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155B1 - 롤러 밀용 입구 장치, 이러한 입구 장치를 가지는 롤러 밀 및 롤러 밀의 저장 용기에서 분쇄 재료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롤러 밀용 입구 장치, 이러한 입구 장치를 가지는 롤러 밀 및 롤러 밀의 저장 용기에서 분쇄 재료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155B1
KR102488155B1 KR1020217005606A KR20217005606A KR102488155B1 KR 102488155 B1 KR102488155 B1 KR 102488155B1 KR 1020217005606 A KR1020217005606 A KR 1020217005606A KR 20217005606 A KR20217005606 A KR 20217005606A KR 102488155 B1 KR102488155 B1 KR 102488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determined
control unit
inlet device
grind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074A (ko
Inventor
다니엘 리켄바흐
다니엘 피셔
디미트리오스 마리노스
Original Assignee
뷔흘러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뷔흘러 에이지 filed Critical 뷔흘러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210034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0084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for measuring volu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286Feed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2/00Methods or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weight, e.g. to determine the level of stored liquefied g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0092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for metering by volu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Weight Measuremen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Of Specified Amounts Of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 용기(2), 상기 저장 용기(2)에 배치된 힘 변환기(6), 상기 저장 용기(2) 내에서 분쇄 재료 레벨(B)에 도달되는 시기를 결정하도록 상기 저장 용기(2)에 배치된 레벨 센서(7), 및 제어 유닛(8)을 포함하는 롤러 밀용 입구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 유닛(8)은 상기 힘 변환기(6)에 의해 측정된 중량 힘(FG)으로부터 상기 저장 용기(2)의 제 1 충전 레벨(A)을 결정하고, 상기 레벨 센서(7)에 의해 결정된 상기 충전 레벨(B) 및 결정된 제 1 충전 레벨(A)을 기초로 충전 레벨 특성 곡선(K)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었다.

Description

롤러 밀용 입구 장치, 이러한 입구 장치를 가지는 롤러 밀 및 롤러 밀의 저장 용기에서 분쇄 재료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롤러 밀(roller mill)용 입구 장치,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입구 장치용 제어 유닛 및 그 입구 장치를 갖는 롤러 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롤러 밀의 저장 용기의 분쇄 재료의 레벨을 제어 및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롤러 밀들에서, 각각의 분쇄 통로의 상류에서 분쇄 재료가 저장 용기에, 예를 들어 중력에 의해 공급되어 저장 용기에 축적된다. 분쇄 재료는 배출 장치, 예를 들어 공급 롤러의 도움으로 계량되고, 분쇄 갭(milling gap)으로 운반된다.
분쇄 공정의 시작 시에, 저장 용기의 충전 레벨이 먼저 수작업으로, 예를 들어 작업자에 의해 목표 레벨로 설정된다. 한편으로는 충분히 자유로운 버퍼 체적(buffer volume)이 이용 가능해야 하지만(가능한 한 낮은 레벨로), 다른 한편으로는 분쇄 재료는 롤러의 전체 길이에 걸쳐 투여될 수 있어야 한다(가능한 한 높은 레벨로)는 점은 고려되어야 한다.
측정 장치(예를 들어 힘 변환기(force transducer))는 작동 중에 목표 레벨로부터 실제 레벨의 편차를 감지한다. 제어 장치는 실제 레벨이 목표 레벨에 가능한 한 근사하게 상응하도록 배출이 조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힘 변환기는 분쇄 재료의 레벨이 직접적으로 측정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측정된다는 단점이 있고, 따라서 보정이 수행되어야 하며, 이 보정은 분쇄될 재료의 특성들, 특히 분쇄될 재료의 밀도에 매우 의존한다.
이러한 측정 장치들의 단점은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실제 레벨이 저장 용기의 실제 충전 레벨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항상 실제 충전 레벨을 수작업으로 확인하고 결정된 실제 레벨을 수정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공지 기술의 단점들을 회피하고, 특히 간단하고 저렴하며 저장 용기의 충전 레벨 자동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롤러 밀용 입구 장치, 입구 장치용 제어 유닛, 롤러 밀 및 저장 용기의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을 갖는 입구 장치, 제어 유닛, 롤러 밀 및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이 시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상, 롤러 밀은 도정업(milling industry)뿐만 아니라 다른 식품 및 동물 사료에도 사용될 수 있는 롤러 장치를 의미한다는 점은 유념해야 한다.
