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012B1 - 진공 척 - Google Patents

진공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012B1
KR102491012B1 KR1020210141155A KR20210141155A KR102491012B1 KR 102491012 B1 KR102491012 B1 KR 102491012B1 KR 1020210141155 A KR1020210141155 A KR 1020210141155A KR 20210141155 A KR20210141155 A KR 20210141155A KR 102491012 B1 KR102491012 B1 KR 102491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rod
side main
suction hole
main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찬
조창래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프리시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프리시젼(주) filed Critical 제이에스프리시젼(주)
Priority to KR1020210141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using vacuu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24B41/061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axially supporting turning workpieces, e.g. magnetically, pneu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04Work clamping means using fluid means or a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척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철강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료 무게가 가벼운 비철금속이나 렌즈 제조용 금형 소재 등과 같이 절삭 소재를 외관 손상없이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하려는 소재의 다양한 크기에 맞춰 진공 척의 진공 고정영역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는 진공 척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척은, 소정높이 및 소정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원형의 상측면에는 동일한 원형 중심을 가지는 다수의 환형 흡입홈(11)이 소정간격을 두고 소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환형 흡입홈(11)의 사이에는 환형 안착 돌출면(12)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환형 흡입홈(11)에는 동일한 직경 상에 수직 흡입공(13)이 각각 구비되고, 원통형의 측면에는 각각의 상기 수직 흡입공(13)이 형성되는 동일한 직경을 따라 좌, 우 관통되게 측면 주 흡입공(14)이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수직 흡입공(13)과 연통되며,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중앙에는 하측으로 수직하게 흡입 진공라인(15)이 연통되게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좌, 우측 단부에는 진공 밀폐캡(21)이 각각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에는 우측 회전로드(23)가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내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구비되고,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의 외주면에는 좌나사산 및 우나사산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중앙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좌측 회전로드(22)의 우측 단부 및 우측 회전로드(23)의 좌측 단부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 커넥터(24)가 마련되며, 상기 좌측 회전로드(22)의 좌측 단부는 상기 진공 밀폐캡(2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우측 회전로드(23)의 우측 단부는 상기 진공 밀폐캡(21)을 밀폐되게 관통하여 소정거리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소정거리 외부로 둘출된 단부에는 진공영역 조절 다이얼(25)이 구비되는 진공영역 조절로드부(20); 및, 내부 중공을 형성되며, 내부 중공의 내측면에는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의 외주면 나사산에 대응하여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가 각각 내부 중공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밀폐 오링(32)이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을 밀폐시키는 좌측 이동 밀폐구(30) 및 우측 이동 밀폐구(31)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척{Vacuum chuck}
본 발명은 진공 척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철강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료 무게가 가벼운 비철금속이나 렌즈 제조용 금형 소재 등과 같이 절삭 소재를 외관 손상없이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하려는 소재의 다양한 크기에 맞춰 진공 척의 진공 고정영역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는 진공 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재 가공에 사용되는 진공 척은 통상 상대적으로 가벼운 소재를 정밀하게 가공하여야 하는 경우, 외관 손상없이 안전하게 소재를 고정지지하기 위해 진공 압력을 이용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소재를 척의 상부면에 안착 고정하는 장치로, 정밀한 제조 공정에서 소재를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시키는 것은 제조 공정의 원만한 진행과 소재 가공의 외형 보호를 위해 중요한 제조 공정 상의 요인이 되며, 정밀 가공 소재가 진공 척에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되지 못하면 제조 공정상 불량이 발생하고 작업시간의 지연을 초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진공 척(100)의 경우, 단면 넓은 원형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동심원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진공 흡입홈(111)과, 상기 진공 홉입홈(111) 사이에 동심원으로 구비되는 안착 돌출면(112)과, 몸체부(110)의 상측 원형의 동일한 직경 상에 진공 흡입홈(111) 각각에 연통되게 형성되며 내부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다수의 수직 흡입공(113)과, 원통형의 몸체부(110)의 일측면에는 각각의 상기 수직 