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387B1 - 방화 단열 창호 - Google Patents

방화 단열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387B1
KR102488387B1 KR1020220094506A KR20220094506A KR102488387B1 KR 102488387 B1 KR102488387 B1 KR 102488387B1 KR 1020220094506 A KR1020220094506 A KR 1020220094506A KR 20220094506 A KR20220094506 A KR 20220094506A KR 102488387 B1 KR102488387 B1 KR 102488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rail
cover
indoor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라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알파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알파큐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알파큐
Priority to KR1020220094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5Fireproof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2Frames made of plast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87Performing extra fun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74Metal frames
    • E06B2003/7076Metal frames insul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74Metal frames
    • E06B2003/7078Metal frames with fire retardant measures in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연층을 구비하여 방화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방화 단열 창호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되, 개구부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창틀 프레임;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되,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개구부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창틀 프레임; 및 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과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 사이의 이격 간격을 충진하면서 설치되는 불연소재층;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화 단열 창호{fire insulation windows}
본 발명은 방화 단열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연층을 구비하여 방화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방화 단열 창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알루미늄 창호 조립방법에 있어 피스조립방법 또는 용법접합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피스를 이용한 조립방법은 피스가 보이는 단점이 있었고 이를 감추기 위하여 캡(cap)을 씌우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결점이 있고, 또한 용접 방법은 알미늄 재질 창호에 있어서 작업 능률이 현저히 떨어지고 마무리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아주 작은 크기의 창문 등 피스로 조립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피스로 억지로 조립하면 창호 면에 피스가 보여 깔끔하지 않고 피스를 박으면서 형성된 쭈글 쭈글한 형태 등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22556호 (2016.03.02. 공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불연층을 구비하여 방화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방화 단열 창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단열 창호는,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되, 개구부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창틀 프레임;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되,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개구부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창틀 프레임; 및 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과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 사이의 이격 간격을 충진하면서 설치되는 불연소재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은, 금속 재질 및 PVC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은,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의 상측 및 하측 내주면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에 안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을 개폐하는 창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창문은,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에 안착되는 창문 프레임;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창문 프레임의 상측 및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롤러; 상기 레일의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창문 프레임의 일측 상단 및 일측 하단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 덮개; 상기 레일의 타측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창문 프레임의 타측 상단 및 타측 하단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2 레일 덮개; 단면이 "H" 형상이고 "L"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1 레일 덮개와 상기 제2 레일 덮개의 각 내향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의 4 개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단열 창호는,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되,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의 상측 및 하측 내주면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에 안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을 개폐하는 창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창문은,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에 안착되는 창문 프레임;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창문 프레임의 상측 및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롤러; 상기 레일의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창문 프레임의 일측 상단 및 일측 하단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 덮개; 및 상기 레일의 타측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창문 프레임의 타측 상단 및 타측 하단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2 레일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레일 덮개는, 상기 레일의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창문 프레임의 일측 상단 및 일측 상단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덮개 플레이트; 및 상기 덮개 플레이트의 내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레일의 일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이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하는 완충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슬라이더는, 상기 덮개 플레이트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와 대향하면서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 사이를 지지하는 바디 지지부; 상기 상부 바디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상측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제1 롤러;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하부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제2 롤러; 및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하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하부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하측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제3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 지지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중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뉘인 형태로 배치되는 중단 플레이트;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플레이트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 스프링;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 스프링; 상기 중단 플레이트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하부 바디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부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하단 지지 스프링이 설치되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되었던 유체를 배출시켜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중단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승강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슬라이더는, 상기 하부 바디를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내측면 방향으로 밀착시켜 주는 측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 지지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상부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케이싱;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 바디와 대향하는 상기 덮개 플레이트의 내향면에 설치되는 제2 케이싱;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며, 바퀴가 설치되는 일측이 상기 제1 케이싱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제1 지지 로드; 상기 제2 케이싱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2 케이싱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하부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바디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로드;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부 공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로드를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부 공간의 일측으로 밀착시켜 주는 제1 측면 지지 스프링; 상기 제2 케이싱의 내부 공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로드를 상기 제2 케이싱의 내부 공간의 일측으로 밀착시켜 주는 제2 측면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충진하여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 로드가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되거나 상기 제2 지지 로드가 상기 제2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 사이를 이동하는 완충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불연층을 구비하여 방화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단열 창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단열 창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창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완충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바디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단열 창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단열 창호(10)는, 실내측 창틀 프레임(100), 실외측 창틀 프레임(200) 및 불연소재층(300)을 포함한다.