상기 입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 재료 입구와 적어도 하나의 분쇄 재료 출구를 갖는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입구 장치는, 분쇄 재료 출구를 통해 롤러 밀의 분쇄 갭 내로 분쇄 재료를 계량하기 위해 저장 용기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계량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계량 장치는 갭으로 간단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배출량은 갭 폭을 변경함에 의해, 예를 들어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의 도움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계량 장치는 예를 들어 저장 용기 내에서 분쇄 재료의 분배를 지원하는 다른 요소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요소들은 예를 들어 패들(paddle) 또는 웜 샤프트(worm shaft)와 같은 운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량 장치는 또한 공급 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공급 롤러는 분쇄 재료를 분쇄 재료 출구로부터 롤러 밀의 분쇄 갭으로 운반하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계량 장치는 저장 용기 하류에 연결될 수, 즉 분쇄 갭과 저장 용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저장 용기로 운반되는 다량의 분쇄 재료가 계량될 수 있도록, 계량 장치가 저장 용기 상류에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분쇄될 재료에 의해 가해지는 중량 힘을 측정하기 위해 힘 변환기가 저장 용기에 배치된다.
분쇄 재료 레벨에 도달되는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레벨 센서도 저장 용기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레벨 센서는 저장 용기 내의 충전 레벨이 분쇄 재료 레벨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대한, 그리고 도달했다면 이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실제 값을 제공한다.
상기 힘 변환기 및/또는 레벨 센서는 상기 저장 용기 외부 또는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 용기는 힘 변환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힘 변환기에 매달리거나 힘 변환기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 용기 내의 분쇄 재료에 의해 가해지는 중량 힘과 분쇄 재료 레벨의 도달이 결정될 수만 있으면 된다.
상기 레벨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저장 용기 내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저장 용기의 상반부에 배치된다.
상기 힘 변환기는 바람직하게는 저장 용기 내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저장 용기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힘 변환기가 저장 용기의 충전 레벨이 낮은 경우 중량 힘이 측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저장 용기가 용기 용량의 적어도 절반까지 채워질 때까지 분쇄 재료가 상기 레벨 센서에 도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입구 장치는 힘 변환기 및 레벨 센서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될 수 있는 제어 유닛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위 제어 유닛, 예를 들면 롤러 밀의 제어 유닛에 연결된 입구 장치의 전용 제어 유닛일 수 있다. 이는, 만약 상기 입구 장치가 기존의 롤러 밀을 개량하기 위한 것이라면 특히 유리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은 상위 제어 유닛에, 예를 들어 롤러 밀의 제어 유닛 또는 플랜트 제어 시스템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 유닛은 힘 변환기에 의해 측정된 중량 힘으로부터 저장 용기의 제 1 충전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결정된 제 1 충전 레벨 및 레벨 센서에 의해 결정된 분쇄 재료 레벨을 기초로 충전 레벨 특성 곡선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충전 레벨은 바람직하게는 힘 변환기가 장착된 높이에 상응하는 미리 정해진 충전 레벨이다.
처음에 언급했듯이 힘 변환기의 도움으로 결정되는 충전 레벨은 특히 분쇄 재료 밀도와 같은 많은 요인들에 달려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유닛은 우선 저장 용기의 충전 레벨에 대한 초기 상황을 만들 수 있는데, 왜냐하면 중량 힘의 측정은 분쇄 재료가 저장 용기 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고, 만약 힘 변환기가 저장 용기 내에 배치되어 있다면 힘 변환기에 분쇄 재료가 하중을 가하고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측정된 중량 힘이 충전 레벨과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어떤 충전 레벨이든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예비 충전 레벨 곡선 및 중량 힘-충전 레벨 상관관계가 예비 제 1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충전 레벨 곡선은 측정된 중량 힘만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비 충전 레벨 곡선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분쇄 재료의 분쇄 정도, 상류 통로의 롤러 갭 폭 등과 같은 분쇄 재료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작업자가 입력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벨 센서는 분쇄 재료가 특정 레벨에 도달했는지 여부도 결정한다.
