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464B1 - 블록 설치용 파레트 - Google Patents

블록 설치용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464B1
KR101752464B1 KR1020160102581A KR20160102581A KR101752464B1 KR 101752464 B1 KR101752464 B1 KR 101752464B1 KR 1020160102581 A KR1020160102581 A KR 1020160102581A KR 20160102581 A KR20160102581 A KR 20160102581A KR 101752464 B1 KR101752464 B1 KR 101752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pace
holding member
gap holding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영기
Original Assignee
(주)봉황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봉황씨원 filed Critical (주)봉황씨원
Priority to KR1020160102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464B1/ko
Priority to PCT/KR2016/009463 priority patent/WO201803057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B)이 안착 고정되고 바닥면에는 우수가 배수되는 개구홀(111)이 형성된 복수개의 블록안착홈(110)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블록안착홈(110)의 사이에 우수의 배수를 위해 하부가 개방되게 배수공간(140)이 형성된 블록고정틀(100); 상기 블록고정틀(10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간(140)의 상부를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블록안착홈(110)을 서로 연결하며, 표면에는 우수의 배수를 위해 복수개의 배수홀(210)이 형성된 상부마감부재(200); 상기 블록고정틀(100)이 상호 연이어져 복수개 연결 설치되도록 상기 블록고정틀(100)의 외측벽부(130) 외면 각각에 하나 이상 형성된 연결설치수단(300); 상기 외측벽부(13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고정틀(10)의 연결시 인접되는 블록고정틀(100) 간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의 상부를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표면에는 우수의 배수를 위해 복수개의 배출홀(410)이 형성된 간극유지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간극유지부재(400)는 상기 배수공간(140)과 이격공간(S)이 동일한 폭을 갖도록 상기 상부마감부재(200)의 절반에 해당하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부(130)의 외면에는 상기 간극유지부재(40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수직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150)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블록안착홈(110)을 형성하는 내측벽부(120)에는 상기 블록안착홈(110)으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배수공간(140)으로 배수되도록 연통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안착홈(110)을 형성하는 외측벽부(120)에는 상기 블록안착홈(110)으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이격공간(S)으로 배수되도록 관통홀(131)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블록 설치용 파레트{Pallet for blocks installation}
본 발명은 야외주차장 및 건물옥상의 바닥면, 완만한 경사면 또는 보행로 등에 설치되는 블록을 균일한 높이와 간격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그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우천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는 블록 설치용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블럭의 시공은 상하좌우로 경계석을 설치하고, 그 내부바닥을 단단히 다진 후에 물빠짐이 용이하도록 모래를 타설하게 되며, 이 타설된 모래 위에는 블록 각각의 측면이 맞닿아 지지된 상태로 복수개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치된 블럭은 측면이 상호 맞닿아 지지되 상태에기는 하나 블럭의 하면이 모래에 의해 지지되고 있을 뿐이어서, 상부의 하중은 물론 측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쉽게 유동될 뿐만 아니라, 블록이 설치면에 이탈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또한, 맹인용 점자 블록, 특정 기호나 문양이 새겨진 블록과 같은 특수블록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전에 그 설치 위치를 고려해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숙련자가 아닌 경우 정확하게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기 설치된 일반블록의 일부를 특수블록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블록의 외측면에 상호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일부만을 제거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었으며, 설령 일반블록을 제거했다 하더라도 특수블록의 설치면을 다시 평탄하게 하여 기존 설치된 일반블록과 특수블록의 설치면이 균일해지도록 해야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33879호의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한국공개특허 제2011-0131864호의 '조립식 보도블록틀' 등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의 특허들은 블록의 설치를 용이함에 따른 시공기간 단축, 미관향상, 편리한 유지보수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었으나, 배수를 위한 기능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우천시에는 블록의 상면에 그대로 물이 고여있는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1081353호의 '보도블록용 바닥판'에는 블록의 하면이 고정 지지되는 바닥판에 복수개의 배수공을 형성하여 배수가 되도록 한 것이나, 이러한 배수공들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블록 상측의 물이 서로 밀착되게 설치된 블록과 블록 사이로 유입되어 배수공으로 이동되어야만 배수가 가능한 구조임에 따라 원활한 배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블록 상측에 일시 또는 지속적으로 많은 물이 공급된 경우에는 상기한 배수공을 통한 배수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81353호(2011.11.02.