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170B1 -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170B1
KR102486170B1 KR1020220106764A KR20220106764A KR102486170B1 KR 102486170 B1 KR102486170 B1 KR 102486170B1 KR 1020220106764 A KR1020220106764 A KR 1020220106764A KR 20220106764 A KR20220106764 A KR 20220106764A KR 102486170 B1 KR102486170 B1 KR 102486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warning
camera
image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주)디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디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0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60R1/25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to the side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combining image information with other obstacle sensor information, e.g. using RADAR/LIDAR/SONAR sensors for estimating risk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7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an event-triggered choice to display a specific image among a selection of captured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측방으로 물체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경보를 발하여 버스와 물체의 충돌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는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은 버스의 측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버스 측방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시에 경고를 발하는 경고수단;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시에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Warning system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의 측방으로 물체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경보를 발하여 버스와 물체의 충돌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는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좁은 길을 다니는 마을버스는 골목길에서 통행인, 자전거, 오토바이, 차량 등이 갑자기 튀어나와 충돌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된다.
마을버스 운전자와 통행인이나 자전거 등의 운전자가 이러한 충돌위험을 인지하여 반응하기에는 시간이 촉박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버스의 측방으로 접근하는 물체(통행인, 오토바이 운전자 등)와 버스의 충돌을 예방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수단은 특별히 개발되지 않았다.
특허공개공보 제10-2007-0033589호 "버스의 하차사고 방지시스템", 등록특허 제10-1366112호 "카메라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운용하는 버스용 AVM 시스템 및 방법" 등에서는 차량의 카메라와 모니터를 탑재하여,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운전석 앞의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이러한 카메라 시스템은 차량 측방 사고를 예방하는데 그리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개발된 시스템으로서, 버스의 측방으로 물체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충돌의 위험이 있는 경우 접근하는 물체쪽으로 미리 경고를 발하여 충돌사고를 예방하는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체가 접근하여 충돌의 위험이 있는 경우 운전자에게도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제공하여 운전자도 미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은
버스의 측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버스 측방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시에 경고를 발하는 경고수단;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시에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경고수단은 시각경고를 발하는 LED경고등 또는 청각경고를 발하는 스피커 또는 LED경고등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경고수단이 경고를 발하고, 상기 카메라의 영상이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카메라는
전방 외주연으로 나사산과 단턱부가 형성되고, 렌즈모듈을 내장하는 하우징과,
내주연에 상기 나사산과 스크류결합되는 나사탭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탭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턱부를 덮는 덮개부가 구비되는 캡과,
상기 하우징의 단턱부에 외삽되고, 상기 덮개부에 가압되어서 이들의 틈새를 밀폐하는 방수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패드의 내주연과 외주연에는 각각 상기 단턱부와 덮개부에 가압밀착되는 환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방수패드에는 상기 환형돌기 아래에 위치하는 내외면과 하부면을 연결는 유로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홀에는 침투한 물기를 흡수하여 이동시키는 심지가 내재되고,
상기 방수패드의 하부면은 상기 유로홀을 통과하여 유입된 물기는 외부로 통과시키고, 외부의 물기는 내부로 통과시키지 않는 단방향 방수원단이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은 버스의 측방으로 사람이나 오토바이 등이 접근하여 충돌 위험이 발생하면 시각경고와 청각경고를 하여 알림으로써 충돌 사고를 예방하고, 버스 운전자에게는 물체의 접근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제공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돌 사고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버스 외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는 방수패드를 통해 내부로 물기가 침투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오류 없이 장기간 정상 작동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에 디스플레되는 분활하면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인화면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과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은 카메라(10), 감지센서(80), 경고수단(90), 모니터(20), 영상처리모듈(30), 영상저장장치(40), GPS(50), 통신모듈(60), 컨트롤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카메라(10)는 버스 곳곳에 설치되어 주변을 촬영한다. 특히, 버스의 양 측방 그 중에서도 승객이 승하차하는 우측방에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10)는 전방카메라(10A), 후방카메라(10B), 두 측방카메라(10C, 10D), 내부카메라(10E)를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 버스의 전방, 후방, 양 측방의 중앙부 그리고 버스 내부에 설치되어서 버스의 전방, 후방, 양 측방 및 버스 내부의 운전자와 승객을 촬영한다.