흡입공(113)이 형성되는 동일한 직경을 따라 상기 몸체부(110)의 좌, 우측이 관통되게 측면 주 흡입공(120)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수직 흡입공(113)과 연통되며, 상기 측면 주 흡입공(120)의 통공된 양단부는 밀폐캡(121)이 결합되고, 상기 측면 주 흡입공(120)의 중앙에는 하측으로 수직하게 흡입 진공라인(130)이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진공 척(100)의 경우, 상기 진공 척(100)의 상측면의 외곽에 구비되는 진공 흡입홈(111) 영역보다 가공 소재(200)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크기가 작은 가공 소재(200)를 진공 척(100)의 상측면 원형 중심 영역에 안착시키고, 안착된 상기 가공 소재(200)의 외곽에 존재하는 수직 흡입공(113)은 상기 수직 흡입공(113)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이용해 밀폐볼트(140) 등으로 나사결합시켜 상기 측면 주 흡입공(120)을 외부와 밀폐시키고, 상기 가공 소재(200)가 안착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수직 흡입공(113)을 통해서만 공기를 흡입 진공화시켜 상기 가공 소재(2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진공 척(100)에 고정시킬 가공 소재의 크기가 달라질 때 마다 상기 수직 흡입공(113)을 밀폐 또는 개방시키기 위해 다수의 밀폐볼트(140)를 체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여러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가공 소재의 크기 맞춰 이와 같은 진공 척 작동 준비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매번 반복적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6-0122557호(발명의 명칭:'반도체 제조장치의 진공 척')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철강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료 무게가 가벼운 비철금속이나 렌즈 제조용 금형 소재 등과 같이 절삭 소재를 외관 손상없이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고정하려는 소재의 다양한 크기에 맞춰 진공 척의 진공 고정영역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가공 소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소정높이 및 소정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원형의 상측면에는 동일한 원형 중심을 가지는 다수의 환형 흡입홈(11)이 소정간격을 두고 소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환형 흡입홈(11)의 사이에는 환형 안착 돌출면(12)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환형 흡입홈(11)에는 동일한 직경 상에 수직 흡입공(13)이 각각 구비되고, 원통형의 측면에는 각각의 상기 수직 흡입공(13)이 형성되는 동일한 직경을 따라 좌, 우 관통되게 측면 주 흡입공(14)이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수직 흡입공(13)과 연통되며,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중앙에는 하측으로 수직하게 흡입 진공라인(15)이 연통되게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좌, 우측 단부에는 진공 밀폐캡(21)이 각각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에는 우측 회전로드(23)가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내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구비되고,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의 외주면에는 좌나사산 및 우나사산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중앙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좌측 회전로드(22)의 우측 단부 및 우측 회전로드(23)의 좌측 단부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 커넥터(24)가 마련되며, 상기 좌측 회전로드(22)의 좌측 단부는 상기 진공 밀폐캡(2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우측 회전로드(23)의 우측 단부는 상기 진공 밀폐캡(21)을 밀폐되게 관통하여 소정거리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소정거리 외부로 둘출된 단부에는 진공영역 조절 다이얼(25)이 구비되는 진공영역 조절로드부(20); 및, 내부 중공을 형성되며, 내부 중공의 내측면에는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의 외주면 나사산에 대응하여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가 각각 내부 중공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밀폐 오링(32)이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을 밀폐시키는 좌측 이동 밀폐구(30) 및 우측 이동 밀폐구(31)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척(1)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척(1)은, 상기 연결 커넥터(24)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공기유동홈(26)이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공영역 조절 다이얼(25)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좌측 이동 밀폐구(30) 및 우측 이동 밀폐구(31)가 각각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를 따라, 중앙의 상기 연결 커넥터(24)를 향해,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을 밀폐시키면서 동일한 소정 거리를 이동하고, 상기 진공영역 조절 다이얼(25)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좌측 이동 밀폐구(30) 및 우측 이동 밀폐구(31)가 각각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를 따라, 좌측의 상기 진공 밀폐캡(21) 및 우측의 상기 진공 밀폐캡(21)을 향해,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을 밀폐시키면서 동일한 소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척은, 철강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료 무게가 가벼운 비철금속이나 렌즈 제조용 금형 소재 등과 같이 절삭 소재를 외관 손상없이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고정하려는 소재의 다양한 크기에 맞춰 진공 척의 진공 고정영역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가공 소재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1b는 종래 진공척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척에 