등록, 보도블록용 바닥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야외주차장 및 건물옥상의 바닥면, 완만한 경사면 또는 보행로 등에 설치되는 블록을 균일한 높이와 간격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그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우천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는 블록 설치용 파레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B)이 안착 고정되고 바닥면에는 우수가 배수되는 개구홀(111)이 형성된 복수개의 블록안착홈(110)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블록안착홈(110)의 사이에 우수의 배수를 위해 하부가 개방되게 배수공간(140)이 형성된 블록고정틀(100); 상기 블록고정틀(10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간(140)의 상부를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블록안착홈(110)을 서로 연결하며, 표면에는 우수의 배수를 위해 복수개의 배수홀(210)이 형성된 상부마감부재(200); 상기 블록고정틀(100)이 상호 연이어져 복수개 연결 설치되도록 상기 블록고정틀(100)의 외측벽부(130) 외면 각각에 하나 이상 형성된 연결설치수단(300); 상기 외측벽부(13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고정틀(10)의 연결시 인접되는 블록고정틀(100) 간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의 상부를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표면에는 우수의 배수를 위해 복수개의 배출홀(410)이 형성된 간극유지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간극유지부재(400)는 상기 배수공간(140)과 이격공간(S)이 동일한 폭을 갖도록 상기 상부마감부재(200)의 절반에 해당하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부(130)의 외면에는 상기 간극유지부재(40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수직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150)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블록안착홈(110)을 형성하는 내측벽부(120)에는 상기 블록안착홈(110)으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배수공간(140)으로 배수되도록 연통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안착홈(110)을 형성하는 외측벽부(120)에는 상기 블록안착홈(110)으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이격공간(S)으로 배수되도록 관통홀(1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설치용 파레트는 야외주차장 및 건물옥상의 바닥면, 완만한 경사면 또는 보행로 등에 설치되는 블록을 균일한 높이와 간격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 증대를 통한 시공기간을 단축시키면서도 미려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고, 그 설치된 상태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블록의 파손 방지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우천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어 보행자 및 차량의 이동시 블록 상측에 고인 물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 및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 설치용 파레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저면사시도,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부마감부재에 형성되는 배수홀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도록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고정틀이 연결설치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측벽부 사이의 배수공간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극유지부재가 상부마감부재의 절반에 해당하는 폭으로 외측벽부의 외면 전체에 구비되어 복수개 연결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극유지부재가 상부마감부재와 동일한 폭으로 서로 연이어지는 두 개의 외측벽부 외면에 구비되어 복수개 연결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극유지부재가 외측벽부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부마감부재가 내측벽부와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A-A에 대한 측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부마감부재가 내측벽부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A-A에 대한 측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측벽부에 연통홀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측벽부에 개구홀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설치수단의 상부가 간극유지부재의 상면에 이르는 높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고정틀에 유동방지구, 연결구 및 연결홈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블록고정틀이 상호 연결 설치되고, 블록안착홈 내에 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b는 도 12a에 대한 평면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안착홈이 블록고정틀 내에 복수의 열을 이루며 상호 엇갈리게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b는 도 13a에서 연결설치수단의 상부가 간극유지부재의 상면에 이르는 높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1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 설치용 파레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 설치용 파레트는 크게 블록고정틀(100), 상부마감부재(200), 연결설치수단(300) 및 간극유지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고정틀(100)은 하방으로 삽입된 블록(B)의 일부가 수용되어 안착 고정되도록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배열된 블록안착홈(110)이 복수개 구비되고, 이 블록안착홈(110)의 바닥면에는 블록안착홈(110)으로 유입된 우수가 외부로 배수되도록 관통된 개구홀(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블록고정틀(100)은 외측벽부(130)에 의해 4각의 틀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와는 달리 3각형 또는 5각 이상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4각 형상의 경우에도 정사각 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블록안착홈(110)은 블록고정틀(100) 