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710B1 - 차량의 키 오프 상태 인식 불가시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안전하게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시스템 및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키 오프 상태 인식 불가시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안전하게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시스템 및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710B1
KR102487710B1 KR1020210083248A KR20210083248A KR102487710B1 KR 102487710 B1 KR102487710 B1 KR 102487710B1 KR 1020210083248 A KR1020210083248 A KR 1020210083248A KR 20210083248 A KR20210083248 A KR 20210083248A KR 102487710 B1 KR102487710 B1 KR 102487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power supply
supply uni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746A (ko
Inventor
함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10083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710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4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4In digital systems, e.g. discrete-time systems involving sampling
    • B60W2050/0005Processor details or data handling, e.g. memory registers or chip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2Actuator fail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키 오프 상태 인식 불가시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안전하게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시스템 및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시스템은,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의 입력단 전압 및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입력단 전압 및 상기 출력단 전압을 기초로 차량의 키 오프(key off)의 판단과 상기 전원부의 기능 이상의 판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상기 전원부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출력 구동부; 및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출력 구동부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강제로 차단하는 강제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키 오프 상태 인식 불가시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안전하게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시스템 및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A power cut-off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power cut-off system to safely block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when the vehicle's key-off state cannot be recognized}
본 발명은 차량의 키 오프 상태 인식 불가시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안전하게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시스템 및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가 운전을 종료한 후 키 오프(key off)를 하였으나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를 통한 이그니션 전원 신호의 입력에 문제가 생겨 키 오프 상태의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 액추에이터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오프하기 위한 발명이다.
차량에서 대부분의 전자 제어기(ECU; Electric Control Unit)는 운전자의 키(key) 입력 신호를 전원 IC(1)가 입력 받는다.(도 1 참조) 키 입력 신호가 일정 시간 하이(high)로 유지되면, 전원 IC(1) 내부에 위치한 스위치(1a)가 턴온(turn on) 되면서 메인 릴레이(main relay)(4)에 전류가 흐른다. 그 후 메인 릴레이(4)의 스위치가 닫히면, 배터리(2)의 12V 전원이 전원 IC(1)의 입력핀으로 공급된다. 전원 IC(1)에 의해서 배터리(2) 12V 전원은 5V, 3.3V, 1.3V 등으로 강압 출력되고, 이 출력 전원들은 제어기 내부의 다른 IC들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는 액추에이터(7)와 연결된 출력 구동 IC(6)에 전원을 공급하고 출력 구동 IC(6)는 제어기 내부의 프로세서(마이컴)(5)의 제어에 따라 동작모드로 진입하여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7a,7b,7c)를 구동한다. 이때, 액츄에이터(7a,7b,7c) 전원은 메인 릴레이(4) 후단에 연결되어 배터리(2)로부터 공급받고, 그라운드(GND)는 제어기의 출력 구동 IC(6)로 연결되어 출력 구동 IC 내부의 스위치(6a,6b,6c)가 턴온됨에 따라 액추에이터(7)로 흐르는 전류의 경로가 생성되어 액추에이터(7)가 동작한다.
한편, 차량의 운전이 종료된 후, 운전자가 키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키 오프를 수행하면(키 인터페이스가 버튼 방식인 경우 버튼을 누르는 동작, 키 인터페이스가 물리키를 연결하는 키박스 방식인 경우 물리키를 회전시켜 키박스에서 빼내는 동작 등) 키 인터페이스와 연동된 키 스위치(3)를 통해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가 로우(low)가 되고, 전원 IC(1)의 내부에 위치한 스위치(1a)가 턴오프(turn off) 되면서 메인 릴레이(4)에 흐르는 전류는 차단이 되고 전원 IC(1)로는 더이상 배터리(2)의 전압을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기 내부의 다른 IC들(5,6)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고 결과적으로 액추에이터(7)에 공급되는 전원 또한 차단되어 액추에이터(7)의 동작이 멈추게 된다.
