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443B1 -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과, 이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과, 이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443B1
KR102487443B1 KR1020210157786A KR20210157786A KR102487443B1 KR 102487443 B1 KR102487443 B1 KR 102487443B1 KR 1020210157786 A KR1020210157786 A KR 1020210157786A KR 20210157786 A KR20210157786 A KR 20210157786A KR 102487443 B1 KR102487443 B1 KR 102487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rame
delete delete
composite girder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씨산업
주식회사 건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씨산업, 주식회사 건우기술 filed Critical (주)에스앤씨산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과,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는 상호 교차하면서 격자 형태로 배치된 종프레임 및 횡프레임; 종프레임 및 횡프레임에 의해 사방 구획된 공간의 하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하판; 하판 위에 고정되고, 종프레임 및 횡프레임에 의해 구획된 격자 형태의 공간에 평면상 다수의 블록이 단일 또는 다수의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 블록수단;을 포함하고, 적어도 1개의 블록이 가로방향으로 주행 중인 차량 바퀴에 접촉되도록 블록의 평면상 가로길이는 주행 중인 차량 바퀴의 접지면의 단변보다 작고, 블록의 평면상 세로길이는 차량 바퀴의 접지면의 장변보다 작게 이루어짐으로써, 블록의 거친 표면에 의해 주행하는 차량의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과, 이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Uupper body having nonskid pattern, and a composite girder in which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and temporary structure having the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사를 위해 차량 또는 행인의 왕래를 위해 임시로 세운 가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제작되거나 현장에서 타설되는 충전재가 미끄럼 방지 패턴으로 배치된 상부체가 제작되고, 이 상부체가 하부체에 일체 거동하도록 설치되어 합성 거더가 제작되며, 이 합성 거더가 벤트 또는 말뚝에 설치되어 가설 구조물이 제작되도록 된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과,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설구조물 또는 지하 가시설 구조물은 공사용 작업교나 우회 구조물, 긴급 재해 복구 구조물, 긴급 재해복구 구조물, 긴급 군용 구조물, 지하구조물 시공과 관련하여 지반을 개착하고, 차량을 소통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이 있다. 이 가설구조물 및 가시설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가설벤트, 주형과, 도로의 바닥면을 이루는 복공체(또는 복공판, 이하 '상부체'라 함)를 포함하고, 그 목적의 특성상 빠른 시공성과 더불어 안전성이 요구된다.
여기서, 상부체는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세워진 가설벤트들을 연결하여 설치된 주형 또는 주거더 위에 배치된다. 이 상부체의 위로 차량이 주행하게 된다. 이때,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일례로, 상부체의 상면에는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패턴이 가공된 상판이 설치되기도 한다. 다른 예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제10-2108237호(2020.05.28 공고)에 개시된 기술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보면, 상부체는 사방을 구획하여 설치된 종프레임(10) 및 횡프레임(20), 앞뒤 횡프레임(20)들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1개 이상 배치되고 양쪽 종프레임(10)을 연결하여 설치된 중간프레임(31), 이들 종프레임(10), 횡프레임(20) 및 중간프레임(31)으로 구획된 공간의 하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하판(40), 중간프레임(31)과 일정 간격을 이루면서 양쪽 종프레임(10)을 연결하여 하판(40)에 세워서 고정된 보강패널(50), 보강패널(50)보다 높이가 낮으면서 앞뒤 횡프레임(20)을 연결하여 하판(40)에 세워서 고정된 종리브(60)와, 보강패널(50), 종프레임(10), 횡프레임(20) 및/또는 중간프레임(31)으로 구획된 공간에 타설 또는 미리 제작되어 삽입되는 충전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충전재(70)의 하부에 가공된 끼움홈(71)에 종리브(60)가 끼워질 수 있다. 이외에도 종프레임(10) 또는 횡프레임(20)의 상하부플랜지를 연결하여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11)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다.
