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691B1 -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691B1
KR102493691B1 KR1020220078174A KR20220078174A KR102493691B1 KR 102493691 B1 KR102493691 B1 KR 102493691B1 KR 1020220078174 A KR1020220078174 A KR 1020220078174A KR 20220078174 A KR20220078174 A KR 20220078174A KR 102493691 B1 KR102493691 B1 KR 102493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unit
photographing
axi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심길
김영재
Original Assignee
밸류플러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밸류플러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밸류플러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4Mechano-optical scan, i.e. object and beam moving
    • G01N2201/1047Mechano-optical scan, i.e. object and beam moving with rotating optics and moving s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의 외관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불 판독, 차후 제품 생산 이력관리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동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게 승하강실린더가 입설되고, 상기 승하강실린더의 로드부 상단부위에 진공에 의해 흡착력을 발생하는 흡착부가 구비된 하부구동부; 상기 하부구동부의 상측부위에 고정 플레이트가 위치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흡착부가 관통하여 승하강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모바일 디바이스를 장착한 이동 플레이트가 레일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착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장착된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하부구동부에 의해 흡착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벗어나 위치하는 승강 위치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측면 및 2방향의 측면부위를 촬영하도록 위치함음 물론 상기 하부구동부의 수평방향 회전에 의해 또 다른 2방향의 측면부위를 촬영하는 촬영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Apparatus for taking a photograph of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의 외관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불 판독, 차후 제품 생산 이력관리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출시되는 다양한 모델의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품 출시 전에 다양한 테스트 및 외관 상태의 검수를 거치게 되어 양호판정을 받은 제품만을 출시하게 된다.
특히, 소비자들이 제품 구매시 가장 먼저 접하는 외관 상태에 대해서도 엄격한 판정 기준이 적용되고 있는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생산과정 중에 케이스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 찍힘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외관의 양불 상태 확인은 주로 작업자의 육안 판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육안 판정은 작업자의 판정 숙련도에 따라 그 정확도가 크게 달라지므로, 균일한 판정 정확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외관 전체를 촬영하고, 이를 영상인식 등에 의해 결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일예로서, 등록특허 제10-1736458호(케이스용 미세 결점 검사 장비)에서는, 다관절 로봇이 케이스를 카메라가 위치하는 틸팅 스테이지로 이동시켜 장착시키게 되고, 틸팅 스테이지가 틸팅 구동하게 되면, 카메라가 틸팅 스테이지에 장착된 케이스의 외관을 촬영하게 된다.
촬영이 완료된 후 양불 판정이 이루어지면, 다시 다관절 로봇이 케이스를 배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관절 로봇은 매우 고가이고, 또한 다관절 로봇의 운동 범위가 커질 수 밖에 없어서 전체 장비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설치 공간적인 측면에서 결코 유리하지 못하다.
또 다른 예로서, 등록특허 제10-1111272호(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는 이송벨트 상에서 이송되는 전자기기 케이스를 복수의 카메라가 전후좌우 그리고 상부면을 촬영하게 되는데, 이는 이송벨트에 의해 검사장치가 복잡한 구성을 가지면서 그 크기가 커질뿐만 아니라, 전후좌우 상부면을 촬영하기 위하여 적어도 5대 이상의 카매라가 구비되어야 하고, 또한 이송중에 전자기기 케이스를 촬영하게 되므로 촬영중심부와 전자기기 케이스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하기가 매우 어려워 아웃 포커싱 또는 일부분만 촬영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6458호
(케이스용 미세 결점 검사 장비)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1272호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매우 간단하고 소형화된 구조에 의한 제조비용의 절감, 정확한 위치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다양한 크기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촬영도 가능하도록 한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는,
동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게 승하강실린더가 입설되고, 상기 승하강실린더의 로드부 상단부위에 진공에 의해 흡착력을 발생하는 흡착부가 구비된 하부구동부;
상기 하부구동부의 상측부위에 고정 플레이트가 위치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흡착부가 관통하여 승하강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모바일 디바이스를 장착한 이동 플레이트가 레일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착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장착된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하부구동부에 의해 흡착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벗어나 위치하는 승강 위치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측면 및 2방향의 측면부위를 촬영하도록 위치함음 물론 상기 하부구동부의 수평방향 회전에 의해 또 다른 2방향의 측면부위를 촬영하는 촬영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상기 개구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의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개구부에 대응한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중심부위가 상기 개구부의 중심부위와 일치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이동 플레이트;
상기 이동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위치하여 서로 대향하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X축 중심부위를 자신의 중심부위와 일치시키도록 랙과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진 X축 고정부;
상기 X축 고정부 상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관통공을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위치하여 서로 대향하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Z축 중심부위를 자신의 중심부위와 일치시키도록 랙과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진 Z축 고정부;
상기 각 Z축 고정부에 탑재되어 모바일 기기의 모서리 부위를 그립하는 고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부면을 촬영하는 촬영부는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서, 상측부위에 개방된 하부를 향해 카메라가 장착되고, 일측부위에는 조명부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와 조명부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하프 미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단순한 구조에 의해 모바일 기기의 외관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 및 설치공간의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고, 또한 촬영 구역의 중심부위에 모바일 기기의 중심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촬영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정확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양불 판독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정확하게 촬영된 영상의 저장에 의해 차후 제품 생산 이력관리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하부구둥부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장착부의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장착부의 평면 구조를 보인 도.