하지만, 전원 IC(1)의 기능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키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핀의 고장 또는 키 스위치(3)의 고장으로 전원 IC가 키 입력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메인 릴레이의 구동핀의 고장으로 메인 릴레이(4)에 흐르는 전류가 정상적으로 차단되지 않는 경우 등) 액추에이터(7)는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 받고 출력 구동 IC(6) 또한 계속 동작을 하므로 전류의 경로가 차단되지 않아 액추에이터(7)의 구동이 정지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면 차량이 의도치 않은 동작을 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0-1575510호에서는 이그니션 전원의 문제로 인한 시동 꺼짐에 대해 판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시동 꺼짐이 이그니션 전원의 고장으로 인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뿐 이를 원인으로 한 액추에이터의 동작 이상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5510호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 오프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제어기 전원부의 기능 이상을 판단하고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안전하게 멈추도록 제어하는 전원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원 차단 시스템은,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의 입력단 전압 및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입력단 전압 및 상기 출력단 전압을 기초로 차량의 키 오프(key off)의 판단과 상기 전원부의 기능 이상의 판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상기 전원부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출력 구동부; 및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출력 구동부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강제로 차단하는 강제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키 오프와 연동되어 온오프 동작하는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부 사이의 제1 입력단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제1 모니터링부; 상기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와 연동되어 온오프 동작하는 메인 릴레이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전원부 사이의 제2 입력단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제2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출력 구동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출력단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제3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제1 입력단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키 오프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2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제3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제2 입력단 전압과 상기 출력단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키 오프된 시점 이후에도 상기 출력 구동부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부에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원 차단 시스템은, 상기 키 오프를 판단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니터링부, 상기 제2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제3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제1 입력단 전압, 상기 제2 입력단 전압 및 상기 출력단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키 오프를 판단하고, 상기 키 오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시간 측정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키 오프를 판단한 시점 이후, 상기 출력 구동부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시간 측정부가 측정한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전원부에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원부에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출력 구동부에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차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제 차단부는, 상기 키 오프와 연동되어 온오프 동작하는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되며, 턴온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을 그라운드와 연결시키는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에 하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를 턴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가 오프되면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N채널 모스펫이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자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소스 단자는 상기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드레인 단자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PNP타입 BJT이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 단자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이미터 단자는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컬렉터 단자는 그라운드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입력단 전압 및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입력단 전압 및 상기 출력단 전압을 기초로 차량의 키 오프(key off)의 판단과 상기 전원부의 기능 이상의 판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전원부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출력 구동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출력 구동부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강제로 차단하는 강제 차단부를 포함하는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키 오프를 판단하는 키 오프 판단 단계; 상기 키 오프가 판단된 이후에,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원부의 기능 이상을 판단하는 이상 판단 단계; 상기 전원부에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출력 구동부에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차단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차단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강제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을 그라운드와 연결시키는 제2 차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 오프 판단 단계는, 상기 키 오프와 연동되어 온오프 동작하는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부 사이의 제1 입력단 전압을 기초로 하여 상기 키 오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판단 단계는, 상기 키 오프를 판단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키 오프를 판단한 시점 이후, 상기 출력 구동부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전원부의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의 기능 이상은, 상기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와 연동되어 온오프 동작하는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전원부 사이의 제2 입력단 전압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액추에이터 사이의 출력단 전압을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에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를 턴온 제어하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온 제어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과 