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448B1 -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및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 - Google Patents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및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448B1
KR102490448B1 KR1020200119998A KR20200119998A KR102490448B1 KR 102490448 B1 KR102490448 B1 KR 102490448B1 KR 1020200119998 A KR1020200119998 A KR 1020200119998A KR 20200119998 A KR20200119998 A KR 20200119998A KR 102490448 B1 KR102490448 B1 KR 102490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assembly
rail
trolleys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4480A (ko
Inventor
청이 황
타시우 린
Original Assignee
미를 오토메이션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9125963A external-priority patent/TWI741711B/zh
Application filed by 미를 오토메이션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미를 오토메이션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134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having hoisting gear adapted to special load-engaging elemen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66C11/24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with means for locating or sustaining the loads or trolleys in predetermined positions; Hay hoists
    • B66C11/26Abutments; Stop blocks; End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2Devices for changing direction of travel or for transferring from one runway to another; Crossings; Combinations of tracks of different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olley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및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를 개시한다.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는 M개의 트롤리, M-1개의 연결 어셈블리, 구동 어셈블리, 전력 공급 어셈블리 및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M는 2보다 작지 않은 자연수이다. 이웃하는 임의의 두 개의 트롤리는 하나의 연결 어셈블리를 통해 연결된다. M개의 트롤리에서 하나의 트롤리는 액티브 트롤리로 정의되고 기타 트롤리는 각각 패시브 트롤리로 정의된다. 구동 어셈블리는 액티브 트롤리에 설치되어 액티브 트롤리로 하여금 다수의 패시브 트롤리를 이끌어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전력 공급 어셈블리는 그 중의 하나의 트롤리에 설치되어 구동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는 그 중의 하나의 패시브 트롤리에 설치되어 대응되는 패시브 트롤리와 멀리하여 목표물을 그리핑할 수 있다. 이로써 운반 장치의 전체 높이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고 화물 적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및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OVERHEAD HOIST TRANSFER SYSTEM AND MULTI-SECTION OVERHEAD HOIST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운반 시스템 및 운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및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장 건물에서는 화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운반 시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대부분 공장 건물 내에 기존의 운반 시스템을 장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존의 운반 시스템은 레일 및 운반 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레일은 공장 건물 내의 천장에 장착되고 상기 운반 장치는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운반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운반 시스템의 상기 운반 장치의 구조 설계는 동일한 트롤리에 전력 공급 부재, 구동 부재 및 그리핑 어셈블리 등 부품을 배치하여 이동과 그리핑의 목적을 실현하지만 이러한 설계는 상기 운반 장치의 전체적인 부피가 너무 큰 상황, 특히 높이가 제일 뚜렷한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공장 건물은 운반 장치와 공장 건물 내의 지면 사이의 최단 거리가 지면의 기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동시에 안전법규에 부합되도록 확보하기 위하여 대부분 높이가 있는 공장 건물로 재건하거나 교체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점을 해결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원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공장 건물의 운행 정지를 초래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연구에 전념하고 과학적인 원리의 운용을 배합하여 마침내 설계가 합리하고 상기 단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제공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행기술에 존재하는 단점에 대해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및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를 제공하여 운반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을 개시하는데, 공간에 적용되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매달리게 설치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에 설치되되, 이웃하는 임의의 두 개가 하나의 상기 연결 어셈블리를 통해 연결되며 하나의 트롤리를 액티브 트롤리로 정의하는 M개의 트롤리 및 각각 패시브 트롤리로 정의되는 M-1개의 연결 어셈블리, 여기서 M는 2보다 작지 않은 자연수, 상기 액티브 트롤리에 설치되어 상기 액티브 트롤리로 하여금 M-1개의 상기 패시브 트롤리를 이끌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어셈블리, 그 중의 하나의 상기 트롤리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공급 어셈블리, 및 그 중의 하나의 상기 패시브 트롤리에 설치되어 회복위치 및 그리핑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 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가 상기 회복위치에 위치할 경우 적어도 하나가 대응되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에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가 상기 그리핑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적어도 하나가 