도5는 촬영부의 구조를 보인 도.
도6는 상부촬영부의 단면 구조를 보인 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2는 하부구둥부의 구조를 보인 도이며, 도3은 장착부의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장착부의 평면 구조를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5는 촬영부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6는 상부촬영부의 단면 구조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크게 하부구동부(100), 장착부(200), 그리고 촬영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구동부(100)는 모바일 디바이스(M)를 촬영부(300)의 촬영 구역까지 승강시키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180°제자리 회전시킴으로써 3대의 카메라에 의해 상부면과 전후좌우 4방향의 측면부위를 모두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바닥으로 입설된 4개의 지지프레임(110)을 가지며,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내측 바닥부위에는 승하강실린더(130)를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1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120)는 턴테이블 형태로서, 동력에 의해 180°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회전부(120)의 상측에는 승하강실린더(130)가 입설되어 장착되는데, 상기 승하강실린더(130)는 전기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설치될 수 있으며, 로드와 로드에 장착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로드부(131)의 상단부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M)를 진공에 의해 흡착하기 위한 흡착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로드부(131)의 스트로크 거리는 흡착부(140)의 상단에 흡착된 모바일 디바이스(M)를 촬영부(300)의 촬영 구역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거리를 가지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단부위에는 상기 장착부(20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있게 된다.
상기 장착부(200)는 모바일 디바이스(M)를 장착한 다음 승하강실린더(130)의 흡착부(140)에 흡착시킬 수 있는 위치로 측방향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평판의 고정 플레이트(210)를 가지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210)에는 상기 로드부(131)와 흡착부(140)가 하측으로부터 관통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그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2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210)는 측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상부면에는 모바일 디바이스(M)를 장착하여 고정시키며, 그 고정된 모바일 디바이스(M)를 상기 개구부(280)의 위치까지 측방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이 설치되는데, 상기 개구부(280)를 중심으로 하여 X축 방향 양측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한 쌍의 레일(220,221)이 설치되며, 그 레일(220,221)은 Z축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레일(220,221)은 상기 개구부(28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고정 플레이트(210)의 Z축 방향 즉, 길이방향 일측부위로부터 타측부위까지 길게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레일(220,221)에는 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플레이트(230)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동 플레이트(230)에는 이동 플레이트(230)가 레일(220,221)에 의해 상기 개구부(280)의 상측부위로 이동하였을 때 로드부(131)가 관통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관통공(23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는 X축 고정부(24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X축 고정부(240)는 상기 관통공(231)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나란히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M)의 X축 방향의 양측면 부위가 고정되도록 한다.
그 구조로서, 관통공(231)의 일측부위 즉 길이방향 일측에 한 쌍의 랙과 피니언 기어 구조를 갖는 X축 가변부(241)가 설치되고, 타측부위에도 마찬가지로 한 쌍의 랙과 피니언 기어가 치합된 구조를 갖는 X축 가변부(242)가 설치되어 있게 되며, 이러한 X축 가변부(241,242)의 랙기어에 각각 바 형태의 X축 이동부(244,245)가 장착된다.