따라서, 종방향으로 차량이 이동하는 동안 충전재(70)의 거친 표면에 접촉되어 바퀴의 미끄럼 현상이 방지된다. 이때, 충전재(70)는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등을 포함하여 차량 바퀴와 큰 마찰력이 발생하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하판(40)이 종프레임(10) 및 횡프레임(20)의 하부플랜지를 연결하여 설치되므로, 충전재(70)의 높이가 종프레임(10) 또는 횡프레임(20)의 높이 정도가 되어야 하므로,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울 수 있다. 이로 인해 충전재(70)가 블록으로 미리 제작되는 경우 충전재(70)를 들어올릴 수 있는 장비가 동원되어야 하고, 타설되는 경우 역시 레미콘 및 타설장비가 동원되어야 하므로 공사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또, 무거운 충전재(70)를 지지하기 위해 두껍거나 높은 강도의 하판(40)을 사용해야 하는 제약이 수반되는 등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8237호(2020.05.28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재를 작업자가 들 수 있을 정도로 가볍고 작게 만들고, 상판과 블록틀에 충전재가 끼워져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작업하기 용이하고, 공정이 단순해지도록 한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과,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는 상호 교차하면서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종프레임 및 횡프레임; 이들 종프레임 및 횡프레임에 의해 사방 구획된 공간의 하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하판; 이 하판 위에 고정되고, 종프레임 및 횡프레임에 의해 구획된 격자 형태의 공간에 평면상 다수의 블록이 단일 또는 다수의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 블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블록수단은 종프레임 및 횡프레임에 의해 사방 구획된 공간의 상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되고, 평면상 미리 설정된 간격과 크기로 천공된 다수의 블록구멍을 구비하는 상판; 이 상판과 하판에 개재되고 상판의 하면이면서 블록구멍의 테두리에 입상으로 고정된 블록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은 평면상 원형, 삼각형, 사각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이면서 적어도 1가지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블록은 블록구명을 통해 블록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블록의 평면상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와, 블록들 간의 간격들은 차량 바퀴에 적어도 1개의 블록과 상판의 상면이 접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블록수단은 종프레임, 횡프레임 또는 블록틀과, 블록 사이에 끼워져 설치된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합성 거더는 양측에 배치된 주형을 구비한 하부체;와, 양측 주형을 가로지르도록 다수를 나란히 얹고 일부 또는 전부를 고정하여 설치되는 다른 실시 예의 상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부체는 주형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를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부착된 지지부재, 주형에 장착된 결합부재, 이웃한 주형들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결합부재들을 연결하여 체결된 체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 거동하도록 상부체의 종프레임 또는 횡프레임과, 하부체의 주형 또는 지지부재 또는 결합부재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지반에 일정 높이로 세워진 지지부;와, 지지부 위에 설치된 상기된 합성 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가설 구조물을 시공하는 발법은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을 상호 교챠시켜 격자 형태로 설치하는 제20단계(S20); 이들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에 의해 사방 구획된 공간의 하면을 폐쇄하도록 하판을 설치하는 제21단계(S21); 이 하판 위에 블록구멍이 가공된 상판과, 상판의 하면에 블록구멍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블록틀을 설치하고, 블록구멍을 통해 블록틀에 블록을 끼워 고정하며, 블록의 상면이 측면상 종프레임 또는 횡프레임의 상면과 평평하거나 일정 높이로 돌출되거나 일정 깊이로 낮게 하여 상부체를 완성하는 제22단계(S22); 이 상부체들을 하부체 위에 나란히 얹고 일부 또는 전부 고정하여 합성 거더를 완성하는 제23단계(S23);와, 이 합성 거더를 지반에 설치된 지지부 위에 설치하여 가설 구조물을 완성하는 제24단계(S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2단계(S22)에서, 종프레임과 블록 또는, 횡프레임과 블록 또는, 블록틀과 블록 사이의 공간들 중 적어도 1곳에 패킹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판이 종프레임 및 횡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어 블록의 두께가 종래보다 현저히 얇아지고, 종블록빔과 횡블록빔이 설치되어 블록의 크기도 작아짐으로써, 블록이 가벼우면서 작게 만들고, 작업자가 들고 운반할 수 있어 종래처럼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지 않으면서 작업이 용이하여 공사 기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이 종프레임, 횡프레임 또는 상판의 상면과 평평하거나 돌출되거나 