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868B1 - 환자 이동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환자 이동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868B1
KR102492868B1 KR1020180083840A KR20180083840A KR102492868B1 KR 102492868 B1 KR102492868 B1 KR 102492868B1 KR 1020180083840 A KR1020180083840 A KR 1020180083840A KR 20180083840 A KR20180083840 A KR 20180083840A KR 102492868 B1 KR102492868 B1 KR 102492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tient
seating
le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447A (ko
Inventor
이기석
최여원
김동엽
이예슬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83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86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1Flexible harnesses or s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9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Lower body, e.g. pelvis,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이동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다리가 걸쳐지는 다리걸침수단과, 다리걸침수단에 다리를 걸친 환자의 상체를 받치는 안착면을 가지는 안착받침대와, 안착받침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대와, 회동지지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자 이동 보조장치{ASSISTIVE APPARATUS FOR PATIENT MOVEMENT}
본 발명은 환자 이동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를 침대와 휠체어로 이동 시 간호인의 수고를 덜어주기 위한 환자 이동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반신 등에 장애가 있는 신체부자유자(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환자'로 통칭하기로 한다.)를 침대에서 휠체어로, 휠체어에서 침대로 옮기는 과정은 간호인이 환자를 직접 들어올리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간호인의 허리에 무리가 가게 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체형에 따라서는 여러명의 간호인이 필요하기도 한다.
인구의 노령화로 가정방문요양사나 호스피스의 수요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데, 이와 같이 환자를 침대와 휠체어로 이동시키는 것은 간호인에게 신체적으로 큰 부담이 되어, 간호를 기피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으며, 나아가 환자의 보건복지와 간호, 간병 시스템 전반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에 따라 환자를 침대와 휠체어로 이동 시 간호인의 수고를 보다 덜어줄 수 있는 보조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83499호(2015.01.12 등록, 발명의 명칭: 침대 휠체어간 이동 보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환자를 침대와 휠체어로 이동 시 간호인의 수고를 보다 덜어줄 수 있는 환자 이동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는, 환자의 다리가 걸쳐지는 다리걸침수단; 상기 다리걸침수단에 다리를 걸친 환자의 상체를 받치는 안착면을 가지는 안착받침대; 상기 안착받침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대; 및 상기 회동지지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걸침수단은, 상기 안착받침대의 좌측부에 위치되고, 환자의 왼쪽 다리가 걸쳐지는 좌측걸침대; 및 상기 안착받침대의 우측부에 위치되고, 환자의 오른쪽 다리가가 걸쳐지는 우측걸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걸침수단은, 상기 안착받침대와 사이에 여유공간부를 가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의 단부를 상기 안착받침대 또는 상기 회동지지대에 고정시키는 벨트고정부; 및 상기 안착받침대 또는 상기 회동지지대 상에 형성되고, 상기 벨트부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설정 위치에 구속하는 벨트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받침대는, 엎드린 환자의 상체를 받칠 수 있는 상면부 형상을 가지는 상체안착부; 및 상기 상체안착부의 하부에 보다 축소된 너비로 연결되고, 환자가 상기 다리걸침수단에 다리를 걸치는 동안 환자의 양다리 사이에 위치되며, 엎드린 환자의 골반을 지지하는 골반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지지대는, 상기 안착받침대를 지지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유닛; 및 상기 회동지지유닛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프레임의 회동각도를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베이스는, 상기 회동지지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방향 길이가 신축조절되는 승강지지대; 및 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승강지지대의 하부에 연결되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는, 회동지지대를 회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적은 힘만으로 환자를 침대나 휠체어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환자를 침대와 휠체어로 이동 시 환자를 직접 들어올린 채 방향과 위치를 바꾸어 이동시키는 경우와 비교해, 간호인의 수고를 현저히 덜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에 의하면, 건장한 환자를 옮기는 경우에도 여러명의 간병인이 필요하지 않으며, 환자를 엎드린 자세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다리가 불편한 환자 뿐만 아니라 허리가 불편한 환자에게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에 의하면, 간호인에게 신체적으로 큰 부담으로 작용하여 요양원이나 병원에서 간호를 기피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되는 환자 이동 작업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고, 나아가 환자의 보건복지와 간호, 간병 시스템 전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를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에 환자의 다리를 끼우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에 환자의 다리를 끼운 후 환자가 엎드린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제작한 제1시제품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제작한 제2시제품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의 제2시제품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간호인,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를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에 환자의 다리를 끼우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에 환자의 다리를 끼운 후 환자가 엎드린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제작한 제1시제품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제작한 제2시제품의 사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의 제2시제품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1)는 다리걸침수단(10), 안착받침대(20), 회동지지대(30), 이동베이스(40)를 포함한다.