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내측벽부(120)에 의해 설정된 크기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내측벽부(120)는 블록안착홈(110)에 수용된 블록(B)이 안착되었을 때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도 2와 같이 블록안착홈(110)이 형성되도록 설치된 각각의 내측벽부(120) 사이에 마련된 배수공간(140)은 하부가 모두 개방된 것이며, 이러한 블록안착홈(110) 간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내측벽부(120) 사이는 블록고정틀(100) 내에서 모두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배수공간(140)의 폭이 동일하게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블록안착홈(110) 내에 수용된 블록(B)이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개구홀(111)은 블록안착홈(110)의 바닥면 크기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원, 타원 또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마감부재(200)는 블록안착홈(110)과 블록안착홈(110) 사이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내측벽부(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수공간(140)의 상부를 마감하며, 그 마감된 상부에서 배수공간(140)의 하부로 우수를 배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수홀(210)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마감부재(200)를 통해 우수의 원활한 배수는 물론, 블록안착홈(110)에 끼워진 블록(B) 사이의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하고, 보행 시 하이힐과 같은 신발의 뾰족한 부분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마감부재(200)에 형성된 복수개의 배수홀(210)은 도 3a와 같이 상부마감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거나, 도 3b 내지 3d와 같이 특정한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배수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미감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부마감부재(200)를 내측벽부(120)의 상부에 설치한 이유는 블록안착홈(110) 내에는 블록(B) 전체가 수용되는 것이 아닌 하방으로 삽입된 블록(B)의 일부만 수용된 것이어서 상부마감부재(200)는 블록(B)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부마감부재(200)의 상측에 위치한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상부마감부재(200) 하측에 배수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일시에 많은 우수가 배수홀(210)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부마감부재(200)가 내측벽부(120)의 상부가 아닌 그보다 아래쪽에 설치되는 경우 배수홀(210)을 통한 배수는 가능하나 블록고정틀(100)이 설치되는 지면과 상부마감부재(200) 사이의 높이가 낮아지기 때문에 배수될 수 있는 여유공간이 좁아져 일시에 많은 우수가 배수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블록(B)의 상면과 상부마감부재(200) 사이가 높아져 상부마감부재(200) 상면에 위치한 이물질의 용이한 제거가 어렵기 때문이며, 이러한 우수의 배수와 이물질의 제거는 상부마감부재(200)가 내측벽부(120)의 하부에 가깝게 설치될수록 더 어려워지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은 내측벽부(120)의 높이와 내측벽부(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마감부재(200)의 폭은 블록고정틀(100)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차량의 이동이 많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타이어가 상부마감부재(200)의 상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차량의 하중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보행자가 주로 이동하는 곳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블록안착홈(110)과 블록안착홈(110) 사이로 보행자의 신발이 쉽게 끼이지 않을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하여 보행에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연결설치수단(300)은 도 4와 같이 블록고정틀(100)이 상호 연이어져 복수개 연결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블록고정틀(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외측벽부(130) 외면 각각에 하나 이상 형성되고, 이러한 연결설치수단(300)의 상부는 후술할 간격유지부재(400)의 하측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연결설치수단(300)은 외측벽부(130) 외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구(310)과, 이 끼움구(3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긴밀히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수용구(32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상기한 연결설치수단(300)이 끼움구(310) 및 끼움수용구(320)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연결설치수단(300)은 상기한 끼움구(310) 및 끼움수용구(320) 외에도 끼움구와 끼움수용구(320), 끼움 편과 끼움구멍, 또는 연결 편과 결합 홈 등과 같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긴밀히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은 연결설치수단(300)의 구조 및 형상은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65986호(블록설치용 식생 파레트)에 '끼움구(131)'와 '끼움홈(141)', '끼움 편(132)'과 '끼움구멍(142)', '연결 편(133)'과 '결합 홈(143)'으로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부한 도면들에는 블록고정틀(100)의 형상을 이루는 외측벽부(130) 외면 각각에 끼움구(310)과 끼움수용구(320)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되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하나의 외측벽부(130)에 끼움구(310)과 끼움수용구(320)이 함께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복수개의 블록고정틀(100)이 상호 연이어져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구(310)과 끼움수용구(320)은 서로 마주하는 외측벽부(130) 각각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간극유지부재(400)는 외측벽부(130) 