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177B1 - 반전 수납 헬멧 - Google Patents

반전 수납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177B1
KR102493177B1 KR1020207013202A KR20207013202A KR102493177B1 KR 102493177 B1 KR102493177 B1 KR 102493177B1 KR 1020207013202 A KR1020207013202 A KR 1020207013202A KR 20207013202 A KR20207013202 A KR 20207013202A KR 102493177 B1 KR102493177 B1 KR 102493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elmet
coupling
rota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357A (ko
Inventor
아키오 이소노
Original Assignee
도요붓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붓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붓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43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전 수납 헬멧(1)은 베이스 본체(11)와 중간 베이스(31)로 이루어지는 베이스(2)와, 베이스(2)의 상방을 덮는 대략 반구형상의 모체(51)로 이루어지는 헬멧(1)으로서, 중간 베이스(31)의 후방에 일체적으로 배치되는 결합 패널(71)의 상단에 있어서 모체(51)를 기립 방향으로 회동하는 수평 방향의 제 1 회동축(74, 74)과, 상방으로 회동시킨 모체(51)를 상하 반대로 회동하여 반전시키는 상기 제 1 회동축(74, 74)과 교차하는 방향의 제 2 회동축(8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체(51)를 세우도록 회동함과 아울러, 모체(51)를 반전시켜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높이 방향으로 부피가 커지지 않는 수납 가능한 헬멧(1)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전 수납 헬멧
본 발명은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를 변경 가능하게 한 헬멧으로서, 예를 들면 지진 등의 비상 시나 작업을 행할 경우에 간단하게 사용 상태로 하고, 수납 시에는 부피를 줄인 상태로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방재 시를 위한 구비해 두는 것에 이용되기 때문에 종래로부터 접는 등의 방법에 의해 헬멧의 부피를 줄이는 것이 개발되어 있다. 접이형의 헬멧의 외에 모체(帽體) 부분과 해트 밴드 부분을 분할하여 모체 부분을 해트 밴드 부분의 내방에 넣어서 수납하는 것은 존재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헬멧의 모체 부분을 해트 밴드 부분에 대해서 추축을 기점으로 반전시켜서 수납하는 것도 존재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헬멧을 높이 방향에 걸쳐서 복수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체를 하방에 수납하는 헬멧도 존재했다(특허문헌 3 참조).
이와 같은 수납형 헬멧은 헬멧의 구조상 모체의 정점이 볼록형상이 되어야 하는 것인 점, 이것을 수납하고, 수납 시에 부피가 커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소정 강도를 담보하는 것이 요구되어 왔다.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선행 기술은 해트 밴드 부분의 부피가 높은 점에서 수납 상태에서 높이 방향의 부피를 줄일 수 없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선행 기술은 축에 의해 모체 부분을 반전시키는 것이지만 헬멧의 측면 두께와의 관계상 회동축이 가늘어져야 하고, 강도상의 문제가 있고, 또한 모체를 사용 상태로부터 반전시키기 위한 스무드한 반전이나 모체의 고정 수단이 어렵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선행 기술은 복수로 분할함으로써 높이 방향의 부피를 줄일 수 있지만 복수의 스토퍼, 해제 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일본 특허공개 2004-8414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5-13203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5-28233호 공보
그래서 높이 방향으로 부피가 커지지 않고, 모체를 해트 밴드형상 부분의 내방에 수납할 수 있는 헬멧으로서, 높이 방향의 부피를 가능한 한 낮게 함과 아울러, 소정 강도를 갖고, 복수의 해제 수단을 사용하는 일 없이 간단하게 수납 상태, 사용 상태로 할 수 있는 수납형 헬멧이 요구되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반전 수납 헬멧은 환형상의 베이스와, 상기 환형상의 베이스의 상방을 덮는 대략 반구형상의 모체로 이루어지는 헬멧으로서,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모체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수평 방향의 제 1 회동축과, 상방으로 회동시킨 모체를 상하 반대로 회동하여 반전시키는 상기 제 1 회동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제 2 회동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회동축은 베이스의 후방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회동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기부를 갖고, 그 선단으로부터 제 2 회동축을 돌출시키고, 모체 후방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동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회동축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는 