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316A - 이벤트 영상기록이 가능한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벤트 영상기록이 가능한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316A
KR20190030316A KR1020170117597A KR20170117597A KR20190030316A KR 20190030316 A KR20190030316 A KR 20190030316A KR 1020170117597 A KR1020170117597 A KR 1020170117597A KR 20170117597 A KR20170117597 A KR 20170117597A KR 20190030316 A KR20190030316 A KR 20190030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walk
signal
control unit
pedestria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인터라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인터라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인터라이텍
Priority to KR1020170117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0316A/ko
Publication of KR2019003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된 지주에 장착되어 횡단보도 또는 횡단보도 주변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 본체와, 횡단보도를 건너고자 하는 대기자가 있는지를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센서와, 설정된 야간 조건이 되면 조명본체를 가동시키며, 보행자 감지센서로부터 대기자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횡단보도 신호등이 적색인지 또는 녹색인지에 대한 신호 상태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유니트 및 조명본체에 장착되며 횡단보도 주변 상황을 촬상하여 기록하는 카메라를 구비한다. 이러한 횡단보도 조명시스템에 의하면, 횡단보도 신호등의 신호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조명본체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하여 저장된 이벤트 내용을 학인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벤트 영상기록이 가능한 횡단보도 조명시스템{crosswalk lighting system}
본 발명은 횡단보도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횡단보도 주변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영상으로 기록하고 독립운영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조명시스템 일체에 관한 것이다.
횡단보도는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를 보행자가 횡단할 수 있도록 도로의 자동차 주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행자의 보행 또는 정지를 신호로 통보하기 위한 보행자용 횡단보도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게도 횡단보도의 보행자용 신호등과 연계하여 횡단보도의 통과를 허용 또는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차량용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횡단보도상에 보행자용 및 차량 운전자용 신호를 제공하는 교통신호 체계가 마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 운전자 또는 보행자용 횡단보도 신호등의 신호 체계를 무시하고, 횡단보도를 통과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가 있어 횡단보도에서의 인명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시외지역 혹은 교통취약지역에서 발생하는 인적이 드문 야간 시간대 사고의 경우는 그 원인 판명과 가해자 판별이 어려운 실태이다.
한편, 최근에는 야간의 암시야 환경에서 횡단보도를 건너가는 보행자의 유무를 차량 운전자가 더욱 잘 식별할 수 있도록 야간에 횡단보도를 집중하여 조명할 수 있도록 조명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가 등록실용신안 제20-021804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기능만으로 제한되어 있어, 운전자 측에 대한 보행자에 대한 인지능력을 높이는 측면에는 일조를 하나, 청각장애인 혹은 시각장애인, 스마트폰 사용자 등 순간적인 혹은 지속적인 주변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보행자(혹은 교통약자)에 대한 스스로의 안전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주요 교차로에만 집중되어 설치 운영되고 있는 현재의 연계형 CCTV만으로는 사고발생시 충분한 후속조치가 취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에 주요도로에 설치되는 고비용의 시스템 외에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횡단보도 신호등에 대한 신호 정보를 청각 및 시각적으로 알려주어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독립적 운영이 가능한 영상기록장치가 포함된 횡단보도 조명시스템을 모든 횡단보도에 설치 될 수 있도록 저비용 범용 시스템을 공급하여, 주요 교차로 혹은 교통취약지역 외의 모든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강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시스템은 상기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된 지주에 장착되어 횡단보도 또는 횡단보도 주변에 대해 영상기록이 가능하게 충분한 조도를 확보 할 수 있도록 기존 횡단보도 투광등 보다 밝은 광을 더욱 넓은 주변지역까지 조사하는 조명부 그리고 이벤트 발생을 인지하여 이벤트 영상을 기록하는 영상장치부로 구성된 본체와, 횡단보도를 건너고자 하는 대기자가 있는지를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센서와; 설정된 야간 조건이 되면 상기 조명본체를 가동시키며, 상기 보행자 감지센서로부터 대기자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횡단보도 신호등이 적색인지 또는 녹색인지에 대한 신호 상태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의 신호 상태정보를 스마트폰에서 수신가능한 비콘신호로 송출하고, 상기 스마트폰에는 상기 제어유니트에서 송출되는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횡단보도 신호등의 상태정보를 출력장치로 출력하도록 된 횡단보도 신호정보 알림 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시스템에 의하면, 횡단보도 신호등의 신호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횡단보도 조명시스템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횡단보도 조명시스템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조명시스템(100)은 조명 본체(110), 카메라(130), 보행자 감지센서(140) 및 제어유니트(160)를 구비한다.
조명본체(110)는 횡단보도(10) 주변에 설치된 지주(115)에 장착되어 횡단보도 또는 횡단보도 주변에 광을 조사한다.
조명 본체(110)는 지주(115)의 횡단보도(10)를 향하는 쪽으로 연장된 수평부분(115b)에 장착되어 있다.
조명본체(110)는 지주(115)에 결합되는 하우징(112) 내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114)이 장착되어 있다.
발광모듈(114)은 발광다이오드가 어레이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하우징(112)은 발광모듈(114)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영역을 제공하고, 지주(115)에 브라켓(116)을 통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함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조명본체(110)의 하우징(112)에는 횡단보도 주변 상황을 촬상하여 이벤트 상황을 기록하는 카메라(13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카메라(130)는 영상장치부에 해당하고, 조명본체는 조명부에 해당하며 조명본체(110)와 카메라(130)가 본체에 해당한다.
보행자 감지센서(140)는 횡단보도(10)를 건너고자 하는 보행자 또는 보행대기자가 있는지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유니트(160)에 제공한다.
보행자 감지센서(140)는 횡단보도(10) 또는 횡단보도(10)의 주위에 보행자 또는 보행 대기자가 있는 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차량용 신호등의 지주 또는 보행자용 신호등(40)의 지주(50)에 설치될 수 있다.
보행자 감지센서(140)는 감시대상 영역에 인체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적외선 센서 또는 수광소자와 발광소자를 이용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보행자 감지센서(140)는 초음파 센서, 라이다(ridar)센서 등 공지된 다양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조도센서(155)는 조도를 검출하여 제어유니트(160)에 제공한다.
제어유니트(160)는 설정된 야간 조건이 되면 조명본체(110)의 발광모듈(114)이 온되게 가동시키며, 보행자 감지센서(140)로부터 대기자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횡단보도 신호등(40)이 적색인지 또는 녹색인지에 대한 신호 상태정보를 스피커(168)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제어유니트(160)는 제어부(162), 기억부(164) 및 통신부(166)를 구비한다.
기억부(164)는 카메라(130)에 의해 촬상된 영상정보가 제어부(162)에 제어되어 기록된다.
통신부(166)는 제어부(162)에 제어되어 신호등(40)의 신호 정보를 비콘으로 송출한다.
제어부(162)는 신호 제어부(60)에서 신호등(40)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신호 제어부(60)는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교통 제어반(150)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보행자용 신호등인 녹색 신호등(41)과 적색 신호등(42)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62)는 조도센서(155)로부터 검출된 조도가 설정된 야간조건에 해당하면 발광모듈(114)이 가동되게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2)는 보행자 감지센서(140)로부터 대기자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횡단보도 신호등(40)이 적색인지 또는 녹색인지에 대한 신호 상태정보를 스피커(168)를 통해 음성으로 설정된 주기마다 반복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62)는 횡단보도 신호등(40)의 신호 상태정보를 스마트폰(200)에서 수신가능한 비콘신호로 통신부(166)를 통해 송출하고, 스마트(200)폰에는 제어유니트(160)에서 송출되는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횡단보도 신호등(40)의 신호 상태정보를 출력장치 예를 들면 화면 또는 스피커를 통한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된 횡단보도 신호정보 알림 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201a는 횡단보도 신호정보 알림 모듈의 실행 아이콘이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의 경우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횡단보도 신호정보 알림 모듈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횡단보도 주변에 도달하면 횡단보도 신호정보 알림 모듈에서 수신된 비콘정보로부터 횡단보도 신호등(40)의 신호상태를 알려줄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110: 조명 본체 120: 메인 발광모듈
130: 보조 발광모듈 140: 외부 환경정보센싱부
160: 제어유니트 170: 대기시간 표시부

