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370B1 - 꽈배기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꽈배기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370B1
KR102484370B1 KR1020220123952A KR20220123952A KR102484370B1 KR 102484370 B1 KR102484370 B1 KR 102484370B1 KR 1020220123952 A KR1020220123952 A KR 1020220123952A KR 20220123952 A KR20220123952 A KR 20220123952A KR 102484370 B1 KR102484370 B1 KR 102484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disposed
unit
uncu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주)아그로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그로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아그로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20123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5/00Dough-divi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꽈배기 모양의 반죽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균일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꽈배기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꽈배기 제조장치는 지면에 지지되는 프레임 조립체, 프레임 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꽈배기 모양의 반죽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부, 이송부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송중인 반죽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반죽의 일부분을 수축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압부 및 가압부에 의해 수축된 반죽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반죽을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커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꽈배기 제조장치{TWISTED BREAD STICK MAKING MACHINE}
본 발명은 꽈배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앙기를 통해 꼬여진 반죽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설정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는 꽈배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꽈배기는 밀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형성된 반죽을 가락 형태로 뽑은 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반죽 가락을 손으로 꼬아 가열된 기름에 튀겨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수작업을 통하여 꽈배기를 제조하였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였고, 대량 생산이 필요할 경우에는 많은 인력이 필요로 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는 작업자가 반죽을 일일이 절단한 후, 이를 개별적으로 꼬아가면서 꽈배기 모양을 형성함에 따라, 작업에 오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꽈배기가 동일한 길이로 제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041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꽈배기 모양의 반죽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균일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꽈배기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죽의 절단 시 절단부위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원형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꽈배기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꽈배기 제조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최소인력으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면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꽈배기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꽈배기 제조장치는 지면에 지지되는 프레임 조립체;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꽈배기 모양의 반죽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송중인 상기 반죽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반죽의 일부분을 수축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의해 수축된 상기 반죽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반죽을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커팅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미절단된 반죽을 상기 커팅부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유닛; 및 상기 커팅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이송유닛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반죽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유닛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구동모터; 상기 제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롤러; 상기 제1 구동롤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 종동롤러들; 상기 제1 구동롤러와 상기 제1 종동롤러들의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구동롤러와 상기 제1 종동롤러들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벨트; 상기 제1 구동롤러와 상기 제1 종동롤러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이송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이송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1 가압롤러들; 상기 제1 종동롤러들 중 어느 하나를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1 이송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1 텐셔너; 및 상기 커팅부와 상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를 통과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상기 커팅부로 이송하는 보조 이송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텐셔너는, 상기 제1 종동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 지지 브라켓;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 상기 제1 롤러 지지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 부재;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나사축;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나사축이 나사 결합되고,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 나사축을 선형 이동시켜 상기 제1 롤러 지지 브라켓에 결합된 상기 제1 종동롤러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제1 회전소켓; 및 상기 제1 회전소켓에 연결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회전소켓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소켓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유닛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구동모터; 상기 제2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롤러; 상기 제2 구동롤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 종동롤러들; 상기 제2 구동롤러와 상기 제2 종동롤러들의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구동롤러와 상기 제2 종동롤러들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벨트; 상기 제2 구동롤러와 상기 제2 종동롤러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이송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제2 이송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2 가압롤러들; 및 상기 제2 종동롤러들 중 어느 하나를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2 이송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2 텐셔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텐셔너는, 상기 제2 종동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러 지지 브라켓;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레일; 상기 제2 롤러 지지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 부재;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나사축;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나사축이 나사 결합되고,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 나사축을 선형 이동시켜 상기 제2 롤러 지지 브라켓에 결합된 상기 제2 종동롤러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제2 회전소켓; 및 상기 제2 회전소켓에 연결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 회전소켓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소켓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송유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일부분을 1차적으로 수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가압유닛; 및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가압유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상측 및 하측에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일부분을 2차적으로 수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가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유닛 및 상기 제2 가압유닛은, 유체가 유입/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실린더 바디; 상기 실린더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 바디에 유체가 유입되면 상호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 바디로부터 유체가 배출되면 상호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는 회전암들; 및 상기 