대응되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를 멀리하는 동시에 상기 공간 내의 목표물을 그리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를 개시하는데, 공간 내에 매달리게 설치된 레일에 적용되게 장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설치되되, 이웃하는 임의의 두 개가 하나의 상기 연결 어셈블리를 통해 연결되며 하나의 트롤리를 액티브 트롤리로 정의하는 M개의 트롤리 및 각각 패시브 트롤리로 정의되는 M-1개의 연결 어셈블리, 여기서 M는 2보다 작지 않은 자연수; 상기 액티브 트롤리에 설치되어 상기 액티브 트롤리로 하여금 M-1개의 상기 패시브 트롤리를 이끌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어셈블리; 그 중의 하나의 상기 트롤리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공급 어셈블리; 및 그 중의 하나의 상기 패시브 트롤리에 설치되어 회복위치 및 그리핑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 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가 상기 회복위치에 위치할 경우 적어도 하나가 대응되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에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가 상기 그리핑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적어도 하나가 대응되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를 멀리하는 동시에 상기 공간 내의 목표물을 그리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및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는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의 다수의 상기 트롤리에 각각 상기 구동 어셈블리, 상기 전력 공급 어셈블리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를 설치하는 설계를 통하여 상기 구동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기 트롤리(상기 액티브 트롤리)로 하여금 기타 상기 트롤리(상기 패시브 트롤리)를 이끌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의 전체적인 높이를 크게 저하시킨다. 이로써 사용자는 기존의 공간(예를 들면 공장 건물)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이 안전법규에 부합되고 지면 기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전제하에 상기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을 상기 공간 내에 장착하여 이동과 그리핑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기술적 내용을 더 진일보로 요해하기 위하여 아래 본 발명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되, 제공된 도면은 단지 참조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의 입체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이 다른 한 시각에서에 입체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이 천장에 설치되었을 경우의 상태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의 그리핑 어셈블리가 회복위치에 위치할 경우의 상태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의 그리핑 어셈블리가 그리핑 위치에 위치할 경우의 상태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의 평면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의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가 회전할 경우의 평면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의 측면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의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가 회전할 경우의 평면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의 측면모식도이다.
이하 특정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및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에 관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제공하는 내용에 의해 본 발명의 장점과 효과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타 상이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실시되거나 응용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의 각 세부절차도 상이한 관점과 응용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여러 가지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첨부 도면은 단지 간략하게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실제 사이즈에 의해 설명한 것이 아님을 미리 설명하는 바이다. 아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관련 기술내용을 진일보로 상세히 설명하지만 제공된 내용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비록 본 내용에서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어셈블리 또는 신호를 설명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어셈블리 또는 신호는 이러한 용어의 한정을 받지 않음을 응당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용어는 주요하게 한 어셈블리와 다른 한 어셈블리 또는 한 신호와 다른 한 신호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 외에 본 내용에서 사용한 용어 "또는"은 실제 상황에 따라 관련되는 열거 항목에서의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100)을 개시하는데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취지에 따른 여러 가지 실시예이다. 우선 아래에서 먼저 본 발명의 발명 취지를 먼저 설명한다. 상기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100)은 레일(1) 및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를 포함하는데 상기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100)은 상기 레일(1)을 통해 공간(예를 들면 공장 건물, 창고 등) 내에 매달리게 설치되고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상기 레일(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공간 내에 매달리게 설치되지 않은 임의의 운반 시스템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100)이 아니다.
우선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레일(1)과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본 실시예에서 비록 공동으로 상기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100)으로 정의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단독으로 운용(예하면 판매)되거나 기타 부품과 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아래에는 상기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100)의 각 어셈블리 구조를 각각 소개하고 상기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100)의 각 어셈블리 사이의 연결관계를 적절히 설명한다.