상기 그라운드가 직접 연결되는 전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 오프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제어기 전원부의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를 즉시 판단하여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강제적으로 오프시킴으로써 차량의 급발진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고 차량이 키 오프된 이후 액추에이터 동작으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키 오프 동작과 관련된 종래의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블록도에 나타낸 각 구성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모니터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2 모니터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3 모니터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시간 측정부와 프로세서간의 정보전달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강제 차단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시스템(10)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블록도에 나타낸 각 구성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시스템(10)은, 전원부(100), 모니터링부(200), 프로세서(300), 출력 구동부(400) 및 강제 차단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00)는 차량의 전자 제어기(ECU) 내부에 구비되고, 차량의 배터리(20)와 연결되며 액추에이터(5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00)는 후술할 출력 구동부(400)에 연결되어 출력 구동부(4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액추에이터(5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출력 구동부(400)는, 전원부(100)와 액추에이터(50) 사이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그 내부에는 프로세서(300)의 제어 신호를 받아 액추에이터(50)와 그라운드간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는 구동 스위치(410,420,430)가 구비되어 있다. 프로세서(300)가 보내는 제어 신호는, 액추에이터(50)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구동 스위치(410,420,430)를 턴온시키는 구동 신호와, 액추에이터(5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구동 스위치(410,420,430)를 턴오프시키는 차단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출력 구동부(400)는 전원부(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만 액추에이터(5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액추에이터(50)란, 특정 장치의 제어 목적을 달성하도록 조작량을 변화시키는 장치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경우 속도 제어를 위한 엔진, 브레이크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전원부(100)는 출력 구동부(400) 뿐 아니라, 기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ECU에 구비되어 있는 집적회로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00)는 후술할 프로세서(300)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00)의 입력단은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30)에 연결되는 제1 입력단(110)과 메인 릴레이(40)에 연결되는 제2 입력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3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오프 신호와 연동되어 온오프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30)의 일단은 배터리(20)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고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30)의 타단은 제1 입력단(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키 오프 신호를 입력하면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30)가 오프되고 제1 입력단(110)으로 로우(low) 신호가 입력된다. 제1 입력단(110)과 전원부(100)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저항과 커패시터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릴레이(40)의 내부 구조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코일(coil)과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릴레이(40)의 일단은 배터리(20)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고 메인 릴레이(40)의 타단(메인 릴레이(40)의 스위치의 타단)은 제2 입력단(120)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릴레이(40)는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30)와 연동되어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30)의 온오프에 의해 온오프 동작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키 오프에 의한 로우 신호가 제1 입력단(110)으로 정상적으로 인가되면 전원부(100)의 내부 스위치(140)의 작동으로 메인 릴레이(40)가 턴오프 동작을 할 수 있다. 메인 릴레이(40)가 턴오프되면 액추에이터(50)와 배터리(20)간의 연결이 차단될 뿐 아니라, 전원부(100)와 배터리(20)간의 연결도 차단되어 배터리(20)에서 전원부(100)로 더 이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전원부(100)에서 출력 구동부(400)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므로 출력 구동부(400)는 더 이상 액추에이터(50)를 구동시킬 수 없고 모든 액추에이터들(51,52,53)의 동작이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부(100)에 기능 이상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키 오프 신호를 입력하여도 액추에이터(50)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정지할 수 없게 되는데 이는 급발진 등의 심각한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200)는, 전원부(100)의 입력단 전압 및 전원부(100)의 출력단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부(200)는 제1 입력단(110)에 인가되는 제1 입력단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제1 모니터링부(210), 제2 입력단(120)에 인가되는 제2 입력단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제2 모니터링부(220) 및 전원부(100)와 출력 구동부(400) 사이에 연결되어 전원부(100)의 출력단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제3 모니터링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제1 모니터링부(2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제2 모니터링부(22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제3 모니터링부(2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함께 도 4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면, 제1 모니터링부(210) 내지 제3 모니터링부(230)는 각각 제1 입력단(110), 제2 입력단(120) 및 출력단(130)과 연결되어 전압의 모니터링 결과를 프로세서(300)에 전달하게 된다. 