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610B1 - 흔들 침대 - Google Patents

흔들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610B1
KR102493610B1 KR1020200188737A KR20200188737A KR102493610B1 KR 102493610 B1 KR102493610 B1 KR 102493610B1 KR 1020200188737 A KR1020200188737 A KR 1020200188737A KR 20200188737 A KR20200188737 A KR 20200188737A KR 102493610 B1 KR102493610 B1 KR 102493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gear
pulley
crank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080A (ko
Inventor
노성준
정태현
우성훈
Original Assignee
몽가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몽가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몽가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7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6Oscillating, balancing or vibrating mechanisms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tactile sense, e.g. vib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Nur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가 개시된다. 상기, 흔들 침대는, 고정 프레임(frame);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프레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치합된 제 1 기어를 통해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 프레임의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제 1 기어와 치합된 제 2 기어를 통해 상기 제 1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 프레임의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2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흔들 침대{ROCKING BED}
본 개시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흔들 침대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불면증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면장애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수면장애로 인하여 발병되는 합병증 또한 폭발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이에 따른 개인의 삶의 질 저하와 각종 사회문제 및 사회적 해결비용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면장애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경구 투약용 수면제 또는 그 증상이 약할 경우에는 수면 유도제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익히 알려져 있다시피 대부분의 수면제는 중추신경 억제작용으로 인한 어지럼증 및 두통 등의 가벼운 부작용부터, 기억력 저하나 몽유병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한편, 스위스 제네바 대학병원 수면연구센터의 연구 논문 “Rocking synchronizes brain waves during a short nap(공개일:2011. 06. 21, 저자: Sophie Schwartz 외)”에 따르면, 해먹(hammock)과 같은 기구에서 잠이 드는 경우, 평소보다 빠르게 입면 상태에 이를 수 있다고 한다. 더하여, 각성시간의 축소, 깊은 잠의 증가 및 얕은 잠의 축소 등의 효과도 발생된다고 한다.
그러나, 해먹과 같은 기구는 짧은 낮잠과 같은 수면을 위한 기구일 뿐, 장시간 수면을 유지하게 되면 허리통증 등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수면관련 장애를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편안한 침대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미국 등록특허 US 8789220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는 흔들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흔들 침대가 개시된다. 상기 흔들 침대는, 고정 프레임(frame);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프레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치합된 제 1 기어를 통해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 프레임의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제 1 기어와 치합된 제 2 기어를 통해 상기 제 1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 프레임의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2 동력 전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1 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1 기어와 결합되는 제 1 풀리; 일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 상기 제 1 커넥팅 로드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크랭크 암(crank arm); 상기 제 1 크랭크 암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1 크랭크 암과 결합되는 제 2 풀리; 및 상기 제 1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제 1 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제 2 풀리로 전달하는 제 1 벨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2 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2 기어와 결합되는 제 3 풀리; 일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 상기 제 2 커넥팅 로드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크랭크 암(crank arm); 상기 제 2 크랭크 암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2 크랭크 암과 결합되는 제 4 풀리; 및 상기 제 2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제 3 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제 4 풀리로 전달하는 제 2 벨트;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어의 회전 방향은, 상기 제 1 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이동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 또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1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이 직선 운동하도록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 중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이 결합하지 않은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 1 블록;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이 직선 운동하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내부를 종단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내부 프레임 각각과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커넥팅 로드의 상기 일단 및 상기 제 2 커넥팅 로드의 상기 일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1 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1 기어와 결합되는 제 1 풀리; 상기 이동 프레임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크랭크 암(crank arm); 상기 제 1 크랭크 암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1 크랭크 암과 결합되는 제 2 풀리; 및 상기 제 1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제 1 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제 2 풀리로 전달하는 제 1 벨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2 