즉, 바 형태의 X축 이동부(244)는 일측부위에서 일측의 X축 가변부(241)와 타측의 X축 가변부(242) 걸쳐서 랙기어에 장착되고, 또 다른 바 형태의 X축 이동부(245)는 타측부위에서 일측의 X축 가변부(241)와 타측의 X축 가변부(242) 걸쳐서 랙기어에 장착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X축 이동부(244)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다른 X축 이동부(245)도 한 쌍의 랙과 피니언 기어 물림에 의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동함으로써 자연스럽게 X축 이동부(244,245)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X축 고정부(240)의 상부면, 즉 X축 이동부(244)와 또다른 X축 이동부(245)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 즉 Z축 방향으로 나란히 각각 Z축 가변부(251,252)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Z축 가변부(251,252)도 마찬가지로 각각 한 쌍의 랙과 피니언 기어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Z축 가변부(251)의 각 랙에는 고정구(260,261)가 각각 장착되고, 또 다른 Z축 가변부(252)에도 각 랙에 고정구(262,263)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고정구(260,261,262,263)는 모바일 디바이스(M)의 네 모서리 부위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평면이 '┓' 형태로 구성되고, 하단부위 내측에는 모바일 디바이스(M)가 하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단턱부(260-1)가 각각 구비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고정구(260,261,262,263)는 모바일 디바이스(M)와 접촉하는 부위가 부드러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덧대어지게 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M)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X축 고정부(240)와 Z축 고정부(250)를 이동시키면서 고정구(260,261,262,263)가 모바일 디바이스(M)의 네 모서리에 접촉하도록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모바일 디바이스(M)의 X축 중심부위가 X축 고정부(240)의 중심부위 즉, X축 이동부(244,245) 사이의 중간부위에 일치하게 되고, 또한 Z축 중심부위가 Z축 고정부(250)의 중심부위 즉 Z축 고정부(251,252) 사이의 중간부위에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동 플레이트(230)는 개구부(280)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방부위에 스토퍼(270)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토퍼(270)는 돌출되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바 형태의 스토퍼(270)가 이동 플레이트(230)의 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인출과 수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볼트 등에 의해 그 인출과 수납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스토퍼(270)에 의해 Z축 고정부(250)의 중심부위가 개구부(280)의 중심부위와 일치되도록 되는데, 이동 플레이트(230)가 레일(220,22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개구부(280)에 위치하게 되면, 스토퍼(270)의 단부가 별도의 구조물에 맞닿아 전방으로의 이동이 중지되면서 자연스럽게 Z축 고정부(250)의 중심부위가 개구부(280)의 중심부위와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모바일 디바이스(M)의 크기에 따라 상기 스토퍼(270)의 인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모바일 디바이스(M)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스토퍼(270)의 인출길이가 짧아지게 조절하여야 하고, 반대로 모바일 다바이스(M)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인출길이를 길게 조절함으로써 Z축 고정부(250)의 중심부위가 개구부(280)의 중심부위와 일치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300)는 모바일 디바이스(M)의 상부면과 2개의 측면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촬영부(300)는 상기 장착부(200)의 상측 정확하게는 상기 개구부(280)가 형성된 부위에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모바일 디바이스(M)의 상부면을 촬영하기 위한 상부촬영부(310), 모바일 디바이스(M)의 2개의 측면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제1측방 촬영부(320) 및 제2측방 촬영부(3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촬영부(310), 제1측방 촬영부(320), 그리고 제2측방 촬영부(33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M)를 초기에 장착하는 위치 즉 고정 플레이트(210)가 개구부(280)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 부위의 상측부위를 제외한 부위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곧 초기 모바일 디바이스(M)를 장착부(200)에 장착할 때 상호간 간섭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측방 촬영부(320)와 제2측방 촬영부(33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간섭을 차단하도록 함체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 전방부위가 개방되고, 후방부위에는 각각 카메라(321,331)이 장착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측방 촬영부(320)와 제2측방 촬영부(330)는 서로 90°의 위상차를 가지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촬영부(310)에는 도5에서와 같이 조명부(313)가 구비되는데, 하부가 개방된 함체로 된 상부촬영부(310)는 상측부위에 카메라(311)가 장착되고, 일측부위에는 LED로 된 조명부(313)가 장착되며, 상기 조명부(313)로부터 조사된 빛이 모바일 디바이스(M)를 향해 동축낙사조명을 위하여 카메라(311)와 조명부(313) 사이에 하프미러(312)가 사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도6에서와 같이 카메라(311)는 하프미러(312)를 투과하여 모바일 디바이스(M)의 상부면을 촬영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조명부(313)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하프미러(313)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반사되어 모바일 디바이스(M)를 조명하게 된다.