낮게 배치됨으로써, 블록의 거친 표면과 블록의 돌출된 턱 또는, 블록의 거친표면과 종프레임 및 횡프레임의 걸림턱에 의해 주행하는 차량의 미끄럼이 방지됨은 물론 미끄럼 방지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또한, 블록틀에 블록이 끼워짐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 기간 및 비용이 감축도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중프레임과 블록, 횡프레임과 블록, 종블록빔과 블록, 횡블록빔과 블록, 블록틀과 블록의 틈새들 중 적어도 1곳에 패킹이 개재됨으로써, 이 틈새로 빗물 또는 눈 녹은 물이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블록이 주행 중인 차량 바퀴와 접촉되어 들뜨거나, 들뜨면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들떠서 수용 공간에서 이탈되거나, 반복적인 들뜸 현상에 의해 발생한 충격으로 파손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종래의 상부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부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부체의 일부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부체의 일부위가 확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판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상부체와 하부체를 구비한 합성 거더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합성 거더와 지지부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도 9의 순서도에 따른 제작 공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된 구성들 중 각 실시 예에서 상호 유사한 구성 및 관련 구성은 대체 또는 교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상부체(100)는 사방을 구획하도록 설치된 종프레임(110) 및 횡프레임(120), 이들 종프레임(110)과 횡프레임(120)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하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하판(130)과, 하판(130) 위에 설치된 블록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블록수단(140)은 차량 바퀴에 접지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제동력을 향상시키는 재질로 제작된 대략 육면체를 포함한 다면체형상이면서 평면상 1종 이상의 형상인 블록(143)을 포함하고, 블록(143)들 간의 1종 이상의 간격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이렇게 제작된 상부체(100)가 하부체(200)에 설치되어 합성 거더(300)가 제작될 수 있고, 이 합성 거더(300)가 지지부(400)에 설치되어 가설 구조물이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체(100), 하부체(200), 합성 거더(300)와, 가설구조물(400)에 대해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부체(1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프레임(110), 횡프레임(120), 하판(130)과 블록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블록수단(140)은 블록(143), 상판(141)과 블록틀(142)을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종프레임(110)과 횡프레임(120)은 상호 교차하게 배치되면서 사방 구획된 다수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서처럼 일정 간격으로 이웃한 긴 종프레임(110)이 배치되고, 이들 종프레임(110) 사이에 짧은 횡프레임(120)들이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정 간격으로 이웃한 긴 횡프레임(120)이 배치되고, 이들 횡프레임(120) 사이에 짧은 종프레임(110)들이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종프레임(110)과 횡프레임(120)은 도 2에서 보듯이, 측단면이 중공의 사각형상인 각관일 수 있다. 이 각관은 일례로 폭 및 높이가 1:1 ~ 5, 바람직하게는 1:1 ~ 2 정도일 수 있다. 또, 종프레임(110)과 횡프레임(120)은 측단면이 중공의 사각형인 각관을 대신하여 측단면이 'H' 형상의 빔일 수 있고, 이외의 'ㄷ'자 형상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H' 또는 'ㄷ'자 형상인 경우, 상하부 플랜지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상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입상의 보강부재가 다수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판(130)은 평판이고, 도 3에서처럼 종프레임(110)과 횡프레임(120)으로 구획된 공간의 개방된 하면을 폐쇄하도록 고정되고, 상판(141), 블록틀(142)과 블록(143)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판(130)은 수용되는 공간의 바닥 또는 바닥보다는 위에 위치될 수 있고, 일례로 도 5에서처럼 종프레임(1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판(141)은 도 3에서처럼 평판이면서 블록(143)이 배치되는 위치에 블록구멍(141a)이 가공되고, 도 5에서처럼 종프레임(110)과 횡프레임(120)으로 구획된 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판(141)의 상면은 종프레임(110) 및 횡프레임(12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주행 중인 차량의 바퀴가 걸리도록 약간 높거나 낮을 수 있다.
이때, 블록구멍(141a)은 도 3과 도 5에서처럼, 제1블록(143a)과 제2블록(143b)이 끼워지도록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가공될 수 있다.