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2 기어와 결합되는 제 3 풀리; 상기 이동 프레임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2 크랭크 암(crank arm); 상기 제 2 크랭크 암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2 크랭크 암과 결합되는 제 4 풀리; 및 상기 제 2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제 3 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제 4 풀리로 전달하는 제 2 벨트;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크랭크 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제 2 블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블록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 레일; 상기 제 2 크랭크 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제 3 블록;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 3 블록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 3 가이드 레일;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블록 및 상기 제 3 블록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전달이 저감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이 직선 운동 하는 방향에 직교하도록 구비되는 진동 저감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는, 상기 진동 저감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는 흔들 침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c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동력 전달부, 제 2 동력 전달부 및 구동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동력 전달부 및 구동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동력 전달부 및 제 2 동력 전달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동력 전달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크랭크 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텐셔너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흔들 침대는 바닥에 안착되어 고정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 및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이동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프레임은 구동부를 통해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흔들 침대는 사용자가 양질의 수면을 취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흔들 침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c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흔들 침대(1000)는 고정 프레임(frame)(100), 이동 프레임(200), 구동부(300), 제 1 동력 전달부(400), 제 2 동력 전달부(5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흔들 침대(10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흔들 침대(10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고정 프레임(100)은 바닥에 안착되어 흔들 침대와 바닥과의 접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고정 프레임(100)은 고정 프레임(10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 프레임(110) 및 이동 프레임(200)이 직선 운동하는 제 1 방향으로 테두리 프레임(110)의 내부를 종단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은 도 1b 및 도 1c에서 흔들 침대(1000)의 좌우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프레임(100)은 구동부(3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전달이 저감되도록, 한 쌍의 내부 프레임(120)을 종단하도록 구비되는 진동 저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진동 저감부(130)는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내부 프레임(120)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할 구동부(300), 제 1 동력 전달부(400) 및 제 2 동력 전달부(500)는 진동 저감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저감부(130)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120)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저감 부재(미도시) 등을 통해 한 쌍의 내부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저감 부재는 스펀지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일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3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저감 부재에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300)에서 발생된 진동은 고정 프레임(100)에 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동 프레임(200)은 고정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이동 프레임(200)은 고정 프레임(100)과 이동 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600)를 통해 고정 프레임(1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프레임(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600)를 통해 고정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60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에서, 이동 프레임(200)은 테두리 프레임(210), 한 쌍의 내부 프레임(220), 제 1 지지 프레임(23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테두리 프레임(210)은 이동 프레임(200)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한 쌍의 내부 프레임(220)은 이동 프레임(200)이 직선 운동하는 제 1 방향으로 테두리 프레임(210)의 내부를 종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서 제 1 방향은 흔들 침대(1000)의 좌우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지지 프레임(230)은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내부 프레임(220)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지지 프레임(230)은 후술할 구동부(30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 프레임(240)은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내부 프레임(220)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 프레임(240) 각각은 제 1 가이드부(6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 프레임(240) 각각에는 제 1 가이드부(600)에 포함된 제 1 블록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 프레임(240) 각각에는 제 1 가이드부(600)에 포함된 제 1 가이드 레일이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제 1 가이드부(600)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 프레임(240)의 결합 관계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구동부(300)는 고정 프레임(100)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300)는 고정 프레임(100)의 진동 저감부(130)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동력 전달부를 통해 이동 프레임(20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구동부(300)는 구동 모터 및 모터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300)는 