실내측 창틀 프레임(100)은,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되, 개구부의 실내측에 설치된다.
실외측 창틀 프레임(200)은,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되, 실내측 창틀 프레임(100)으로부터 이격되어 개구부의 실외측에 설치된다.
불연소재층(300)은, 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실내측 창틀 프레임(100)과 실외측 창틀 프레임(200) 사이의 이격 간격을 충진하면서 설치된다.
여기서, 불연소재층(300)은, 청호에 적용될 수 있는 불연성 소재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실내측 창틀 프레임(100)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 및 PVC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외측 창틀 프레임(200)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단열 창호(10)는, 불연층을 구비하여 방화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단열 창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단열 창호(20)는, 실내측 창틀 프레임(100), 실외측 창틀 프레임(200), 불연소재층(300) 및 창문(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실내측 창틀 프레임(100), 실외측 창틀 프레임(200) 및 불연소재층(3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함으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창문(400)은, 실내측 창틀 프레임(100) 및 실외측 창틀 프레임(200)의 상측 및 하측 내주면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700)에 안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실내측 창틀 프레임(100) 및 실외측 창틀 프레임(200)을 개폐한다.
도 4는 도 3의 창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창문(400)은, 창문 프레임(410), 롤러(420), 제1 레일 덮개(430) 및 제2 레일 덮개(440)를 포함한다.
창문 프레임(410)은, 실내측 창틀 프레임(100) 및 실외측 창틀 프레임(200)에 안착된다.
롤러(420)는, 레일(700)에 안착되어 회전하면서 레일(7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창문 프레임(410)의 상측 및 하측을 따라 설치된다.
제1 레일 덮개(430)는, 레일(700)의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창문 프레임(410)의 일측 상단 및 일측 하단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레일 덮개(430)는, 덮개 플레이트(431) 및 완충 슬라이더(432)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431)는, 레일(700)의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창문 프레임(410)의 일측 상단 및 일측 상단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완충 슬라이더(432)는, 덮개 플레이트(431)의 내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레일(700)의 일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 슬라이딩홈(710)에 안착되어 창문 프레임(410)이 이동함에 따라 함께 측면 슬라이딩홈(710)을 따라 이동한다.
제2 레일 덮개(440)는, 레일(700)의 타측을 덮을 수 있도록 창문 프레임(410)의 타측 상단 및 타측 하단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레일 덮개(440)는, 상술한 제1 레일 덮개(43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레일 덮개(430)의 덮개 플레이트(431) 및 완충 슬라이더(432)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창문(400)은, 레일(700)의 각 측면을 보호하는 한편 레일(700)을 따라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완충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완충 슬라이더(432)는, 상부 바디(4321), 하부 바디(4322), 바디 지지부(4323), 제1 롤러(4324), 제2 롤러(4325) 및 제3 롤러(4326)를 포함한다.
상부 바디(4321)는, 덮개 플레이트(431)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측면 슬라이딩홈(710)의 상측에 배치된다.
하부 바디(4322)는, 상부 바디(4321)와 대향하면서 측면 슬라이딩홈(710)의 하측에 배치된다.
바디 지지부(4323)는, 상부 바디(4321)와 하부 바디(4322) 사이를 지지한다.
제1 롤러(4324)는, 상부 바디(4321)의 상측에 설치되어 측면 슬라이딩홈(710)의 상측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제2 롤러(4325)는, 측면 슬라이딩홈(710)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하부 바디(4322)의 일측에 설치되어 측면 슬라이딩홈(710)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한다(도 7 참조).
제3 롤러(4326)는, 측면 슬라이딩홈(710)의 하측면과 대향하는 하부 바디(4322)의 하측에 설치되어 측면 슬라이딩홈(710)의 하측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 슬라이더(432)는, 덮개 플레이트(431)가 레일(70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측면 슬라이딩홈(7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창문 프레임(410)의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 슬라이더(432)는, 측면 지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7 참조).
측면 지지부(600)는, 하부 바디(4322)를 측면 슬라이딩홈(710)의 내측면 방향으로 밀착시켜 준다.
