잡이(100)의 굴곡 형성을 위한 가이드(63)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손잡이 결합부(60)에서 제3이송실린더(61)의 로드(61a) 선단에는 'U'자형 삽입홈(62a)이 형성된 지지구(6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이드(63)는 제3이송실린더(61)의 지지구(62)에 형성된 삽입홈(62a)에 일치하는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 결합부(60)에서 제3이송실린더(61)의 로드(61a) 선단에 'U'자형 삽입홈(62a)이 형성된 지지구(62)가 마련되고, 가이드(63)가 제3이송실린더(61)의 지지구(62)에 형성된 삽입홈(62a)에 일치하는 형태로 됨으로써 제3이송실린더(61)의 로드(61a)가 전진할 때 지지구(62)와 가이드(63) 사이에 끼이는 손잡이(100)가 'U'자형으로 굴곡을 이룰 수 있게 되므로 전방 양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100) 양단의 걸림편(110)이 포장박스(200)의 삽입구(210)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손잡이 결합부(60)에서 가이드(63)는 가이드실린더(64)에 의해 승하강하는 것이다.
손잡이 결합부(60)에서 가이드(63)가 가이드실린더(64)에 의해 승하강하는 것임으로써 손잡이(100)가 굴곡을 이룬 이후 가이드(63)가 하강하였을 때 제3이송실린더(61)의 지지구(62)가 손잡이(100)를 지지한 채로 포장박스(200)를 향해 더 전진할 수 있게 되므로 손잡이(100)와 포장박스(2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이드(63)는 손잡이(100)가 포장박스(200)에 결합된 이후 제3이송실린더(61)의 로드(61a)가 후진할 때 이전의 위치로 상승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A)를 통한 포장박스(200)에의 손잡이(100) 결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잡이(100)는 손잡이 공급부(10)를 통해 연속 공급된다.
손잡이 공급부(10)의 호퍼(11)에는 컨베이어(12)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호퍼(11)에 저장된 손잡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2)를 타고 이동하여 손잡이 정렬부(20)로 연속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손잡이 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된 손잡이(100)는 손잡이 정렬부(20)에서 정렬된다.
손잡이 정렬부(20)는 손잡이 공급부(10)의 컨베이어(12) 선단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어서 컨베이어(12)로부터 낙하하는 손잡이(100)는 손잡이 정렬부(20)에 마련된 피더(21)의 나선구간(21a)에 투입될 수 있게 되는데, 피더(21)는 진동자로부터의 진동이 미치는 상태에 있는 것이므로 피더(21)의 나선구간(21a)으로 투입된 손잡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에 의해 나선구간(21a)을 따라 진행하며 열을 이뤄 직선구간(21b)으로 향하게 된다.
이때, 피더(21)의 직선구간(21b) 바닥은 선단으로 향하면서 상부로 들리며 일측으로 비틀려진 것이고, 선단의 상부에 걸림봉(21c)이 마련된 것이어서 직선구간(21b)에서 진행하는 손잡이(100)는 누운 상태로부터 점차로 세워지며 상측 걸림편(110)이 걸림봉(21c)에 걸리게 되므로 직선구간(21b)을 통과한 손잡이(100)는 걸림봉(21c)에 걸려 세워진 채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손잡이(100)의 각 걸림편(110)은 양단부가 라운드로 된 것이어서 피더(21)의 나선구간(21a) 내에서 진동이 미치며 세워질 때 걸림편(110)의 라운드부위가 바닥에 접하게 되는 뒤집힌 상태나 모로 누운 상태가 될 수 없으므로 피더(21)의 직선구간(21b) 선단을 향하는 손잡이(100)는 모두 바로 누운 채로 진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손잡이 정렬부(20)를 통해 정렬된 손잡이(100)는 손잡이 회전부(30)에서 수직상태로부터 수평상태로 전환된다.
손잡이 회전부(30)는 손잡이 정렬부(20)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고, 손잡이 회전부(30)의 안착대(31)에는 세워진 상태의 손잡이(100) 형태에 상응하는 안착홈(31a)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피더(21)의 직선구간(21b)을 통과한 손잡이(100)는 안착대(31)의 안착홈(31a) 내에 세워진 채로 끼워지게 된다.
이때, 안착대(31)에는 회전실린더(32)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손잡이(100)가 안착대(31)의 안착홈(31a)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실린더(32)가 작동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대(31)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안착대(31)는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손잡이 회전부(30)에서 회전된 손잡이(100)는 손잡이 이송부(40)에서 이송된다.