구동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구동 모터의 샤프트에 체결되는 모터 기어를 통해 제 1 동력 전달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부는 구동 모터의 샤프트에 체결되는 풀리(pully) 및 풀리에 연결되는 벨트를 통해 제 1 동력 전달부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구동 모터는 AC 모터, DC 모터, BLDC(Brushless DC) 모터 또는 서보(servo) 모터 일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모터가 본 개시의 따른 구동 모터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다르면, 구동 모터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구동 모터는 웜 기어 감속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감속기를 통해 제 1 동력 전달부에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기어는 평 기어(spur gear) 또는 헬리컬 기어(helical gear)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기어는 웜(worm)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동력 전달부에는 웜과 치합되는 웜 기어(worm gear)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동력 전달부(400)는 고정 프레임(100)의 진동 저감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동력 전달부(400)는 구동부(300)와 치합된 제 1 기어(미도시)를 통해 구동부(3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동 프레임(200)의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프레임(2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동력 전달부(400)는 제 1 기어, 적어도 하나의 풀리, 제 1 벨트 및 제 1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동력 전달부(400)는 제 1 기어를 통해 전달받은 회전력을 제 1 동력 전달 부재를 통해 이동 프레임(200)의 제 1 지지 프레임(230)에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제 1 동력 전달부(4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제 2 동력 전달부(500)는 고정 프레임(100)의 진동 저감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동력 전달부(500)는 제 1 기어와 치합된 제 2 기어(미도시)를 통해 제 1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동 프레임(200)의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프레임(2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동력 전달부(500)는 제 2 기어, 적어도 하나의 풀리, 제 2 벨트 및 제 2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동력 전달부(500)는 제 2 기어를 통해 전달받은 회전력을 제 2 동력 전달 부재를 통해 이동 프레임(200)의 제 1 지지 프레임(230)에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제 2 동력 전달부(5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600)는 고정 프레임(100)과 이동 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 프레임(200)이 고정 프레임(100) 상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600) 각각은 고정 프레임(100)의 내부 프레임(120)에 구비되는 제 1 가이드 레일 및 이동 프레임(200)의 내부 프레임(220)에 구비되는 제 1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가이드 레일이 이동 프레임(200)의 내부 프레임(220)에 구비되고, 제 1 블록이 고정 프레임(100)의 내부 프레임(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 프레임(100) 및 이동 프레임(200)은 제 1 가이드 레일과 제 1 블록의 체결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600)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600)는 고정 프레임(100)의 테두리 프레임(110) 및 이동 프레임(200)의 테두리 프레임(210)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흔들 침대(1000)는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이동 프레임(200)이 고정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흔들 침대(1000)는 사용자가 숙면을 취하게 만들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고정 프레임(100) 및 이동 프레임(200)은 고정 프레임(100)과 이동 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60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6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600)는 제 1 가이드 레일(610) 및 제 1 블록(6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가이드 레일(610)은 고정 프레임(100)의 내부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가이드 레일(610)은 고정 프레임(100)의 테두리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제 1 블록(620)은 이동 프레임(200)이 직선 운동하도록 제 1 가이드 레일(610)에 결합되고, 이동 프레임(200)의 제 2 지지 프레임(24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블록(620)은 이동 프레임(200)의 테두리 프레임(110)에 결합되거나 또는 이동 프레임(200)의 내부 프레임(2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제 1 가이드 레일(610)은 이동 프레임(200)의 제 2 지지 프레임(24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가이드 레일(610)은 이동 프레임(200)의 테두리 프레임(210) 또는 내부 프레임(2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블록(620)은 이동 프레임(200)이 직선 운동하도록 제 1 가이드 레일(610)에 결합되고, 고정 프레임(100)의 내부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블록(620)은 고정 프레임(100)의 테두리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가이드 레일(610)은 고정 프레임(100) 또는 이동 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블록(620)은 제 1 가이드 레일(610)에 결합되고, 고정 프레임(100) 및 이동 프레임(200) 중 제 1 가이드 레일(610)이 결합하지 않은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제 1 동력 전달부(400) 및 제 2 동력 전달부(500)는 구동부(30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이동 프레임(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제 1 동력 전달부(400), 제 2 동력 전달부(500) 및 구동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동력 전달부, 제 2 동력 전달부 및 구동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동력 전달부 및 구동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구동부(300)는 구동 모터(310) 및 모터 기어(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300)는 구동 모터(3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모터 기어(320)와 치합된 제 1 동력 전달부(400)의 제 1 기어(410)에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동력 전달부(400)는 제 1 기어(410), 제 1 풀리(420), 제 1 동력 전달 부재, 제 2 풀리(450) 및 제 1 벨트(4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기어(410)는 모터 기어(320)와 치합되어 구동 모터(3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어(410) 및 모터 기어(320)는 평 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기어(320)는 웜(worm)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기어(410)는 웜과 치합되는 웜 기어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제 