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722B1 -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722B1
KR102492722B1 KR1020220062135A KR20220062135A KR102492722B1 KR 102492722 B1 KR102492722 B1 KR 102492722B1 KR 1020220062135 A KR1020220062135 A KR 1020220062135A KR 20220062135 A KR20220062135 A KR 20220062135A KR 102492722 B1 KR102492722 B1 KR 102492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k
cooking
unit
induction coi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
신상훈
김영린
Original Assignee
(주)원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팩토리 filed Critical (주)원팩토리
Priority to KR102022006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27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for wok pans and wok pans supports for induction cooking pl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9/00Foods and beverages: apparatus
    • Y10S99/14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볶음요리시 사용되는 웍(wok)의 스냅동작을 기계적으로 구동하되 인덕션 레인지 및 전용용기를 적용하여 화재 및 화상의 위험성이 없으며 연료연소로 인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쾌적한 요리환경 조성과 및 섬세한 조건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 {An automatic work-driven cooking system that utilizes induction range}
본 발명은 조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다양한 볶음요리시 사용되는 웍(wok)의 스냅동작을 기계적으로 구동하되 인덕션 레인지 및 전용용기를 적용하여 화재 및 화상의 위험성이 없으며 연료연소로 인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쾌적한 요리환경 조성과 및 섬세한 조건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중화요리를 비롯하여 다양한 볶음요리에서 우묵한 냄비나 프라이팬 형상의 조리기구인 웍(wok)이 사용된다.
이러한 볶음요리에서는 투입된 재료가 타지 않고 골고루 조리되도록 수시로 재료를 휘젓고 뒤집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웍은 요리사가 손잡이를 잡고 숙련된 동작으로 앞뒤로 왕복운동을 주면서 손목 스냅을 이용하여 투입된 재료를 순간적으로 띄워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조리경험이 많을수록 숙련도가 높아지지만 결국 요리사는 팔의 힘과 손목의 스냅을 이용해야 하므로, 매번 이루어지는 반복적인 동작으로 인한 피로도 증가와 손목 또는 팔 관절에 무리가 갈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현장에서는 동시에 여러 종류의 요리가 이루어질 뿐 아니라, 미숙련 요리사는 볶음 시간, 뒤집기 작업 등이 미숙하여 조리가 쉽지 않다.
이로 인해 요리사의 웍 동작을 기계적인 구동방식으로 대체한 일명 웍봇이 개발되었으나 모두 전통적인 화구방식의 가열기구에 적용되는 기술로 최근 각광받는 인덕션 방식의 가열기구에는 전혀 적용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인덕션은 전기로 작동하는 조리 기구로 자체 열을 내는 방식이 아닌, 기기 내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이용해 전기유도물질로 만들어진 용기와 반응시켜 열을 만들어내는 원리로 식재료를 가열하는 조리기구로, 직접 가열 방식이 아니므로 가스레인지와 같이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화재로부터 안전하며, 화상의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어 일반 가정 및 전문가용 주방에 설치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다른 조리 기구에 비해 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빠르게 가열되는 장점이 있으나, 용기와 레인지가 밀착되어야 함에 따라 웍 동작의 구현이 불가능하여 앞서 언급한 다양한 장점에도 조리스타일이 제약될 수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31812호(201.03.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를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덕션 레인지 및 전용용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볶음요리시 기계적으로 웍(wok)의 스냅동작이 구현되도록 하여 화재 및 화상의 위험성을 줄이면서 쾌적한 요리환경 조성과 빠른 조리 및 섬세한 온도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우묵한 형상의 금속제 웍 용기와, 상기 웍 용기 하측면에 형성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되 절연체로 둘러싸여 상기 웍 용기에 밀착되는 유도코일부로 구성되는 조리구조체; 중앙에 상기 조리구조체가 고정되되, 뒤쪽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 앞쪽 측면으로 돌출형성된 롤러를 구비하는 판 형상의 지지체; 상기 지지체 양측에 뒤쪽으로 하향경사를 갖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롤러를 지지하여 상기 지지체의 전후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레일과, 한쪽 중심에 상기 지지축과 평행한 구동축이 형성되는 원반형 구조체로 다른 쪽으로 상기 지지축이 편심 