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유닛은 도달된 충전 레벨 및 제 1 충전 레벨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보간법 및/또는 보외법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충전 레벨 특성 곡선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레벨 특성 곡선에서, 중량 힘 값이 충전 레벨 값에 각각 할당된다.
이는, 측정된 실제 레벨과 실제 충전 레벨 사이의 수동 조정이, 이제 제어 유닛에 의해 수행되므로 생략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상기 충전 레벨 특성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분쇄 재료 레벨에 도달될 때 결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충전 레벨 특성 곡선은 분쇄 재료 레벨보다 높은 충전 레벨들에 대해서도 결정된다.
특히, 상기 제어 유닛은 분쇄 재료 레벨에 도달될 때마다 충전 레벨 특성 곡선이 새로 결정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충전 레벨이 분쇄 재료 레벨 밑으로 감소한다면, 상기 충전 레벨 특성 곡선이 계속해서 사용되며, 만약 충전 레벨이 증가하여 분쇄 재료 레벨에 다시 도달된다면, 신규 특성 곡선이 결정된다.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충전 레벨이 분쇄 재료 레벨 밑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도 충전 레벨 특성 곡선이 새로 결정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충전 레벨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충전 레벨 센서는, 충전 레벨이 분쇄 재료 레벨 밑으로 떨어지는지를 결정하고 따라서 충전 레벨 특성 곡선을 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쇄 재료 레벨에 도달"은 충전 레벨이 증가하는 경우 분쇄 재료 레벨에 도달하는 것 및/또는 충전 레벨이 감소하는 경우 분쇄 재료 레벨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은, 충전 레벨 특성 곡선의 결정 후에, 측정된 중량 힘 및 충전 레벨 특성 곡선에 기초하여 제 2 충전 레벨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는, 각각의 중량 힘 값이 충전 레벨 특성 곡선에 의해서 충전 레벨 값에 할당되기 때문에, 충전 레벨 결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힘 변환기와 상기 레벨 센서 사이의 수직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cm,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c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벨 센서는 용량성 센서로 구성된다.
용량성 센서는 상기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특히 간단하고 견고하며 비용 효율적인 방법이다.
본 발명은 또한 롤러 밀의 입구 장치용 제어 유닛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입구 장치의 모든 장점들과 추가 개선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유닛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어 유닛은, 분쇄 재료에 의해 가해지는 중량 힘을 측정하기 위해 저장 용기에 배치된 힘 변환기에, 그리고 저장 용기 내에서 분쇄 재료 레벨에 도달되는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저장 용기에 배치된 충전 레벨 센서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힘 변환기에 의해 측정된 중량 힘으로부터 저장 용기의 제 1 충전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 1 충전 레벨 및 레벨 센서에 의해 결정된 분쇄 재료 레벨을 기초로 충전 레벨 특성 곡선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구 장치를 갖는 롤러 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입구 장치의 모든 장점들 및 추가 개선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밀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롤러 밀은 분쇄 재료의 롤러 갭을 정의하는 적어도 2개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갭에는 입구 장치의 분쇄 재료 출구로부터 분쇄 재료가 공급된다.
본 발명은 또한 롤러 밀의 분쇄 재료용 저장 용기의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입구 장치, 제어 유닛 및 롤러 밀의 모든 장점들 및 추가 개선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도 또한 적용 가능하다.
저장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 재료 입구, 적어도 하나의 분쇄 재료 출구 및 분쇄 재료 출구를 통해 롤러 밀의 분쇄 갭으로 분쇄 재료를 계량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량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우선, 분쇄 재료에 의해 가해지는 중량 힘을 저장 용기에 위치한 힘 변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이어서, 저장 용기의 제 1 충전 레벨을 상기 힘 변환기에 의해 측정된 중량 힘으로부터 결정하는 단계;
저장 용기에 위치한 레벨 센서를 사용하여 저장 용기 내에서 분쇄 재료 레벨에 도달되는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이어서, 충전 레벨 특성 곡선을 결정된 제 1 충전 레벨 및 레벨 센서에 의해 결정된 분쇄 재료 레벨을 기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따라서 간단한 센서 배치로 수행될 수 있다. 힘 변환기에 의해 측정된 중량 힘은 저장 용기의 충전 레벨과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충전 레벨은 이 상관관계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레벨 센서는 또한 분쇄 재료가 특정 충전 레벨에 도달했는지 여부도 결정한다.