상기 전방카메라(10A), 후방카메라(10B), 두 측방카메라(10C, 10D)는 버스의 외부에 설치되어서 버스 주변을 선명하게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외부에 설치되는 만큼 빗물이나 세척수 등의 물기가 내부로 침투하여 고장나거나 오작동할 수 있으므로, 방수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카메라의 방수성을 강화한 방수패드(P)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카메라(10)는 버스에 기설치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고, 화각이 약 120도인 일반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버스의 외부에 설치되는 상기 전방카메라(10A), 후방카메라(10B), 두 측방카메라(10C, 10D)는 최소 수량을 사용하면서 사각지대 없이 버스의 전방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180도 이상의 화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센서(80)는 버스의 측방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한다. 여기서, 물체는 통행인과, 자전거, 오토바이, 승용차 등과 같이 사람이 운전하여 충돌로 인한 인명사고의 위험이 있고 운전자가 경고를 듣고 반응할 수 있는 것을 지칭한다.
상기 감지센서(80)는 감지 가능거리가 약 5m이고, 버스 측방과 물체 간의 거리가 멀어 충돌사고의 위험이 없는 경우에도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경보가 발하도록 하는 것은 불필요하고 주변인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으므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최대 유효감지거리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설정 가능하다.
상기 감지센서(80)는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는 민감도를 1단계에서 5단계까지 조절 가능하다.
상기 경고수단(90)은 상기 감지센서(80)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전송하면 공고를 발하여 접근자에게 출동위험을 미리 알려 충돌사고를 예방한다.
상기 경고수단(90)은 불빛으로 시각경고를 발하는 LED경고등(91)과 경고 멘트를 출력하여 청각경고를 발하는 스피커(92)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둘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 경고를 접근자에게 보다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모니터(20)는 상기 카메라들(10A, 10B, 10C, 10D, 10E)이 촬영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모니터(20)는 운전석 앞의 유리나 대시보드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모니터(20)는 반투명 모니터(20)를 사용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야 방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20)는 좌측에 카메라들(10A, 10B, 10C, 10D, 10E)이 촬영하는 영상들(27)을 분활하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우측에는 상기 GPS(50)로부터 취득한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이용해 계산한 버스의 운행속도(28)와, 전자지도에 버스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운행정보(29a)와, 버스가 정차할 정류소들을 표시한 전자노선에 버스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운행정보(29b)를 분활하면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모니터(20)에는 전자지도와 전자노선을 저장하여 제공하는 메모리가 구비될 수 있다.
도4에는 버스의 측방으로 통행인이나 자전거, 오토바이, 승용차 등의 물체가 접근하여 감지센서(80)가 이를 감지한 경우, 그리고 버스가 우회전, 좌회전, 후진 또는 정차를 위한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해당 방향의 영상이나 전방위 영상을 모니터(10)의 분활하면 중에 메인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버스의 우회전이나 좌회전의 조작신호로는 버스의 방향등(일명 깜빡이)이 점등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버스의 후진 조작신호로 버스의 후진기어가 온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버스의 정차 조작신호로는 버스의 브레이크가 온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4는 버스의 정차 중인 경우에 모니터(10)의 분활하면을 보여준다. 도4를 참조하면, 모니터(20)의 좌측 반을 메인화면으로 할당하고 이곳에 카메라들(10A, 10B, 10C, 10D)이 촬영한 영상을 합성하여 버스의 위에서 본 탑뷰 영상(21)이 디스플레이되고, 모니터(20)의 우측 반에는 버스 내부에 설치된 내부카메라가 촬영한 내부영상(22), 전방카메라(10A)가 촬영한 전방영상(23), 후방카메라(10B)가 촬영한 후방영상(24), 두 측방카메라(10C, 10D)가 촬영한 버스의 좌우 측방영상으로 평면형 영상(25)과 커브형 영상(26)이 분할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메인화면(21)은 다른 분활화면(22~26)과 비교하여 대형의 화면으로 운전자의 시선을 집중시켜 주의를 환기시키고, 그에 반응하여 운전자는 위험요소를 확인하며 안전운전하게 된다.