제1 모니터링부(210) 내지 제3 모니터링부(23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저항(R1~R6) 및 커패시터(C1~C3)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모니터링부(200)가 모니터링하여 전달하는 제1 입력단 전압, 제2 입력단 전압 및 출력단 전압을 수신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차량의 키 오프 여부 즉, 사용자가 시동을 정지하기 위해 키 오프 신호를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300)는 ECU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마이컴(micom)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0)는 제1 모니터링부(210)로부터 제1 입력단 전압을 전달받아 차량의 키 오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제1 모니터링부(210)로부터 전달받은 제1 입력단 전압(또는 제1 입력단 신호라고도 칭할 수 있음)이 로우 신호이면 차량이 키 오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제1 모니터링부(210)로부터 전달받은 제1 입력단 전압이 하이(high) 신호이면 차량이 키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300)는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차량이 키 오프 되었다고 판단한 시점 이후에 제2 모니터링부(220)로부터 전달받은 제2 입력단 전압과 제3 모니터링부(230)로부터 전달받은 출력단 전압을 기초로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 상태 즉, 키 오프된 이후에도 액추에이터(50)의 동작 중단이 수행되지 않고 있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0)는, 제1 입력단 전압으로 로우 신호를 전달받은 이후에 제2 모니터링부(220)에서 전달받은 제2 입력단 전압(또는 제2 입력단 신호라고도 칭할 수 있음)이 하이 신호인 경우, 키 오프 후에도 메인 릴레이(40)가 오프되지 않은 것이므로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릴레이(40)가 오프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원부(100)에서 출력 구동부(400)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 또한 차단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제1 입력단 전압으로 로우 신호를 전달받은 이후에 제3 모니터링부(230)에서 전달받은 출력단 전압(또는 출력단 신호라고도 칭할 수 있음)이 하이 신호인 경우, 키 오프 후에도 전원부(100)에서 출력 구동부(400)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은 것이므로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2 입력단 전압과 출력단 전압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모니터링하여도 액추에이터(50)의 동작 이상을 초래하는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을 진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입력단 전압과 출력단 전압을 모두 모니터링함으로써 기능 이상이 발생한 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시스템(10)은 시간 측정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시간 측정부(600)와 프로세서(300)간의 정보전달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시간 측정부(600)는 프로세서(300)가 키 오프를 판단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의 경과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측정부(600)는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는 타이머(timer)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간 측정부(600)는 프로세서(300)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300)는 차량이 키 오프된 것으로 판단하면 시간 측정부(600)에 차량 키의 온오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시간 측정부(600)는 프로세서(3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키의 온오프 정보가 키 오프 정보이면 그때부터 시간의 카운트를 시작하며, 카운트되는 시간을 프로세서(300)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시간 측정부(600)는 차량이 키 오프된 후에도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도록 배터리(20)와 직접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간 측정부(600)는 메인 릴레이(40)의 후단에 연결되지 않고 직접 배터리(20)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어 메인 릴레이(40)가 오프된 후에도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시간 측정부(600)는 프로세서(3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키의 온오프 정보가 키 온 정보이면 슬리핑 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전원을 소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시간 측정부(600)는 프로세서(3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키의 온오프 정보가 키 오프 정보일 때에만 구동 모드로 진입하여 시간을 카운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키 오프를 판단한 시점 이후, 출력 구동부(400)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는 상태로 시간 측정부(600)가 측정한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 시간을 경과한 경우 전원부(100)에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0)는 차량이 키 오프 되었다고 판단한 시점 이후로부터 시간 측정부(600)가 측정하는 시간을 실시간으로 전달받는다. 시간 측정부(600)로터 전달받은 측정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 시간을 경과한 이후에도 제2 모니터링부(220)에서 전달받은 제2 입력단 전압이 하이 신호이면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릴레이(40)가 오프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원부(100)에서 출력 구동부(400)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 또한 차단되지 않게 된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시간 측정부(600)로터 전달받은 측정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 시간을 경과한 이후에도 제3 모니터링부(230)에서 전달받은 출력단 전압이 하이 신호이면 키 오프 후에도 전원부(100)에서 출력 구동부(400)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은 것이므로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간 측정부(600)를 더 구비하고 이와 통신하는 프로세서(300)가 기 설정된 대기 시간의 경과 이후에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을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키 오프된 이후 액추에이터(50)를 정지시키는 데 소모되는 시간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 판단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전원부(100)에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출력 구동부(400)에 액추에이터(5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차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0)는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경우 출력 구동부(400)의 모든 출력 채널(구동 스위치(410,420,430))을 무조건 오프시키는 차단 신호를 출력 구동부(400)에 전달하여 액추에이터(5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더 참고하여 강제 차단부(500)에 대해 설명한다. 프로세서(300)가 출력 구동부(400)에 차단 신호를 전달하였음에도 액추에이터(50)의 정지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강제 차단부(500)는 이때 전원부(100)에서 출력 구동부(400)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강제로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도 8은 강제 차단부(5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강제 차단부(500)는 제1 스위칭 소자(510) 및 제2 스위칭 소자(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510)는,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30)에 연결되고 프로세서(30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제1 스위칭 소자(510)에 하이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스위칭 소자(510)를 턴온시킬 수 있다.
제2 스위칭 소자(520)는, 제1 스위칭 소자(510)와 연결되어 제1 스위칭 소자(51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면 제2 스위칭 소자(520)가 턴온될 수 있다. 제2 스위칭 소자(520)가 턴온되는 경우 전원부(100)의 출력단(130)이 그라운드와 연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1 스위칭 소자(510)는 N채널 모스펫(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일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칭 소자(510)의 게이트(gate) 단자는 프로세서(300)에 연결되고 제1 스위칭 소자(510)의 소스(source) 단자는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30)에 연결되며 제1 스위칭 소자(510)의 드레인(drain) 단자는 제2 스위칭 소자(5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위칭 소자(520)는 PNP타입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일 수 있다. 이때, 제2 스위칭 소자(520)의 베이스(base) 단자는 제1 스위칭 소자(510)에 연결되고 제2 스위칭 소자(520)의 이미터(emitter) 단자는 전원부(100)의 출력단(130)에 연결되며 제2 스위칭 소자(520)의 컬렉터(collector) 단자는 그라운드에 연결될 수 있다.