1 기어(410)는 제 1 플렌지(flange)(411)의 중심에 결합되는 제 1 플렌지 샤프트(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 1 기어(410)는 베어링 등을 통해 제 1 플렌지 샤프트(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플렌지 샤프트(412)는 제 1 플렌지(4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기어(410)는 고정 나사(미도시) 등을 통해 제 1 플렌지 샤프트(4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기어(410)는 모터 기어(3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음에 따라 제 1 플렌지 샤프트(412)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렌지(411)는 고정 프레임(100)에 구비된 진동 저감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풀리(420)는 제 1 기어(41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제 1 기어(410)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 1 풀리(420)는 제 1 플렌지(411)의 중심에 결합되는 제 1 플렌지 샤프트(412)에 베어링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풀리(420)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트 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기어(4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트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볼트 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풀리(420)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미도시) 등을 통해 제 1 기어(410)의 상면과 결합되어, 제 1 기어(4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 1 플렌지 샤프트(412)는 제 1 플렌지(4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풀리(420)는 고정 나사(미도시) 등을 통해 제 1 플렌지 샤프트(41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풀리(420)는 제 1 플렌지 샤프트(412)가 제 1 기어(410)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제 1 플렌지 샤프트(41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 1 동력 전달 부재는 제 1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430) 및 제 1 크랭크 암(crank arm)(4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커넥팅 로드(430)의 일단은 이동 프레임(200)의 제 1 지지 프레임(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커넥팅 로드(430)의 일단에는 베어링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지지 프레임(230)은 상기 일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베어링 핀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커넥팅 로드(430) 및 제 1 지지 프레임(230)은 베어링 및 베어링 핀의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커넥팅 로드(430)의 일단에는 베어링 핀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지지 프레임(230)은 상기 일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베어링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커넥팅 로드(430) 및 제 1 지지 프레임(230)은 베어링 및 베어링 핀의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넥팅 로드(430)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제 1 커넥팅 로드(430)가 구비되지 않는 일례는 도 4 및 도 5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제 1 크랭크 암(440)은 제 1 커넥팅 로드(430)의 상기 일단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커넥팅 로드(430)의 타단에는 베어링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크랭크 암(440)은 상기 타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베어링 핀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커넥팅 로드(430) 및 제 1 크랭크 암(440)은 베어링 및 베어링 핀의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커넥팅 로드(430)의 타단에는 베어링 핀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크랭크 암(440)은 상기 타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베어링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커넥팅 로드(430) 및 제 1 크랭크 암(440)은 베어링 및 베어링 핀의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크랭크 암(440)은 제 2 풀리(450)와 결합되어, 제 2 풀리(4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일례로, 제 1 크랭크 암(440)은 적어도 하나의 볼트 등을 통해 제 2 풀리(45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크랭크 암(440)은 적어도 하나의 핑거(미도시)를 통해 제 2 플렌지 샤프트(452)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제 1 크랭크 암(440)의 실시예는 도 5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크랭크 암(440)의 길이는 제 1 가이드 레일(610)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크랭크 암(440)이 회전함에 따라 제 1 커넥팅 로드(430)가 체결되는 방향의 일단은 가상의 원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의 원의 둘레의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는 제 1 가이드 레일(61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블록(620)은 제 1 가이드 레일(610)을 벗어나지 않도록 제 1 가이드 레일(610)의 내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2 풀리(450)는 제 1 크랭크 암(440)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제 1 크랭크 암(440)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풀리(450)는 제 2 플렌지(451)의 중심에 결합되는 제 2 플렌지 샤프트(452)에 베어링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크랭크 암(440)은 제 2 풀리(45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트 등을 통해 제 2 풀리(45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렌지 샤프트(452)는 베어링 등을 통해 제 2 플렌지(4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풀리(450)는 고정 나사 등을 통해 제 2 플렌지 샤프트(45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 크랭크 암(440)도 고정 나사 등을 통해 제 2 플렌지 샤프트(452)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제 1 크랭크 암(44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 5의 (b)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렌지(451)는 고정 프레임(100)의 진동 저감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벨트(460)는 제 1 기어(41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제 1 풀리(420)의 회전력을 제 2 풀리(45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제 1 벨트(460)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풀리(420) 및 제 2 풀리(450) 각각은 타이밍 풀리(timing pully)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벨트(460)는 V-벨트(V-belt)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풀리(420) 및 제 2 풀리(450) 각각은 V-벨트 풀리(V-belt pully)일 수 있다.
