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788B1 -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788B1
KR102490788B1 KR1020210021681A KR20210021681A KR102490788B1 KR 102490788 B1 KR102490788 B1 KR 102490788B1 KR 1020210021681 A KR1020210021681 A KR 1020210021681A KR 20210021681 A KR20210021681 A KR 20210021681A KR 102490788 B1 KR102490788 B1 KR 102490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ed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vehicle operation
server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8052A (ko
Inventor
박병규
함영준
Original Assignee
인플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플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플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7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2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indicating unauthorised use, e.g. acting on signa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5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a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은 충격감지 대기모드에서 충격이 감지될 경우, 노멀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위성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와,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에서 전송된 위성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함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휴대용 단말기에 이륜차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이륜차 관리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륜차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Theft detection system for two-wheeled vehicles using impact detection technology}
본 발명은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경제발전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생활권이 넓어짐에 따라 다양한 이동수단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자전거, 오토바이 및 자동차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이동수단으로써 교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극심한 교통정체로 인하여 엔진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이동수단 중에서 신속하고 간편한 오토바이의 이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자동차와 달리 오토바이는 운전 조작부가 항시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그 크기가 자동차에 비해 크지 않아 끊임없이 절도범죄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훔친 장물을 국내뿐 아니라 국외로 밀수출 하는 전문 절도단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오토바이 제조사에서 완성차 출고 시 기본적으로 시건장치를 장착하여 판매하고 있으나 외부에서 강한 충격을 주면 오토바이 이용에 차질이 없이 잠금수단만 파손되어 손쉽게 절도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잠금장치로 잠겨있다고 할지라도 화물차를 이용하여 은밀한 장소로 이동한 후에 잠금장치를 해체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심하고 주차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이륜차 도난 방지는 물리적인 잠금장치 형태로 도난을 방지하거나 충격이 감지 될 경우 경보음을 내는 방식이다. 물리적인 잠금장치는 해제 할 수 있는 기구가 있다는 점에서, 경보음을 내는 방식은 이륜차 소유주와 이륜차가 먼 거리에 놓일 때 이륜차 소유주가 도난 여부를 알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륜차에 블랙박스를 설치하여 이륜차 상황을 관제 할 수 있으나 카메라를 장시간 작동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이륜차의 전원을 소모시키는 문제가 있다.
KR 10-2014-014346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최소의 전력으로 도난 감지를 하고 도난 발생 시 카메라 촬영정보와 위성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이륜차의 운행환경과 현 운전자를 파악하고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감지 대기모드에서 충격이 감지될 경우, 노멀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위성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와,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에서 전송된 위성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함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휴대용 단말기에 이륜차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이륜차 관리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서버로부터 전송된 이륜차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서버는, 위성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토대로 소정의 시간동안 이륜차가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될 경우,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가 충격감지 대기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는, 가속도 및 각속도를 측정하는 관성측정부와, 위성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위성위치감지부와, 이륜차의 진행방향을 촬영하는 전면 카메라와, 이륜차의 운전자의 얼굴방향을 촬영하는 안면 카메라와, 관성측정부, 위성위치감지부, 전면 카메라 및 안면 카메라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되, 충격감지 대기모드에서는 관성측정부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노멀동작모드에서는 관성측정부, 위성위치감지부, 전면 카메라 및 안면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서버는, 안면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객체인식하여 미등록된 운전자의 얼굴이 인식될 경우에만 휴대용 단말기에 이륜차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은, 최소의 전력으로 도난 감지를 하고 도난 발생 시 카메라 촬영정보와 위성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이륜차의 운행환경과 현 운전자를 파악하고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1)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1)의 구성도
도 3은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100)의 구성도
도 4는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1)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1)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1)은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100), 서버(200), 휴대용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1)의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100)는 이륜차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이륜차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이륜차 운행시 블랙박스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치로 정의된다.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100)는 충격감지 대기모드에서 충격이 감지될 경우, 노멀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위성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집한다.
즉, 충격감지 대기모드는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100)에서 충격을 감지하는 구성에만 최소의 전력이 공급되는 파워다운모드 - 이륜차 전원이 턴오프(TURN OFF)되어 제공되던 전류가 감소하는 상태 - 로 정의되고, 노멀동작모드는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100)의 모든 구성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서버(200)는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100)에서 무선으로 전송된 위성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300)에 이륜차 운행정보를 제공한다. 즉, 이륜차량 소유자의 휴대용 단말기 및 관계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이륜차 운행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위성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토대로 소정의 시간동안 이륜차가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될 경우,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100)가 충격감지 대기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이륜차 관리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이륜차 운행정보를 표시한다.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300)의 이륜차 관리애플리케이션에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이륜차 운행정보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로 정의한다.