상기 레일(1)은 상기 공간에 매달리게 설치된다.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상기 레일(1)에 설치되고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상기 레일(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M개의 트롤리(21), M-1개의 연결 어셈블리(22), 구동 어셈블리(23), 전력 공급 어셈블리(24) 및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25)를 포함하고 M는 2보다 작지 않은 자연수이다.
M개의 상기 트롤리(21)는 상기 레일(1)에 설치되고 이웃하는 임의의 두 개의 상기 트롤리(21)는 하나의 상기 연결 어셈블리(22)를 통해 연결된다. M개의 상기 트롤리(21)에서 하나의 상기 트롤리(21)는 액티브 트롤리(21A)로 정의되고 M-1개의 상기 트롤리(21)는 각각 패시브 트롤리(21B)로 정의된다. M개의 상기 트롤리(21)에서 상기 레일(1)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첫 번째 상기 트롤리(21)는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이고 기타 M-1개의 상기 트롤리(21)는 각각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이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23)는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23)는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로 하여금 M-1개의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를 이끌어 상기 레일(1)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 어셈블리(24)는 그 중의 하나의 상기 트롤리(21)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 공급 어셈블리(24)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전력 공급 어셈블리(24)는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 또는 임의의 한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는 그 중의 하나의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는 회복위치(LA)(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음) 및 그리핑 위치(LB)(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음) 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가 상기 회복위치(LA)에 위치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는 대응되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에 고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가 상기 그리핑 위치(LB)에 위치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는 대응되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와 멀리하는 동시에 상기 공간 내의 목표물(G)을 그리핑한다.
상기 발명정신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예를 들면 M가 2일 경우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하나의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 및 하나의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를 구비하거나; 또는 M가 3일 경우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하나의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 및 두 개의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를 구비한다. 이하 3개의 가능한 실시예를 제공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레일(1) 및 상기 레일(1)에 설치되는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100)을 제공한다. 상기 레일(1)은 상기 공간의 천장(W)에 매달리게 설치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1)은 다수의 고정부재(3)를 통해 상기 천장(W)에 매달리고 상기 레일(1)과 상기 천장(W) 사이에는 예정 높이(WA)가 구비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설명의 편리를 위해 다수의 상기 고정부재(3)는 단지 도 3에 나타낸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1)은 적어도 하나의 직행 섹션(11) 및 적어도 하나의 터닝 섹션(12)을 구비하되, 적어도 하나의 상기 터닝 섹션(12)에서의 한 일단에는 터닝표기유닛(121)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레일(1)은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상기 직행 섹션(11) 및 하나의 상기 터닝 섹션(12)을 구비하는데 상기 직행 섹션(11)은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위치표기유닛(111)이 설치되고 상기 터닝 섹션(12)의 양단에는 각각 하나의 상기 터닝표기유닛(121)이 설치되며 다수의 상기 위치표기유닛(111) 및 두 개의 상기 터닝표기유닛(121)은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로 표기되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수의 상기 위치표기유닛(111) 및 두 개의 상기 터닝표기유닛(121)도 표기마크일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내용과 결부하면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상기 레일(1)에 설치되고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상기 레일(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가 상기 레일(1)에 설치될 경우 윗부분의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상기 예정 높이(WA) 내(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 위치하게 되고 아랫부분의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상기 레일(1)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트롤리(21), 하나의 연결 어셈블리(22), 구동 어셈블리(23), 전력 공급 어셈블리(24) 및 그리핑 어셈블리(25)를 구비한다. 바꾸어 말하면 M는 본 실시예에서 2이다.
두 개의 상기 트롤리(21)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22)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22)는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피벗유닛(221)을 구비하며 두 개의 상기 피벗유닛(221)은 본 실시예에서 각각 피벗기둥 및 피벗리드로 구성되고 그 중의 하나의 상기 피벗유닛(221)은 두 개의 상기 트롤리(21)의 상단표면 사이에 피벗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피벗유닛(221)은 두 개의 상기 트롤리(21)의 저면 사이에 피벗되며 두 개의 상기 피벗유닛(221)의 위치는 대체로 대칭되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연결 어셈블리(22)는 단지 단일한 상기 피벗유닛(221)일 수도 있다.