한편, 제 2 기어(510)는 제 3 플렌지의 중심에 결합되는 제 3 플렌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 2 기어(510)는 베어링 등을 통해 제 3 플렌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3 플렌지 샤프트는 제 3 플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기어(510)는 고정 나사 등을 통해 제 3 플렌지 샤프트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기어(510)는 제 3 플렌지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플렌지는 고정 프레임(100)에 구비된 진동 저감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3 풀리(520)는 제 2 기어(51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제 2 기어(510)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 3 풀리(520)는 제 3 플렌지의 중심에 결합되는 제 3 플렌지 샤프트에 베어링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3 풀리(520)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트 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기어(5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트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볼트 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풀리(520)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미도시) 등을 통해 제 2 기어(510)의 상면과 결합되어, 제 2 기어(5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례로, 제 3 플렌지 샤프트는 제 3 플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풀리(520)는 고정 나사 등을 통해 제 3 플렌지 샤프트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풀리(520)는 제 3 플렌지 샤프트가 제 2 기어(510)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제 3 플렌지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 2 동력 전달 부재는 제 2 커넥팅 로드(530) 및 제 2 크랭크 암(5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커넥팅 로드(530)의 일단은 이동 프레임(200)의 제 1 지지 프레임(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커넥팅 로드(530)의 일단에는 베어링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지지 프레임(230)은 상기 일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베어링 핀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커넥팅 로드(530) 및 제 1 지지 프레임(230)은 베어링 및 베어링 핀의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 커넥팅 로드(530)의 일단에는 베어링 핀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지지 프레임(230)은 상기 일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베어링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커넥팅 로드(530) 및 제 1 지지 프레임(230)은 베어링 및 베어링 핀의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커넥팅 로드(530)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제 2 커넥팅 로드(530)가 구비되지 않는 일례는 도 4 및 도 5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제 2 크랭크 암(540)은 제 2 커넥팅 로드(530)의 상기 일단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커넥팅 로드(530)의 타단에는 베어링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 2 크랭크 암(540)은 상기 타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베어링 핀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커넥팅 로드(530) 및 제 2 크랭크 암(540)은 베어링 및 베어링 핀의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 커넥팅 로드(530)의 타단에는 베어링 핀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 2 크랭크 암(540)은 상기 타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베어링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커넥팅 로드(530) 및 제 2 크랭크 암(540)은 베어링 및 베어링 핀의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제 2 크랭크 암(540)은 제 4 풀리(550)와 결합되어, 제 4 풀리(5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일례로, 제 2 크랭크 암(540)은 적어도 하나의 볼트 등을 통해 제 4 풀리(55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4 풀리(550)는 제 2 크랭크 암(540)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제 2 크랭크 암(540)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4 풀리(550)는 제 4 플렌지의 중심에 결합되는 제 4 플렌지 샤프트에 베어링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크랭크 암(540)은 제 4 풀리(55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트 등을 통해 제 4 풀리(55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플렌지 샤프트는 베어링 등을 통해 제 4 플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4 풀리(550)는 고정 나사 등을 통해 제 4 플렌지 샤프트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크랭크 암(540)도 고정 나사 등을 통해 제 4 플렌지 샤프트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제 1 크랭크 암(44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 5의 (b)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플렌지는 고정 프레임(100)의 진동 저감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2 벨트(560)는 제 2 기어(51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제 3 풀리(520)의 회전력을 제 4 풀리(55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제 2 벨트(560)는 타이밍 벨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3 풀리(520) 및 제 4 풀리(550) 각각은 타이밍 풀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 벨트(560)는 V-벨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3 풀리(520) 및 제 4 풀리(550) 각각은 V-벨트 풀리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 2 기어(510)의 회전 방향은 제 1 기어(4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기어(510)로부터 최종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2 커넥팅 로드(530)와 제 1 기어로부터(410)로부터 최종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1 커넥팅 로드(430)의 회전 방향도 반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넥팅 로드(4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 2 커넥팅 로드(5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만약, 제 1 커넥팅 로드(430)와 