따라서, 조명부(313)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간섭없이 모바일 디바이스(M)에 인가되므로,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는 정확한 촬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311)는 그 광축이 상기 개구부(280)의 중심부위와 일치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이동 플레이트(230)가 개구부(28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모바일 디바이스(M)의 중심부위와 광축이 일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M)의 외관을 촬영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촬영대상인 모바일 디바이스(M)의 디스플레이 부분 즉 전면부위가 하부를 향하도록 뒤집어서 X축 고정부(240)와 Z축 고정부(250)의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 X축 가변부(241,242)와 Z축 가변부(251,252)를 조절하여 고정구(260,261,262,263)가 모바일 디바이스(M)의 네 모서리 부위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M)는 네 모서리부위가 단턱부(260-1)에 얹혀지면서 하측으로 이탈하지 않게 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M)의 중심부위가 X축 고정부(2400와 Z축 고정부(250)의 중심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이동 플레이트(230)를 레일(220,221) 상에서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개구부(280)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스토퍼(270)에 의해 이동 플레이트(230)의 이동이 중지되면서 자연스럽게 모바일 디바이스(M)의 중심부위가 개구부(280)의 중심부위와 일치된다.
다음으로 승하강실린더(130)가 구동하여 로드부(131)가 상측으로 신장되어 개구부(280)와 관통공(231)을 관통하게 되어 모바일 디바이스(M)의 저면 즉 전면부위에 접촉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흡착부(140)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M)의 전면부위가 진공흡착된다.
상기 로드부(131)의 계속 신장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M)는 흡착부(1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260,261,262,263)를 벗어나게 되면서 촬영위치(Z)까지 계속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로드부(131)의 스트로크 거리는 모바일 디바이스(M)가 촬영위치(Z)까지 상승하는 거리가 될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M)가 촬영위치(Z)까지 상승하게 되면, 촬영부(300)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M)의 상측부위와 2면의 측면부위가 촬영되고, 이후 회전부(120)가 수평방향으로 180°회전하게 되면, 모바일 디바이스(M)도 회전하게 되어 제1측방 촬영부(320)와 제2측방 촬영부(330)의 촬영위치에는 촬영되지 않은 나머지 2면의 측면부위가 마주보며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측방 촬영부(320)와 제2측방 촬영부(330)가 다시 모바일 디바이스(M)를 촬영하게 되면, 상측부위와 네면의 측면부위의 촬영이 완료된다.
이러한 촬영위치(Z)는 상부촬영부(310), 제1측방촬영부(320), 제2측방촬영부(330)가 촬영될 모바일 디바이스(M)와의 포커싱이 이루어지는 위치가 될 것이다.
또한, 흡착부(140)는 모바일 디바이스(M)의 크기보다 작으므로, 모바일 디바이스(M)의 상부면 즉 후면부위와 네방향 측면부위가 온전히 노출되어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촬영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상기 회전부(120)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M)는 역방향으로 180°회전하게 되고, 로드부(131)가 하강하게 되어 상기 고정구(260,261,262,263)에 모바일 다비이스(M)를 다시 안착시키게 되고,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흡착부(140)의 진공흡입력이 해제되며, 로드부(131)의 계속적인 하강에 의해 흡착부(140)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M)가 분리된다.
이후, 로드부(131)가 초기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면, 모바일 디바이스(M)가 다시 안착된 이동 플레이트(230)를 레일(220,221)을 Z축 방향으로 다시 이동시킴으로써 따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M)를 고정구(260,261,262,263)의 상측으로 이탈시킴으로써 외관 촬영이 마무리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M : 모바일 디바이스
Z : 촬영위치
100 : 하부구동부
110 : 지지프레임
120 : 회전부
130 : 승하강실린더
131 : 로드부
140 : 흡착부
200 : 장착부
210 : 고정플레이트
220,221 : 레일
230 : 이동플레이트
231 ; 관통공
240 : X축 고정부
241,242 : X축 가변부
244,245 : X축 이동부
251,252 : Z축 가변부
250 : Z축 고정부
260,261,262,263 : 고정구
260-1 : 안착부
270 : 스토퍼
280 : 개구부
300 : 촬영부
310 : 상부촬영부
311 : 카메라
312 : 하프미러
313 : 조명부
320,330 : 측방촬영부
321,331 : 카메라

Claims (4)

  1. 동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게 승하강실린더가 입설되고, 상기 승하강실린더의 로드부 상단부위에 진공에 의해 흡착력을 발생하는 흡착부가 구비된 하부구동부;
    상기 하부구동부의 상측부위에 고정 플레이트가 위치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흡착부가 관통하여 승하강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모바일 디바이스를 장착한 이동 플레이트가 레일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착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장착된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하부구동부에 의해 흡착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벗어나 위치하는 승강 위치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측면 및 2방향의 측면부위를 촬영하도록 위치함은 물론 상기 하부구동부의 수평방향 회전에 의해 또 다른 2방향의 측면부위를 촬영하는 촬영부;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상기 개구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의 상측으로 이동함은 물론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고, 상기 개구부에 대응한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중심부위가 상기 개구부의 중심부위와 일치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이동 플레이트;
