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359B1 -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359B1
KR101989359B1 KR1020170165738A KR20170165738A KR101989359B1 KR 101989359 B1 KR101989359 B1 KR 101989359B1 KR 1020170165738 A KR1020170165738 A KR 1020170165738A KR 20170165738 A KR20170165738 A KR 20170165738A KR 101989359 B1 KR101989359 B1 KR 101989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housing
unit
sensor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215A (ko
Inventor
오민택
Original Assignee
오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민택 filed Critical 오민택
Priority to KR102017016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3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10Arrangement of audio equipment;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62J2099/00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자전거에 장착된 고정부와 탈착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자전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블랙박스;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GPS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 단말기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INTEGRATED MANAGEMENT DIVICE FOR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도난 방지 및 사고 발생시 비상 연락 단말기로 문자 및 사고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운동, 여가 및 출퇴근 등의 다양한 용도로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다. 그러나 자전거의 사용자가 늘어남과 동시에 자전거 사고도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 사고로는 예를 들어, 운행중인 자전거와 보행자와의 접촉 사고 또는 충돌 사고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자전거 사고가 발생한 경우, 대개 사고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기가 어려워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전거의 충돌 사고는 심각한 인사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속으로 달리는 자전거와 자전거의 충돌 사고, 자전거와 보행자의 충돌 사고 및 자전거와 차량의 충돌 사고 등이 발생할 시, 충돌자 및 피충돌자는 크게 다칠 수 있다.
또한, 인적이 드문 장소에서 자전거 사고가 발생된 경우, 사고 발생 주변에는 목격자가 없기에 사고 신고가 신속히 이루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사고 피해자가 119 등의 안전신고센터에 전화를 하더라도 사고 발생 위치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들은 사고 발생자에 대한 치료 및 이송 등이 늦어지게 되어, 사고 피해가 더욱 커질 수 있다.
그리고 자전거 사고는 충돌 사고 이외에 도난 사고도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를 보관할 때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장치를 사용하고 있는데, 통상의 잠금장치는 자전거의 프레임과 바퀴, 또는 주변의 기둥 등의 구조물과 자전거 프레임을 와이어식 잠금장치로 감은 후 자물쇠로 고정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와이어식 잠금장치에 의해 자전거가 잠겨져 있더라도 절도범은 절단도구를 사용하여 와이어식 잠금장치를 절단한 후, 자전거를 훔쳐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자전거의 충돌 사고 및 절단 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2017-0111536호(2017.10.1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자전거의 도난 방지 및 사고 발생시 비상 연락 단말기로 문자 및 사고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자전거에 장착된 고정부와 탈착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자전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블랙박스;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GPS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 단말기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스피커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차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자전거의 이동 및 상기 하우징에 접촉이 발생될 시, 사용자 단말기로 도난 발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스피커부로 경고음을 내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기울기 센서와 충격 감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감지 센서와 기울기 센서로부터 자전거 충돌 사고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미리 정해진 비상 연락 단말기로 사고 문자 및 사고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감지 센서와 기울기 센서로부터 자전거 충돌 사고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미리 정해진 비상 연락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는 전화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로 현재의 위치, 이동로그, 날씨, 소모 칼로리 및 자전거 이동 경로 중 위험 요소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에는 블랙박스가 구비되어 자전거 주행 중 충돌 사고가 발생될 시, 자전거에 장착된 블랙박스를 통해 사고 발생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자전거 사고의 원인 규명이 명확해져 자전거 사고로 인한 분쟁 소지가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에는 기울기 센서와 충격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해당 센서로부터 제어부가 자전거 사고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미리 정해진 비상 연락 단말기로 문자 및 사고 위치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자전거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에는 스피커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피커부는 제어부가 주차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자전거의 이동 및 하우징에 접촉이 발생될 시, 스피커부는 경고음을 내며 자전거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가 자전거에 장착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가 자전거에 장착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1000)는 하우징(100), 블랙박스(200), 발광부(300), GPS부(400), 통신부(500), 제어부(600), 배터리부(700) 및 센서부(8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1000)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자전거에 장착된 고정부(미도시)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부와 하우징(100)의 결합 방식은 슬라이딩 결합, 후크 결합, 볼트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부는 예를 들어 자전거의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는 반드시 연결 프레임에만 장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자전거의 어디라도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하우징(100)은 내부에 구비되는 각 구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한편, 블랙박스(200)는 하우징(100)에 구비된다.