상부에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간극유지부재(400)를 통해 복수개의 블록고정틀(100)이 연결설치수단(300)에 의해 연결된 경우 블록고정틀(100)과 블록고정틀(100) 사이에 마련된 이격공간(S)의 상부를 마감하고, 각각의 블록고정틀(100)이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블록고정틀(100)이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간극유지부재(400)에는 복수개의 블록고정틀(100)이 설치되었을 때 블록고정틀(100)과 블록고정틀(100) 사이에서도 배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출홀(410)이 형성되며, 이러한 배출홀(410)의 형상은 상기한 배수홀(210)과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블록고정틀(100)을 설치하였을 때 통일감을 줄 수 있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색다른 미감을 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고정틀(100)을 이루는 외측벽부(130) 외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150)가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보강리브(150)는 블록고정틀(100)의 변형을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며 후술할 연결설치수단(300)을 통해 복수개의 블록고정틀(100)이 연결 설치된 경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보강리브(150)의 상면은 간극유지부재(40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어 간극유지부재(400)의 뒤틀림이나 구부러짐 등의 변형 및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효율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와 같이 상부마감부재(200)의 하측에는 블록안착홈(110)과 블록안착홈(110) 사이에 서로 마주하는 내측벽부(120)를 연결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리브(16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리브(160)는 블록안착홈(110)에 수용된 블록(B)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도 상부마감부재(200) 및 블록안착홈(11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연결리브(160)의 상면은 상부마감부재(20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하여 상부마감부재(200)의 변형 및 파손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블록안착홈(110)의 내측면에는 블록(B)의 외측면과 면 접촉되어 블록(B)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리브(170)가 더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리브(170)는 블록안착홈(110)에 삽입된 블록(B)이 임의로 유동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고, 블록(B)의 측면과 블록안착홈(110)의 내측면 사이로 유입된 우수가 개구홀(111)을 통해 하방으로 원활히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지지리브(170)에 의해 블록(B)의 외측면과 블록안착홈(11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너무 멀어지게 될 경우에는 이 벌어진 간격으로 이물질이 유입 및 고착되어 원활한 배수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블록(B)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우수의 배수가 가능한 적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 설치용 파레트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는 보강리브(150), 연결리브(160) 및 지지리브(170)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도 6a와 같이 간극유지부재(400)는 외측벽부(130) 모두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간극유지부재(400)가 블록고정틀(100)에 돌출되는 길이를 상부마감부재(200)의 절반에 해당하는 폭으로 형성하여, 각각의 블록고정틀(100)에 형성된 간극유지부재(400)의 측단면이 서로 맞닿아 지지되도록 설치되었을 때 상부마감부재(200)의 폭과 동일해지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블록안착홈(110)에 수용된 블록(B)들이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 6b와 같이 간극유지부재(400)가 외측벽부(130)가 서로 연이어지는 두 개의 외측벽부(130)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복수개의 블록고정틀(100)을 설치하였을 때 간극유지부재(400)를 통해 각각의 블록고정틀(100)이 이격되는 거리가 상부마감부재(200)의 폭과 동일해질 수 있도록, 간극유지부재(400)가 블록고정틀(100)에 돌출되는 길이를 상부마감부재(200)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이때에는 간극유지부재(400)가 형성된 측과 간극유지부재(400)가 형성되지 않은 측이 서로 마주하게 설치하되, 간극유지부재(400)의 길이방향 양 끝단부는 서로 인접되게 설치되는 서로 다른 블록고정틀(100)의 외측벽부(130)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설치하여, 하중에 의한 처짐이나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7과 같이 간극유지부재(400)는 상부마감부재(200)와 동일한 폭으로 마련되어 외측벽부(130)에 고정구(600)를 매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구(600)는 이격공간(S)의 상부에서 서로 다른 블록고정틀(100)의 외측벽부가 마주하는 외면에 긴밀히 끼워져 결합되도록 간극유지부재(400)의 하면이 이격공간(S)과 대응되는 폭으로 하향되게 돌출 형성되며, 이를 통해 복수개의 블록고정틀(100) 사이에 설치된 간극유지부재(400) 중 어느 하나가 변형 또는 파손되더라도 블록고정틀(100)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닌 간극유지부재(400) 만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마감부재(200)는 배수공간(140)의 상부에 서로 마주하는 내측벽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통해 제작 및 설치의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하면서도 블록안착홈(110)에 수용된 블록(B)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마감부재(200)는 내측벽부(120)의 상부에 결합구(500)를 매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결합구(500)는 상부마감부재(200)의 하면에 배수공간(140)과 대응되는 폭으로 하향 돌출되어 상호 이격된 내측벽부(120)가 마주하는 면에 긴밀히 끼워져 밀착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를 통해 블록안착홈(110)과 블록안착홈(110)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부마감부재(200)의 