있어서, 몸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진공 척의 주요 단면도; 및,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척에 있어서, 가공 소재가 안착된 몸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가공 소재의 크기에 따라 진공 영역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 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척에 있어서, 몸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진공 척의 주요 단면도이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척에 있어서, 가공 소재가 안착된 몸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가공 소재의 크기에 따라 진공 영역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척(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소정높이 보다 긴 소정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원통형의 상측면에 가공 소재가 안착되고, 내부 일측 및 하측으로는 진공라인이 구비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진공라인에 구비되어 원통형의 상기 몸체부(10) 상측면 중, 소재의 크기에 맞게 외곽에 존재하는 영역에서의 공기 흡입은 방지하면서 소재가 안착된 몸체부(10)의 중앙 상측면은 진공화시켜 소재를 고정하는 진공영역 조절로드부(20) 및, 상기 진공영역 조절로드부(20) 상에서 좌, 우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측면 주 흡입공(14)의 밀폐 영역을 조절하는 좌측 및 우측 이동밀폐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높이 및 소정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원형의 상측면에는 동일한 원형 중심을 가지는 다수의 환형 흡입홈(11)이 소정간격을 두고 소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환형 흡입홈(11)의 사이에는 환형 안착 돌출면(12)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환형 흡입홈(11)에는 동일한 직경 상에 수직 흡입공(13)이 각각 구비되고, 원통형의 측면에는 각각의 상기 수직 흡입공(13)이 형성되는 동일한 직경을 따라 좌, 우 관통되게 측면 주 흡입공(14)이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수직 흡입공(13)과 연통되며,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중앙에는 하측으로 수직하게 흡입 진공라인(15)이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진공영역 조절로드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좌, 우 단부에는 진공 밀폐캡(21)이 각각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에는 우측 회전로드(23)가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내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구비되고,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의 외주면에는 좌나사산 및 우나사산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중앙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좌측 회전로드(22)의 우측 단부 및 우측 회전로드(23)의 좌측 단부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 커넥트가 마련되며, 상기 좌측 회전로드(22)의 좌측 단부는 상기 진공 밀폐캡(2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우측 회전로드(23)의 우측 단부는 상기 진공 밀폐캡(21)을 밀폐되게 관통하여 소정거리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소정거리 외부로 돌출된 단부에는 진공영역 조절 다이얼(25)이 구비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이동 밀폐구(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공으로 형성되며, 내부 중공의 내측면에는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의 외주면 나사산에 대응하여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가 각각 내부 중공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며, 외주면의 둘레에는 다수의 밀폐 오링(32)이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을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통상 상기 흡입 진공라인(15)의 일측에는 진공 흡입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 흡입펌프가 작동되면 외부 공기가 상기 환형 흡입홈(11)을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수직 흡입공(13)으로 흡입되고, 상기 수직 흡입공(13)을 흡입된 공기는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 및 흡입 진공라인(15)을 따라 진공 흡입펌프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환형 흡입홈(11)의 상부에 가공 소재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외부 공기의 흡입과정을 통해 상기 안착된 가공 소재의 하측면이 진공상태가 되어 진공 척(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척(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 상측면의 원형 중심에, 몸체부(10) 전체 상측면의 면적 보다 작은 가공 소재를 안착시키고, 상기 진공영역 조절 다이얼(25)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진공영역 조절 다이얼(25)과 함께 상기 우측 회전로드(23) 및 좌측 회전로드(22)가 동시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우측 회전로드(23) 및 좌측 회전로드(22)의 나사산은 각각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우측 회전로드(23) 및 좌측 회전로드(22) 상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상기 우측 이동 밀폐구(31) 및 좌측 이동 밀폐구(30)는, 각각 상기 우측 회전로드(23) 및 좌측 회전로드(22)를 따라, 중앙의 상기 연결 커넥터(24)를 향해,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을 중앙의 상기 흡입 진공라인(15) 측과 외곽 측으로 밀폐 분리되게 동일한 소정 거리를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공 소재가 안착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환형 흡입홈(11), 수직 흡입공(13) 및, 측면 주 흡입공(14)을 통해서만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상기 가공 