연결되는 크랭크판으로 구성되는 메인구동부;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메인동력부;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유도코일부 및 상기 메인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도코일부는 복수의 유도코일이 전후방향으로 개별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후측으로 갈수록 온도가 높도록 유도코일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구조체는, 하측으로 탈착 가능하되 상기 유도코일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지체는, 상기 조리구조체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조리구조체에 형성된 고정수단과 결합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되, 상기 유도코일부의 동작 여부 및 화력을 출력하고, 타이머와 연계하여 상기 유도코일부의 화력 및 메인동력부의 속도를 제어하며 재료투입 및 조리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조리구조체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중심축을 통해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관통부와, 상기 중심축을 외력에 의해 설정된 범위에서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보조구동부와, 상기 중심축에 좌우로 왕복되는 회전력을 인가하는 보조동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웍 동작을 통한 다양한 요리를 함에 있어 요리사가 별도로 용기를 잡고 흔드는 작업 없이 조리 중 투입된 재료를 자동으로 뒤집어 혼합되도록 하여, 대량의 조리에도 부담을 없앨 수 있고, 요리사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항시 동일한 품질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화구나 가스레인지를 사용하지 않고 인덕션 레인지를 활용함에 따라 효율적인 제어를 통해 요리사가 자리를 비운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인덕션의 화력조절이 이루어지며 최적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동부에 열이 닿지 않아 화재발생, 구동부 손상 등의 우려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구조체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구조체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구조체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구조체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중화팬으로도 불리는 웍을 기반으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조리 중 웍을 상하 전부 방향으로 힘있게 움직여 별도의 조리도구 없이 내부에서 재료가 혼합되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내부가 우묵한 곡선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우묵한 형상의 금속제 웍 용기(11)가 구비되며, 상기 웍 용기(11) 하측면에 인덕션의 구성으로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측의 웍 용기(11) 내부를 가열하되 절연체(13)로 둘러싸인 유도코일부(12)가 상기 웍 용기(11) 하측면에 밀착되어 조리구조체(1)를 구성한다.
즉 종래의 웍 구동장치는 가스연소에 따른 화구를 열원으로 사용함에 따라 고정된 화구 상측에서 웍을 움직이는 형태로 구성되며, 화구의 열이 웍 뿐 아니라 주변까지 전달됨에 따른 구조적인 문제로 별도 냉각수단을 구비하기도 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인덕션, 즉 유도코일부(12)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웍 용기(11) 이외의 구조는 가열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원활한 가열을 위해 웍 용기(11)와의 밀착 구조가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웍 용기(11)와 유도코일부(12)가 일체로 구성된 조리구조체(1)를 움직이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웍 용기(11)는 인덕션을 통해 조리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곡선구조의 바닥면을 갖는 종래의 웍의 경우 이에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유도코일부(12) 및 절연체(13)를 제조하여 상호 밀착시킬 수도 있으나 통상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지는 절연체가 사용됨에 따라 곡면으로 제조가 어려울 수 있음에 따라 웍 용기(11)의 내부는 통상의 웍과 같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하측 바닥면은 일부 평면이 되도록 구성하여 판 형상으로 제작된 유도코일부(12)와 원활히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유도를 통해 용기를 가열하는 인덕션의 특성상 웍 용기(11)의 중앙부에 유도코일부(12)를 형성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 웍 용기(11) 전체가 원활히 가열되도록 할 수 있으나, 유도코일부를 분할하여 일부 열이 집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첨부된 도 5와 같은 웍 구동에 따른 조리시 투입된 재료가 뒤섞이는 과정에서 웍 용기(11)의 중앙이 아닌 한쪽, 즉 요리사의 반대 방향으로 몰리게 된다. 