이를 기초로, 충전 레벨 특성 곡선이 도달된 충전 레벨 및 제 1 충전 레벨의 도움으로 충전 레벨 곡선을 결정함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보간법 및/또는 보외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충전 레벨 곡선은 힘 변환기에 의해 측정된 중량 힘으로 저장 용기의 제 2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는, 측정된 실제 레벨과 실제 충전 레벨 사이의 수동 조정이, 이제 제어 유닛에 의해 수행되므로 생략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구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충전 레벨 특성 곡선의 개략도이다.
도 1은 입구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입구 장치(1)는 분쇄 재료 입구(3) 및 분쇄 재료 출구(4)를 갖는 저장 용기(2)를 포함한다. 계량 장치(5)가 또한 분쇄 재료 출구(4)에 배치되며, 이 분쇄 재료 출구(4)는 스로틀 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분쇄 재료 출구(4)의 갭 폭은 상기 스로틀 밸브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힘 변환기(6)가 상기 저장 용기(2)에 배치되며, 상기 힘 변환기(6)는 저장 용기(2) 내로 돌출하여, 그리고 예를 들어 굽힘 빔(bending beam)으로서 설계될 수 있는 연장 암(extension arm)(9)을 포함한다.
저장 용기(2)를 분쇄 재료로 채우는 경우, 분쇄 재료로 이루어진 원뿔이 형성되며, 이 원뿔은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분쇄 재료의 원뿔이 상기 연장 암(9)에 도달하자마자, 상기 연장 암(9)에 중량 힘(FG)이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힘 변환기(6)에 연결된(점선(10)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됨) 상기 제어 유닛(8)이 저장 용기 내에서 제 1 충전 레벨(A)에 도달된 것을 감지한다.
저장 용기(2)가 추가로 채워지는 경우, 상기 분쇄 재료의 원뿔이 증가하고, 따라서 저장 용기 내의 충전 레벨이 증가한다. 저장 용기(2) 내에서 충전 레벨의 증가는 힘 변환기(6)에 의해 측정되는 중량 힘(F)에서의 증가에 의해 상기 제어 유닛(8)에 의해 감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 유닛(8)은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예비 충전 레벨 특성 곡선(K2)을 사용하여 예비 충전 레벨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쇄 재료의 원뿔이 상기 레벨 센서(7)에 도달하는 경우, 신호가 연결부(11)(또한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됨)를 통해 제어 유닛(8)으로 전송되며, 이 신호는 분쇄 재료 레벨(B)에 상응하는 충전 레벨에 도달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제어 유닛(8)은 제 1 충전 레벨(A) 및 상기 분쇄 재료 레벨(B)을 사용하여,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충전 레벨 특성 곡선(K)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레벨 곡선(K)(마찬가지로, 예비 충전 레벨 곡선(K2))은 측정된 중량 힘(F)(축선 x)과 충전 레벨(FS)(축선 y)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도 2로부터, 충전 레벨 곡선(K)이, 힘 변환기(6)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중량 힘(F)에 대한 저장 용기(2)의 충전 레벨(FS)을 결정하기 위해 제어 유닛(8)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충전 레벨(FS)은, 상기 충전 레벨 곡선(K)이 충전 레벨(B)을 사용하여 보정되었기 때문에 예비 충전 레벨 곡선(K2)의 도움으로만 결정될 수 있던 충전 레벨보다 정확하다는 점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용기(2)의 실제 충전 레벨과 측정된 실제 레벨의 수동 조정은 생략될 수 있다.