강제 차단부(5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키 온 상태에서는 제2 스위칭 소자(520)는 턴오프 상태이며 출력 구동부(400)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차량의 키 오프 상태에서는 먼저 프로세서(300)가 출력 구동부(400)에 차단 신호를 보내 액추에이터(50)를 정지시키는 제1 차단을 수행하는데, 상기 제1 차단에 의해서도 액추에이터(50)가 구동을 정지하는 않는 경우에 프로세서(300)는 강제 차단부(500)에 신호를 보내 액추에이터(50)에 전달되는 전원을 강제로 차단하는 제2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단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300)는 제1 스위칭 소자(510)에 하이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스위칭 소자(510)를 턴온시킨다. 제1 스위칭 소자(510)가 턴온되면 제1 입력단(110)을 통해 제2 스위칭 소자(520)의 베이스 단자로 로우 신호가 입력되므로 제2 스위칭 소자(520)가 턴온된다. 제2 스위칭 소자(520)가 턴온 되면 제2 스위칭 소자(520)의 이미터 단자와 컬렉터 단자가 도통되어 전원부(100)의 출력단(130)과 그라운드가 직접 연결되는 바,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으로 전원부(100)에서 지속적으로 전원이 출력되더라도 공급되는 전원은 출력단(130)에서 그라운드로 흐르는 전류의 경로가 생성됨에 따라 출력 구동부(400)로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즉, 출력 구동부(400)에 공급되던 전원이 강제로 차단되므로 액추에이터(50) 또한 정지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프로세서(300)가 출력 구동부(400)에 차단 신호를 보내는 소프트웨어적인 차단 방법인 제1 차단에 의해서도 액추에이터(50)가 정지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300)가 강제 차단부(500)를 제어하여 출력 구동부(400)의 전원을 강제로 차단하는 차단 방법인 제2 차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이 발생했을 때 완벽하게 액추에이터(5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시스템(10)의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시스템(10)의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한 전원 차단 시스템(10)의 실시예에 포함된 프로세서(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시스템(10)의 제어 방법은, 키 오프 판단 단계(S100), 이상 판단 단계(S200), 제1 차단 단계(S300) 및 제2 차단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키 오프 판단 단계(S100)는 프로세서(300)가 모니터링부(200)의 모니터링 결과를 전달받아 이를 기초로 하여, 차량의 키 오프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0)는 제1 모니터링부(210)가 측정하는 제1 입력단 전압, 제2 모니터링부(220)가 측정하는 제2 입력단 전압 및 제3 모니터링부(230)가 측정하는 출력단 전압을 수신할 수 있으며(S110), 제1 모니터링부(210)가 전달하는 제1 입력단(110) 전압이 로우 신호인 경우 차량이 키 오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단계(S100)에서 프로세서(300)는 시간 측정부(600)와 통신을 할 수 있고 차량의 키 오프를 판단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시간 측정부(600)에 전달할 수 있다.(S120) 시간 측정부(600)는 키 오프 시점 이후의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실시간으로 프로세서(3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 판단 단계(S200)는, 차량의 키 오프가 판단된 이후에 모니터링부(200)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하여 프로세서(300)가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상 판단 단계(S200)는, 키 오프를 판단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는 단계(S210), 키 오프를 판단한 시점 이후 출력 구동부(400)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는 상태로 기 설정된 대기 시간을 경과한 경우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단계(S200)에서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은, 제2 입력단 전압 및 출력단 전압을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0)는 차량이 키 오프 되었다고 판단한 시점 이후로부터 시간 측정부(600)가 측정하는 시간을 실시간으로 전달받는다. 시간 측정부(600)로부터 전달받은 측정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 시간을 경과한 이후에도 제2 모니터링부(220)에서 전달받은 제2 입력단 전압이 하이 신호인 경우,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릴레이(40)가 오프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원부(100)에서 출력 구동부(400)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 또한 차단되지 않게 된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시간 측정부(600)로부터 전달받은 측정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 시간을 경과한 이후에도 제3 모니터링부(230)에서 전달받은 출력단 전압이 하이 신호인 경우, 키 오프 후에도 전원부(100)에서 출력 구동부(400)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은 것이므로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단계(S200)에서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즉, 차량의 키 오프 판단 이후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2 입력단 전압이 로우 신호로 전환되고 출력단 전압이 로우 신호로 전환된 경우이면 액추에이터(50)는 정상적으로 오프(S500)되므로 더 이상 전원 차단 시스템(10)의 제어는 수행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음으로, 제1 차단 단계(S300)는, 전원부(100)에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300)가 출력 구동부(400)에 액추에이터(5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차단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0)는 전원부(100)의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경우 출력 구동부(400)의 모든 출력 채널(구동 스위치(410,420,430))를 무조건 오프시키는 차단 신호를 출력 구동부(400)에 전달하고 이에 따라 모든 액추에이터(51,52,53)가 정지될 수 있다.(S500)
다음으로, 제2 차단 단계(S400)는, 프로세서(300)가 강제 차단부(500)를 제어하여 전원부(100)의 출력단(130)을 그라운드와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제2 차단 단계(S400)에서 먼저, 프로세서(300)는 제1 차단에 의해서도 액추에이터(50)가 정지되지 않은 경우인지 판단한다.(S410) 만일 액추에이터(50)가 정지되지 않은 경우 즉, 출력 구동부(400)에서 액추에이터(50)의 오프 명령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300)는 강제 차단부(500)의 제1 스위칭 소자(510)를 턴온 제어한다.(S420) 제1 스위칭 소자(510)가 턴온되면 제2 스위칭 소자(520)가 턴온 제어되고,(S430) 제2 스위칭 소자(520)가 턴온되는 경우 전원부(100)의 출력단(130)과 그라운드가 직접 연결되는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S440) 따라서, 출력 구동부(400)로의 전원 공급이 강제적으로 차단되어 액추에이터(50) 또한 오프될 수 있다.(S500)