종래 화구방식에서는 이 과정에서 웍이 화구 쪽으로 기울어져 재료가 모인 부분에 열이 집중될 수 있으나 인덕션에서는 이러한 열 집중이 이루어질 수 없는 점을 보완하여, 본 발명에서 상기 유도코일부(12)는 복수의 유도코일(121)이 전후방향으로 개별 제어가 가능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첨부된 도 3 내지 4에서는 웍 용기(11)의 하측 바닥면이 4개의 면으로 꺾인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유도코일부(12)는 4개의 유도코일(121)이 상기 웍 용기(11) 하측으로 형성된 각 면에 접하도록 구성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 웍 구동 조리시 재료가 몰리는 부분이 열이 집중되도록 함으로 종래 웍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리 및 품질로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리구조체(1)는 판 형상의 지지체(2)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며 웍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체(2)는 중앙에 상기 조리구조체(1)가 고정되는 사각형 틀로서, 뒤쪽 즉 사용자가 위치하는 반대쪽으로 상하 및 전후방향의 회동이 이루어지며 투입된 재료가 뒤섞이도록 하고 앞쪽은 뒤쪽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전후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체(2)의 뒤쪽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지지축(2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21) 앞쪽 측면으로 롤러(22)가 돌출형성되어 후술되는 메인구동부(3)를 통해 웍 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축(21) 및 롤러(22)는 한쪽에만 구성될 수도 있으나 안정적인 지지와 웍 구동을 위해 양측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웍 용기(11)의 세척이나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조리구조체(1)를 지지체(2)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도코일부(12)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 연결을 위한 커넥터(14)를 조리구조체(1) 하부에 구성하여 조리구조체(1)를 지지체(2)로부터 분리시 케이블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리구조체(1)에 고정수단(15)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2)에 상기 조리구조체(1)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설치된 조리구조체(1)의 고정수단(15)이 체결되는 설치부(23)가 형성된다.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수단 및 설치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1 및 2와 같이 조리구조체(1) 양측면으로 막대형태로 돌출된 고정수단(15)을 마련하고, 상기 설치부(23)는 상기 조리구조체(1)를 둘러 감싸도록 상기 지지체(2) 상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수단(15)이 상하측으로 삽탈되며 한쪽으로 돌려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L' 자형 홈을 갖도록 구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지지축(21) 및 롤러(22)에 결합되어 웍 구동을 위한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메인구동부(3)는, 한쪽 중심에 상기 지지축(21)과 평행한 구동축(32)이 형성되는 원반형 구조체로 다른 쪽으로 상기 지지축(21)이 편심 연결되는 크랭크판(33)과, 상기 지지체(2) 측면에 뒤쪽으로 하향경사를 갖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롤러(22)를 지지하여 상기 지지체의 전후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레일(31)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축(21)이 지지체(2) 양측으로 돌출되고 롤러(22) 또한 지지체(2) 양측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크랭크판(33) 및 레일(31)도 한 쌍으로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구동축(32)을 회전시키는 모터로서 메인동력부(4)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크랭크판(33)의 한쪽 중심에 구동축(32)이 형성되고 다른 쪽으로는 상기 지지축(21)이 상기 구동축(32)과 어긋난 형태 즉 편심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동력부(4)가 상기 구동축(32)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지지축(21)은 하측 - 전방 - 상측 - 후방으로 향하며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체(2) 및 이에 결합된 조리구조체(1)의 앞쪽도 동일한 궤적으로 회전하며, 이 과정에서 지지체(2)의 뒤쪽은 롤러(22)를 통해 상기 레일(31)에 지지됨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롤러(22)의 높이는 유지한 상태에서 레일(3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함으로 웍 동작이 구현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웍 용기(11)의 뒤쪽이 하향 경사진 상태로 투입된 재료가 모이도록 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튕겨 올리는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적정한 각도로 상기 레일(31)의 경사를 후측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서 MCU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유도코일부(12) 및 상기 메인동력부(4)를 제어하는 제어부(5)가 구비된다.