Claims (2)

  1. 상기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된 지주에 장착되어 횡단보도 또는 횡단보도 주변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 본체와;
    횡단보도를 건너고자 하는 대기자가 있는지를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센서와;
    설정된 야간 조건이 되면 상기 조명본체를 가동시키며, 상기 보행자 감지센서로부터 대기자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횡단보도 신호등이 적색인지 또는 녹색인지에 대한 신호 상태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유니트; 및
    상기 조명본체에 장착되며 횡단보도 주변 상황을 촬상하여 기록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의 신호 상태정보를 스마트폰에서 수신가능한 비콘신호로 송출하고, 상기 스마트폰에는 상기 제어유니트에서 송출되는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횡단보도 신호등의 상태정보를 출력장치로 출력하도록 된 횡단보도 신호정보 알림 모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 시스템.




KR1020170117597A 2017-09-14 2017-09-14 이벤트 영상기록이 가능한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KR20190030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597A KR20190030316A (ko) 2017-09-14 2017-09-14 이벤트 영상기록이 가능한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597A KR20190030316A (ko) 2017-09-14 2017-09-14 이벤트 영상기록이 가능한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316A true KR20190030316A (ko) 2019-03-22

Family

ID=6594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597A KR20190030316A (ko) 2017-09-14 2017-09-14 이벤트 영상기록이 가능한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03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7646B (zh) * 2021-04-06 2022-06-11 晶亮電工股份有限公司 行人智慧照明系統及其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7646B (zh) * 2021-04-06 2022-06-11 晶亮電工股份有限公司 行人智慧照明系統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44986B (zh) 利用信标信号的行人保护系统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2027296B1 (ko) 보행안전시스템
KR101245510B1 (ko) 도로상의 사고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101829220B1 (ko) 횡단보도 안전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22831B1 (ko) 인공지능 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검출 및 사고 예방 시스템
KR101276385B1 (ko) 보행자 무단 횡단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알림 시스템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408029B1 (ko)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및 그의 작동방법
KR101679304B1 (ko)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
KR102484348B1 (ko) 교통약자 횡단보도 구역 보행자 위치 추적 스마트폴시스템
KR20160092963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69739A (ko) 보행자친화형 안전 알림장치 및 방법
KR20190013363A (ko)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KR101073692B1 (ko) 횡단보도 안전 보행 장치
KR20180082788A (ko) 도로의 점멸신호 안전관리 시스템
KR101496322B1 (ko) 주행차량 사각지대의 위험요소 알림 장치
KR20190030316A (ko) 이벤트 영상기록이 가능한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KR101628906B1 (ko) 횡단보도 자동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75453B1 (ko) 무단 횡단 감지 시스템
KR20180013076A (ko) 보안프로토콜을 적용한 터널 암순응구간 장애물감지 시스템
KR20170027032A (ko) 고속도로상의 야간 갓길주차 차량의 안전 주·정차를 위한 시스템
KR102310845B1 (ko) 인공지능 기반의 cctv 일체형 스마트 가로등
KR20170129523A (ko) 횡단보도용 조명 스마트 제어 시스템
KR100720061B1 (ko) 경고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