한편, 하판(130)은 다른 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장의 평판을 블록(143)이 배치되는 위치에 프레싱 작업으로 오목한 홈을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평판인 하판(130) 위에 블록구멍(141a)이 가공된 1장의 추가평판이 상측에 고정될 수 있고, 이때 하판(130)과 추가평판의 높이 차이에 따라 블록구멍(141a) 깊이가 정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블록틀(142)이 배제된 채 하판(130) 위에 상판(141)이 배치된 상태에서 하판(130)의 상면에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요동방지부재(미도시)가 입상으로 고정되고, 이 요동방지부재에 블록(143)의 하면에 가공된 홈이 끼워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요동방지부재는 블록틀(142)이 설치되는 상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록틀(142)은 상판(141)의 하면에 블록구멍(141a)의 테두리를 따라 입상으로 고정된 다수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블록틀(142)은 도 5에서처럼 상판(141)과 하판(130) 사이에 개재되어 하판(130)에 상판(141)이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 블록틀(142)과 하판(130)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블록(143)이 끼워지고, 이때 블록(143)이 주행 차량의 바퀴와의 충격에 의한 요동이 방지되도록 패킹(142a)이 설치될 수 있다. 이 패킹(142a)은 블록(143)을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 고무를 포함한 탄성부재이고, 블록(143)의 요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면서 상호 간의 마찰력에 의해 들뜸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 패킹(142a)은 종프레임(110)과 블록(143) 또는, 횡프레임(120)과 블록(143) 또는, 종블록빔(141)과 블록(143) 또는, 횡블록빔(142)과 블록(143) 사이의 틈새로 빗물이나 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패킹(142a)에 의해 블록(143)의 들뜸 현상 및 이탈이 방지되고, 반복 들뜸에 의한 충격으로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면서 소음도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142a)은 탄성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블록틀(142)과 블록(143) 또는, 종프레임(110)과 블록(143) 또는, 횡프레임(120)과 블록(143) 사이의 1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판(130)의 상면에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요동방지부재가 입상으로 고정되고, 블록(143)의 하면에 가공된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홈이 요동방지부재가 끼워짐으로써, 블록(143)의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록(143)은 차량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부재로, 1종 이상의 다른 형상 및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또, 블록(143)은 별도 제작되어 블록구멍(141a)을 통해 블록틀(142)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 블록틀(142)에 시멘트를 타설 및 경화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블록(143)은 측면상 종프레임(110) 또는 횡프레임(120) 또는 상판(141)의 상면과 평평하거나 도 5에서처럼 일정 높이(h)로 돌출되거나 반대로 일정 깊이(D)로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143)은 도 3과 도 4에서 보듯이 평면상 좌우변의 길이 차이가 크지 않은 제1블록(143a)과, 좌우변의 길이 차이가 큰 제2블록(143b)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블록(143)은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 이외에도, 원형, 삼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으로 만들어지고, 시멘트, 콘크리트, 아스콘 등을 포함한 다양한 미끄럼 방지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제1,2블록(143a,143b)은 상면이 상판(14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이거나 일정 높이(h)로 튀어나오도록 배치되고, 측면상 상부테두리는 모따기 형상으로 만들어져 진행하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돌출 높이(h)는 대략 1~50mm, 바람직하게는 1~10mm일 수 있고, 1mm 미만이면 미끄럼 바지 및 제동력을 위한 마찰 작용이 낮아지고, 10mm를 초과하면 차량의 승차감이 떨어질 수 있다. 다만, 경차 또는 대형 트럭의 특성을 감안하여 블록(143)들은 일정 패턴으로 다른 돌출 높이(h)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반면, 제1,2블록(143a,143b)의 상면이 상판(141)의 상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판(141)이 걸림턱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주행시 차량 바퀴가 제1,2블록(143a,143b)와 마찰 접촉하면서 상판(141)의 걸림턱 역할로 주행 중인 차량 바퀴에 대해 미끄럼 방지 및 제동력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2블록(143a,143b)의 깊이(D)는 상기된 돌출 높이(h)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합성 거더>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를 구비한 합성 거더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에서 보듯이 합성 거더(300)는 상부체(100)와 하부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체(100)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되어 있으므로, 필요시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합성 거더(300)는 일례로 양측에 배치된 하부체(200)를 연결하여 상부체(100)가 설치되고, 하부체(200)와 상부체(100)가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부체(200)의 주형(210) 또는 결합부재(230) 또는 체결부재(240)와, 상부체(100)의 종프레임(110) 또는 횡프레임(120)이 서로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하부체(200)에 상부체(100)가 체결 없이 얹혀져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부체(200)는 주형(210), 지지부재(220), 결합부재(230)와 체결부재(24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주형(210)은 지반에 세워진 지지부(400, 도 8 참조)의 일례인 다수의 가설벤트, 말뚝, 교반 또는 교각 등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H빔일 수 있다. 