도 3은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100)는 관성측정부(110), 위성위치감지부(120), 전면 카메라(130), 안면 카메라(140), 전원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성측정부(110)는 가속도 및 각속도를 측정한다. 관성측정부(110)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로 정의되고,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는 3축 가속도센서와 3축 자이로 센서를 조합한 후 각각의 센서의 출력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위성위치감지부(120)는 위성위치정보를 감지한다. 위성위치감지부(120)는 미국의 글로벌 포지션 시스템(Gps), 러시아의 글로벌 궤도 항법 위성 시스템(Glonass), 중국의 베이두-2 시스템, 유럽의 갈릴레오 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상의 시스템의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전면 카메라(130)는 이륜차의 진행방향을 촬영하여 전방영상을 생성하는 장치이며, 가시광선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및 적외선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안면 카메라(140)는 이륜차의 운전자의 얼굴방향을 촬영하여 얼굴영상을 생성하는 장치이며, 가시광선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및 적외선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50)는 본 실시예에서 이륜차의 배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전원부(150)는 관성측정부(110), 위성위치감지부(120), 전면 카메라(130) 및 안면 카메라(14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데, 충격감지 대기모드에서는 관성측정부(110)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노멀동작모드에서는 관성측정부(110), 위성위치감지부(120), 전면 카메라(130) 및 안면 카메라(14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60)는 관성측정부(110), 위성위치감지부(120), 전면 카메라(130), 안면 카메라(140) 및 전원부(150)의 동작을 제어하고, 내장된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참고적으로 서버(200)는 안면 카메라(140)의 촬영영상을 객체인식하여 미등록된 운전자의 얼굴이 인식될 경우에만 휴대용 단말기(300)에 이륜차 운행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1)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1)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륜차의 전원이 꺼졌을 때 - 시동이 꺼짐 -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100)가 최소의 전력으로 충격감지를 위해 대기 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다음으로 가속도와 각속도를 수집하는 관성측정부(IMU, 110)를 활용하여 충격감지를 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다음으로, 충격감지 후 이륜차의 배터리 전원이 각 구성에 공급되면서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100)의 관성측정부(110)와 위성위치감지부(120)가 작동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다음으로, 전면 카메라(130) 및 안면 카메라(140)를 이용하여 운행환경확인 및 운전자를 확인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때, 위성위치감지부(120)의 위성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륜차의 위치를 추적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1)의 동작과정을 통해 도난 발생시에도 소유자가 바로 도난상황을 인지할 수 있고 도난차량의 위치를 이륜차 관리애플리케이션 통해 추적할 수 있다.
이륜차의 소유자의 휴대용 단말기(300)에는 이륜차 관리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륜차 관리애플리케이션은 도난상황 발생시 위성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이륜차의 현재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또한, 이륜차 관리애플리케이션은 전면 카메라(130) 및 안면 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어, 도난된 이륜차를 운행하는 사람 및 현재 운행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즉, 전면 카메라(130)는 이륜차 운행방향을 바라보게 설치되어 이륜차의 운행경로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안면 카메라(140)는 이륜차 운전석을 향하게 설치되어 이륜차의 운전자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1)의 추가적인 기능으로써, 이륜차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300)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이륜차 관리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륜차에 시동인증코드를 전달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300)가 이륜차의 시동장치에 블루투스 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방식으로 시동인증코드를 전달하는 조건이 추가로 충족되었을 때 오토바이의 시동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휴대용 단말기(300)와 이륜차가 상호 간에 미리 인증되었다고 가정하고, 이륜차 관리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300)에 OTP(One Time Password)가 표시되고, 표시된 OTP(One Time Password)를 소정의 시간 이내에 이륜차의 시동장치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할 경우,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간 동안 이륜차의 시동조건이 만족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OTP(One Time Password)가 입력되고 인증된 이후, 시동을 시도할 수 있는 횟수, 유효기간 등은 이륜차 관리애플리케이션 및 시동장치의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OTP(One Time Password)가 인증된 이후, 운행할 수 있는 최대거리, 운행반경(현재위치 기준), 운행최고속도, 하루 중 운행가능시간(24시간 단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운행할 수 있는 최대거리, 운행반경(현재위치 기준), 운행최고속도, 하루 중 운행가능시간(24시간 단위) 등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다시 OTP(One Time Password)를 인증해야 하며, 최대거리, 운행반경(현재위치 기준), 운행최고속도, 하루 중 운행가능시간(24시간 단위)을 벗어난 경우, 제어부에 의해 가속이 자동으로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은, 최소의 전력으로 도난 감지를 하고 도난 발생 시 카메라 촬영정보와 위성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이륜차의 운행환경과 현 운전자를 파악하고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
110 : 관성측정부
120 : 위성위치감지부
130 : 전면 카메라
140 : 안면 카메라
150 : 전원부
200 : 서버
300 : 휴대용 단말기

Claims (4)