이러한 블랙박스(200)는 자전거 주변 환경을 촬영하게 된다. 즉, 블랙박스(200)에는 카메라(210)가 구비되어, 자전거가 위치되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그리고 블랙박스(200)에는 메모리(220)가 구비되어, 카메라(2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메모리(22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블랙박스(200)는 제어부(6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1)를 통해 블랙박스(20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전거가 주차 중인 경우, 사용자는 제어부(600)를 주차 모드로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600)가 주차 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는 제어부(600)를 통해 블랙박스(200)가 작동되지 않도록 설정하여 배터리부(700)의 전력 사용을 제한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600)가 주차 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는 블랙박스(200)를 지속적으로 작동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자전거의 도난 발생시 해당 영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어부(600)가 주차 모드라도 블랙박스(20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블랙박스(200)는 사용자가 주차 모드에서 주행 모드로 모드 변경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전거가 미리 정해진 속도로 이상이 이동될 시, 블랙박스(200)가 자동적으로 작동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블랙박스(200)는 자전거가 이동되는 주변의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운행중인 자전거와 보행자와의 접촉 사고 또는 충돌 사고 발생시, 사고 현장의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전거 사고가 발생된 경우, 사고 원인을 명확히 규명할 수 있다.
한편, 발광부(300)는 하우징(100)에 구비되며, 하우징(100)의 외부로 빛을 발산하게 된다. 이러한 발광부(300)는 야간에 자전거를 운행할 시, 자전거가 이동되는 도로를 비출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부(300)는 사용자 단말기(1)를 통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1)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를 통해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1000)에 구비되는 각 구성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는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1000)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후 설치한 상태에서 해당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10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는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1000)에 구비되는 통신부(5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를 통해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1000)를 제어할 수도 있고,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10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와 통신부(500)는 블루투스,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GPS부(4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GPS부(400)는 하우징(100)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GPS부(4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로 전송되는 자전거의 이동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의 저장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1000)에 구비되는 각 장치 구성을 제어하게 된다. 예로, 제어부(600)는 블랙박스(200), 발광부(300), GPS부(400) 및 센서부(800) 등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어부(600)의 작동은 사용자 단말기(1)를 통해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센서부(8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센서부(800)는 자전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부(800)는 자전거의 충돌 사고 및 도난 사건을 감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센서부(800)는 기울기 센서(810) 및 충격 감지 센서(8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울기 센서(810)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자전거가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짐을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기울기 센서(810)는 자전거가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 자전거가 넘어진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울기 센서(810)가 자전거가 넘어진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그에 따른 감지 정보를 제어부(600)로 알리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충격 감지 센서(820)는 일정 이상의 충격이 하우징(100)에 가해지는 경우, 이상 감지 여부를 제어부(600)로 알리게 된다.
이와 같이, 기울기 센서(810) 및 충격 감지 센서(820)로부터 제어부(600)로 자전거의 이상 감지 정보가 전달된 경우, 제어부(600)는 사용자 단말기(1)로 이상 여부를 알리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전거를 주차 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자전거의 이동 및 하우징(100)에 접촉이 발생될 시, 제어부(600)는 사용자 단말기(1)로 도난 발생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로 전송된 도난 발생 정보를 확인한 후, 하우징(100)에 구비된 스피커부(900)를 통해 경고음을 내보내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자전거가 주차 모드인 상태에서 GPS부(400)를 통해 자전거의 이동이 발생되거나 충격 감지 센서(820)를 통해 하우징(100)에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어부(600)는 자전거 도난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도난 발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GPS부(400)를 통해 일정 이상의 속도로 달리는 자전거가 기울기 센서(810)를 통해 넘어진 것으로 감지되고, 충격 감지 센서(820)를 통해 하우징(100)에 일정 이상의 충격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600)는 자전거의 충돌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600)는 통신부(500)를 통해 미리 정해진 비상 연락 단말기로 사고 문자 및 사고 위치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사고 문자 및 사고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비상 연락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1)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지정되는 비상 연락 단말기의 개수는 5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비상 연락 단말기의 개수는 5개로만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연락 가능한 비상 연락 단말기의 개수를 선택적으로 지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1000)는 자전거 충돌 사고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500)는 미리 정해진 비상 연락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는 전화 연결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1000)는 자전거 충돌 사고로 판단될 시, 미리 정해진 비상 연락 단말기로 사고 문자, 사고 위치 및 전화 연결을 함으로써, 자전거 충돌 사고에 대한 대처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자전거 사고로 인한 사고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부(7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배터리부(700)는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1000)에 구비되는 각 부품들에게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부(700)는 1차 전지일 수도 있고,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600)는 사용자 단말기(1)로 자전거의 현재 위치, 이동로그, 날씨, 소모 칼로리 및 자전거 이동 경로 중 위험 요소 구간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자전거 이동 경로 중 위험 요소 구간은 사용자 단말기(1)에 표시되는 지도상에서 노란색 마크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 이외에 자전거 라이딩을 하는 파트너 단말기로도 공유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한 자전거 이동 경로를 파트너가 라이딩할 시, 자전거 이동 경로 중에 위험 요소 구간를 미리 파악할 수 있어, 안전한 자전거 라이딩이 가능하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사용자 단말기