다리걸침수단(10)은 환자가 침대(2) 또는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다리를, 보다 구체적으로는 허벅지를 걸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이 후 환자를 침대(2) 또는 휠체어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환자의 체중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걸침수단(10)은 좌측걸침대(10a)와 우측걸침대(10b)를 포함한다.
좌측걸침대(10a)는 환자의 왼쪽 다리가 걸쳐지는 부분으로, 안착받침대(20)의 좌측부에 위치된다. 우측걸침대(10b)는 환자의 오른쪽 다리가 걸쳐지는 부분으로, 안착받침대(20)의 우측부에 위치된다. 환자의 왼쪽 다리와 오른쪽 다리를 좌측걸침대(10a)와 우측걸침대(10b)에 각각 걸침으로써, 환자의 상체가 안착받침대(20)에 안착된 상태에서 무게 중심 및 균형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고, 이탈, 낙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걸침수단(10)은 벨트부(11), 벨트고정부(미도시), 벨트구속부(13)를 포함한다.
벨트부(11)는 가요성을 가지는 벨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안착받침대(20)와 사이에 여유공간부를 가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벨트부재에 버클이나 조리개를 결합함으로써, 간호인의 편의에 따라 필요 시 벨트부(11)와 안착받침대(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공간부를 개방시킬 수 있고, 벨트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벨트고정부는 벨트부(11)의 양단부를 안착받침대(20) 또는 회동지지대(30)에 고정시킨다. 벨트고정부로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벨트부(11)의 양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벨트부(11)의 양단부는 벨트고정부에 의해 각각 안착받침대(2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서 회동지지대(30)의 받침프레임(31)에 결합된다.
벨트구속부(13)는 안착받침대(20) 또는 회동지지대(30) 상에 형성되고, 벨트부(11)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설정 위치에 구속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구속부(13)는 회동지지대(30)의 받침프레임(31)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벨트부(11)가 통과할 수 있는 슬릿 형상의 홀부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벨트구속부(13)에 벨트부(11)를 끼우고, 벨트고정부로 벨트부(11)의 양단부를 고정시킴으로써, 하나의 벨트부재를 이용해 좌측걸침대(10a)와 우측걸침대(10b)를 함께 형성할 수 있고, 벨트부(11)가 자중에 의해 쳐져 회동지지대(30)나 이동베이스(4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착받침대(20)는 환자의 상체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환자의 상체를 안착시킨 채 받칠 수 있는 안착면을 가진다. 안착받침대(20)는 환자가 엎드린 상태에서 불편함을 적게 느끼도록 쿠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오염을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매끈한 표면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리걸침수단(10)에 다리를 걸친 환자가 상체를 앞으로 구부려 엎드리면 안착받침대(20)의 상면부에 안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받침대(20)는 상체안착부(21)와 골반안착부(22)를 포함한다.
상체안착부(21)는 엎드린 환자의 상체를 받칠 수 있는 상면부 형상을 가진다. 상체안착부(21)의 상면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좌측부와 우측부에 비해 중간부를 낮게, 즉 오목하게 형성하면, 상체안착부(21)에 환자가 안착되는 과정이나 안착된 상태에서 환자의 상체가 자연히 상체안착부(21)의 중간부측으로 유도된다. 이에 따라 안착받침대(2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환자의 체중이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골반안착부(22)는 엎드린 환자의 골반을 지지하게 되는 부분으로, 상체안착부(21)의 하부에, 다른 표현으로는 상체안착부(21)의 일측부에 하측으로 쳐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골반안착부(22)는 환자의 양다리 사이에 위치되기 용이하도록 상체안착부(21) 보다 축소된 너비로 형성된다.