소재가 안착된 영역 내의 하측면 만이 진공상태가 형성되어 상기 가공 소재를 효율적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 상측면의 원형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진공영역 조절 다이얼(25)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게 설정된 상기 환형 흡입홈(11), 수직 흡입공(13) 및, 측면 주 흡입공(14) 보다 더 큰 상기 몸체부(10) 상측면 영역에 안착되는 큰 가공 소재의 경우에는, 상기 큰 가공 소재를 상기 몸체부(10) 상측면의 원형 중앙을 중심으로 안착시키고, 상기 진공영역 조절 다이얼(25)을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진공영역 조절 다이얼(25)과 함께 상기 우측 회전로드(23) 및 좌측 회전로드(22)가 동시에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우측 회전로드(23) 및 좌측 회전로드(22)의 나사산은 각각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우측 회전로드(23) 및 좌측 회전로드(22) 상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상기 우측 이동 밀폐구(31) 및 좌측 이동 밀폐구(30)는, 각각 상기 우측 회전로드(23) 및 좌측 회전로드(22)를 따라, 우측의 상기 진공 밀폐캡(21) 및 우측의 상기 진공 밀폐캡(21)을 향해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을 중앙의 상기 흡입 진공라인(15) 측과 외곽 측으로 밀폐 분리되게 동일한 소정 거리를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공 소재가 안착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환형 흡입홈(11), 수직 흡입공(13) 및, 측면 주 흡입공(14)을 통해서만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상기 가공 소재가 안착된 영역 내의 하측면 만이 진공상태가 형성되어 상기 가공 소재를 효율적으로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커넥터(24)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공기 유동홈(26)이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환형 흡입홈(11), 수직 흡입공(13) 및, 측면 주 흡입공(14)을 통해 유동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흡입 진공라인(15) 측을 따라 용이하게 배출되어 신속하게 진공 상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여러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1 : 진공 척
10 : 몸체부 11 : 환형 흡입홈
12 : 환형 안착 돌출면 13 : 수직 흡입공
14 : 측면 주 흡입공 15 : 흡입 진공라인
20 : 진공영역 조절로드부 21 : 진공 밀폐캡
22 : 좌측 회전로드 23 : 우측 회전로드
24 : 연결 커넥터 25 : 진공영역 조절 다이얼
26 : 공기유동홈
30 : 좌측 이동 밀폐구 31 : 우측 이동 밀폐구
32 : 밀폐 오링
150 : 가공 소재

Claims (3)

  1. 소정높이 및 소정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원형의 상측면에는 동일한 원형 중심을 가지는 다수의 환형 흡입홈(11)이 소정간격을 두고 소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환형 흡입홈(11)의 사이에는 환형 안착 돌출면(12)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환형 흡입홈(11)에는 동일한 직경 상에 수직 흡입공(13)이 각각 구비되고, 원통형의 측면에는 각각의 상기 수직 흡입공(13)이 형성되는 동일한 직경을 따라 좌, 우 관통되게 측면 주 흡입공(14)이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수직 흡입공(13)과 연통되며,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중앙에는 하측으로 수직하게 흡입 진공라인(15)이 연통되게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좌, 우측 단부에는 진공 밀폐캡(21)이 각각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에는 우측 회전로드(23)가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내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구비되고,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의 외주면에는 좌나사산 및 우나사산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의 중앙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좌측 회전로드(22)의 우측 단부 및 우측 회전로드(23)의 좌측 단부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 커넥터(24)가 마련되며, 상기 좌측 회전로드(22)의 좌측 단부는 상기 진공 밀폐캡(2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우측 회전로드(23)의 우측 단부는 상기 진공 밀폐캡(21)을 밀폐되게 관통하여 소정거리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소정거리 외부로 둘출된 단부에는 진공영역 조절 다이얼(25)이 구비되는 진공영역 조절로드부(20); 및,
    내부 중공을 형성되며, 내부 중공의 내측면에는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의 외주면 나사산에 대응하여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가 각각 내부 중공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밀폐 오링(32)이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을 밀폐시키는 좌측 이동 밀폐구(30) 및 우측 이동 밀폐구(31)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척(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커넥터(24)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공기유동홈(26)이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척(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영역 조절 다이얼(25)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좌측 이동 밀폐구(30) 및 우측 이동 밀폐구(31)가 각각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를 따라, 중앙의 상기 연결 커넥터(24)를 향해,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을 밀폐시키면서 동일한 소정 거리를 이동하고, 상기 진공영역 조절 다이얼(25)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좌측 이동 밀폐구(30) 및 우측 이동 밀폐구(31)가 각각 상기 좌측 회전로드(22) 및 우측 회전로드(23)를 따라, 좌측의 상기 진공 밀폐캡(21) 및 우측의 상기 진공 밀폐캡(21)을 향해, 상기 측면 주 흡입공(14)을 밀폐시키면서 동일한 소정 거리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척(1).