이와 함께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5)로 전달하되, 상기 유도코일부(12)의 동작 여부 및 화력을 출력하고, 제어부(5)에 내장된 타이머(51)와 연계하여 상기 유도코일부(12)의 화력 및 메인동력부(4)의 속도를 제어하며 재료투입 및 조리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존 화구를 통해 조리하는 웍에서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통해 화력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으며 시간제어를 위해서는 별도의 타이머를 근처에 두고 요리사가 직접 제어를 할 수밖에 없는 현실로 실질적으로 요리사의 감각에 의존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다 보니 경험과 감각이 부족한 보조자가 균일한 요리를 만들기 어려웠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5) 및 인터페이스부(6)를 통해 모든 제어가 전자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에 따라 요리에 따라 미리 화력 및 시간을 프로그래밍하고 이에 맞춰 화력조절 및 투입지시와 조리완료 상태를 알려줌으로 누구나 균일한 품질의 요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상기 메인동력부(4)를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모터를 적용함으로 재료의 양과 특성에 따라 웍 구동 속도를 통해 힘을 조절하여 재료를 외부로 흘리거나 혼합이 원활치 않은 문제를 차단하여 최적의 상태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도코일부(12)가 복수의 유도코일(121)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어부(5)는 후측으로 갈수록 온도가 높도록 유도코일을 제어하여 웍 동작에서 투입된 재료가 뒤쪽으로 모이는 상태에서 해당 부위에 원활한 열 집중이 이루어져 종래인력으로 이루어지는 웍 동작과 동일한 형태와 품질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통상적인 웍 동작은 웍 용기를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듯 쳐올리며 투입된 재료들이 섞여 뒤집히도록 하는 동작으로 이를 통해 볶음 등 원활한 요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동작 및 조리과정을 무인화하는 것이 특징으로 투입된 재료 및 요리의 종류에 따라서는 본격적인 조리 전 또는 후에 웍 용기(11)를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웍 동작 외에 웍 용기(11)를 좌우로 흔들어 투입된 재료가 가운데로 모이도록 하는 동작도 필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로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웍 동작 외에도 웍 용기(11)를 좌우 방향으로 흔들어 주어 투입된 재료를 중앙으로 모아주어 이후의 웍 동작이나 조리 후 재료를 고르게 정렬하는 동작까지 무인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체(2)에는 상기 조리구조체(1)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부(24)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24)에 조리구조체(1)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중심축(25)을 통해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심축(25)을 외력에 의해 설정된 범위에서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보조구동부(26)를 통해 지지가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축(25)에 스토퍼 기능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구동부(26)가 상기 중심축(25)을 지지하되 스토퍼에 접촉됨으로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여 좌우 설정된 각도 범위로만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또한, 정역방향으로 회전제어가 가능한 모터인 보조동력부(27)를 통해 상기 중심축에 좌우로 왕복되는 회전력을 동력을 인가하여, 조리구조체(1)를 투입된 재료가 넘치지 않도록 좌우로 흔들어 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조리구조체 11: 웍 용기 12: 유도코일부
121: 유도코일 13: 절연체
14: 커넥터 15: 고정수단
2: 지지체 21: 지지축 22: 롤러
23: 설치부 24: 관통부
25: 중심축 26: 보조구동부
27: 보조동력부
3: 메인구동부 31: 레일 32: 구동축
33: 크랭크판
4: 메인동력부
5: 제어부 51: 타이머
6: 인터페이스부

Claims (5)

  1.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우묵한 형상의 금속제 웍 용기(11)와, 상기 웍 용기(11) 하측면에 형성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되 절연체(13)로 둘러싸여 상기 웍 용기에 밀착되는 유도코일부(12)로 구성되는 조리구조체(1);
    중앙에 상기 조리구조체(1)가 고정되되, 뒤쪽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지지축(21)과, 상기 지지축(21) 앞쪽 측면으로 돌출형성된 롤러(22)를 구비하는 판 형상의 지지체(2);
    상기 지지체(2) 양측에 뒤쪽으로 하향경사를 갖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롤러(22)를 지지하여 상기 지지체(2)의 전후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레일(31)과, 한쪽 중심에 상기 지지축(21)과 평행한 구동축(32)이 형성되는 원반형 구조체로 다른 쪽으로 상기 지지축(21)이 편심 연결되는 크랭크판(33)으로 구성되는 메인구동부(3);