상기 영상처리모듈(30)은 상기 카메라들(10A, 10B, 10C, 10D, 10E)이 촬영한 영상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왜곡보정처리하고, 영상들을 합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상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여 영상이 보다 선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영상을 왜곡보정처리하여 시인성을 높인다. 카메라는 화각이 180도 이상으로 영상은 커브형 영상으로 촬영되고 그에 따라 영상의 가장자리(도1에서 버스의 모서리 영역)는 왜곡이 많아 시인성이 떨어진다. 그래서 영상의 가장자리를 왜곡보정하여 시인성을 높인다. 그리고 도2에서 전방영상(23)과 두 측방영상(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왜곡보정을 통해 시인성이 높은 화각 120도의 평면형 영상으로 보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카메라들(10A, 10B, 10C, 10D, 10E)의 영상을 합성하여 도2에서 보는 것과 같이 탑뷰 영상(21)을 만들고, 탑뷰 영상(21)에 버스 이미지를 합성하여 넣는다.
상기 영상저장장치(40)는 상기 카메라들(10A, 10B, 10C, 10D, 10E)이 촬영하는 영상을 저장하고, 추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저장장치(40)는 저장용량 확보를 위해 설정된 이벤트 영상만을 저장할 수 있고, 모든 영상을 저장하되 일정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이벤트 영상을 제외하고 다른 영상들은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저장장치(40)는 영상을 저장할 때, 상기 GPS(50)의 위치와 시간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저장장치(40)는 메모리를 2종류 이상 탑재하여 영상을 이중으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버스에 이미 카메라와 영상저장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기탑재된 영상저장장치와 카메라를 본 시스템에 연동되도록 구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하면 시스템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GPS(50)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모니터(20), 영상처리모듈(30), 영상저장장치(40) 등에 제공한다.
상기 통신모듈(60)는 Wi-Fi 통신망이나 LTE통신망을 외부의 스마트폰이나 중앙관제소와 통신한다.
스마트폰 소지자나 중앙관제소의 관리자는 통신모듈(60)을 통해 본 시스템에 접속하여 버스에 탑재된 장비들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원격제어할 수 있고, 카메라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버스의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70)는 본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10), 감지센서(80), 경고수단(90), 모니터(20), 영상처리모듈(30), 영상저장장치(40), GPS(50), 통신모듈(60) 등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고 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러(70)는 감지센서(80)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하면 경고수단(80)이 경고를 발하고, 모니터(20)에 버스의 측방 영상이 메인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물체가 버스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근하는 경우에는 물체와 버스의 충돌 위험이 없다고 볼 수 있으므로, 경고수단(80)은 경고를 발하지 않도록 하고, 모니터(20)는 측방영상을 메인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버스 운전자는 물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물체가 버스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근하는 것은 카메라의 측방 영상을 분석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버스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중인 경우에는 감지센서(80)가 물체를 감지하더라도 충돌을 피할 수 없거나 충돌이 발생되지 않을 것이므로 이때는 경고수단(90)이 경고를 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5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들(10A, 10B, 10C, 10D, 10E)은 하우징(11), 렌즈모듈(12), 적외선LED모듈(13), 캡(14), 윈도우(15), 방수패드(P)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은 원통형구조로 이루어지고, 전방 외주연에는 나사산(11a)이 형성되고, 나사산(11a) 밑에는 단턱부(11b)가 형성된다.
상기 렌즈모듈(12)은 화각이 180도 이상이고, 상기 하우징(11)에 내장된다.