환형상의 베이스 본체와, 중간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중간 베이스는 베이스 본체의 상방에 배치하고, 또한 그 상방에 모체를 배치하는 것이며, 베이스 본체의 내측을 따라 수납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 베이스는 베이스 본체의 측면에 있어서 수평 방향의 회동 지지축에 의해 그 선단이 축지지되고, 후방에 걸쳐서 방사형상으로 넓어짐을 갖는 형태이며, 상기 중간 베이스의 후방에 있어서 베이스 본체의 내측 상부 가장자리와 결합하는 결합 패널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 패널과 베이스 본체의 결합은 상기 결합 패널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는 결합 볼록부와, 베이스 본체 후방에서 내방으로 형성된 결합 오목부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 패널은 그 상단 및 하단을 제외하는 측방에 수평 방향의 패널 회동축에 의해 중간 베이스에 축지지되고, 그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결합 해제부를 갖는 것이며, 결합 해제부는 제 1 회동축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 기부의 소정 각도의 회동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결합 패널의 상단을 외측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결합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 및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 모체를 세우도록 회동함과 아울러, 모체를 반전시켜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높이 방향으로 부피가 커지지 않는 수납 가능한 헬멧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후방에 회동축을 집중함으로써 헬멧의 구조, 기능상 소정 두께의 축을 사용할 수 있어 소정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 및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 베이스를 베이스 본체와 중간 베이스로 나누고, 중간 베이스를 베이스 본체에 수납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납 시에 부피를 더 줄여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항 5 및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 모체의 기립에 의해 중간 베이스의 베이스 본체로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고, 모체의 수납 작업과 중간 베이스의 결합 해제의 동작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원터치로 간단한 수납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헬멧(1)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헬멧(1)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의 상태로부터 모체를 회동하여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헬멧(1)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2의 상태로부터 기립 방향으로 더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헬멧(1)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의 상태로부터 모체를 회동하여 반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헬멧(1)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4의 상태로부터 모체 및 중간 베이스를 수납 위치에 수납한 수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헬멧(1)의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헬멧의 모체 및 회동 기부를 분리한 것이며, 중간 베이스에 배치되는 결합 패널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일부 노치된 모체 및 회동 기부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결합 패널의 이면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결합 패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결합 패널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일례를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헬멧(1)의 전체를 나타낸다. 헬멧(1)은 베이스(2)와 모체(51)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하나의 모자형상의 헬멧을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고, 그 하방을 베이스(2), 상방을 모체(51)라고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베이스(2)는 해트 밴드형상, 환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벽측에 수납 위치(3)가 되는 공간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이스(2)는 또한 베이스 본체(11)와 중간 베이스(31)로 분할된다.
도면상은 생략하고 있지만 헬멧(1)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모체(51)의 내측에는 발포성 수지 등에 의한 완충재를 배치하고, 베이스(2)의 내벽에는 착용 벨트가 배치된다.