Claims (13)

  1. 롤러 밀(roller mill)용 입구 장치(1)로서,
    - 적어도 하나의 분쇄 재료 입구(3) 및 적어도 하나의 분쇄 재료 출구(4)가 있는 저장 용기(2),
    - 상기 분쇄 재료 출구(4)를 통해 상기 롤러 밀의 분쇄 갭(milling gap)으로의 분쇄 재료를 계량하기 위해 상기 저장 용기(2)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계량 장치(5),
    - 상기 분쇄 재료에 의해 가해지는 중량 힘(FG)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저장 용기(2)에 배치된 힘 변환기(force transducer)(6),
    - 상기 힘 변환기(6)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될 수 있는 제어 유닛(8)
    을 포함하는 입구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입구 장치(1)는
    - 상기 저장 용기(2) 내에서 분쇄 재료 레벨(B)에 도달되는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저장 용기(2) 내에 배치된 레벨 센서(7)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8)은 상기 레벨 센서(7)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유닛(8)은, 상기 힘 변환기(6)에 의해 결정된 중량 힘(FG)으로부터 상기 저장 용기(2)의 제 1 충전 레벨(A)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유닛(8)은, 결정된 상기 제 1 충전 레벨(A) 및 상기 레벨 센서(7)에 의해 결정된 상기 분쇄 재료 레벨(B)에 기초하여 충전 레벨 특성 곡선(K)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구 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 특성 곡선(K)은 상기 분쇄 재료 레벨(B)에 도달될 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구 장치(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8)은, 충전 레벨 특성 곡선(K)의 결정 후에, 결정된 중량 힘(F) 및 상기 충전 레벨 특성 곡선(K)에 기초한 제 2 충전 레벨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구 장치(1).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힘 변환기(6)와 상기 레벨 센서(7) 사이의 수직 거리는 20 내지 8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구 장치(1).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센서(7)는 용량성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구 장치(1).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 특성 곡선(K)은 보간법 또는 보외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구 장치(1).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센서(7)는 상기 저장 용기(2)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구 장치(1).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힘 변환기(6)는 상기 저장 용기(2)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구 장치(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힘 변환기(6)는 상기 저장 용기(2)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구 장치(1).
  10. 롤러 밀의 저장 용기(2)를 갖는 입구 장치(1)를 위한 제어 유닛(8)으로서, 입구 장치(1)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것이고, 상기 제어 유닛(8)은 분쇄 재료에 의해 가해지는 중량 힘(FG)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저장 용기(2)에 배치된 힘 변환기(6); 및 상기 저장 용기(2) 내에서 분쇄 재료 레벨(B)에 도달되는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저장 용기(2)에 배치된 레벨 센서(7)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유닛(8)은 상기 힘 변환기(6)에 의해 결정된 상기 중량 힘(FG)으로부터 저장 용기(2)의 제 1 충전 레벨(A)을 결정하고, 상기 레벨 센서(7)에 의해 결정된 상기 분쇄 재료 레벨(B) 및 결정된 제 1 충전 레벨(A)을 기초로 충전 레벨 특성 곡선(K)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유닛(8).
  11. 갭을 확정하는 적어도 2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 밀(14)로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입구 장치(1)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밀(14).