골반안착부(22)가 환자의 양다리 사이에 위치되는 지점에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보조장치(1)를 배치한 상태에서 환자의 다리를 다리걸침수단(10)에 안정감있게 걸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다리걸침수단(10)에 다리를 건 상태에서 엎드리면 상체안착부(21)와 골반안착부(22)에 각각 상체와 골반이 받쳐지게 된다.
회동지지대(30)는 안착받침대(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환자가 앉은 자세로 안착받침대(20)에 상체를 엎드린 상태에서, 환자의 엉덩이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예를 들어, 도 1, 도 2 상에서 안착받침대(20)의 우측부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안착받침대(22)를 회동시키면, 환자를 침대(2)나 휠체어로부터 침대(2)나 휠체어로부터 용이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환자의 체중은 안착받침대(20)와 다리걸침수단(10)에 의해 지지되고, 환자의 엉덩이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침대(2)나 휠체어로부터 침대(2)나 휠체어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안착받침대(20)를 회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적은 힘만으로 환자를 침대(2)나 휠체어로부터 리프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회동지지대(30)는 받침프레임(31), 회동지지유닛(32), 스토퍼(33)를 포함한다.
받침프레임(31)은 안착받침대(2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안착받침대(20)의 형상이 환자의 체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골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프레임(31)은 안착받침대(20)의 상부를 지지하는 가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에서 안착받침대(20)의 하부로 연장되는 세로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회동지지유닛(32)은 받침프레임(31)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회동지지유닛은 축부재, 베어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받침프레임(31)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회동지지유닛(32)의 상부는 받침프레임(31)의 세로지지대의 연장방향 중간부에 힌지연결되고, 회동지지유닛(32)의 하부는 이동베이스(40)의 상부에 연결, 고정된다.
스토퍼(33)는 받침프레임(31)의 회동각도를 구속하는 요소로, 회동지지유닛(32) 상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토퍼(33)는 회동지지유닛(32)의 외면부 중 상체안착부(21)와 마주하는 위치에 받침프레임(31)과 설정 상대각도를 두고 돌출되게 형성된다. 안착받침대(20)를 설정 각도로 회동시키면 받침프레임(31)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로지지대가 스토퍼(33)에 걸려 더 이상의 회동이 저지된다. 환자를 침대(2)나 휠체어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안착받침대(20)를 회동시킴에 있어서, 스토퍼(33)를 이용해 그 회동 각도를 설정 각도로 제한함으로써, 안착받침대(20)가 과도하게 회전되면서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거나 낙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베이스(40)는 회동지지대(30)를 이동 및 승강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베이스(40)는 승강지지대(41), 이동유닛(42)을 포함한다.
승강지지대(41)는 상하로 연장된 축 형상을 가지고 회동지지대(30)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하방향 길이가 신축조절된다. 승강지지대(41)로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와 같이 유체의 압력에 의해, 또는 랙기어 조립체와 같이 전기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액츄에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로서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는 실린더 기구를 적용할 경우 페달형 작동기를 이용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고(도 8 참조), 전기를 이용하는 경우 배터리와 조작패널을 이용해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승강지지대(41)를 이용해 침대(2)나 휠체어의 높이에 따라 안착받침대(20)의 높이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이동유닛(42)은 바퀴(44)를 구비하여 승강지지대(41)의 하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42)은 승강지지대(41)를 기울어짐 없이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승강지지대(41) 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승강지지대(41)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확장다리(43)를 가지며, 바퀴(44)는 확장다리(43)의 단부에 결합된다. 바퀴(44)로는 설정 하중이 작용 시 자동으로 브레이크 기능이 작동되는 싯 브레이크 캐스터와 같은 캐스터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이동유닛(42)을 이용해 바퀴(44)가 구를 수 있을 정도의 적은 힘만으로 환자를 목적한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1)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를 포함한 다른 다양한 실시예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4의 (a), (b)에는 환자가 침대(2)의 가장자리에 앉은 자세에서 왼쪽 다리를 다리걸침수단(10)의 좌측걸침대(10a)에 걸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a), (b)에는 각각 환자가 상체를 안착받침대(20)에 안착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1)를 이용함에 있어서는, 환자의 다리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걸침수단(10)에 걸치는 과정과, 상체를 엎드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받침대(20)에 안착시키는 과정과, 회동지지대(30)를 이용해 안착받침대(20)를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환자를 침대(2)나 휠체어로부터 이격시키는 과정, 이동베이스(40)를 이용해 목적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1)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요양원에 방문하여 환자를 옮기는 방법과 불편한 부분, 필요한 사항들을 설문조사하여 최적의 옮기는 방법을 여러 유형별로 생각하여 제품 모델링을 하고, 요양원에 입원 중인 환자의 주요 연령대인 40~70대 평균 인체 치수를 조사하여, 그에 맞는 제품의 크기를 선정하였다.