제 2 커넥팅 로드(530)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 1 커넥팅 로드(430)와 제 2 커넥팅 로드(530)의 회전 주기가 같음에 따라, 공진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 1 커넥팅 로드(430) 및 제 2 커넥팅 로드(530)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각각의 진동은 공명이 발생하여 진폭이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진동의 발생에 따라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반면, 본 개시에 따르면, 제 1 커넥팅 로드(430)와 제 2 커넥팅 로드(530)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커넥팅 로드(430)와 제 2 커넥팅 로드(530) 각각이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은 서로 상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커넥팅 로드(430) 및 제 2 커넥팅 로드(530)가 제 1 지지 프레임(230)에 동력을 전달할 때 발생되는 진동의 발생이 최소화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넥팅 로드(430) 및 제 2 커넥팅 로드(530)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제 1 동력 전달 부재 및 제 2 동력 전달 부재의 다른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동력 전달부 및 제 2 동력 전달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동력 전달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 1 동력 전달부(400)는 제 1 기어(410), 제 1 풀리(420), 제 1 동력 전달 부재, 제 2 풀리(450) 및 제 1 벨트(4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 1 동력 전달 부재는 제 1 커넥팅 로드는 구비하지 않고, 제 1 크랭크 암(440)만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크랭크 암(440)은 제 2 가이드부(710)를 통해 이동 프레임(200)의 제 1 지지 프레임(2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가이드부(710)는 제 2 블록(711) 및 제 2 가이드 레일(7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블록(711)은 제 1 크랭크 암(44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블록일 수 있다. 이때, 제 1 방향은 이동 프레임(200)이 직선 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크랭크 암(440)은 제 2 블록(711)과 결합되어, 제 1 지지 프레임(2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크랭크 암(440)의 일단에는 제 2 블록(711)과 결합되는 블록 결합부 및 블록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핀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크랭크 암(440)은 블록 결합부를 통해, 제 2 블록(711)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제 2 블록(711)과 제 1 크랭크 암(440)의 결합 관계는 도 5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제 2 가이드 레일(712)은 제 1 지지 프레임(230)에 결합되어 제 2 블록(711)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2 동력 전달부(500)는 제 2 기어(510), 제 3 풀리(520), 제 2 동력 전달 부재, 제 4 풀리(550) 및 제 2 벨트(5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 2 동력 전달 부재는 제 2 커넥팅 로드는 구비하지 않고, 제 2 크랭크 암(540)만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크랭크 암(540)은 제 3 가이드부(720)를 통해 이동 프레임(200)의 제 1 지지 프레임(2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가이드부(720)는 제 3 블록(721) 및 제 3 가이드 레일(7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블록(721)은 제 2 크랭크 암(54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블록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크랭크 암(540)은 제 3 블록(721)과 결합되어, 제 1 지지 프레임(2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2 크랭크 암(540)의 일단에는 제 3 블록(721)과 결합되는 블록 결합부 및 블록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핀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크랭크 암(540)은 블록 결합부를 통해, 제 3 블록(721)과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3 가이드 레일(722)은 제 1 지지 프레임(230)에 결합되어 제 3 블록(721)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 2 블록(711) 및 제 3 블록(721)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만약, 제 2 블록(711)과 제 3 블록(721)이 같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경우, 제 2 블록(711)과 제 3 블록(721)의 왕복 운동은 주기가 같음에 따라, 공진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 2 블록(711) 및 제 3 블록(721)이 왕복 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각각의 진동은 공명이 발생하여 진폭이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진동의 발생에 따라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반면, 본 개시에 따르면, 제 2 블록(711)과 제 3 블록(721)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블록(711)과 제 3 블록(721) 각각이 왕복 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은 서로 상쇄될 수 있다. 제 1 크랭크 암(440) 및 제 2 크랭크 암(540)이 제 1 지지 프레임(230)에 동력을 전달할 때 발생되는 진동의 발생이 최소화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크랭크 암(440)의 일단에는 제 2 블록(711)과 결합되는 블록 결합부 및 블록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2 크랭크 암(540)의 일단에는 제 3 블록(721)과 결합되는 블록 결합부 및 블록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핀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통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크랭크 암(440)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크랭크 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크랭크 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제 2 풀리(450)는 제 2 플렌지(451)의 중심에 결합되는 제 2 플렌지 샤프트(452)에 베어링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크랭크 암(440)은 적어도 하나의 볼트 홀(441)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크랭크 암(440)은 적어도 하나의 볼트(미도시)를 통해 제 2 풀리(45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크랭크 암(440)은 제 2 풀리(45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크랭크 암(440)은 블록 결합부(443) 및 결합부 핀(44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록 결합부(443)는 제 2 블록(711)의 하면에 결합되어, 제 1 크랭크 암(440)이 회전함에 따라 제 2 블록(711)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블록(711)은 