KR1020210141155A 2021-10-21 2021-10-21 진공 척 KR102491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155A KR102491012B1 (ko) 2021-10-21 2021-10-21 진공 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155A KR102491012B1 (ko) 2021-10-21 2021-10-21 진공 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012B1 true KR102491012B1 (ko) 2023-01-27

Family

ID=8510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155A KR102491012B1 (ko) 2021-10-21 2021-10-21 진공 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0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045U (ja) * 1992-01-24 1993-08-13 関西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ウェーハ吸着装置
JPH07231033A (ja) * 1994-02-16 1995-08-29 Nikon Corp 基板保持装置
KR20060122557A (ko) 2005-05-27 2006-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장치의 진공 척
KR20140127438A (ko) * 2013-04-24 2014-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흡착 장치
KR101674498B1 (ko) * 2016-01-08 2016-11-09 김문수 진공 척
KR101736824B1 (ko) * 2016-12-29 2017-05-29 최병준 디스플레이 패널 반송 패드용 진공 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045U (ja) * 1992-01-24 1993-08-13 関西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ウェーハ吸着装置
JPH07231033A (ja) * 1994-02-16 1995-08-29 Nikon Corp 基板保持装置
KR20060122557A (ko) 2005-05-27 2006-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장치의 진공 척
KR20140127438A (ko) * 2013-04-24 2014-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흡착 장치
KR101674498B1 (ko) * 2016-01-08 2016-11-09 김문수 진공 척
KR101736824B1 (ko) * 2016-12-29 2017-05-29 최병준 디스플레이 패널 반송 패드용 진공 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23780B1 (fr) Organe de prehension orientable pour le transport ou l'usinage d'une piece de forme quelconque
CN112405054B (zh) 薄壁壳体类零件装夹装置及方法
WO2011089986A1 (ja) クランプ装置
KR102491012B1 (ko) 진공 척
CN109227284B (zh) 抛光机床及其夹具
JP2009119562A (ja) 非接触型搬送保持具および非接触型搬送保持装置
JP6877454B2 (ja) 2部分から成る弁ディスクを備えた、流路を閉鎖するための真空弁
KR102003723B1 (ko) 개별 흡착력을 갖는 진공척
US20200273677A1 (en) Closure mechanism vacuum chamber isolation device and sub-system
JP2019532493A (ja) 真空チャンバ用のドアシール
CN107598586A (zh) 一种机械加工用切割装置
CN104227471B (zh) 辅助气路工装
WO2015064148A1 (ja) レンズ保持具
US20170218603A1 (en) Easy-to-install tap structure
CN211867123U (zh) 卧式凸轮交换台用凸轮滚子转台
CN206216328U (zh) 一种密封圈自紧式真空夹具
US10906158B2 (en) System, fixture plate assembly, and method for indexing a workpiece
CN213673716U (zh) 高精度气缸多轴集成定位夹紧装置
KR20190048915A (ko) 링크 클램프 하우징 제작방법
CN211590109U (zh) 一种夹紧旋转装置
CN211939086U (zh) 一种具有安全防护功能的车床
JPH081464A (ja) ユニバーサルチャック機構の自動切換装置
CN210650254U (zh) 旋转式砂阀
CN219509924U (zh) 一种气动滑环结构
CN203918576U (zh) 辅助气路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