도 6은 도 5의 바디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바디 지지부(500)는, 이너 하우징(510), 중단 플레이트(520), 상단 지지 스프링(530), 하단 지지 스프링(540), 바디 지지 프레임(550) 및 승강 펌프(560)를 포함한다.
이너 하우징(510)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부 바디(4322)의 내측에 설치된다.
중단 플레이트(520)는, 이너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이너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의 중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뉘인 형태로 배치된다.
상단 지지 스프링(530)은, 이너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중단 플레이트(520)의 상측을 지지한다.
하단 지지 스프링(540)은, 이너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중단 플레이트(520)의 하측을 지지한다.
바디 지지 프레임(550)은, 중단 플레이트(520)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단이 하부 바디(4322)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부 바디(4321)의 하측에 설치된다.
승강 펌프(560)는, 하단 지지 스프링(540)이 설치되는 이너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되었던 유체를 배출시켜 이너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에서 중단 플레이트(5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서 바디 지지부(500)는, 측면 슬라이딩홈(710)의 상측과 하측의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측면 슬라이딩홈(71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창문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측면 지지부(600)는, 제1 케이싱(610), 제2 케이싱(620), 제1 지지 로드(630), 제2 지지 로드(640), 제1 측면 지지 스프링(650), 제2 측면 지지 스프링(660) 및 완충 유체(670)를 포함한다.
제1 케이싱(610)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측면 슬라이딩홈(710)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부 바디(4321)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2 케이싱(620)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부 바디(4322)와 대향하는 덮개 플레이트(431)의 내향면에 설치된다.
제1 지지 로드(630)는, 제1 케이싱(610)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며, 바퀴가 설치되는 일측이 제1 케이싱(610)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측면 슬라이딩홈(710)의 내측면에 안착된다.
제2 지지 로드(640)는, 제2 케이싱(620)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제2 케이싱(620)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하부 바디(4322)에 설치되어 하부 바디(4322)를 지지한다.
제1 측면 지지 스프링(650)은, 제1 케이싱(610)의 내부 공간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1 지지 로드(630)를 제1 케이싱(610)의 내부 공간의 일측으로 밀착시켜 준다.
제2 측면 지지 스프링(660)은, 제2 케이싱(620)의 내부 공간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 지지 로드(640)를 제2 케이싱(620)의 내부 공간의 일측으로 밀착시켜 준다.
완충 유체(670)는, 제1 케이싱(610)과 제2 케이싱(620)의 내부 공간을 충진하며 수용되며, 제1 지지 로드(630)가 제1 케이싱(6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되거나 제2 지지 로드(640)가 제2 케이싱(62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압축되면서 제1 케이싱(610)과 제2 케이싱(620) 사이를 이동한다.
여기서, 완충 유체(670)는, 제1 케이싱(610)과 제2 케이싱(620)의 내부 공간에서 일정 양 압축 또는 팽창이 가능할 수 있도록 공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측면 지지부(600)는, 덮개 플레이트(431)의 좌우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덮개 플레이트(431)의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3의 창문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400a)은, 창문 프레임(410), 롤러(420), 제1 레일 덮개(430), 제2 레일 덮개(440) 및 브라켓(4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창문 프레임(410), 롤러(420), 제1 레일 덮개(430), 제2 레일 덮개(440)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브라켓(450)은, 단열 재질로 제작되어 도 8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H" 형상이고 "L"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제1 레일 덮개(430)와 제2 레일 덮개(440)의 각 내향면에 의해 지지되어 창문 프레임(410)의 4 개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400a)은, 브라켓(450)을 이용하여 창문 프레임(410)의 각 모서리를 지지하여 화재 발생 시 창문 프레임(410)의 뒤틀림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방화 단열 창호
100: 실내측 창틀 프레임
200: 실외측 창틀 프레임
300: 불연소재층
400: 창문

Claims (4)

  1.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되, 개구부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창틀 프레임;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되,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개구부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창틀 프레임; 및
    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과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 사이의 이격 간격을 충진하면서 설치되는 불연소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의 상측 및 하측 내주면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에 안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을 개폐하는 창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창문은,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에 안착되는 창문 프레임;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창문 프레임의 상측 및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롤러;
    상기 레일의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창문 프레임의 일측 상단 및 일측 하단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 덮개; 및
    상기 레일의 타측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창문 프레임의 타측 상단 및 타측 하단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2 레일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일 덮개는,
    상기 레일의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창문 프레임의 일측 상단 및 일측 상단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덮개 플레이트; 및
    상기 덮개 플레이트의 내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레일의 일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이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하는 완충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슬라이더는,
    상기 덮개 플레이트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와 대향하면서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 사이를 지지하는 바디 지지부;
    상기 상부 바디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상측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제1 롤러;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하부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제2 롤러; 및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하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하부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의 하측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제3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 지지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중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뉘인 형태로 배치되는 중단 플레이트;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플레이트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 스프링;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 스프링;
    상기 중단 플레이트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하부 바디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부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하단 지지 스프링이 설치되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되었던 유체를 배출시켜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중단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승강 펌프;를 포함하는, 방화 단열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은,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은,
    PVC 재질로 제작되는, 방화 단열 창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의 상측 및 하측 내주면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에 안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을 개폐하는 창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창문은,
    상기 실내측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실외측 창틀 프레임에 안착되는 창문 프레임;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창문 프레임의 상측 및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롤러;
    상기 레일의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창문 프레임의 일측 상단 및 일측 하단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 덮개;
    상기 레일의 타측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창문 프레임의 타측 상단 및 타측 하단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2 레일 덮개;
    단면이 "H" 형상이고 "L"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1 레일 덮개와 상기 제2 레일 덮개의 각 내향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의 4 개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방화 단열 창호.