진일보로, 그 중의 하나의 상기 트롤리(21)는 액티브 트롤리(21A)로 정의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트롤리(21)는 패시브 트롤리(21B)로 정의되며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를 이끌어 상기 레일(1)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두 개의 상기 트롤리(21)에서 상기 레일(1)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첫 번째 상기 트롤리(21)는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이고 두 번째 상기 트롤리(21)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이다.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에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23), 상기 전력 공급 어셈블리(24) 및 판별유닛(26)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23)는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액티브 러너(231) 및 구동모터(도면 미도시)를 구비하되,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 내에 설치되고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액티브 러너(231)는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의 이동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레일(1)의 상단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액티브 러너(231)로 하여금 상기 레일(1)을 따라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를 이동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레일(1)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 어셈블리(24)는 본 실시예에서 축전기인 바, 상기 전력 공급 어셈블리(24)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23)의 상기 구동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여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로 하여금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를 이끌어 상기 레일(1)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타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 공급 어셈블리(24)는 집전편일 수도 있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23)는 집전편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상기 판별유닛(26)은 상기 구동 어셈블리(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판별유닛(26)은 상기 레일(1)의 다수의 상기 위치표기유닛(111) 및 두 개의 상기 터닝표기유닛(121)을 판별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가 상기 레일(1)을 따라 이동할 경우 상기 판별유닛(26)은 다수의 상기 위치표기유닛(111)을 판별하는 것을 통해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판별유닛(26)이 상기 터닝표기유닛(121)을 판별할 경우 상기 판별유닛(26)은 상기 구동 어셈블리(23)의 상기 구동모터를 명령하여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액티브 러너(231)로 하여금 서로의 회전속도 차이에 의해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로 하여금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를 이끌어 상기 레일(1)의 상기 터닝 섹션(12)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음).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 및 적어도 두 개의 종동 러너(28)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종동 러너(28)는 각각 대응되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의 이동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레일(1)의 상단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종동 러너(28)에 의해 움직이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가 상기 레일(1)의 상단표면과 멀리한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의 높이위치는 상기 레일(1)의 저면의 높이위치보다 낮은바, 바꾸어 말하면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가 상기 회복위치(LA)에 위치할 경우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레일(1)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가 상기 그리핑 위치(LB)에 위치할 경우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는 대응되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와 멀리하는 동시에 상기 공간 내의 상기 목표물(G)을 그리핑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는 오브젝트를 그리핑할 수 있는 구조로서 갈구리 또는 바구니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실시예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와 상기 제1 실시예는 유사한바, 두 개의 실시예의 동일한 점은 더는 설명하지 않지만 본 실시예와 상기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은 주요하게 다음과 같다: M는 본 실시예에서 3보다 작지 않은 자연수이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의 수량은 M-2개이며 M-2개의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는 각각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 및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에서 제일 멀리한 상기 패시브 트롤리 사이의 M-2개의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에 설치된다. 설명의 편리를 위해 아래에서는 M를 3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본 실시예에서 3개의 트롤리(21), 두 개의 연결 어셈블리(22), 구동 어셈블리(23), 전력 공급 어셈블리(24) 및 그리핑 어셈블리(25)를 구비한다. 3개의 상기 트롤리(21)에서 상기 레일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첫 번째 상기 트롤리(21)는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이고 두 번째 상기 트롤리(21) 및 세 번째 상기 트롤리(21)는 차례로 제1 패시브 트롤리(21B1) 및 제2 패시브 트롤리(21B2)로 정의된다.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에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23)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패시브 트롤리(21B1)에는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패시브 트롤리(21B2)에는 상기 전력 공급 어셈블리(24)가 설치된다.