모델링한 제품에 필요한 부품들을 가격, 용도, 적합성 등을 비교한 후 프로토 타입을 제작하여 직접 실험해보면서 제품을 제작하였고, 제작 과정에서 여러 번의 실험을 통해 발생한 문제점을 파악하고(도 6의 (a) 내지 (f) 참조), 부품을 교체하거나 치수를 측정하여 보다 적합한 제품을 제작하였다(도 7의 (a) 내지 (e) 참조).
시중에 구할 수 있는 부품을 최대로 이용하고 용접과 레이저 가공 등을 이용하여 제품을 제작하였다. 제품의 기능을 확실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작은 체구의 보조 도우미가 건장한 체형의 환자를 옮기는 과정을 직접 실험해보고 제품기능이 제대로 작동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 참조).
제품을 제작하면서 제작하기 전에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를 보완하여 다시 제작하고, 기능 실험을 하면서 수정하였다. 환자가 본 발명에 엎드린 상태에서 이동시킬 때 환자의 다리가 장치 하부에 걸리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하부의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유닛(42)의 형상을 'ㄷ'자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건장한 체형의 환자들이 반복하여 사용할 경우, 회동지지대(30)나 이동베이스(40)에 변형이나 유격이 발생될 수 있어, 회동지지대(30)와 이동베이스(4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수단을 추가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1)에 의하면, 회동지지대(30)를 회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적은 힘만으로 환자를 침대(2)나 휠체어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환자를 침대와 휠체어로 이동 시 환자를 직접 들어올린 채 방향과 위치를 바꾸어 이동시키는 경우와 비교해, 간호인의 수고를 현저히 덜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1)에 의하면, 건장한 환자를 옮기는 경우에도 여러명의 간병인이 필요하지 않으며, 환자를 엎드린 자세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다리가 불편한 환자 뿐만 아니라 허리가 불편한 환자에게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 보조장치(1)에 의하면, 간호인에게 신체적으로 큰 부담으로 작용하여 간호를 기피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되는 환자 이동 작업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환자의 보건복지와 간호, 간병 시스템 전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1 : 환자 이동 보조장치 2 : 침대
10 : 다리걸침수단 10a : 좌측걸침대
10b : 우측걸침대 11 : 벨트부
13 : 벨트구속부 20 : 안착받침대
21 : 상체안착부 22 : 골반안착부
30 : 회동지지대 31 : 받침프레임
32 : 회동지지유닛 33 : 스토퍼
40 : 이동베이스 41 : 승강지지대
42 : 이동유닛 43 : 확장다리
44 : 바퀴

Claims (6)

  1. 환자의 다리가 걸쳐지는 다리걸침수단;
    상기 다리걸침수단에 다리를 걸친 환자의 상체를 받치는 안착면을 가지는 안착받침대;
    상기 안착받침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대; 및
    상기 회동지지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걸침수단은,
    상기 안착받침대와 사이에 여유공간부를 가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의 단부를 상기 안착받침대 또는 상기 회동지지대에 고정시키는 벨트고정부; 및
    상기 안착받침대 또는 상기 회동지지대 상에 형성되고, 상기 벨트부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설정 위치에 구속하는 벨트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동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걸침수단은,
    상기 안착받침대의 좌측부에 위치되고, 환자의 왼쪽 다리가 걸쳐지는 좌측걸침대; 및
    상기 안착받침대의 우측부에 위치되고, 환자의 오른쪽 다리가가 걸쳐지는 우측걸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동 보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받침대는,
    엎드린 환자의 상체를 받칠 수 있는 상면부 형상을 가지는 상체안착부; 및
    상기 상체안착부의 하부에 보다 축소된 너비로 연결되고, 환자가 상기 다리걸침수단에 다리를 걸치는 동안 환자의 양다리 사이에 위치되며, 엎드린 환자의 골반을 지지하는 골반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동 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대는,
    상기 안착받침대를 지지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유닛; 및
    상기 회동지지유닛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프레임의 회동각도를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동 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베이스는,
    상기 회동지지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방향 길이가 신축조절되는 승강지지대; 및
    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승강지지대의 하부에 연결되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동 보조장치.