하측에 쌓여 배수를 방해하게 되더라도 상부마감부재(200)를 블록고정틀(100)로부터 분리시켜 그 이물질을 제거 후 다시 결합함으로써 원활한 배수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상부마감부재(200)의 변형 또는 파손시에도 간편하게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어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부마감부재(200)가 내측벽부(120)의 상부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상부마감부재(200)를 분리하더라도 배수공간(140)의 폭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수공간(140)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측벽부(120)를 상호 연결 고정하는 연결리브(1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더해, 도 9a와 같이 내측벽부(120)에는 배수공간(140)과 연통되는 연통홀(121)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연통홀(121)을 통해 블록안착홈(110) 내부로 유입된 우수가 배수공간(140)을 거쳐 그 배수공간(140)의 개구된 하측으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블록(B)의 상측으로 유입된 우수가 보다 원활하게 지면으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고정틀(100)의 외측벽부(130)에는 복수개의 관통홀(131)이 관통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러한 관통홀(131)을 통해 복수개의 블록고정틀(100)이 연결 설치된 경우에도 블록안착홈(110)에 유입된 우수가 이격공간(S)을 거쳐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연통홀(121)과 관통홀(131)은 둘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블록안착홈(110)의 바닥면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거나, 블록안착홈(110)의 바닥면과 연이어지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다만 보강리브(150) 및 연결리브(160)가 형성된 경우에는 이들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보강리브(150) 및 연결리브(160)에 의한 블록고정틀(100)의 변형 방지, 강도 유지, 하중 지지 등의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연결설치수단(300)은 상기에서 첨부한 도면과 같이 간극유지부재(400)의 하면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나, 도 10과 같이 연결설치수단(300)의 상부가 간극유지부재(400)의 상면에 이르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연결설치수단(300)의 높이를 길게 형성함에 따라 넓은 결합면적을 통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설치수단(300)의 상부 즉, 끼움구(310)의 상부와 끼움수용구(320)의 상부는 외측벽부(130)에서 그 외측벽부(130)에 수평하게 구비된 간극유지부재(400)의 끝단면 사이에 해당하는 폭(W0)과 간극유지부재(400)의 끝단부로부터 돌출된 폭(W1) 및 간극유지부재(400)의 끝단부로부터 함몰된 폭(W2)이 동일한 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배수공간(140)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부마감부재(200)와 이격공간(S)의 상부를 마감하는 간극유지부재(400)가 동일한 폭으로 결합될 수 있어 블록(B)의 설치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연결설치수단(300)의 결합면적을 늘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끼움구(310)의 외면 양측에는 단턱지게 형성된 안착부(311)가 구비되고, 끼움수용구(320)에는 이러한 안착부(311)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끼움구(31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턱부(321)가 구비되어 상호 연결 설치된 복수개의 블록고정틀(10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끼움구(310)에는 안착부(311)의 단턱진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를 이루며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기울기로 경사진 테이퍼부(312)가 형성되고, 끼움수용구(320)에는 이러한 테이퍼부(312)의 폭 및 기울기와 대응되는 테이퍼지지부(3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테이퍼부(312)와 테이퍼지지부(322)를 통해 끼움구(310)와 끼움수용구(320)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접촉 및 지지되는 면적을 넓혀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11과 같이 본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고정틀(100)의 바닥면에는 지면에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유동방지구(710)를 더 구비하여 상호 연결 설치된 복수개의 블록고정들이 임의로 유동되거나 분리됨 없이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복수개의 블록고정틀(100)은 연결설치수단(300)을 통해서도 충분히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나, 블록고정틀(100)에는 이러한 연결설치수단(300)에 더해 결합홀(721)이 형성된 연결구(720)와, 연결구(720)와 대응되는 높이와 형상으로 함몰된 연결홈(730)과, 이 연결홈(730)에 하향 돌출되어 결합홀(721)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로 결합홀(721)의 하측으로 돌출된 일부가 지면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결합돌기(731)의 구성을 더 구비하여, 복수개의 블록고정틀(100)이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유동방지구(710), 연결구(720), 결합홀(721), 연결홈(730), 결합돌기(731) 및 의 구성은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1452408호(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블록고정 지지판)에 기재된 '고정구(180)', '연결구(140)', '구멍(141)', '연결홈(150)' 및 '끼움돌기(151)'와 각각 대응되는 구성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블록 설치용 파레트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고정틀(100)은 야외주차장 및 건물옥상의 바닥면, 완만한 경사면 또는 보행로와 같은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그 설치되는 지면에 따라 편평하게 다진 후 설치되거나, 모래를 별도 타설하여 이 타설된 모래를 편평하게 다진 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면에 복수개의 블록고정틀(100)을 설치할 때에는 연결설치수단(300)을 통해 상호 긴밀히 끼워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유동방지구(710)의 