상기 적외선LED모듈(13)은 상기 렌즈모듈(12) 주변에 배치되고 적외선을 조사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렌즈모듈(12)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캡(14)은 상기 하우징(11)의 전방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스크류결합된다. 상기 캡(14)의 내주연에는 상기 나사산(11a)에 스크류결합되는 나사탭(14a)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탭(14a) 밑에는(후방에는) 상기 단턱부(11b)를 덮는 덮개부(14b)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14b)의 단부에는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윈도우(15)는 상기 캡(14)의 전면에 구비되어서, 상기 렌즈모듈(12)이 투사하여 촬영 가능하고, 상기 적외선LED모듈(13)의 적외선이 투과하여 조사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방수패드(P)는 상기 단턱부(11b)에 외삽되고, 상기 덮개부(14b)에 가압되어서, 상기 단턱부(11b)와 덮개부(14b)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킨다.
상기 렌즈모듈(12)과 적외선LED모듈(13) 등을 상기 하우징(11)에 내장시키고, 이들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캡(14)은 상기 하우징(11)에 탈착 가능하게 스크류결합되고, 탈착결합구조로 인해 이들의 결합부위에는 틈새가 발생된다.
상기 방수패드(P)는 상기 하우징(11)과 캡(14)의 결합틈새를 완벽하게 밀폐하여 틈새를 통해 물기가 침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방수패드(P)는 상기 하우징(11)의 단턱부(11b)와 상기 캡(14)의 덮개부(14b) 사이의 틈새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방수패드(P)의 내면과 외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기(P1)가 형성되어서, 상기 단턱부(11b)의 외면과 상기 덮개부(14b)의 내면에 가압밀착 된다. 물기가 방수패드(P)의 내외면을 타고 침투되더라도 상기 돌기(P1)에 1차로 막혀 더 이상 침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돌기(P1)의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방수패드(P)의 내면과 외면에는 유도홈(P3)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홈(P3)이 위치하는 방수패드(P)의 내면과 외면 그리고 방수패드(P)의 하부면을 연결하는 유로홀(P5)이 형성된다. 상기 방수패드(P)의 내면과 외면을 침투한 물기는 상기 유도홈(P3)에 유도되어 그 위로 더 이상 침투되지 못하고, 유도홈(P3)에 유도된 물기는 상기 유로홀(P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서, 물기의 침투를 2차로 막는다.
상기 유도홈(P3)과 유로홀(P5)은 상기 방수패드(P)가 상기상기 하우징(11)의 단턱부(11b)와 상기 캡(14)의 덮개부(14b)에 가압되는 상태에서도 물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로홀(P5)의 통로가 유지되도록 유로홀이 형성된 튜브를 방수패드의 사출성형 시에 인서트 방식으로 내장시킬 수 있다.
상기 유로홀(P5)에는 상기 유도홈(P3)에 있는 물기를 흡수하여 유로홀(P5)로 이동시키는 심지(P7)가 내재될 수 있다.