진일보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가 상기 레일(1)에서 멀리한 상기 상단표면의 일측 및 상기 제2 패시브 트롤리(21B2)가 상기 레일(1)에서 멀리한 상기 상단표면의 일측에는 각각 아래로 옹벽(27)을 형성하고 두 개의 상기 옹벽(27)은 공동으로 충돌방지공간(SP)을 형성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 및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와 제일 멀리한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는 각각 상기 옹벽(27)을 구비한다.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가 상기 회복위치(LA)에 위치할 경우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와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에 의해 그리핑된 상기 목표물(G)은 상기 충돌방지공간(SP)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두 개의 상기 옹벽(27)에는 각각 충돌방지유닛(271)이 더 설치되고 상기 충돌방지유닛(271)마다 각각 상기 구동 어셈블리(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충돌방지유닛(271)마다 본 실시예에서 판별장치에 영향을 주는 동시에 이와 대응되는 상기 옹벽(27)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환경정보를 판독하여 이동중에 대응되는 상기 옹벽(27)이 상기 공간의 환경물(도면 미도시)과 충돌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충돌방지유닛(271)마다 적외선 환경감지장치 또는 레이더 감지장치 등 일 수도 있다. 그 중의 하나의 상기 충돌방지유닛(271)이 대응되는 상기 옹벽(27)과 상기 환경물이 충돌된다고 판독할 경우 상기 충돌방지유닛(271)은 상기 구동 어셈블리(23)로 하여금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에 대한 구동을 정지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두 개의 상기 옹벽(27) 및 두 개의 상기 충돌방지유닛(271)을 통해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 및 상기 목표물(G)이 상기 환경물과 충돌하여 훼손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담보할 수 있다.
임의의 상기 연결 어셈블리(22)의 두 개의 상기 피벗유닛(221)은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트롤리(21)의 상단표면 및 저면에 설치되고 두 개의 상기 피벗유닛(221)의 위치는 서로 대칭되어 3개의 상기 트롤리(21)로 하여금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제3 실시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와 상기 제2 실시예는 유사한바, 두 개의 실시예의 동일한 점은 더는 설명하지 않지만 본 실시예와 상기 제2 실시예의 주요한 차이점은 M이 본 실시예에서 4인 것에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본 실시예에서 4개의 트롤리(21), 3개의 연결 어셈블리(22), 구동 어셈블리(23), 전력 공급 어셈블리(24) 및 두 개의 그리핑 어셈블리(25)를 구비한다. 4개의 상기 트롤리(21)에서 상기 레일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첫 번째 상기 트롤리(21)는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로 정의되고 두 번째 상기 트롤리(21), 세 번째 상기 트롤리(21) 및 네 번째 상기 트롤리(21)는 차례로 제1 패시브 트롤리(21B1), 제2 패시브 트롤리(21B2) 및 제3 패시브 트롤리(21B3)로 정의된다.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에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23)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패시브 트롤리(21B1) 및 상기 제2 패시브 트롤리(21B2)에는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가 설치되며 상기 제3 패시브 트롤리(21B3)에는 상기 전력 공급 어셈블리(24)가 설치된다.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 및 상기 제3 패시브 트롤리(21B3)에는 상기 옹벽(27) 및 상기 충돌방지유닛(271)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상기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100) 및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설계자의 수요에 따라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의 트롤리(21)의 수량, 위치 및 트롤리(21)에 설치된 부품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의 도시되지 않은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5개의 트롤리(21)를 가지는데 상기 레일(1)을 따르는 이동방향에서 첫 번째 상기 트롤리(21)는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이고 상기 옹벽(27)이 설치되며 두 번째 상기 트롤리(21)에는 상기 옹벽(27)이 설치되고 세 번째 상기 트롤리(21)에는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가 설치되며 네 번째 상기 트롤리(21)에는 다른 한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효과]
상술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100) 및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는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2)의 다수의 상기 트롤리(21)에 각각 상기 구동 어셈블리(23), 상기 전력 공급 어셈블리(24)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25)를 설치하는 설계를 통하여 상기 구동 어셈블리(23)가 설치된 상기 트롤리(21) (상기 액티브 트롤리(21A))로 하여금 기타 상기 트롤리(21) (상기 패시브 트롤리(21B))를 이끌어 상기 레일(1)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높이를 크게 저하시킨다. 이로써 사용자는 기존의 공간(예를 들면 공장 건물)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이 안전법규에 부합되고 지면 기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전제하에 상기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100)을 상기 공간 내에 장착하여 이동과 그리핑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제공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이로써 본 발명의 출원특허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의 내용을 운용하여 진행한 등가적인 기술적 변화는 모두 본 발명의 출원특허범위에 포함된다.