본 설명에 있어서 차양(12)을 갖는 방향을 전방 방향, 그 반대측을 후방 방향으로 해서 설명하고, 헬멧(1)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사용 상태(도 1 참조), 모체(51)를 반전해서 수납한 상태를 수납 상태(도 5 참조)라고 하여 설명한다. 또한, 헬멧(1)의 사용자가 쓰는 측을 내측, 그 반대측을 외측으로 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사용 상태의 헬멧(1)으로부터 베이스(2)의 전방 내측에 배치되는 로크부(16)의 로크를 해제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체(51)를 회동하여 세우고, 도 3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모체(51)를 세우면 중간 베이스(31)와 베이스 본체(11)의 결합이 해제된다. 모체(51)를 세운 상태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체(51)를 상하 반대로 반전하도록 회동하고, 또한 모체(51)를 기립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체(51)를 베이스 내방의 수납 위치(3)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는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 중간 베이스(31)의 결합이 해제되어 중간 베이스(31)가 베이스 본체(11)의 내방으로 들어가지만 도 4에 있어서는 도면에 의한 설명상 중간 베이스(31)가 베이스 본체(11)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반전 수납 헬멧(1)은 모체(51)를 상방으로 개방하는 회동과, 모체(51)를 상하 반대로 반전하는 방향의 회동을 조합하여 수납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도 7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헬멧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베이스 본체(11)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 헬멧(1) 전체의 하부에 해당하는 환형상·해트 밴드형상의 판형상 부재이다. 차양(12)을 갖는 베이스 본체(11)의 전방은 착용 시에 사용자의 이마 부근에 위치하고, 베이스 본체(11)의 후방은 사용자의 후두부 부근에 위치한다. 베이스 본체(11)의 높이는 헬멧(1)의 전방에 있어서 모체(51)의 정점까지의 높이가 되는 전체 높이의 약 3분의 1, 후방에 있어서 약 2분의 1 정도의 높이이다.
중간 베이스(31)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환형상체를 일부 노치한 대략 C자형상의 형태이며,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선단(32, 32)으로부터 후방에 걸쳐서 방사형상으로 넓어짐을 갖는 대략 부채형의 형태이다.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중간 베이스(31)의 선단(32, 32) 부근에서는 수평 방향의 회동 지지축(33, 33)에 의해 베이스 본체(11)의 측면의 중앙보다 약간 전방이 되는 축지지 위치(13, 13)에서 축지지된다. 이 축지지에 의해 중간 베이스(31)는 회동 지지축(33, 33)을 지점으로 상하 방향(도 6의 화살표선 Z 방향)으로 회동한다.
중간 베이스(31)의 후방의 중앙 부분을 오목하게 하여 결합 패널(71)을 배치하기 위한 요소(凹所)(34)가 형성된다. 이 요소(34)에 결합 패널(71)을 배치함으로써 사용 상태에 있어서 중간 베이스(31)의 외표면과 결합 패널(71)의 외표면이 동일 평면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결합 패널(71)은 중간 베이스(31), 베이스(2)와 일체화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합 패널(71)에 배치되는 제 1 회동축(74, 74)이 중간 베이스(31), 베이스(2)의 일단부인 상단에 배치되게 된다.
수납 상태의 중간 베이스(31)는 베이스 본체(11)의 축지지 위치(13, 13)로부터 후방에 걸쳐서 베이스 본체(11)의 내측벽의 내측을 따르도록 수납된다(도 5 참조). 이 상태로부터 중간 베이스(31)를 세운 사용 상태로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베이스 본체(11) 상단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더 세워지도록 배치된다.