    상기 구동축(32)을 회전시키는 메인동력부(4);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유도코일부(12) 및 상기 메인동력부(4)를 제어하는 제어부(5); 를 구비하되,
    상기 유도코일부(12)는 복수의 유도코일(121)이 전후방향으로 개별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는 후측으로 갈수록 온도가 높도록 유도코일(121)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구조체(1)는, 하측으로 탈착 가능하되 상기 유도코일부(12)에 전력을 공급하는 커넥터(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2)는,
    상기 조리구조체(1)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조리구조체(1)에 형성된 고정수단(15)과 결합되는 설치부(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5)로 전달하되, 상기 유도코일부(12)의 동작 여부 및 화력을 출력하고, 타이머(51)와 연계하여 상기 유도코일부(12)의 화력 및 메인동력부(4)의 속도를 제어하며 재료투입 및 조리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는,
    상기 조리구조체(1)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중심축(25)을 통해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관통부(24)와, 상기 중심축(25)을 외력에 의해 설정된 범위에서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보조구동부(26)와, 상기 중심축에 좌우로 왕복되는 회전력을 인가하는 보조동력부(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
KR1020220062135A 2022-05-20 2022-05-20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 KR102492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135A KR102492722B1 (ko) 2022-05-20 2022-05-20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135A KR102492722B1 (ko) 2022-05-20 2022-05-20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722B1 true KR102492722B1 (ko) 2023-01-27

Family

ID=8510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135A KR102492722B1 (ko) 2022-05-20 2022-05-20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7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116B1 (ko) * 2018-02-07 2019-02-27 (주)키코코 자동 볶음요리 조리장치
KR20190031812A (ko) 2017-09-18 2019-03-27 정찬수 웍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조리 장치
KR101968336B1 (ko) * 2017-10-27 2019-04-12 문원주 회전식 믹서기
KR102262520B1 (ko) * 2020-05-13 2021-07-14 주식회사 삼일이앤지 발열코일이 권취된 조리용기 및 이를 가열하는 스마트 인덕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812A (ko) 2017-09-18 2019-03-27 정찬수 웍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조리 장치
KR101968336B1 (ko) * 2017-10-27 2019-04-12 문원주 회전식 믹서기
KR101925116B1 (ko) * 2018-02-07 2019-02-27 (주)키코코 자동 볶음요리 조리장치
KR102262520B1 (ko) * 2020-05-13 2021-07-14 주식회사 삼일이앤지 발열코일이 권취된 조리용기 및 이를 가열하는 스마트 인덕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3013B1 (en)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EP1885188B1 (en) Automatic broiler for variable batch cooking
US6026735A (en) Self stirring cooking assembly
KR101828159B1 (ko) 볶음용 팬 자동 스냅 장치
US5687642A (en) Concave induction cooking surface for wok cooking
KR20100122631A (ko) 볶음요리용 자동 볶음기
US4704956A (en) Cooking apparatus
KR102492722B1 (ko)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웍 자동 구동방식의 조리시스템
JP2016503683A (ja) 調理器具及び食物を調理するための方法
KR200482646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화덕장치
KR101300190B1 (ko) 유도가열방식의 중화요리용 조리기구
KR20230097531A (ko) 음식물 자동 조리기
CN210748854U (zh) 烹饪装置
JP5169494B2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KR101458747B1 (ko) 구이기용 가열수단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구이기
CN113413060A (zh) 一种自动炒菜机
JPS63175375A (ja) 電磁調理器
JP2004187840A (ja) ロータリー式炒め装置
JP3118908U (ja) 自動調理装置
JP3591735B1 (ja) 両面焼用グリドル
CN215411985U (zh) 集成灶
KR102446195B1 (ko) 볶음류용 자동 음식조리장치
CN102379634A (zh) 烤箱
KR100789832B1 (ko) 조리기기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180024131A (ko)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