한편,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원 차단 시스템(10)의 제어 방법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앞서 도 1의 전원 차단 시스템(1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키 오프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제어기 전원부의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를 즉시 판단하여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강제적으로 오프시킴으로써 차량의 급발진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고 차량이 키 오프된 이후 액추에이터 동작으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전원 차단 시스템
100: 전원부
110: 제1 입력단
120: 제2 입력단
130: 출력단
200: 모니터링부
210: 제1 모니터링부
220: 제2 모니터링부
230: 제3 모니터링부
300: 프로세서
400: 출력 구동부
500: 강제 차단부
600: 시간 측정부
20: 배터리
30: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
40: 메인 릴레이
50: 액추에이터

Claims (15)

  1.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의 입력단 전압 및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입력단 전압 및 상기 출력단 전압을 기초로 차량의 키 오프(key off)의 판단과 상기 전원부의 기능 이상의 판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상기 전원부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출력 구동부; 및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출력 구동부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강제로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을 그라운드와 직접 연결시키는 강제 차단부;를 포함하는 전원 차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키 오프와 연동되어 온오프 동작하는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부 사이의 제1 입력단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제1 모니터링부;
    상기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와 연동되어 온오프 동작하는 메인 릴레이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전원부 사이의 제2 입력단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제2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출력 구동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출력단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제3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전원 차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제1 입력단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키 오프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2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제3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제2 입력단 전압과 상기 출력단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키 오프된 시점 이후에도 상기 출력 구동부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부에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전원 차단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 오프를 판단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 차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니터링부, 상기 제2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제3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제1 입력단 전압, 상기 제2 입력단 전압 및 상기 출력단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키 오프를 판단하고, 상기 키 오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시간 측정부에 전달하는 전원 차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키 오프를 판단한 시점 이후, 상기 출력 구동부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시간 측정부가 측정한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전원부에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전원 차단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원부에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출력 구동부에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차단 신호를 전송하는 전원 차단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차단부는,
    상기 키 오프와 연동되어 온오프 동작하는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되며, 턴온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을 그라운드와 연결시키는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전원 차단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에 하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를 턴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가 오프되면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는 전원 차단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N채널 모스펫이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자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소스 단자는 상기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드레인 단자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는 전원 차단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PNP타입 BJT이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 단자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이미터 단자는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컬렉터 단자는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전원 차단 시스템.