100: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1: 레일
11: 직행 섹션
111: 위치표기유닛
12: 터닝 섹션
121: 터닝표기유닛
2: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
21: 트롤리
21A: 액티브 트롤리
21B: 패시브 트롤리
21B1: 제1 패시브 트롤리
21B2: 제2 패시브 트롤리
21B3: 제3 패시브 트롤리
22: 연결 어셈블리
221: 피벗유닛
23: 구동 어셈블리
231: 액티브 러너
24: 전력 공급 어셈블리
25: 그리핑 어셈블리
26: 판별유닛
27: 옹벽
271: 충돌방지유닛
28: 종동 러너
3: 고정부재
LA: 회복위치
LB: 그리핑 위치
SP: 충돌방지공간
W: 천장
WA: 예정 높이
G: 목표물

Claims (16)

  1. 공간에 적용되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은:
    상기 공간에 매달리게 설치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장치는 M개의 트롤리, M-1개의 연결 어셈블리, 구동 어셈블리, 전력 공급 어셈블리 및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M개의 상기 트롤리는 상기 레일에 설치되며 이웃하는 임의의 두 개의 트롤리가 하나의 연결 어셈블리를 통해 연결되고, M개의 상기 트롤리 중 1개는 액티브 트롤리로 정의되고, 나머지 M-1개는 패시브 트롤리로 정의되며 여기서 M은 3보다 작지 않은 자연수이고,
    상기 액티브 트롤리가 상기 레일과 멀리한 상단표면의 일측 및 상기 액티브 트롤리와 제일 멀리한 상기 패시브 트롤리가 상기 레일과 멀리한 상기 상단표면의 일측에 각각 아래로 옹벽을 형성하며 두 개의 상기 옹벽은 공동으로 충돌방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액티브 트롤리에 설치되어 상기 액티브 트롤리로 하여금 M-1개의 상기 패시브 트롤리를 이끌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전력 공급 어셈블리는 하나의 트롤리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는 하나의 패시브 트롤리에 설치되어 회복위치 및 그리핑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 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가 상기 그리핑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가 대응되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를 멀리하는 동시에 상기 공간 내의 목표물을 그리핑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가 상기 회복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는 대응되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에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와 상기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에 의해 그리핑된 상기 목표물은 상기 충돌방지공간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M개의 상기 트롤리에서 상기 레일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첫 번째 트롤리는 상기 액티브 트롤리이고 나머지 M-1개의 트롤리는 각각 패시브 트롤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옹벽에는 각각 충돌방지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충돌방지유닛마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돌방지유닛마다 이와 대응되는 상기 옹벽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환경정보를 판독하여 이동 중에 대응되는 상기 옹벽이 상기 공간의 환경물과 충돌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하나의 상기 충돌방지유닛이 대응되는 상기 옹벽이 상기 환경물과 충돌한다고 판독할 경우 상기 충돌방지유닛은 상기 구동 어셈블리로 하여금 상기 액티브 트롤리에 대한 구동을 정지하도록 명령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적어도 하나의 직행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터닝 섹션을 구비하되, 상기 레일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터닝 섹션에서의 한 일단에 터닝표기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액티브 트롤리에는 판별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판별유닛은 상기 구동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터닝표기유닛을 판별한 후 상기 구동 어셈블리로 하여금 상기 터닝 섹션을 따라 상기 액티브 트롤리를 회전 이동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개의 액티브 러너를 구비하는데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액티브 러너는 상기 액티브 트롤리의 이동방향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액티브 트롤리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서로의 회전속도 차이를 통해 상기 액티브 트롤리로 하여금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브 트롤리마다 적어도 두 개의 종동 러너를 구비하는데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종동 러너는 각각 대응되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의 