물론, 주형(210)은 'H'빔 이외에도 'I'빔을 포함한 통상의 빔 또는 형강일 수 있다. 이 주형(210)은 일정 간격으로 양립하여 배치되고, 이들 주형(210)을 가로질러 다수의 상부체(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체(100)들 중 일부는 주형(210)에 결합되어 합성되고, 나머지는 주형(210)에 결합되지 않으면서 단순히 얹혀져 비합성될 수 있다. 또, 모든 상부체(100)들이 합성될 수도 있고, 합성된 상부체(100)들 사이에 비합성된 상부체(100)가 끼워질 수 있다. 이처럼, 양립된 주형(210)에 일부 또는 모든 상부체(100)가 합성된 경우, 종래처럼 단순히 1개의 H빔이 주형으로 구성되고, 상부체(100)가 비합성으로만 이루어진 경우보다 단면휨강성 또는 단면2차모멘트가 증가되어 주형(210)의 내구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부재(220)는 주형(210)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를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부착되는 측면상 일자형 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220)는 주형(210)의 복부와 접하거나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고, 측면상 넓은 면이 보이거나 좁은 면이 보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지지부재(220)는 복부를 중심으로 양측부위에 배치되거나, 도면상 주형(210)들이 마주하는 면 반대측 부위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20)는 주형(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결합부재(230)는 주형(210)들이 양립된 상태에서 이웃한 주형(210)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체결부재(240)와 결합되는 부재이다. 이 결합부재(230)는 주형(210)의 길이 방향의 끝단에 위치하면서 양립된 주형(210)을 마주하는 측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230)는 주형(210)의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및 복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고, 이웃한 주형(210)측으로 돌출 부위를 갖는 대략 "├"형상일 수 있다.
끝으로, 체결부재(240)는 양립된 주형(210)에 상호 대칭으로 설치된 결합부재(230)를 연결하여 체결되는 H빔일 수 있다. 물론, 체결부재(240)는 "I"형상 또는 판 형상을 비롯한 통상의 형상의 빔일 수 있다. 이 체결부재(240)는 양측부는 각각 결합부재(230)와 볼팅체결, 나사체결 및 용접 등을 포함한 통상의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240)의 높이는 주형(210)의 높이보다 낮게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240)의 상면과 상부체(100)의 하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240)의 하부플랜지의 하면은 주형(210)의 하부플랜지의 상면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240)의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의 끝단은 결합부재(230)와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주형(210)의 이동이 최대한 방지되고, 하중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가설 구조물>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은 지반에 세워진 지지부(400) 위에 합성 거더(300)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가설 구조물은 교량 또는 지하철 시공용 가교를 포함하여 본 공사를 위해 임시로 설치된 모든 구조물일 수 있다. 이 가설 구조물은 상부체(100)와 하부체(200)가 서로 일체 거동하도록 제작된 합성 거더(300)와, 지반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세워진 다수의 벤트, 말뚝, 교각 또는 교대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이고, 합성 거더(300)와, 이 합성 거더(300)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지지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대해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9 및 도 10에서 보듯이, 상부체(100)를 만들기 위해 우선 종프레임(110)과 횡프레임(120)을 상호 교차시켜 격자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S20). 이때, 종프레임(110)과 횡프레임(120)은 측단면이 사각형인 각관이거나, 측단면이 H자 형상의 빔이거나, 이외의 형상의 빔, 형강, 주형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듯이, 종프레임(110)과 횡프레임(120)으로 사방 구획된 공간에 하판(130)을 설치할 수 있다(S21). 이때, 하판(130)은 대략 10~50mm 정도의 깊이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에서 보듯이, 하판(130) 위에 블록틀(142), 상판(141)과 제1,2블록(143a,143b)을 설치하여 상부체(100)를 완성할 수 있다(S22). 여기서, 블록틀(142)은 하판(130) 위에 미리 고정될 수도 있고, 상판(141)에 블록구멍(141a)을 가공한 후 고정될 수도 있다. 또, 상판(141)에는 제1,2블록(143a,143b)의 크기와, 제1,2블록(143a,143b)들 간의 간격에 맞춰 블록구멍(141a)이 가공될 수 있다. 일례로, 블록구멍(141a)은 도 4에서처럼 y축 길이 170mm, x축 길이 280mm의 제13블록(143c), y축 길이 310mm, x축길이 100mm의 제2블록(143b), 157.5mm의 제1간격(D1), 107mm의 제2간격(D2)과 42mm의 제3간격(D3)을 고려하여 상판(141)에 가공될 수 있다. 이때, 제1,2블록(143a,143b)은 상판(141)의 상면으로부터 1~50mm, 바람직하게는 1~10mm 돌출 또는 낮게 배치되거나, 평평하게 배치되고, 상판(141) 및 블록틀(142)에 의해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추가로, 하판(130)에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돌출 고정된 요동방지부재가 설치되고, 제1,2블록(143a,143b)의 하면에 끼움홈이 가공되며, 이 요동방지부재에 끼움홈에 삽입되어 제1,2블록(143a,143b)의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에서 보듯이, 상부체(100)에 하부체(200)를 설치하여 합성거더(310)를 완성할 수 있다(S23). 여기서, 하부체(200)는 주형(210), 지지부재(220), 결합부재(230)와 체결부재(2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부체(100)와 하부체(200)는 일체로 거동하도록 상부체(100)의 종프레임(110) 또는 횡프레임(120)과 하부체(200)의 주형(210) 또는 결합부재(230) 간에 볼트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외에 하부체(200) 위에 상부체(100)가 고정 없이 얹혀질 수도 있다.