구성을 통해서는 설치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도 12a와 같이 블록고정틀(100)이 지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블록안착홈(110)에 균일한 높이로 형성된 블록(B)을 하방으로 삽입하면 되며, 이러한 블록안착홈(110)에 하방으로 삽입된 블록(B)의 일부가 수용되어 안착 고정된 상태가 되면, 각각의 블록(B)은 균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블록고정틀(100) 내부에 형성된 저장공간(140)은 모두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진 것임에 따라, 저장공간(140)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부마감부재(200)에 의해 블록안착홈(110)과 블록안착홈(110) 사이는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연결설치수단(300)에 의해 복수개 설치된 블록고정틀(100)과 블록고정틀(100) 사이의 이격공간(S)은 저장공간(140)과 동일한 폭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임에 따라, 이격공간(S)의 상부를 마감하는 간극유지부재(400)는 상부마감부재(200)와 동일한 폭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고, 이를 통해 도 12b와 같이 블록안착홈(110)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되는 블록(B)이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간극유지부재(400)가 상부마감부재(200)의 절반에 해당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블록고정틀(100)을 이루는 외측벽부(130)의 외면 전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6b와 같이 서로 연이어지는 두 개의 외측벽부(130) 외면에 상부마감부재(200)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블록안착홈(110) 내부에 설치되는 블록(B)이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부마감부재(200)는 저장공간(140)의 상부 즉 서로 마주하는 내측벽부(120)의 상부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우, 결합구(500)를 통해 긴밀히 끼워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나 상부마감부재(200)의 파손 또는 변형에 의해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분리하여 재설치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간극유지부재(400)가 블록고정틀(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복수개의 블록고정틀(100)을 연결설치수단(300)에 의해 상호 연결 설치한 이후, 서로 인접되게 설치된 블록고정틀(100)의 이격공간(S) 즉 서로 마주하는 외측벽부(130)의 상부에 간극유지부재(400)를 설치하여, 블록고정틀(100)과 간극유지부재(400)가 고정구(600)에 의해 견고하고 긴밀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블록고정틀(100)이 설치되고, 이 블록고정틀(100)에 복수개의 블록(B)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블록고정틀(100)의 상측으로 우수가 공급되더라도 상부마감부재(200)에 형성된 배수홀(210) 및 간극유지부재(400)에 형성된 배출홀(410)을 통해 블록고정틀(100)의 하방으로 원활하게 배수가 될 수 있는 것이고, 상부마감부재(200) 및 간극유지부재(400)의 상측으로 이물질이 쌓이게 되더라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며, 차량의 타이어와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보행자의 이동에도 불편함을 주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블록고정틀(100)의 상측으로 공급된 우수는 배수홀(210) 및 배출홀(410)을 통해 원활하게 배수되는 것은 물론, 블록안착홈(110)으로 우수가 유입되더라도 블록안착홈(110)의 바닥면에는 개구홀(111)이 형성되어 있어 블록안착홈(110)의 바닥면에 고이지 않고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는 것이며, 내측벽부(120)에 연통홀(121)을 형성하고 외측벽부(130)에 관통홀(13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블록안착홈(110) 내부에 유입된 우수가 더욱 더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 설치용 파레트는 야외주차장 및 건물옥상의 바닥면, 완만한 경사면 또는 보행로 등에 설치되는 블록(B)을 균일한 높이와 간격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 증대를 통한 시공기간을 단축시키면서도 미려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고, 그 설치된 상태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블록(B)의 파손 방지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우천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어 보행자 및 차량의 이동시 블록(B) 상측에 고인 물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 및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 설치용 파레트에서는 블록안착홈(110)이 블록고정틀(100)의 중앙에 정방형을 이루고, 이를 중심으로 한 4방에는 장방형을 이루도록 배열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 설치용 파레트를 나타낸 도 13a와 같이 블록안착홈(110)이 복수의 열을 이루며 그 각각의 열이 상호 엇갈리게 배열되고, 블록고정틀(100)의 양측 외측벽부(130)에는 그 엇갈리게 배열된 복수의 열을 따라 번갈아가며 블록안착홈(110)이 폐쇄 또는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도 연결설치수단(300)에 의해 블록고정틀(100)이 복수개 설치되어 형성된 이격공간(S)의 상부가 간극유지부재(400)에 의해 마감되도록 하기 위해서, 외측벽부(130)의 개구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외측벽부(130) 모두에 상부마감부재(200)의 절반에 해당하는 폭으로 간극유지부재(400)를 형성하거나, 또는 외측벽부(130)가 서로 연이어지는 두 개의 외측벽부(130)에만 상부마감부재(200)와 동일한 폭으로 간극유지부재(400)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간극유지부재(400)에는 복수개의 배출홀(410)을 형성시켜 이격공간(S)의 하방으로 우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3a에는 연결설치수단(300)의 상부가 간극유지부재(400)의 하측에 이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13b와 같이 연결설치수단(300)의 상부가 간극유지부재(400)의 상면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도 있은 것이고, 이때의 연결설치수단(300)이 간극유지부재(400)의 끝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폭(W1) 및 함몰되는 폭(W2)은 도 10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외측벽부(130)에서 그 외측벽부(130)에 수평하게 구비된 간극유지부재(400)의 끝단면 사이에 해당하는 폭(W0)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배수공간(140)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부마감부재(200)와 이격공간(S)의 상부를 마감하는 간극유지부재(400)의 폭이 동일한 폭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어 블록(B)의 설치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넓은 결합면적을 갖는 연결설치수단(300)을 통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B : 블록 S : 이격공간