손잡이 이송부(40)는 손잡이 회전부(30) 일측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어서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된 손잡이 회전부(30)의 안착대(31)는 손잡이 이송부(4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이송부(40)에 마련된 제1이송실린더(41)의 로드(41a)가 전진하게 되면 로드(41a) 선단의 접지편(41b)이 안착대(31)의 안착홈(31a) 내에 끼워진 손잡이(100)를 전방으로 밀게 되어 안착대(31)로부터 밀려나오는 손잡이(100)가 손잡이 회전부(30)의 전방에 위치하는 이송플레이트(42)에 놓이게 되고, 이후 제1이송실린더(41)의 로드(41a)가 더 전진함에 따라 손잡이(100)은 이송플레이트(42) 중간부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손잡이 이송부(40)에서 이송된 손잡이(100)는 손잡이 거치부(50)에서 거치된다.
손잡이 거치부(50)는 손잡이 이송부(40)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어서 제2이송실린더(51)의 로드(51a)가 전진하며 승하강실린더(52)의 로드(52a)가 하강하게 되면 승하강실린더(52)의 로드(52a) 선단에 마련된 돌출편(52b)에 이송플레이트(42)에 놓인 손잡이(100)가 걸려 손잡이(100)가 이송플레이트(42) 전방의 회전거치대(53) 상단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데, 회전거치대(53)의 양 측판(53')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거치홈(53a)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2이송실린더(51)와 승하강실린더(52) 작동에 의해 손잡이(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거치대(53) 상단으로 이동하여 거치홈(53a)상에 거치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손잡이 거치부(50)에서 거치된 손잡이(100)는 손잡이 결합부(60)에서 포장박스(200)에 결합된다.
손잡이 결합부(60)에서 제3이송실린더(61)는 손잡이 거치부(50)의 회전거치대(53) 내측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어서 회전거치대(53)상에 거치된 손잡이(100)가 회전거치대(53) 회전에 의해 제3이송실린더(61)의 로드(61a)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3이송실린더(61)의 로드(61a)가 전진하게 되면 손잡이(100)는 제3이송실린더(61)의 로드(61a) 선단에 마련된 지지구(62)와 가이드(63)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때, 제3이송실린더(61)의 로드(61a) 선단에 마련된 지지구(62)에는 'U'자형 삽입홈(62a)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63)는 상기 지지구(62)의 삽입홈(62a)에 일치하는 형태로 된 것이므로 지지구(62)와 가이드(63) 사이에 끼이는 손잡이(100)는 'U'자형 형태로 굴곡을 이루게 되는데, 가이드(6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실린더(64)에 의해 승하강 가능한 것이어서 손잡이(100)가 'U'자형 형태로 굴곡을 이룬 상태에서 가이드(63)가 가이드실린더(64)에 의해 하강하고 제3이송실린더(61)의 로드(61a)가 더 전진하게 되면 손잡이(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62) 내에서 'U'자형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양단의 걸림편(110)이 포장박스(200)에 형성된 삽입구(210)에 삽입될 수 있게 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200)에의 손잡이(100)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A)에서 손잡이 이송부(40), 손잡이 거치부(50), 손잡이 결합부(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라인으로 운용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손잡이 회전부(30)의 안착대(31)는 2개의 손잡이(100)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고, 손잡이 이송부(40)의 이송플레이트(42) 후방 단부는 분리형으로 된 것이므로 분리형으로 된 이송플레이트(42) 후방 단부에 놓이는 손잡이(100)를 보조실린더(43)로써 다른 손잡이 이송부(40)의 이송플레이트(42)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다른 손잡이 이송부(40)를 통해서도 손잡이(100)를 이송할 수 있게 되므로 다른 손잡이 이송부(40) 전방에 마련되는 다른 손잡이 거치부(50)를 통해 손잡이를 거치할 수 있게 되고, 다른 손잡이 결합부(60)를 통해 손잡이(100)를 포장박스(200)에 결합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A)에서 손잡이 이송부(40), 손잡이 거치부(50), 손잡이 결합부(60)를 이중 라인으로 운용할 수 있어 포장박스(200)에의 손잡이(100) 결합 작업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A)에서 손잡이 결합부(60)로 공급되는 포장박스(200)는 컨베이어(220)를 통해 공급되는 것이고, 손잡이(100) 결합과정에서 포장박스(200) 배면은 회전롤(2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손잡이 결합부(60)로 공급되는 포장박스(200)가 컨베이어(220)를 통해 공급됨으로써 포장박스(200)에의 손잡이(100) 결합 작업을 연속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고, 손잡이(100) 결합과정에서 포장박스(200) 배면이 회전롤(23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손잡이(100)가 포장박스(200)에 결합될 때 포장박스(200)가 컨베이어(220)상에서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손잡이 공급부 11 : 호퍼