결합 패널(71)의 하단이며, 중간 베이스(31)의 하단에 상당하는 높이 위치에 외측 방향을 향해서 돌출되는 패널 결합 볼록부(72)가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 본체(11)의 후방에 있어서도 그 상부 가장자리에서 내방을 향해서 오목하게 형성된 패널 결합 오목부(14)가 형성된다. 중간 베이스(31)가 회동하여 세워졌을 때 패널 결합 볼록부(72)가 패널 결합 오목부(14)에 결합하고, 중간 베이스(31)가 회동하여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결합 상태는 결합 패널(71)을 외측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탄성체(75)에 의해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탄성체(75)는 수지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지만 코일 스프링 등 그 밖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이어서, 모체(51)에 대해서 도 6, 도 7에 추가하여 도 2, 도 3에 의해 설명한다. 모체(51)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본체(11), 중간 베이스(31)의 상측에 배치된다. 모체(51)는 사용자의 전두부, 정두부(頂頭部)를 덮는 것이며,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대략 반원형상이 된다. 이 대략 반원형상이란 구체를 약 3분의 1 내지 4분의 1정도 잘라낸 접시형상과 같은 형태이다.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모체(51)의 하부 가장자리(52)는 점차 상승하여 경사진다. 모체(51)는 전체적으로 만곡해 있으며, 그 후방으로부터 절곡하는 후방 절곡부(54)를 갖고, 이 만곡 부분은 사용자의 정두부와 후두부의 사이 부근에 위치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체(51)의 전방 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수하한 전방 수하편(53)을 갖고, 베이스 본체(11)의 전방 상단의 내측을 오목하게 한 전방 오목부(15)에 걸리도록 결합한다. 모체(51)의 후방 절곡부(54)에는 그 내방에 제 2 회동축 지지부(59)가 배치되고, 이 제 2 회동축 지지부(59)가 제 1 회동축(74, 74)을 지지하는 회동 기부(81)로부터 돌출되는 제 2 회동축(82)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모체(51)의 양측방의 하부 가장자리(52)로부터 하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는 측방 수하편(55, 55)이 형성된다. 이 측방 수하편(55, 55)이 베이스 본체(11) 및 중간 베이스(31) 측방의 상단 가장자리 내측의 측방 오목부(35, 35)에 걸리도록 결합하여 사용 상태의 모체(51)의 덜컹거림을 방지한다.
또한, 모체(51)의 하부 가장자리(52)는 베이스 본체(11) 상단 가장자리 전체 또는 그 일부분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는 곳, 적어도 베이스 본체(11)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지지편(17, 17)이 형성되어 모체(51)의 하부 가장자리(52)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모체(51)의 전방 수하편(53)으로부터 하방으로 수하하여 개구부(57)를 갖는 피로크편(56)이 형성되고, 베이스 본체(11)의 전방 내측에는 로크 방향으로 바이어싱되는 로크부(16)가 배치된다. 이 로크부(16)의 열쇠형상으로 된 선단이 개구부(57)에 결합함으로써 베이스 본체(11) 상에 모체(51)를 배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를 해제하여 모체(51)를 수납할 때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로크부(16)의 하부를 압박하여 피로크편(56)과의 결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모체(51)를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모체(51)가 제 1 회동축(74, 74) 및 제 2 회동축(82)에 의해 회동하는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베이스(31)의 후방의 요소(34)에 배치되는 결합 패널(71)은 그 상단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더 돌출된 축유지부(73, 73)가 형성되고, 그 축유지부(73, 73)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수평 방향의 제 1 회동축(74, 74)이 배치된다. 제 1 회동축(74, 74)은 모체(51)에 접속하는 회동 기부(81)가 제 1 회동축(74, 74)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축을 지점으로 모체(51)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도 2, 도 3 참조).
제 1 회동축(74, 74)은 축유지부(73, 73)로부터 각각 소정 길이분만큼 돌출되는 것이지만 1개의 축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헬멧(1)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일방의 측면측으로부터 또 다른 측면측에 걸쳐서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수평축이지만 이것에 길이 방향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회동 기부(81) 및 제 2 회동축(8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동 기부(81)는 그 선단측으로부터 원통형상의 제 2 회동축(82)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말단측에서 제 1 회동축(74, 74)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분(83)을 갖는다. 모체(51)의 후방 절곡부(54)는 제 2 회동축(82)을 통과하는 회동 구멍을 갖고, 제 2 회동축(82)의 축오목부(84)와 결합하는 축볼록부(60)를 갖는 제 2 회동 축지지부(59)를 부착함으로써 제 2 회동축(82)을 지점으로 모체(51)를 회동하여 반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한다.
제 2 회동축(82)은 수평 방향의 제 1 회동축(74, 74)에 교차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다. 이 교차하는 방향이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제 1 회동축(74, 7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본 발명의 반전 수납형 헬멧(1)은 모체(5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의 회동과, 모체(51)를 상하 반대로 반전하는 방향으로의 회동을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양축에 의해 서로 상이한 별개 독립된 회동을 행하여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는 것이면 좋다.