100 : 블록고정틀 110 : 블록안착홈
111 : 개구홀 120 : 내측벽부
121 : 연통홀 130 : 외측벽부
131 : 관통홀 140 : 배수공간
150 : 보강리브 160 : 연결리브
170 : 지지리브
200 : 상부마감부재 210 : 배수홀
300 : 연결설치수단 310 : 끼움구
311 : 안착부 312 : 테이퍼부
320 : 끼움수용구 321 : 지지턱부
322 : 테이퍼지지부
400 : 간극유지부재 410 : 배출홀
500 : 결합구
600 : 고정구
710 : 유동방지구 720 : 연결구
721 : 결합홀 730 : 연결홈
731 : 결합돌기

Claims (16)

  1. 블록(B)이 안착 고정되고 바닥면에는 우수가 배수되는 개구홀(111)이 형성된 복수개의 블록안착홈(110)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블록안착홈(110)의 사이에 우수의 배수를 위해 하부가 개방되게 배수공간(140)이 형성된 블록고정틀(100);
    상기 블록고정틀(10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간(140)의 상부를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블록안착홈(110)을 서로 연결하며, 표면에는 우수의 배수를 위해 복수개의 배수홀(210)이 형성된 상부마감부재(200);
    상기 블록고정틀(100)이 상호 연이어져 복수개 연결 설치되도록 상기 블록고정틀(100)의 외측벽부(130) 외면 각각에 하나 이상 형성된 연결설치수단(300);
    상기 외측벽부(13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고정틀(100)의 연결시 인접되는 블록고정틀(100) 간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의 상부를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표면에는 우수의 배수를 위해 복수개의 배출홀(410)이 형성된 간극유지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간극유지부재(400)는 상기 배수공간(140)과 이격공간(S)이 동일한 폭을 갖도록 상기 상부마감부재(200)의 절반에 해당하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부(130)의 외면에는 상기 간극유지부재(40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수직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150)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블록안착홈(110)을 형성하는 내측벽부(120)에는 상기 블록안착홈(110)으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배수공간(140)으로 배수되도록 연통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안착홈(110)을 형성하는 외측벽부(120)에는 상기 블록안착홈(110)으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이격공간(S)으로 배수되도록 관통홀(1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설치용 파레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설치수단(300)의 상부는 상기 간극유지부재(400)의 상면에 이르는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설치용 파레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설치수단(300)의 상부는 상기 외측벽부(130)에서 그 외측벽부(130)에 수평하게 구비된 상기 간극유지부재(400)의 끝단면 사이에 해당하는 폭과 동일한 폭을 이루도록 상기 간극유지부재(400)의 끝단부로부터 돌출 또는 함몰되게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설치용 파레트.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감부재(200)의 하측에는 상기 블록안착홈(110)과 블록안착홈(110) 사이에 서로 마주하는 내측벽부(120)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리브(160)가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설치용 파레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리브(160)의 상부는 상기 상부마감부재(20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설치용 파레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안착홈(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블록(B)의 외측면과 면 접촉되어 고정 지지되도록 돌출된 지지리브(170)가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설치용 파레트.
KR1020160102581A 2016-08-11 2016-08-11 블록 설치용 파레트 KR101752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581A KR101752464B1 (ko) 2016-08-11 2016-08-11 블록 설치용 파레트
PCT/KR2016/009463 WO2018030571A1 (ko) 2016-08-11 2016-08-25 블록 설치용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581A KR101752464B1 (ko) 2016-08-11 2016-08-11 블록 설치용 파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464B1 true KR101752464B1 (ko) 2017-07-11

Family

ID=5935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581A KR101752464B1 (ko) 2016-08-11 2016-08-11 블록 설치용 파레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2464B1 (ko)
WO (1) WO2018030571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600A (ko) * 2019-04-16 2020-10-26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포 콘크리트 골재를 담는 키트를 포함하는 블록
KR20200121949A (ko) * 2019-04-16 2020-10-27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포 콘크리트 골재를 포함하는 투수블록
KR102235676B1 (ko) * 2020-08-26 2021-04-02 오은규 다용도 모듈형 블록틀
KR20210062176A (ko) * 2019-11-21 2021-05-31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도, 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조립식 다공성 투수 블록