  1. 충격감지 대기모드에서 충격이 감지될 경우, 노멀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위성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
    상기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에서 전송된 위성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함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휴대용 단말기에 이륜차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이륜차 관리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륜차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는, 가속도 및 각속도를 측정하는 관성측정부; 상기 위성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위성위치감지부; 이륜차의 진행방향을 촬영하는 전면 카메라; 상기 이륜차의 운전자의 얼굴방향을 촬영하는 안면 카메라; 상기 관성측정부, 상기 위성위치감지부, 상기 전면 카메라 및 상기 안면 카메라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충격감지 대기모드에서는 상기 관성측정부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노멀동작모드에서는 상기 관성측정부, 상기 위성위치감지부, 상기 전면 카메라 및 상기 안면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위성위치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를 토대로 소정의 시간동안 이륜차가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될 경우, 상기 이륜차 운행정보 수집장치가 상기 충격감지 대기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안면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객체인식하여 미등록된 운전자의 얼굴이 인식될 경우에만 휴대용 단말기에 이륜차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
KR1020210021681A 2021-02-18 2021-02-18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 KR102490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681A KR102490788B1 (ko) 2021-02-18 2021-02-18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681A KR102490788B1 (ko) 2021-02-18 2021-02-18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052A KR20220118052A (ko) 2022-08-25
KR102490788B1 true KR102490788B1 (ko) 2023-01-20

Family

ID=83111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681A KR102490788B1 (ko) 2021-02-18 2021-02-18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7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92B1 (ko) * 2012-10-24 2019-06-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충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989359B1 (ko) * 2017-12-05 2019-06-17 오민택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KR102047337B1 (ko) 2018-03-13 2019-11-21 (주)리즘인터랙티브 자전거 도난방지 구조
JP2020140401A (ja) 2019-02-27 2020-09-03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異常監視システム、及び、異常監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3468A (ko) 2013-04-17 2014-12-17 윤기석 오토바이 및 차량의 도난방지를 위한 독립 다접점 키박스
KR20160133222A (ko) * 2015-05-12 2016-11-2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차주를 인식할 수 있는 블랙박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92B1 (ko) * 2012-10-24 2019-06-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충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989359B1 (ko) * 2017-12-05 2019-06-17 오민택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KR102047337B1 (ko) 2018-03-13 2019-11-21 (주)리즘인터랙티브 자전거 도난방지 구조
JP2020140401A (ja) 2019-02-27 2020-09-03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異常監視システム、及び、異常監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052A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31521U1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видеорегистратор
US11823507B2 (en)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545595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1351361A (zh) 车辆控制系统
JP6603506B2 (ja) 駐車位置案内システム
CN106585565A (zh) 智能汽车安全防盗系统
JP7087747B2 (ja) 車載機、運行管理装置、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運転者確認方法
US20100049438A1 (en) Gps device with video security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6655318B2 (ja) 車両防犯システム
JP2004334862A (ja) 遠隔車両管理方法、遠隔車両管理システム、遠隔車両管理用サーバー、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11169422A (zh) 一种车辆控制系统及方法
US7027919B2 (en) Vehicle and/or asset tracking and localization system and method
RU2122239C1 (ru)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навигации и мониторинга
KR102480424B1 (ko)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KR102490788B1 (ko)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
US10647301B2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center device, mounting device, monitoring method,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9020859A (ja) 記録画像処理方法、記録画像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03250181A (ja) 車載用記録装置
KR102291377B1 (ko) 주차위치 추적 시스템
JP2004094696A (ja) 車両警報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209785247U (zh) 一种视频与惯性导航相结合的单车停放监测系统
CN114212041A (zh) 一种车辆的监控方法及系统
KR20180078655A (ko) 스마트카에서 차량을 회수하기 위한 IoT 보안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13134590A (ja) 車載装置制御システム、集中制御装置、車載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562225B2 (ja) 車両位置案内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