제 2 가이드 레일(712)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결합부 핀(442)은 일단은 제 1 크랭크 암(440)에 회전 가능 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블록 결합부(443)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결합부 핀(442)은 일단은 제 1 크랭크 암(440) 결합되고 타단이 블록 결합부(4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5의 (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크랭크 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제 2 플렌지 샤프트(452)는 베어링 등을 통해 제 2 플렌지(4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풀리(450)는 고정 나사(미도시) 등을 통해 제 2 플렌지 샤프트(45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크랭크 암(440)은 한 쌍의 핑거(444)를 통해 제 2 플렌지 샤프트(45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크랭크 암(440)은 한 쌍의 핑거(4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핑거(444) 각각에는 볼트 홀(446)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핑거(444) 각각의 볼트 홀(446)에 볼트(445)가 체결되지 않은 경우, 한 쌍의 핑거(444)는 느슨하게 벌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플렌지 샤프트(452)는 한 쌍의 핑거(444)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핑거(444)는 각각의 볼트 홀(446)에 볼트(445)가 체결됨에 따라, 서로를 향해 조여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크랭크 암(440)은 제 2 플렌지 샤프트(452)에 결합되어, 제 2 플렌지 샤프트(452)가 제 2 풀리(450)에 의해 회전 될 때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크랭크 암(440)은 한 쌍의 핑거(444)가 구비된 일단의 타단에 블록 결합부(443) 및 결합부 핀(4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 핀(442)의 일단은 제 1 크랭크 암(440)에 구비된 베어링(44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텐셔너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흔들 침대(1000)는 적어도 하나의 텐셔너(tensioner)(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텐셔너(800)는 제 1 벨트(460) 및 제 2 벨트(560) 각각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기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텐셔너(800)는 텐셔너 몸체부(810) 및 텐셔너 롤러(8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텐셔너 몸체부(810)는 텐션 조절 슬롯(811), 적어도 하나의 텐셔너 볼트(812), 텐셔너 연결부(813) 및 텐셔너 그립부(8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텐셔너 몸체부(810)는 텐셔너(800)의 전반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텐셔너 몸체부(810)는 적어도 하나의 텐셔너 볼트(812)를 통해 진동 저감부(13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텐션 조절 슬롯(811)은 텐셔너 몸체부(810)의 일 영역에 호(arc)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텐셔너 볼트(812)는 텐션 조절 슬롯(811)을 관통하여, 진동 저감부(13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텐셔너 볼트(812)가 느슨하게 체결된 경우, 텐셔너 몸체부(810)는 텐션 조절 슬롯(811)의 반경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텐셔너 연결부(813)는 텐셔너 몸체부(810)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텐셔너 롤러(820)는 텐셔너 연결부(813)의 상방에 결합되어, 제 1 벨트(460)와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텐셔너 롤러(820)는 텐셔너 몸체부(810)가 텐션 조절 슬롯(811)의 반경을 따라 회전함에 따라, 제 1 벨트(46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텐셔너 롤러(820)는 텐셔너 연결부(813)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텐셔너 롤러(820)는 베어링일 수 있다. 이 경우, 텐셔너 롤러(820)는 둘레를 따라 고무 등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텐셔너 그립부(814)는 텐셔너 몸체부(810)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쥐기 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본 바에 따르면, 흔들 침대(1000)는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이동 프레임(200)을 고정 프레임(100)의 상방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프레임(200)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00)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동력 전달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3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사용자에게 최소화되어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진동을 거의 체감하지 않고 숙면을 취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고정 프레임(frame);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프레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일면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치합된 제 1 기어를 통해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 프레임의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의 구동부가 치합된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면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치합된 제 2 기어를 통해 상기 제 1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 프레임의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2 동력 전달부;
    를 포함하는,
    흔들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1 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1 기어와 결합되는 제 1 풀리;
    일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
    상기 제 1 커넥팅 로드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크랭크 암(crank arm);
    상기 제 1 크랭크 암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1 크랭크 암과 결합되는 제 2 풀리; 및
    상기 제 1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제 1 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제 2 풀리로 전달하는 제 1 벨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2 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2 기어와 결합되는 제 3 풀리;
    일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
    상기 제 2 커넥팅 로드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크랭크 암(crank arm);
    상기 제 2 크랭크 암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2 크랭크 암과 결합되는 제 4 풀리; 및