12 : 컨베이어 20 : 손잡이 정렬부
21 : 피더 21a : 나선구간
21b : 직선구간 21c : 걸림봉
30 : 손잡이 회전부 31 : 안착대
31a : 안착홈 32 : 회전실린더
40 : 손잡이 이송부 41 : 제1이송실린더
41a : 로드 41b : 접지편
42 : 이송플레이트 43 : 보조실린더
43a : 로드 50 : 손잡이 거치부
51 : 제2이송실린더 51a : 로드
52 : 승하강실린더 52a : 로드
52b : 돌출편 53 : 회전거치대
53' : 측판 53a : 거치홈
54 : 회전축 55 : 모터
60 : 손잡이 결합부 61 : 제3이송실린더
61a : 로드 62 : 지지구
62a : 삽입홈 63 : 가이드
64 : 가이드실린더 100 : 손잡이
110 : 걸림편 200 : 포장박스
210 : 삽입구 220 : 컨베이어
230 : 회전롤 A : 손잡이 결합장치

Claims (7)

  1.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호퍼(11)가 마련되고, 호퍼(11)의 수용공간 내에 호퍼(11) 외부로 이어지는 컨베이어(12)가 마련된 손잡이 공급부(10)와;
    상기 손잡이 공급부(10)의 컨베이어(12) 선단 하부에 위치하면서, 나선구간(21a)으로부터 이어지는 선단이 직선구간(21b)으로 된 피더(21)가 마련된 손잡이 정렬부(20)와;
    상기 손잡이 정렬부(20) 전방에 위치하면서, 피더(21)로부터의 손잡이(100)를 수용하는 안착대(31)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대(31)상에 안착대(31)를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32)가 마련된 손잡이 회전부(30)와;
    상기 손잡이 회전부(30) 일측 후방에 위치하면서, 손잡이 회전부(30)로부터의 손잡이(100)를 이송플레이트(42)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실린더(41)가 마련된 손잡이 이송부(40)와;
    상기 손잡이 이송부(40) 전방에 위치하면서, 손잡이 이송부(40)의 이송플레이트(42)에 위치하는 손잡이(100)를 거치홈(53a)이 형성된 회전거치대(53) 상단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실린더(51)가 마련된 손잡이 거치부(50)와;
    상기 손잡이 거치부(50) 전방에 위치하면서, 손잡이 거치부(50)의 회전거치대(53)상에 거치된 손잡이(100)를 포장박스(200)를 향해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실린더(61)가 마련되고, 제3이송실린더(61) 전방에 손잡이(100)의 굴곡 형성을 위한 가이드(63)가 마련된 손잡이 결합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정렬부(20)의 피더(21)는 진동자로부터의 진동에 의해 손잡이(100) 정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회전부(30)의 회전실린더(32)는 90° 승강 회전과 90° 하강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이송부(40)를 이루는 이송플레이트(42)의 후방 단부는 분리형으로 되고, 분리형으로 된 이송플레이트(2) 후방 단부는 로드(43a)가 측방향으로 진행하는 보조실린더(4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거치부(50)를 이루는 제2이송실린더(51)의 로드(51a) 선단에는 승하강실린더(52)가 마련되고, 승하강실린더(52)의 로드(52a) 선단에는 돌출편(52b)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결합부(60)를 이루는 제3이송실린더(61)의 로드(61a) 선단에는 'U'자형 삽입홈(62a)이 형성된 지지구(62)가 마련되고, 가이드(63)는 제3이송실린더(61)의 지지구(62)에 형성된 삽입홈(62a)에 일치하는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7.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호퍼(11)가 마련되고, 호퍼(11)의 수용공간 내에 호퍼(11) 외부로 이어지는 컨베이어(12)가 마련된 손잡이 공급부(10)와;
    상기 손잡이 공급부(10)의 컨베이어(12) 선단 하부에 위치하면서, 나선구간(21a)으로부터 이어지는 선단이 직선구간(21b)으로 된 피더(21)가 마련된 손잡이 정렬부(20)와;
    상기 손잡이 정렬부(20) 전방에 위치하면서, 피더(21)로부터의 손잡이(100)를 수용하는 안착대(31)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대(31)상에 안착대(31)를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32)가 마련된 손잡이 회전부(30)와;
    상기 손잡이 회전부(30) 일측 후방에 위치하면서, 손잡이 회전부(30)로부터의 손잡이(100)를 이송플레이트(42)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실린더(41)가 마련된 이중의 손잡이 이송부(40)와;