100: 하우징
200: 블랙박스
210: 카메라
220: 메모리
300: 발광부
400: GPS부
500: 통신부
600: 제어부
700: 배터리부
800: 센서부
810: 기울기 센서
820: 충격 감지 센서
900: 구비된 스피커부
1000: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Claims (7)

  1. 자전거에 장착된 고정부와 탈착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자전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블랙박스;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GPS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 단말기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자전거 이동 경로 중 위험 요소 구간에 대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지도상에 노란색 마크로 표시하고, 해당 자전거 이동 경로 중 위험 요소 구간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파트너 단말기로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스피커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차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자전거의 이동 및 상기 하우징에 접촉이 발생될 시, 사용자 단말기로 도난 발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스피커부로 경고음을 내보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기울기 센서와 충격 감지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감지 센서와 기울기 센서로부터 자전거 충돌 사고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미리 정해진 비상 연락 단말기로 사고 문자 및 사고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감지 센서와 기울기 센서로부터 자전거 충돌 사고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미리 정해진 비상 연락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는 전화 연결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로 현재의 위치, 이동로그, 날씨 및 소모 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KR1020170165738A 2017-12-05 2017-12-05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KR101989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738A KR101989359B1 (ko) 2017-12-05 2017-12-05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738A KR101989359B1 (ko) 2017-12-05 2017-12-05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215A KR20190066215A (ko) 2019-06-13
KR101989359B1 true KR101989359B1 (ko) 2019-06-17

Family

ID=6684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738A KR101989359B1 (ko) 2017-12-05 2017-12-05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3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26A (ko) * 2019-12-16 2021-06-24 유경학 모빌리티 운행 정보 측정 장치
KR20220041281A (ko) * 2020-09-24 2022-04-01 김지환 탈착식 자전거 잠금장치
KR20220118052A (ko) * 2021-02-18 2022-08-25 인플랩 주식회사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129B1 (ko) * 2020-09-23 2023-03-07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102472892B1 (ko) * 2021-07-16 2022-12-01 (주)제이엠시스 자전거 라이더를 위한 음성인식 기반 라이딩 영상 편집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795B1 (ko) * 2014-05-29 2016-03-14 삼미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자전거 도난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471B1 (ko) * 2009-03-27 2011-07-07 (주) 이니투스 자전거 운행 관리시스템
KR101566897B1 (ko) * 2009-12-03 2015-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전거 관리용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M507370U (zh) * 2015-02-16 2015-08-21 dao-zheng Xu 自行車智能輔助系統
KR101877113B1 (ko) 2016-03-28 2018-08-0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자전거와 차량간 충돌 예측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795B1 (ko) * 2014-05-29 2016-03-14 삼미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자전거 도난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26A (ko) * 2019-12-16 2021-06-24 유경학 모빌리티 운행 정보 측정 장치
KR102373956B1 (ko) 2019-12-16 2022-03-11 유경학 모빌리티 운행 정보 측정 장치
KR20220041281A (ko) * 2020-09-24 2022-04-01 김지환 탈착식 자전거 잠금장치
KR102395421B1 (ko) * 2020-09-24 2022-05-11 김지환 탈착식 자전거 잠금장치
KR20220118052A (ko) * 2021-02-18 2022-08-25 인플랩 주식회사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
KR102490788B1 (ko) * 2021-02-18 2023-01-20 인플랩 주식회사 충격감지 기술을 활용한 이륜차량의 도난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215A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359B1 (ko)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EP29905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icycles, motorcycles and the like
US10088911B2 (en) Programmable electronic helmet
KR101882478B1 (ko)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난 신호 전송 방법
US10501051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control system
KR20160100085A (ko) 무선통신 제어모듈을 갖춘 자전거와 그 제어방법
JP2005341543A (ja) 節電型自動録画機能付き携帯電話機
CN105882804A (zh) 一种自行车防盗方法和装置
EP3483015A1 (en) Waterproof and shock-resistant gps tracker
JP2008225777A (j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カメラ装置
KR20110007069A (ko) 도난방지 기능 전기자전거, 그 도난방지 방법 및 전기자전거의 도난방지 시스템
KR20180106160A (ko)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KR20140106338A (ko) 오토바이 사고 알림 장치
KR101432062B1 (ko) 안전 시스템 및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 안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동방법
KR20170048107A (ko)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KR102506131B1 (ko)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WO2020255003A1 (en) An electric lock
CN203888709U (zh) 带防盗报警系统的车载内后视镜
IT201600092193A1 (it) Unita’ multifunzione integrata nel blocco antenna di un veicolo
KR20160090605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경보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6066A (ko) 디지털 운행정보 기록장치
KR20200060859A (ko) 스마트 랜턴
JP2004259150A (ja) 車両の緊急情報伝達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152204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터 바이크용 사고 예방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JP2008052744A (ja) 車両の状態情報伝達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