이동방향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패시브 트롤리마다의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종동 러너는 상기 레일의 상단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어셈블리의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액티브 러너는 상기 레일의 상기 상단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어셈블리마다 두 개의 피벗유닛을 구비하는데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트롤리에서 하나의 상기 피벗유닛은 두 개의 상기 트롤리의 상단표면 사이에 피벗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피벗유닛은 두 개의 상기 트롤리의 저면 사이에 피벗되며 두 개의 상기 피벗유닛의 위치는 서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임의의 하나의 상기 패시브 트롤리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의 높이위치는 상기 레일의 저면의 높이위치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9. 공간 내에 매달리게 설치된 레일에 적용되게 장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설치되되, 이웃하는 임의의 두 개가 하나의 연결 어셈블리를 통해 연결되며 하나의 트롤리를 액티브 트롤리로 나머지를 패시브 트롤리로 정의하는 M개의 트롤리, 여기서 M은 3보다 작지 않은 자연수;
    상기 액티브 트롤리가 상기 레일과 멀리한 상단표면의 일측 및 상기 액티브 트롤리와 제일 멀리한 상기 패시브 트롤리가 상기 레일과 멀리한 상기 상단표면의 일측에 각각 아래로 옹벽을 형성하며 두 개의 상기 옹벽은 공동으로 충돌방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액티브 트롤리에 설치되어 상기 액티브 트롤리로 하여금 M-1개의 상기 패시브 트롤리를 이끌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어셈블리;
    하나의 상기 트롤리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공급 어셈블리; 및
    상기 하나의 패시브 트롤리에 설치되어 회복위치 및 그리핑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가 상기 그리핑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는 대응되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를 멀리하는 동시에 상기 공간 내의 목표물을 그리핑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가 상기 회복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는 대응되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에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리핑 어셈블리와 상기 상기 그리핑 어셈블리에 의해 그리핑된 상기 목표물은 상기 충돌방지공간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M개의 상기 트롤리에서 상기 레일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첫 번째 트롤리는 상기 액티브 트롤리이고 기타 M-1개의 트롤리는 각각 상기 패시브 트롤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옹벽에는 각각 충돌방지유닛이 설치되는데, 상기 충돌방지유닛마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돌방지유닛마다 이와 대응되는 상기 옹벽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환경정보를 판독하여 이동 중에 대응되는 상기 옹벽이 상기 공간의 환경물과 충돌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그 중의 하나의 상기 충돌방지유닛이 대응되는 상기 옹벽이 상기 환경물과 충돌한다고 판독할 경우 상기 충돌방지유닛은 상기 구동 어셈블리로 하여금 상기 액티브 트롤리에 대한 구동을 정지하도록 명령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개의 액티브 러너를 구비하는데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액티브 러너는 상기 액티브 트롤리의 이동방향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액티브 트롤리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서로의 회전속도 차이를 통해 상기 액티브 트롤리로 하여금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브 트롤리마다 적어도 두 개의 종동 러너를 구비하는데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종동 러너는 각각 대응되는 상기 패시브 트롤리의 이동방향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패시브 트롤리마다의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종동 러너는 상기 레일의 상단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어셈블리의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액티브 러너는 상기 레일의 상기 상단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어셈블리마다 두 개의 피벗유닛을 구비하는데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트롤리에서 하나의 상기 피벗유닛은 두 개의 상기 트롤리의 상단표면 사이에 피벗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피벗유닛은 두 개의 상기 트롤리의 저면 사이에 피벗되며 두 개의 상기 피벗유닛의 위치는 서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