끝으로, 도 15와 도 16에서 보듯이, 지지부(400)에 합성 거더(300)를 설치하여 가설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다(S24). 여기서, 지지부(400)는 지반에 설치된 가설 벤트, 말뚝, 교반 또는 교각 등일 수 있다. 이 지지부(400) 위에 합성 거더(3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상부체
110:종프레임 120:횡프레임
130:하판 140:블록수단
141:상판 141a:블록구멍
142:블록틀 142a:패킹
143:블록 143a:제1블록
143b:제2블록.
200:하부체
210:주형 220:지지부재
230:결합부재 240:체결부재.
300:합성 거더.
400:지지부.

Claims (17)

  1. 상호 교차하면서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종프레임(110) 및 횡프레임(120);
    상기 종프레임(110) 및 횡프레임(120)에 의해 사방 구획된 공간의 하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하판(130);
    상기 하판(130) 위에 고정되고, 종프레임(110) 및 횡프레임(120)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평면상 적어도 1개의 블록(143)이 설치되는 블록수단(140);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수단(140)은 종프레임(110) 및 횡프레임(120)에 의해 사방 구획된 공간의 상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되고, 평면상 미리 설정된 간격과 크기로 천공된 다수의 블록구멍(141a)을 구비하는 상판(141);
    상기 상판(141)과 하판(130)에 개재되고 상판(141)의 하면이면서 블록구멍(141a)의 테두리에 입상으로 고정된 블록틀(142);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143)은 평면상 원형, 삼각형, 사각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이면서 적어도 1가지의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블록(143)은 블록구멍(141a)을 통해 블록틀(142)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블록(143)의 크기와 블록(143)들 간의 간격을 고려하여 차량 바퀴에 적어도 1개의 블록(143)과 상판(141)의 상면이 접촉하도록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
  2. 청구항 1에서,
    상기 블록수단(140)은 종프레임(110)과 블록(143) 또는, 횡프레임(120)과 블록(143) 또는, 블록틀(142)과 블록(143) 사이에 끼워져 설치된 패킹(142a)을 더 포함하도록 된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
  3. 양측에 배치된 주형(210)을 구비한 하부체(200);와,
    상기 양측 주형(210)을 가로지르도록 다수를 나란히 얹고 일부 또는 전부를 고정하여 설치되는 청구항 1 또는 2 항의 상부체(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합성 거더.
  4. 청구항 3에서,
    상기 하부체(200)는 주형(210)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를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부착된 지지부재(220), 주형(210)에 장착된 결합부재(230), 이웃한 주형(210)들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결합부재(230)들을 연결하여 체결된 체결부재(240)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체(100)와 하부체(200)가 일체 거동하도록 상부체(100)의 종프레임(110) 또는 횡프레임(120)과, 하부체(200)의 주형(210) 또는 지지부재(220) 또는 결합부재(230)와 체결되도록 이루어진 합성 거더.
  5. 지반에 일정 높이로 세워진 지지부(400);와,
    상기 지지부(400) 위에 설치된 청구항 3의 합성 거더(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설 구조물.