제 1 회동축(74, 74)에 의해 회동하여 세워진 모체(51)는 제 2 회동축(82)에 의해 상하 반대가 되도록 반전한다(도 4 참조). 모체(51)를 반전시킨 상태로부터, 또한 제 1 회동축(74, 74)을 지점으로 기립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모체(51)를 베이스 본체(11)의 수용 위치(3)에 수납할 수 있다(도 5 참조).
중간 베이스(31)와 베이스 본체(11)의 결합을 해제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베이스(31)에 장착되는 결합 패널(71)은 상단의 축유지부(73, 73)와 하단의 패널 결합 볼록부(72) 사이이며, 그 양측방에 축 구멍(76, 76)을 갖고, 여기에 중간 베이스(31)의 요소(34)의 측면에 배치되는 축(도시하지 않는다)에 의해 이 축을 지점으로 회동한다.
결합 패널(71)의 축유지부(73, 73) 사이의 상단 가장자리 외측을 상방으로 돌출한 결합 해제부(77)를 갖는다. 회동 기부(81) 및 모체(51)를 제 1 회동축(74, 74)을 지점으로 회동하여 세우게 하고, 거의 수직 방향에 도달한 상태로 회동 기부(81)의 베어링 부분(83)의 원통형상의 외표면이 결합 해제부(77)에 접촉한다. 이것은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베어링 부분(83)의 두께가 중심선으로부터의 일방향 거리(X)와 또 다른 방향의 거리(Y)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이 상태로부터 추가로 회동 기부(81) 및 모체(51)를 회동하면 결합 패널(71)의 결합 해제부(77)를 외측으로 압출하는 힘이 작용하고, 결합 패널(71)이 회동하여 하단의 패널 결합 볼록부(72)와 베이스 본체(11)의 패널 결합 오목부(14)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헬멧(1)은 제 1 회동축(74, 74)에 의한 회동과, 제 2 회동축(82)에 의한 회동의 상이한 2개의 회동에 의해 모체(51)를 수용 위치(3)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축이나 결합 패널(71)을 모두 헬멧(1)의 후방에 집중시킴으로써 소정 두께, 강도를 갖는 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를 베이스 본체(11)와 중간 베이스(31)로 분할함으로써 모체(51)의 수납뿐만 아니라 베이스(2)의 높이 방향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모체(51)의 제 1 회동과 중간 베이스(31)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이 일련의 동작으로 행하게 되며, 간단한 동작으로 헬멧(1)을 수납할 수 있다.
1: 헬멧 2: 베이스
11: 베이스 본체 14: 결합 오목부
31: 중간 베이스 32: 선단
33: 회동 지지축 51: 모체
54: 후방 절곡부 71: 결합 패널
72: 결합 볼록부 74: 제 1 회동축
75: 탄성체 77: 결합 해제부
81: 회동 기부 82: 제 2 회동축

Claims (6)

  1. 환형상의 베이스와, 상기 환형상의 베이스의 상방을 덮는 반구형상의 모체로 이루어지는 헬멧으로서,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모체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수평 방향의 제 1 회동축과,
    상방으로 회동시킨 모체를 상하 반대로 회동하여 반전시키는 상기 제 1 회동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제 2 회동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베이스는 환형상의 베이스 본체와, 중간 베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베이스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환형상체를 일부 노치한 C자형상의 형태이며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선단으로부터 후방에 걸쳐서 방사형상으로 넓어짐을 갖는 부채형의 형태인 반전 수납 헬멧.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회동축은 베이스의 후방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회동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기부를 갖고, 그 선단으로부터 제 2 회동축을 돌출시키고,
    모체 후방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동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회동축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 수납 헬멧.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베이스는 베이스 본체의 상방에 배치하고, 또한 그 상방에 모체를 배치하는 것이며, 베이스 본체의 내측을 따라 수납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 수납 헬멧.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베이스는 베이스 본체의 측면에 있어서 수평 방향의 회동 지지축에 의해 그 선단이 축지지되고,
    상기 중간 베이스의 후방에 있어서 베이스 본체의 내측 상부 가장자리와 결합하는 결합 패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 수납 헬멧.