    상기 손잡이 이송부(40) 전방에 위치하면서, 손잡이 이송부(40)의 이송플레이트(42)에 위치하는 손잡이(100)를 거치홈(53a)이 형성된 회전거치대(53) 상단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실린더(51)가 마련된 이중의 손잡이 거치부(50)와;
    상기 손잡이 거치부(50) 전방에 위치하면서, 손잡이 거치부(50)의 회전거치대(53)상에 거치된 손잡이(100)를 포장박스(200)를 향해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실린더(61)가 마련되고, 제3이송실린더(61) 전방에 손잡이(100)의 굴곡 형성을 위한 가이드(63)가 마련된 이중의 손잡이 결합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KR1020110015014A 2011-02-21 2011-02-21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KR101195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014A KR101195191B1 (ko) 2011-02-21 2011-02-21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014A KR101195191B1 (ko) 2011-02-21 2011-02-21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597A true KR20120095597A (ko) 2012-08-29
KR101195191B1 KR101195191B1 (ko) 2012-10-31

Family

ID=4688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014A KR101195191B1 (ko) 2011-02-21 2011-02-21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1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94B1 (ko) * 2016-06-08 2016-11-11 박재섭 손잡이 제조장치
CN109159481A (zh) * 2018-09-25 2019-01-08 北京三弦互生包装科技有限公司 包装箱组装设备
CN109159480A (zh) * 2018-09-25 2019-01-08 北京三弦互生包装科技有限公司 组装机构及包装箱组装设备
KR102495479B1 (ko) * 2022-01-11 2023-02-06 송선영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374B1 (ko) 2019-07-15 2020-01-03 주식회사 디에스이엔지 박스 손잡이 장착장치
KR102374186B1 (ko) * 2020-08-26 2022-03-14 박준희 로봇을 이용한 박스 손잡이 장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9131B (en) 1984-05-24 1987-12-16 Grant Barbara Ann Apparatus for sorting and aligning handles for cardboard boxes and for supplying such to an insertion apparatus
KR200158756Y1 (ko) 1997-04-22 1999-10-15 윤종용 박스용 손잡이 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94B1 (ko) * 2016-06-08 2016-11-11 박재섭 손잡이 제조장치
CN109159481A (zh) * 2018-09-25 2019-01-08 北京三弦互生包装科技有限公司 包装箱组装设备
CN109159480A (zh) * 2018-09-25 2019-01-08 北京三弦互生包装科技有限公司 组装机构及包装箱组装设备
KR102495479B1 (ko) * 2022-01-11 2023-02-06 송선영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의 손잡이 융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191B1 (ko)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191B1 (ko) 포장박스용 손잡이 결합장치
CN108390236A (zh) 一种弹簧扣件的全自动组装机
CN208142517U (zh) 一种弹簧扣件的全自动组装机
KR101572837B1 (ko) 음료용기의 삽입 및 배출장치
KR101946510B1 (ko) 다목적 팬 핸들링시스템
CN109835550A (zh) 墙壁开关插座立式自动装盒机
JP6094769B2 (ja) 包装機械にチューブ状ブランク材を供給する装置と方法
CN211303911U (zh) 注液口清洁设备
JP2007000036A (ja) オガ詰め機の袋供給装置
TW201242538A (en) Brush making machine
CN209777699U (zh) 磁片供料装置
KR101721446B1 (ko) 칫솔핸들 자동정렬 공급장치
CN104444084A (zh) 筷子上漆机的自动输送装置
CN110615152B (zh) 试管自动整齐排列贴标装置
CN205376484U (zh) 硅片篮的搬运传输机构
CN213474666U (zh) 一种禽蛋离托装置
CN108538774A (zh) 一种太阳能电池片自动上料装置
JP2009045029A (ja) 室装置
JP3079424B2 (ja) 苗植機における空苗箱受け装置
CN213414427U (zh) 一种合格证自动投放机
CN220951154U (zh) 一种洗衣液生产灌装装置
CN213564660U (zh) 一种纸板桶桶底装配机构
CN215156322U (zh) 捆扎塑料袋出袋侧立机构
CN215755251U (zh) 一种小蚕供育盒码垛机
CN220097930U (zh) 一种纸箱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