    상기 이동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위치하여 서로 대향하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X축 중심부위를 자신의 중심부위와 일치시키는 X축 고정부;
    상기 X축 고정부 상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관통공을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위치하여 서로 대향하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Z축 중심부위를 자신의 중심부위와 일치시키는 Z축 고정부;
    상기 각 Z축 고정부에 탑재되어 모바일 기기의 모서리 부위를 그립하는 고정구;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전방부위에 설치되되, 바 형태로 되어 전후방향으로 인출과 수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볼트에 의해 그 인출과 수납된 상태가 고정되며, 별도의 구조물에 단부가 맞닿아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중지시킴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Z축 고정부의 중심부위가 개구부의 중심부위와 일치되도록 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축 고정부 및 Z축 고정부는 랙과 피니언 기어를 포함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부면을 촬영하는 촬영부는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서, 상측부위에 개방된 하부를 향해 카메라가 장착되고, 일측부위에는 조명부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와 조명부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하프 미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
KR1020220078174A 2022-06-27 2022-06-27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 KR102493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174A KR102493691B1 (ko) 2022-06-27 2022-06-27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174A KR102493691B1 (ko) 2022-06-27 2022-06-27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691B1 true KR102493691B1 (ko) 2023-02-06

Family

ID=8522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174A KR102493691B1 (ko) 2022-06-27 2022-06-27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6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5640A (ko) * 2004-09-17 2006-03-22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영상촬영장치
KR100654218B1 (ko) * 2004-08-24 2006-12-06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액정패널의 외관 검사장치
KR20090078520A (ko) * 2008-01-15 2009-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판 지지기구 및 이를 구비한 기판 검사장치
KR20160121716A (ko) * 2015-04-10 2016-10-2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조명 기반 표면 검사 장치
KR20190135498A (ko) * 2017-04-27 2019-12-06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물품 검사 방법 및 물품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218B1 (ko) * 2004-08-24 2006-12-06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액정패널의 외관 검사장치
KR20060025640A (ko) * 2004-09-17 2006-03-22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영상촬영장치
KR20090078520A (ko) * 2008-01-15 2009-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판 지지기구 및 이를 구비한 기판 검사장치
KR20160121716A (ko) * 2015-04-10 2016-10-2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조명 기반 표면 검사 장치
KR20190135498A (ko) * 2017-04-27 2019-12-06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물품 검사 방법 및 물품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218B1 (ko) 액정패널의 외관 검사장치
TWI711817B (zh) 外觀檢測裝置
US9007456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semiconductor wafers
JP4619880B2 (ja) 円筒状物体の外観検査装置
CN215466247U (zh) 一种电池外观检测设备
CN111024727A (zh) 一种齿轮缺陷智能检测设备
KR101514409B1 (ko) 비전검사장치
KR101672523B1 (ko) 카메라용 렌즈모듈 외관 검사공법
CN210952725U (zh) 一种手机屏幕盖板的2d、2.5d和3d边缘检测装置
KR102100079B1 (ko) 전자 부품 반전장치
CN209841718U (zh) 一种外观检测设备
KR102386098B1 (ko) 광학렌즈를 이용한 글라스 투과 검사장치
KR102493691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외관 촬영 장치
JP2016191620A (ja) 画像検査装置
WO2013114778A1 (ja) 光学部品検査装置
KR20070044349A (ko) 표시용 패널의 점등 검사장치
CN219391854U (zh) 一种pcb外观自动检测装置
CN111896552A (zh) 一种新型笔记本外壳缺陷检测设备
KR102123099B1 (ko) 콘택트렌즈 자동화 비젼 검사장치
KR102350996B1 (ko) 광학렌즈를 이용한 글라스 투과 검사장치
KR100364559B1 (ko) 반도체 리드 검사장치
KR20190042179A (ko) 커버 글라스 분석 장치
CN209935295U (zh) 一种音量键外观aoi检测设备
CN218974154U (zh) 一种外观检测装置
KR20210132756A (ko) 곡면제품 검사용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