  5. 제 4 항에 있어서,
    결합 패널과 베이스 본체의 결합은 상기 결합 패널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는 결합 볼록부와, 베이스 본체 후방에서 내방으로 형성된 결합 오목부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 수납 헬멧.
  6. 제 5 항에 있어서,
    결합 패널은 그 상단 및 하단을 제외하는 측방에 수평 방향의 패널 회동축에 의해 중간 베이스에 축지지되고, 그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결합 해제부를 갖는 것이며,
    결합 해제부는 제 1 회동축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 기부의 소정 각도의 회동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결합 패널의 상단을 외측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결합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 수납 헬멧.
KR1020207013202A 2018-04-13 2018-04-13 반전 수납 헬멧 KR102493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5484 WO2019198224A1 (ja) 2018-04-13 2018-04-13 反転収納ヘルメ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357A KR20200143357A (ko) 2020-12-23
KR102493177B1 true KR102493177B1 (ko) 2023-01-30

Family

ID=6816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202A KR102493177B1 (ko) 2018-04-13 2018-04-13 반전 수납 헬멧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3177B1 (ko)
WO (1) WO201919822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4562A (ja) * 2013-05-31 2014-12-15 Dicプラスチック株式会社 折り畳みヘルメット
JP2018076614A (ja) * 2016-11-08 2018-05-17 テイケイ株式会社 反転式ヘルメ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4145A (ja) 2002-08-29 2004-03-18 Yuichi Shimoyama 折り畳み式ゴーグルヘルメット
JP2015028233A (ja) 2013-07-04 2015-02-12 加賀産業株式会社 テレスコピック伸縮式ヘルメット
JP5908929B2 (ja) 2014-01-15 2016-04-26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
JP6568837B2 (ja) * 2016-10-14 2019-08-28 東洋物産工業株式会社 反転収納ヘルメ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4562A (ja) * 2013-05-31 2014-12-15 Dicプラスチック株式会社 折り畳みヘルメット
JP2018076614A (ja) * 2016-11-08 2018-05-17 テイケイ株式会社 反転式ヘルメ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357A (ko) 2020-12-23
WO2019198224A1 (ja)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83471T3 (es) Disposición de charnelas para cochecitos de niño
ES2397351T3 (es) Dispositivo de cierre del tipo de salto elástico
KR100748611B1 (ko) 안전모용 보안면
JP6568837B2 (ja) 反転収納ヘルメット
US20220192302A1 (en) Brim Shade and Hinge
KR20130036165A (ko) 헬멧
CN102281783A (zh) 护罩部件及防护帽
JP5949666B2 (ja) 折り畳みヘルメット
EP3945916B1 (en) Collapsible protective helmet
KR102493177B1 (ko) 반전 수납 헬멧
KR20190114863A (ko)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US6283292B1 (en) Toolbox
JP5607804B2 (ja) 折畳み式帽子
KR20220122053A (ko) 슬립형 폴더블 휴대단말기
JP3233085U (ja) モニタアーム
JP5994732B2 (ja) 帽子用保護具及び帽子
JP2020176338A (ja) 折り畳みヘルメット
JP2017075415A (ja) 折り畳み式ヘッドプロテクタ
JP2000037567A (ja) 関節可動人形に於ける肩部の構造
JP6417069B1 (ja) ヘルメット
JP6460277B1 (ja) 杖の自立装置
CN107172249B (zh) 多功能手机套
JP6716214B2 (ja) 突風に強い傘
CN209251877U (zh) 一种带有自锁功能的指甲钳
JP3165352U (ja) 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