  4. 삭제
KR1020220094506A 2022-07-29 2022-07-29 방화 단열 창호 KR102488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506A KR102488387B1 (ko) 2022-07-29 2022-07-29 방화 단열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506A KR102488387B1 (ko) 2022-07-29 2022-07-29 방화 단열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387B1 true KR102488387B1 (ko) 2023-01-16

Family

ID=8510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506A KR102488387B1 (ko) 2022-07-29 2022-07-29 방화 단열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3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556A (ko) 2014-08-20 2016-03-02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경량 부품소재를 이용한 차열 방화창호
KR102322944B1 (ko) * 2021-04-02 2021-11-05 김윤석 복합재질을 사용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킨 단열 창문프레임
KR102359669B1 (ko) * 2021-03-19 2022-02-08 주식회사 현대산업 단창 연결식 창호프레임
KR102424612B1 (ko) * 2022-03-02 2022-07-22 송승옥 내화성과 방화성 및 단열성이 강화된 기능성 창호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556A (ko) 2014-08-20 2016-03-02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경량 부품소재를 이용한 차열 방화창호
KR102359669B1 (ko) * 2021-03-19 2022-02-08 주식회사 현대산업 단창 연결식 창호프레임
KR102322944B1 (ko) * 2021-04-02 2021-11-05 김윤석 복합재질을 사용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킨 단열 창문프레임
KR102424612B1 (ko) * 2022-03-02 2022-07-22 송승옥 내화성과 방화성 및 단열성이 강화된 기능성 창호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7084B2 (en) Panelized shadow box
KR101370463B1 (ko) 커튼월
KR200491614Y1 (ko)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KR102488387B1 (ko) 방화 단열 창호
KR101618281B1 (ko) 복합창호
KR20200054597A (ko) 방화문의 결로 방지 구조
KR101259602B1 (ko) 고기밀성 단열 미서기 창틀
JP7229039B2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下端の断熱構造
JP4489519B2 (ja) 移動式間仕切り壁
KR20210081812A (ko) 단열 및 밀폐구조를 갖는 창호
KR102660315B1 (ko) 틈이 없는 미닫이 창호 레일과 이를 포함하는 창호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JP6804212B2 (ja) サッシ窓の気密/断熱構造
KR101975663B1 (ko) 비철거식 개보수용 슬림 창호
JP2004270278A (ja) 内戸
JP6762907B2 (ja) 建具
KR101712171B1 (ko) 방풍 세이프 캐스터를 구비한 복층유리 도어용 프로파일 및 그를 구비한 복층유리 도어
CN216197532U (zh) 一种扇面平齐式门窗
JP2021001470A (ja) 障子および建具
KR102380653B1 (ko) 복합 내진형 시스템 창호
JP2021510781A (ja) 保護プロファイルを備える開放可能ガラス構造
KR102474268B1 (ko) 단열 미서기 창
JP6046965B2 (ja) 改装枠体、及び改装開口部装置
CN218092695U (zh) 一种新型窄边推拉门窗结构
KR102115838B1 (ko) 고단열성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