상기 유로홀(P5)을 통해 물기가 역류할 수 있다. 즉, 방수패드(P)의 하부에 형성된 유로홀(P5)로 유입되어서 유도홈(P3)까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물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방수패드(P)의 하부면에는 상기 유로홀(P5)을 덮는 단방향 방수원단(P9)이 구비된다. 상기 단방향 방수원단(P9)은 물기를 일방향으로만 통과시키는 원단이다. 즉, 유로홀(P5)을 통과하여 단방향 방수원단(P9)의 내부로 유입된 물기는 외부로 통과시켜 배출되도록 하고, 외부의 물기는 단방향 방수원단(P9)에 막혀 내부의 유로홀(P5)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단방향 방수원단(P9)은 운동복에 주로 활용되어서, 몸에서 발생되는 땀은 운동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외부의 빗물 등은 운동복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A : 전방카메라 10B : 후방케마라
10C,D : 측방카메라 11 : 하우징
12 : 렌즈모듈 13 : LED모듈
14 : 캡 15 : 윈도우
20 : 모니터 30 : 영상처리모듈
40 : 영상저장장치 50 : GPS
60 : 통신모듈 70 : 컨트롤러
80 : 감지센서 90 : 경고수단
P : 방수패드

Claims (4)

  1. 버스의 측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버스 측방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시에 경고를 발하는 경고수단;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시에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카메라는
    전방 외주연으로 나사산과 단턱부가 형성되고, 렌즈모듈을 내장하는 하우징과,
    내주연에 상기 나사산과 스크류결합되는 나사탭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탭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턱부를 덮는 덮개부가 구비되는 캡과,
    상기 하우징의 단턱부에 외삽되고, 상기 덮개부에 가압되어서 이들의 틈새를 밀폐하는 방수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패드의 내주연과 외주연에는 각각 상기 단턱부와 덮개부에 가압밀착되는 환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방수패드에는 상기 환형돌기 아래에 위치하는 내외면과 하부면을 연결는 유로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홀에는 침투한 물기를 흡수하여 이동시키는 심지가 내재되고,
    상기 방수패드의 하부면은 상기 유로홀을 통과하여 유입된 물기는 외부로 통과시키고, 외부의 물기는 내부로 통과시키지 않는 단방향 방수원단이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은 시각경고를 발하는 LED경고등 또는 청각경고를 발하는 스피커 또는 LED경고등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경고수단이 경고를 발하고, 상기 카메라의 영상이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
  4. 삭제
KR1020220106764A 2022-08-25 2022-08-25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 KR102486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764A KR102486170B1 (ko) 2022-08-25 2022-08-25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764A KR102486170B1 (ko) 2022-08-25 2022-08-25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170B1 true KR102486170B1 (ko) 2023-01-10

Family

ID=8489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764A KR102486170B1 (ko) 2022-08-25 2022-08-25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1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699U (ko) * 1990-02-26 1991-11-15
JP2001315601A (ja) * 2000-05-09 2001-11-13 Nec Corp 車両側面監視装置
KR20150064619A (ko) * 2013-12-03 2015-06-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시일 및 이를 구비한 방수커넥터
KR101823785B1 (ko) * 2016-10-20 2018-01-3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 승하차 안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699U (ko) * 1990-02-26 1991-11-15
JP2001315601A (ja) * 2000-05-09 2001-11-13 Nec Corp 車両側面監視装置
KR20150064619A (ko) * 2013-12-03 2015-06-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시일 및 이를 구비한 방수커넥터
KR101823785B1 (ko) * 2016-10-20 2018-01-3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 승하차 안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8401B2 (en) Vehicular driving assist with driver monitoring
US8340902B1 (en) Remote vehicle management system by video radar
EP2629237A1 (en) Remote vehicle management system by video radar
KR20160148978A (ko)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KR102187021B1 (ko) 전방 저속 차량 알림 시스템
JP2020024532A (ja) 脇見運転検出装置
KR20140132605A (ko)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KR20200142571A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24097875A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等
KR102526969B1 (ko) 스마트 반사경 장치
KR102486170B1 (ko) 버스 측방 경고 시스템
KR102556845B1 (ko) 실시간 관제 기능을 갖는 avm 시스템
JP2007272867A (ja) 道路状況撮影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道路状況撮影システム
JP7426607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方法、及び、車両
CN109987025B (zh) 用于夜晚环境的车辆驾驶辅助系统及方法
JP2018055369A (ja) 車両運転支援装置
KR102486168B1 (ko) 차량용 전방위 감시 광각 카메라 시스템
KR102486169B1 (ko) 차량 안전운전을 위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2008055942A (ja) 夜間前方情報提供装置
KR20180013076A (ko) 보안프로토콜을 적용한 터널 암순응구간 장애물감지 시스템
JP2017040773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CN214675383U (zh) 智能bsd盲区监控红外摄像头
CN107735822B (zh) 违章制止装置及具备其的违章制止系统
KR20190030316A (ko) 이벤트 영상기록이 가능한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KR102427061B1 (ko) 객체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