  6. 청구항 5의 가설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종프레임(110)과 횡프레임(120)을 상호 교챠시켜 격자 형태로 설치하는 제20단계(S20);
    상기 종프레임(110)과 횡프레임(120)에 의해 사방 구획된 공간의 하면을 폐쇄하도록 하판(130)을 설치하는 제21단계(S21);
    상기 하판(130) 위에 블록구멍(141a)이 가공된 상판(141)과, 상판(141)의 하면에 블록구멍(141a)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블록틀(142)을 설치하고, 블록구멍(141a)을 통해 블록틀(142)에 블록(143)을 끼워 고정하며, 블록(143)의 상면이 측면상 종프레임(110) 또는 횡프레임(120)의 상면과 평평하거나 일정 높이(h)로 돌출되거나 일정 깊이(D)로 낮게 하여 상부체(100)를 완성하는 제22단계(S22);
    상기 상부체(100)들을 하부체(200) 위에 나란히 얹고 일부 또는 전부 고정하여 합성 거더(300)를 완성하는 제23단계(S23);와
    상기 합성 거더(300)를 지반에 설치된 지지부(400) 위에 설치하여 가설 구조물을 완성하는 제24단계(S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7. 청구항 6에서,
    상기 제22단계(S22)에서, 종프레임(110)과 블록(143) 또는, 횡프레임(120)과 블록(143) 또는, 블록틀(142)과 블록(143) 사이의 공간들 중 적어도 1곳에 패킹(142a)이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210157786A 2021-10-22 2021-11-16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과, 이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487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41841 2021-10-22
KR1020210141841 2021-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443B1 true KR102487443B1 (ko) 2023-01-12

Family

ID=8492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786A KR102487443B1 (ko) 2021-10-22 2021-11-16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과, 이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4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610Y1 (ko) * 2001-03-08 2001-10-06 (주) 금우엔지니어링 자동차의 수막현상과 미끄럼방지용 그루빙 복공판
KR200232743Y1 (ko) * 2001-01-29 2001-10-26 (주)삼원기술단 미끄럼 방지용 복공판
KR101752464B1 (ko) * 2016-08-11 2017-07-11 (주)봉황씨원 블록 설치용 파레트
KR102108237B1 (ko) 2018-07-20 2020-05-28 주식회사 건우산업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그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 및 그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2020105763A (ja) * 2018-12-27 2020-07-09 ジェコス株式会社 覆工板用間詰め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743Y1 (ko) * 2001-01-29 2001-10-26 (주)삼원기술단 미끄럼 방지용 복공판
KR200234610Y1 (ko) * 2001-03-08 2001-10-06 (주) 금우엔지니어링 자동차의 수막현상과 미끄럼방지용 그루빙 복공판
KR101752464B1 (ko) * 2016-08-11 2017-07-11 (주)봉황씨원 블록 설치용 파레트
KR102108237B1 (ko) 2018-07-20 2020-05-28 주식회사 건우산업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그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 및 그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2020105763A (ja) * 2018-12-27 2020-07-09 ジェコス株式会社 覆工板用間詰め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672B1 (ko) 조립식 거더 교량
JP4310444B1 (ja) 道路橋用幅員拡張材
KR101390169B1 (ko) 아치형 인도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JP4669464B2 (ja) 歩道用上部構造および歩道用上部構造の構築方法
KR102487443B1 (ko)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과, 이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3156486U (ja) 防護柵の支柱構造
KR20150081045A (ko) 자전거용 도로의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JP2019065675A (ja) Rc床版と鋼床版との接続構造
JP4585614B1 (ja)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KR101447723B1 (ko)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
JP5043879B2 (ja) 道路橋用幅員拡張材の設置方法
KR101043710B1 (ko) 가각부가 형성된 하로교 및 하로교에 가각부를 형성시키는 방법
KR100555252B1 (ko) 보차도 일체형 복공판 및 그의 시공방법
JP2013185357A (ja) 仕切り構造体
KR20200072986A (ko) 단부확장 돌출플랜지와 받침 콘크리트 블럭을 갖는 강거더 및 이를 이용한 무조인트교량 시공방법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KR102108237B1 (ko)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그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 및 그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20160023247A (ko) 콘크리트의 전단 균열 방지근 및 제작 편의성을 갖는 복공판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101545329B1 (ko) 긴장에 의해 지점부를 보강하는 조립식 가교
KR200432268Y1 (ko) 골조와 일체로 제작된 복공판
KR100775936B1 (ko) 콘크리트와 시트파일을 합성한 복공판 유니트 및 그 제조방법
JP6740846B2 (ja) 床版取替構造及び床版取替工法
JP4256356B2 (ja) 橋脚と主桁のジョイント部材及びこのジョイント部材を用いた橋構造
KR200302138Y1 (ko) 시트파일을 이용한 가교 상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