  15. 삭제
  16. 삭제
KR1020200119998A 2020-04-30 2020-09-17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및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 KR102490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17720P 2020-04-30 2020-04-30
US63/017,720 2020-04-30
TW109125963 2020-07-31
TW109125963A TWI741711B (zh) 2020-04-30 2020-07-31 懸掛式搬運系統及多節式搬運裝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480A KR20210134480A (ko) 2021-11-10
KR102490448B1 true KR102490448B1 (ko) 2023-01-19

Family

ID=7823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998A KR102490448B1 (ko) 2020-04-30 2020-09-17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및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69330B2 (ko)
KR (1) KR102490448B1 (ko)
CN (1) CN1135817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2904A (ja) * 2014-06-18 2016-01-12 株式会社明電舎 天井走行台車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8306B2 (ko) * 1973-04-20 1980-10-03
JPH07215667A (ja) * 1994-02-04 1995-08-15 Fujita Corp 門形クレーン
JPH1159850A (ja) * 1997-08-08 1999-03-02 Tsubakimoto Chain Co オーバーヘッドコンベヤにおけるハンガー傾動装置
SE526863C2 (sv) * 2003-09-22 2005-11-15 Eton Systems Ab Produktbärare och transportanordning i vilken produktbärare ingår
CN201071217Y (zh) * 2007-07-23 2008-06-11 江苏天奇物流系统工程股份有限公司 环行前后桥可变行程式输送系统
KR20120083471A (ko) * 2009-11-19 2012-07-25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무라세이사꾸쇼 물품 반송 장치
KR101833310B1 (ko) * 2010-10-04 2018-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곡선 주행 시스템
KR101556398B1 (ko) * 2013-02-15 2015-09-30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주행 시스템
CN206358797U (zh) * 2016-12-26 2017-07-28 迈赫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输送搬运装置
CN109956281A (zh) * 2017-12-26 2019-07-02 广州市创机自动化科技有限公司 搬运设备
CN208560695U (zh) * 2018-06-05 2019-03-01 浙江迈睿机器人有限公司 智能搬运机器人的悬挂驱动机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2904A (ja) * 2014-06-18 2016-01-12 株式会社明電舎 天井走行台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69330B2 (ja) 2022-11-10
JP2021172522A (ja) 2021-11-01
KR20210134480A (ko) 2021-11-10
CN113581763A (zh)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2095B1 (en) Article conveyance device
US5226782A (en)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CN110294249B (zh) 一种仓储物流系统
WO2022041683A1 (zh) 立体库用穿梭车换层提升机及穿梭车运输装置
CN210762508U (zh) 一种仓储物流系统
CN104555215A (zh) 一种自变轨智能穿梭车自动存储物流系统
CN113859831A (zh) 料箱搬运物流机器人
EP3441327A1 (en) Overhead travelling stacker crane
CN207511713U (zh) 一种全自动物流仓储起重机
KR102490448B1 (ko)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시스템 및 다단식 오버헤드 호이스트 운반 장치
WO2014092284A1 (ko) 측면 이중 포크 캐리지형 무인운반차
CN204507899U (zh) 一种自变轨智能穿梭车自动存储物流系统
CN211920788U (zh) 一种“l”型运输机器人
CN110482096B (zh) 巷道机的多巷道快速切换系统
CN210457226U (zh) 一种定位精确的天车
CN115571537B (zh) 一种长杆件电力物资自装卸机器人及自装卸系统
EP4353631A1 (en) Transfer robot
TWI741711B (zh) 懸掛式搬運系統及多節式搬運裝置
CN212893730U (zh) 一种货物提升机
CN210090986U (zh) 一种agv载物平台
CN208775579U (zh) 一种堆垛系统
US20070151940A1 (en) Narrow Aisle Stacker Crane
CN212246099U (zh) 一种堆垛机及零部件智能仓储装置
US20110203876A1 (en) Narrow Aisle Stacker Crane
CN210365444U (zh) 一种智能成品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