  12. 롤러 밀의 분쇄 재료용 저장 용기(2) 내의 분쇄 재료의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저장 용기(2)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 재료 입구(3), 적어도 하나의 분쇄 재료 출구(4), 및 분쇄 재료 배출구(4)를 통해 롤러 밀의 분쇄 갭으로의 분쇄 재료를 계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계량 장치(5)를 포함하며,
    - 상기 저장 용기(2) 내에 배치된 힘 변환기(6)로 분쇄 재료에 의해 가해지는 중량 힘(FG)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힘 변환기(6)에 의해 결정된 중량 힘으로부터 저장 용기(2) 내의 제 1 충전 레벨(A)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저장 용기(2) 내에 배치된 레벨 센서(7)로 상기 저장 용기(2) 내에서 분쇄 재료 레벨(B)의 도달을 결정하는 단계;
    - 결정된 제 1 충전 레벨(A) 및 상기 레벨 센서(7)에 의해 결정된 상기 분쇄 재료 레벨(B)을 기초로 충전 레벨 특성 곡선(K)을 결정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 특성 곡선(K)은 보간법 또는 보외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17005606A 2018-07-31 2019-07-31 롤러 밀용 입구 장치, 이러한 입구 장치를 가지는 롤러 밀 및 롤러 밀의 저장 용기에서 분쇄 재료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102488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86666.6 2018-07-31
EP18186666.6A EP3605034B1 (de) 2018-07-31 2018-07-31 Einlaufanordnung für einen walzenstuhl, walzenstuhl mit einer solchen einlaufanordnung, verfahren zur mahlgutfüllstandermittlung eines vorratsbehälters eines walzenstuhls
PCT/EP2019/070644 WO2020025681A1 (de) 2018-07-31 2019-07-31 Einlaufanordnung für einen walzenstuhl, walzenstuhl mit einer solchen einlaufanordnung sowie verfahren zur mahlgutfüllstandermittlung eines vorratsbehälters eines walzenstuh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074A KR20210034074A (ko) 2021-03-29
KR102488155B1 true KR102488155B1 (ko) 2023-01-12

Family

ID=6311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606A KR102488155B1 (ko) 2018-07-31 2019-07-31 롤러 밀용 입구 장치, 이러한 입구 장치를 가지는 롤러 밀 및 롤러 밀의 저장 용기에서 분쇄 재료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860020B2 (ko)
EP (1) EP3605034B1 (ko)
JP (1) JP7031058B2 (ko)
KR (1) KR102488155B1 (ko)
CN (1) CN112585438A (ko)
AU (1) AU2019313596B2 (ko)
BR (1) BR112021000659A2 (ko)
CA (1) CA3106173C (ko)
ES (1) ES2901827T3 (ko)
MX (1) MX2021001202A (ko)
RU (1) RU2764123C1 (ko)
WO (1) WO2020025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221170A1 (en) 2021-07-12 2023-01-19 Buhler Ag Feed level control system and method
CH719612A1 (de) * 2022-04-14 2023-10-31 Swisca Ag Dosier- und/oder Wiegevorrichtung für Nahrungsmittel mit Füllstandsüberwachung.
CN115284079B (zh) * 2022-09-30 2023-01-03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磁流变抛光标定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3391A (en) 1991-10-11 1995-07-18 Satake Uk Limited Cereal milling machine
KR200159558Y1 (ko) 1997-05-29 1999-10-15 최병준 미곡의 중량계량과 수분측정용 호퍼 스케일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391A (en) * 1895-07-23 Slack-adjuster
US4169543A (en) * 1977-10-20 1979-10-02 Keystone International, Inc. Amplitude responsive detector
IT1160480B (it) * 1983-02-25 1987-03-11 Sangati Spa Dispositivo per la regolazione automatica della alimentazione del prodotto in un laminatoio di macinazione per cereali
FI94676C (fi) * 1993-11-16 1995-10-10 Aspo Systems Oy Menetelmä ja laitteisto nesteen mittauslaitteiston kalibroimiseksi
DE19726551A1 (de) * 1997-06-23 1998-12-24 Buehler Ag Speisesensorik
JP2003266614A (ja) * 2002-03-15 2003-09-24 Toyo Ink Mfg Co Ltd 自動車部材成型加工用材料及び自動車部材
JP4760052B2 (ja) * 2005-02-24 2011-08-31 ヤマハ株式会社 伝送制御装置およびサンプリング周波数変換装置
CN200996852Y (zh) * 2006-07-06 2007-12-26 张红岩 一种粉仓料位检测装置
CN200989806Y (zh) * 2006-11-06 2007-12-12 河南中原轧辊有限公司 磨粉机喂料传感装置
US20090188641A1 (en) * 2008-01-30 2009-07-30 Andritz In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digester or impregnation vessel chip level by measuring chip pressure