    상기 제 2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제 3 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제 4 풀리로 전달하는 제 2 벨트;
    를 포함하는,
    흔들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어의 회전 방향은,
    상기 제 1 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흔들 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이동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흔들 침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 또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1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이 직선 운동하도록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 중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이 결합하지 않은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 1 블록;
    을 포함하는,
    흔들 침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이 직선 운동하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내부를 종단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내부 프레임 각각과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
    을 포함하는,
    흔들 침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팅 로드의 상기 일단 및 상기 제 2 커넥팅 로드의 상기 일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흔들 침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1 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1 기어와 결합되는 제 1 풀리;
    상기 이동 프레임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크랭크 암(crank arm);
    상기 제 1 크랭크 암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1 크랭크 암과 결합되는 제 2 풀리; 및
    상기 제 1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제 1 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제 2 풀리로 전달하는 제 1 벨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2 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2 기어와 결합되는 제 3 풀리;
    상기 이동 프레임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2 크랭크 암(crank arm);
    상기 제 2 크랭크 암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제 2 크랭크 암과 결합되는 제 4 풀리; 및
    상기 제 2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제 3 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제 4 풀리로 전달하는 제 2 벨트;
    를 포함하는,
    흔들 침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크랭크 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제 2 블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블록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 레일;
    상기 제 2 크랭크 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제 3 블록;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 3 블록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 3 가이드 레일;
    을 더 포함하는,
    흔들 침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블록 및 상기 제 3 블록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흔들 침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전달이 저감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이 직선 운동 하는 방향에 직교하도록 구비되는 진동 저감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 상기 제 1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제 2 동력 전달부는,
    상기 진동 저감부에 구비되는,
    흔들 침대.
KR1020200188737A 2020-11-23 2020-12-31 흔들 침대 KR102493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57535 2020-11-23
KR1020200157535 2020-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080A KR20220071080A (ko) 2022-05-31
KR102493610B1 true KR102493610B1 (ko) 2023-01-31

Family

ID=8177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737A KR102493610B1 (ko) 2020-11-23 2020-12-31 흔들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6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971B1 (ko) * 2005-05-30 2006-07-03 주식회사 유성 승마용 기구
JP2014070677A (ja) * 2012-09-28 2014-04-21 Daihatsu Motor Co Ltd 内燃機関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475B1 (ko) * 2009-10-19 2012-05-07 최성옥 다축 다관절 틸트침대
US8789220B2 (en) 2011-07-07 2014-07-29 James Flemister Powered rocking bed device
KR20180041015A (ko) * 2016-10-13 2018-04-23 정태현 흔들 침대
KR102200009B1 (ko) * 2018-03-16 2021-01-08 몽가타 주식회사 흔들 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971B1 (ko) * 2005-05-30 2006-07-03 주식회사 유성 승마용 기구
JP2014070677A (ja) * 2012-09-28 2014-04-21 Daihatsu Motor Co Ltd 内燃機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080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3710B1 (ko) 마사지조립체 및 이를 탑재한 마사지기
JP2001017497A (ja) マッサージ装置
WO2012049782A1 (ja) マッサージ装置
US20200000237A1 (en) Foldable massage chair
CN217525739U (zh) 按摩设备
KR102493610B1 (ko) 흔들 침대
KR101350235B1 (ko) 목마사지부가 구비된 마사지장치
KR101285801B1 (ko) 돌출형 안마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기
JP2001112831A (ja) 肩マッサージユニット及びこれを具えたマッサージ機
JP3229583U (ja) 自動適応型マッサージ装置
KR20230114687A (ko) 흔들 침대
JP3384934B2 (ja) マッサ−ジ椅子
KR20230048771A (ko) 흔들 침대
JP2018094299A (ja) マッサージ装置
CN107260508B (zh) 一种紧凑型揉敲按摩机芯
CN208808977U (zh) 动疗按摩床
JP3370502B2 (ja) マッサ−ジ装置
CN114366593B (zh) 按摩椅
CN217013451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枕头
CN216702912U (zh) 按摩仪
CN220877251U (zh) 自适应按摩装置及按摩机
CN216933933U (zh) 一种按摩装置
CN112603627B (zh) 抖动牵引颈椎枕
JP4507702B2 (ja) マッサージ機
CN214415216U (zh) 一种按摩椅机芯及按摩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