KR1020180083840A 2018-07-19 2018-07-19 환자 이동 보조장치 KR102492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840A KR102492868B1 (ko) 2018-07-19 2018-07-19 환자 이동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840A KR102492868B1 (ko) 2018-07-19 2018-07-19 환자 이동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447A KR20200009447A (ko) 2020-01-30
KR102492868B1 true KR102492868B1 (ko) 2023-01-30

Family

ID=6932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840A KR102492868B1 (ko) 2018-07-19 2018-07-19 환자 이동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8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646A (ja) * 2001-06-22 2003-01-07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乗降補助装置
JP2010227162A (ja) 2009-03-26 2010-10-14 Toyota Motor Corp 移乗装置、移乗方法、及び保持具
JP2017153566A (ja) * 2016-02-29 2017-09-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乗装置
JP2017176342A (ja) 2016-03-29 2017-10-0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移乗支援装置
WO2018105034A1 (ja) 2016-12-06 2018-06-14 株式会社アートプラン 移乗装置
JP2019171053A (ja) 2018-03-29 2019-10-10 石川県 移乗器具、及び、移乗器具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896B1 (ko) * 2012-10-22 2014-05-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환자 간호용 이승로봇
JP5994180B2 (ja) * 2014-12-15 2016-09-21 キョウワアグメント株式会社 移乗機
KR20160133191A (ko) * 2015-05-12 2016-11-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송용 보조로봇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646A (ja) * 2001-06-22 2003-01-07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乗降補助装置
JP2010227162A (ja) 2009-03-26 2010-10-14 Toyota Motor Corp 移乗装置、移乗方法、及び保持具
JP2017153566A (ja) * 2016-02-29 2017-09-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乗装置
JP2017176342A (ja) 2016-03-29 2017-10-0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移乗支援装置
WO2018105034A1 (ja) 2016-12-06 2018-06-14 株式会社アートプラン 移乗装置
JP2019171053A (ja) 2018-03-29 2019-10-10 石川県 移乗器具、及び、移乗器具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447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896B1 (ko) 환자 간호용 이승로봇
DK2438894T3 (en) TRANSFER AND MOBILITY DEVICE
US5862549A (en) Maternity bed
JP2002085458A (ja) 立ち上がり型車椅子用身体支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椅子
US20080290711A1 (en) Toileting chair
JP2007181639A (ja) 起立補助椅子
JP5317111B2 (ja) 人体把持具とそれを用いた移乗支援器具
AU2010339061B2 (en) Better electric person transfer, load and unload device
JP4051926B2 (ja) 車椅子
KR20170101333A (ko) 배드이송형 전동휠체어
US8661579B2 (en) Patient transfer
KR102492868B1 (ko) 환자 이동 보조장치
JP2001129033A (ja) 介護補助装置
JP4960842B2 (ja) 介護用の移乗介助装置
JP2001129032A (ja) 介護補助装置
JP2003102792A (ja) スライド式べッド
US10813810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ssisting persons from a lying position to a sitting position and a sitting position to a lying position
US10980691B1 (en) Mobile seat supporting transfer apparatus
JP6815241B2 (ja) 身体支持装置
WO2020208700A1 (ja) 介助装置
CZ37522U1 (cs) Křeslové lůžko se sklopnou opěrkou hlavy
JP2002153518A (ja) 可変車椅子
JP2004181061A (ja) 起立補助装置
JP4029287B2 (ja) 簡易リフター
JP4880796B1 (ja) 介助用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