KR20210074669A (ko) * 2019-12-12 2021-06-2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도, 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발전소 부산물 기반 대기정화용 조립식 다공성 투수 블록
KR102389382B1 (ko) 2021-12-28 2022-04-22 (주)봉황씨원 도심열섬 및 침수 방지기능을 갖는 블록고정 틀
KR102442631B1 (ko) 2022-03-18 2022-09-13 (주)신성엔지니어링 도시 열섬화 방지 및 비점 오염물 제거를 위한 블록고정 프레임
KR102487443B1 (ko) * 2021-10-22 2023-01-12 (주)에스앤씨산업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과, 이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7450A1 (de) * 2019-05-21 2020-11-2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batterie
CN112211065A (zh) * 2020-10-22 2021-01-12 罗春萍 一种下陷式盲道转弯指向砖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516B1 (ko) * 2007-07-02 2008-06-02 박재민 연성을 갖는 보도블록
KR100989448B1 (ko) * 2009-11-17 2010-10-26 고선식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 홀더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포장 공법
KR101452408B1 (ko) * 2013-05-08 2014-10-22 (주)봉황씨원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블록고정 지지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2103A (ja) * 1987-10-16 1989-04-19 Hayashi Prod Corp 歩道板構成用基枠
JP2004293175A (ja) * 2003-03-27 2004-10-21 Aiekusu:Kk 緑化路面用ベースプレ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緑化路面形成方法
KR101510517B1 (ko) * 2013-05-09 2015-04-17 정윤기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516B1 (ko) * 2007-07-02 2008-06-02 박재민 연성을 갖는 보도블록
KR100989448B1 (ko) * 2009-11-17 2010-10-26 고선식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 홀더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포장 공법
KR101452408B1 (ko) * 2013-05-08 2014-10-22 (주)봉황씨원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블록고정 지지판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600A (ko) * 2019-04-16 2020-10-26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포 콘크리트 골재를 담는 키트를 포함하는 블록
KR20200121949A (ko) * 2019-04-16 2020-10-27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포 콘크리트 골재를 포함하는 투수블록
KR102224648B1 (ko) * 2019-04-16 2021-03-08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포 콘크리트 골재를 담는 키트를 포함하는 블록
KR102224650B1 (ko) * 2019-04-16 2021-03-09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포 콘크리트 골재를 포함하는 투수블록
KR20210062176A (ko) * 2019-11-21 2021-05-31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도, 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조립식 다공성 투수 블록
KR102356546B1 (ko) * 2019-11-21 2022-01-28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도, 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조립식 다공성 투수 블록
KR20210074669A (ko) * 2019-12-12 2021-06-2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도, 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발전소 부산물 기반 대기정화용 조립식 다공성 투수 블록
KR102288943B1 (ko) * 2019-12-12 2021-08-1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도, 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발전소 부산물 기반 대기정화용 조립식 다공성 투수 블록
KR102235676B1 (ko) * 2020-08-26 2021-04-02 오은규 다용도 모듈형 블록틀
KR102487443B1 (ko) * 2021-10-22 2023-01-12 (주)에스앤씨산업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과, 이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389382B1 (ko) 2021-12-28 2022-04-22 (주)봉황씨원 도심열섬 및 침수 방지기능을 갖는 블록고정 틀
KR102442631B1 (ko) 2022-03-18 2022-09-13 (주)신성엔지니어링 도시 열섬화 방지 및 비점 오염물 제거를 위한 블록고정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571A1 (ko)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464B1 (ko) 블록 설치용 파레트
KR101689543B1 (ko) 데크보드 조립체
KR101960303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20082519A (ko) 수압조절기능을 갖는 맨홀덮개
ZA200705588B (en) Modular mat
KR102301318B1 (ko) 배수용 그레이팅 구조체
KR100909086B1 (ko) 트렌치커버가 양측으로 개방되는 트렌치
KR101308980B1 (ko) 온실 구조물
KR20200126489A (ko)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KR20070045383A (ko) 연결식 단위블록 엘형 측구
KR100756664B1 (ko) 터널배수공법
KR101142617B1 (ko) 지렛대 구조에 의해 분해 가능한 s자형상의 힌지결합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KR102237273B1 (ko) 미끄럼방지 조립식 맨홀뚜껑
KR101973983B1 (ko)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KR100951752B1 (ko) 교량용 신축이음 조인트
KR100837654B1 (ko) 조립식 그레이팅
KR102049984B1 (ko) 압축 강도가 강화된 배수용 그레이팅
JP6494705B2 (ja) 排水溝ブロック
KR200494078Y1 (ko) 무소음 트렌치
CN212026539U (zh) 雨水篦子
KR20090100849A (ko) 배수로용 그레이팅
KR101622947B1 (ko) 구조물용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JP4182047B2 (ja) 屋外構築物の支柱装置
KR200412557Y1 (ko) 스탠캡 집수정
KR101029134B1 (ko) 수퍼 그레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