EP2540396A1 (de) * 2011-06-30 2013-01-02 Büh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ie Herstellung von Mehl und/oder Griess
CN202230393U (zh) * 2011-09-09 2012-05-23 珠海裕嘉矿产品有限公司 一种自动料位控制装置
JP6238044B2 (ja) 2013-04-23 2017-11-29 株式会社サタケ 製粉用ロール機におけるストックレベル検出器
RU2537099C1 (ru) * 2013-05-14 2014-12-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оюзцветметавтоматик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весового расхода и весового дозирования жидких флотационных реагентов (весовой расходомер/дозатор жидкости)
CN203405260U (zh) * 2013-07-01 2014-01-22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用于高压辊磨料斗料位测量的装置
CN203764316U (zh) * 2014-01-10 2014-08-13 中信重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辊磨机雷达料位检测装置
CN203772360U (zh) * 2014-01-10 2014-08-13 中信重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可在恶劣环境下精确测量料位的料仓装置
US9702753B2 (en) * 2014-06-27 2017-07-11 Deere & Company Grain mass flow estimation
WO2016135025A1 (de) 2015-02-23 2016-09-01 Bühler AG Walzenstuhl, aspirationsbaugruppe und verfahren zum nachrüsten eines walzenstuhles
CN205333152U (zh) * 2015-12-21 2016-06-22 上海云鱼智能科技有限公司 电磁波节点料位计
CN206231915U (zh) * 2016-12-05 2017-06-09 泰安中意重型工业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颗粒或块状物料料位检测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3391A (en) 1991-10-11 1995-07-18 Satake Uk Limited Cereal milling machine
KR200159558Y1 (ko) 1997-05-29 1999-10-15 최병준 미곡의 중량계량과 수분측정용 호퍼 스케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32367A (ja) 2021-11-25
RU2764123C1 (ru) 2022-01-13
BR112021000659A2 (pt) 2021-04-13
US11860020B2 (en) 2024-01-02
WO2020025681A1 (de) 2020-02-06
KR20210034074A (ko) 2021-03-29
EP3605034B1 (de) 2021-09-22
JP7031058B2 (ja) 2022-03-07
MX2021001202A (es) 2021-04-12
AU2019313596B2 (en) 2022-04-28
AU2019313596A1 (en) 2021-02-04
US20210302217A1 (en) 2021-09-30
CA3106173C (en) 2023-10-03
CA3106173A1 (en) 2020-02-06
EP3605034A1 (de) 2020-02-05
ES2901827T3 (es) 2022-03-23
CN112585438A (zh)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155B1 (ko) 롤러 밀용 입구 장치, 이러한 입구 장치를 가지는 롤러 밀 및 롤러 밀의 저장 용기에서 분쇄 재료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CN108143279B (zh) 用于分配咖啡研磨粉的配量的方法和机器
KR0143227B1 (ko) 유동물질의 정량측정 장치 및 그 측정방법과 그 방법의 응용
TWI733955B (zh) 具有用於經研磨咖啡的劑量裝置的研磨劑量機器
JPS62502422A (ja) 連続バランスによる流動性材料通過量自動測定用装置
US20090294469A1 (en) Mass-Based Powder Dispensing
EP2091860B1 (en) Dispensing apparatus and weighing process with control unit
KR101199735B1 (ko) 사료 포장기의 혼합사료 계량 장치
AU2020272448A1 (en) Calibration method for liquid flowmeter
JP2004520192A (ja) 小分けにした材料を射出成形機に供給するためのシステム
CA3086857A1 (en) Proppant metering and loading in a hydraulic fracturing blender
CN113196019B (zh) 用于对用于倾注物料的配量设备在其储存容器的再填充期间进行重力调节的方法及用于实施该方法的配量设备
CN107042583A (zh) 一种用于压浆机的出浆计量系统及其使用方法
US771764A (en) Automatic feed-regulator.
US11497353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grind a product
JPH0680196A (ja) 自動式容器充填装置に用いられる各容器に製品を計量して充填する装置
KR101635843B1 (ko) 펠렛 계량장치
WO2021001675A1 (en) Continuous mobile concrete dispenser with a weight control
CN214269070U (zh) 一种粉料输送装置
CN214934222U (zh) 一种定量上料传输结构
RU2284016C2 (ru) Способ порционного взвешивания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в потоке с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м дозирование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WO2000042390A2 (en) Method for measuring free-flowing materials and device therefor
JPH03114524A (ja) 流体供給装置の供給切替方法
CN104444383A (zh) 高压密相输送计量方法及装置
CZ2014109A3 (cs) Zařízení pro vážení, dávkování a regulaci průtoku sypkých materiál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