  12.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입력단 전압 및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입력단 전압 및 상기 출력단 전압을 기초로 차량의 키 오프(key off)의 판단과 상기 전원부의 기능 이상의 판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전원부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출력 구동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출력 구동부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강제로 차단하는 강제 차단부를 포함하는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키 오프를 판단하는 키 오프 판단 단계;
    상기 키 오프가 판단된 이후에,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원부의 기능 이상을 판단하는 이상 판단 단계;
    상기 전원부에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출력 구동부에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차단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차단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강제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을 그라운드와 연결시키는 제2 차단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 오프 판단 단계는,
    상기 키 오프와 연동되어 온오프 동작하는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부 사이의 제1 입력단 전압을 기초로 하여 상기 키 오프를 판단하는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판단 단계는,
    상기 키 오프를 판단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키 오프를 판단한 시점 이후, 상기 출력 구동부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전원부의 기능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의 기능 이상은, 상기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와 연동되어 온오프 동작하는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전원부 사이의 제2 입력단 전압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출력 구동부 사이의 출력단 전압을 기초로 판단하는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제2 차단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그니션 전원 입력부에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를 턴온 제어하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온 제어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과 상기 그라운드가 직접 연결되는 전류 경로가 형성되는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210083248A 2021-06-25 2021-06-25 차량의 키 오프 상태 인식 불가시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안전하게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시스템 및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487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248A KR102487710B1 (ko) 2021-06-25 2021-06-25 차량의 키 오프 상태 인식 불가시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안전하게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시스템 및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248A KR102487710B1 (ko) 2021-06-25 2021-06-25 차량의 키 오프 상태 인식 불가시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안전하게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시스템 및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746A KR20230000746A (ko) 2023-01-03
KR102487710B1 true KR102487710B1 (ko) 2023-01-11

Family

ID=8489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248A KR102487710B1 (ko) 2021-06-25 2021-06-25 차량의 키 오프 상태 인식 불가시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안전하게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시스템 및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7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916B1 (ko) 2008-09-03 2011-03-0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버튼 시동 장치의 전원 모듈 고장 진단 방법
JP2014172597A (ja) * 2013-03-13 2014-09-2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車載用電源制御装置
JP2016037186A (ja) * 2014-08-08 2016-03-2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の故障検出方法および故障検出装置
JP2016073068A (ja) 2014-09-29 2016-05-0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ボック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510B1 (ko) 2014-08-01 201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그니션 전원 모니터링을 이용한 시동꺼짐 원인 판단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34861A (ko) * 2016-05-27 2017-12-07 주식회사 오윈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적응형 오비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916B1 (ko) 2008-09-03 2011-03-0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버튼 시동 장치의 전원 모듈 고장 진단 방법
JP2014172597A (ja) * 2013-03-13 2014-09-2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車載用電源制御装置
JP2016037186A (ja) * 2014-08-08 2016-03-2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の故障検出方法および故障検出装置
JP2016073068A (ja) 2014-09-29 2016-05-0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ボック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746A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9967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car
US10501081B2 (en) Vehicular contro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vehicular control device, and vehicular control system
JP4469886B2 (ja) 負荷駆動回路
EP1760569B1 (en) Redundant power supply circuit and motor driving circuit
JP2007203929A (ja) 車両用暗電流測定装置及び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2008500223A (ja) 電子式バッテリ安全スイッチ
JP2007002812A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US20110251757A1 (en) Electronic Circuit Arrangement with one or more semiconductor main relays and use thereof
JP2009081948A (ja) 電源制御システム
CN110601343B (zh) 旁路功率级的被保护空闲模式
JPH0858556A (ja) 自動車用電子制御装置及び自動車用電子制御装置を保護する方法
KR102487710B1 (ko) 차량의 키 오프 상태 인식 불가시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안전하게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 시스템 및 전원 차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40020802A (ko) 버스 방식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에러 검출 방법
US20150100811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JP7279302B2 (ja) 車両の起動システム
JP2004213454A (ja) 負荷の故障診断方法および装置
JP5918647B2 (ja) 車両用制御装置
US6879892B2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2472234B (zh) 用于监控连接启动器的装置的方法和机构
JP6819193B2 (ja) 車両の充電システム
JP4668594B2 (ja) オンオフ制御装置
KR100531732B1 (ko) 스타터 제어장치
JP4776109B2 (ja) バッテリ上がり防止装置
US11817281B2 (en) Inductance measurement to detect fused relay contacts
JP7423494B2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