회전암들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외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가압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암들이 상호 평행이 되면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외면을 가압하여 축소시키고, 상기 회전암들이 상호 수평이 되면 상기 미절단된 반죽으로부터 이격되는 가압집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하강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 중인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상부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1 커팅유닛; 및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커팅유닛에 대향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승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 중인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하부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커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팅유닛과, 상기 제2 커팅유닛은 상호 맞물리면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팅유닛은,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면 그 길이가 신장되고,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면 그 길이가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제1 액추에이터;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승강되는 제1 승강블록; 상기 제1 승강블록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승강블록에 의해 승강되는 제1 케이지; 상기 제1 케이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케이지의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케이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케이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케이지가 하강되면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가압하여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가압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압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팅유닛은,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면 그 길이가 신장되고,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면 그 길이가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제2 액추에이터;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해 승강되는 제2 승강블록; 상기 제2 승강블록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승강블록에 의해 승강되는 제2 케이지; 상기 제2 케이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케이지의 하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2 지지부재; 상기 제2 케이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케이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케이지가 상승되면 상기 제1 가압부재에 맞물리면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가압하여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압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2 가압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압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재는,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되는 제1 승강바디; 상기 제1 승강바디의 내부에 수용되어 일부분이 상기 제1 승강바디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승강바디의 하강 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가압 및 절단하는 제1 커터; 및 상기 제1 승강바디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커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터는, 상기 제1 승강바디의 내면에 걸려 지지되는 제1 걸림편; 상기 제1 승강바디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가압하여 절개하는 요철형태의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1 승강바디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가압하여 압착시키는 평면형태의 제1 압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는 제2 승강바디; 상기 제2 승강바디의 내부에 수용되어 일부분이 상기 제2 승강바디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승강바디의 상승 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가압 및 절단하는 제2 커터; 및 상기 제2 승강바디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커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터는, 상기 제2 승강바디의 내면에 걸려 지지되는 제2 걸림편; 상기 제2 승강바디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절개부에 맞물리면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가압하여 절개하는 요철형태의 제2 절개부; 및 상기 제2 승강바디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압착부에 맞물리면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가압하여 압착시키는 평면형태의 제2 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부는, 상기 제1 커팅유닛과 상기 제2 커팅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에서 상기 미절단된 반죽 및 상기 절단된 반죽의 외면을 지지 및 가이드 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유닛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미절단된 반죽 및 상기 절단된 반죽의 외면을 지지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부재; 상기 볼트부재가 나사 결합되어 지지되는 지지 블록; 상기 볼트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볼트부재를 선형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볼트 제어 소켓; 및 상기 볼트 제어 소켓의 단부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볼트 제어 소켓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소켓 제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꽈배기 모양의 반죽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도록 구성되므로, 균일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이에 제품의 품질 및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를 통해 반죽의 외경을 축소시킨 뒤, 상하로 배치된 커팅부를 통해 반죽의 축소된 부위를 커팅하므로, 반죽의 절단 시 절단부위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의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꽈배기 형태의 반죽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균일한 길이로 절단하는 과정이 자동화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나아가 최소인력으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꽈배기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텐셔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텐셔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가 반죽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압유닛이 반죽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압유닛이 반죽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압부재 및 제2 가압부재의 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꽈배기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꽈배기 제조장치(1000)(이하 '꽈배기 제조장치(1000)'라 함)는 프레임 조립체(1), 이송부(2), 가압부(3) 및 커팅부(4)를 포함한다.
프레임 조립체(1)는 지면에 지지되고, 이송부(2), 가압부(3) 및 커팅부(4)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조립체(1)는 지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미도시), 제1 프레임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이송부(2), 가압부(3) 및 커팅부(4)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부(미도시), 제1 프레임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지면에 지지되고, 지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캐스터 유닛(미도시), 그리고 제1 프레임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수직방향을 따라 신장되어 지면에 지지되거나, 수직방향을 따라 수축되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복수의 지지 레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지 레그는 다접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지지 레그는 제1 프레임부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수직방향을 따라 신축되도록 구성되는 다중관 구조의 전동 실린더 유닛(미도시)과, 전동 실린더 유닛의 단부에 결합되고, 전동 실린더 유닛에 의해 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지지판(미도시)과, 지지판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판이 지면에 지지되면, 지지판의 반경방향으로 전개되면서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스파이크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스파이크 유닛은 각각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바(미도시), 제1 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바(미도시), 제2 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면서 고정된 상태로 지면에 지지 가능한 스파이크 부재(미도시)와, 제2 바를 제1 바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제1 스토퍼(미도시)와, 스파이크 부재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스토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2)는 프레임 조립체(1)의 상부에 배치되고, 꽈배기 모양의 반죽(D)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송부(2)는 제1 이송유닛(21) 및 제2 이송유닛(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유닛(21)은 미절단된 반죽(UD)을 커팅부(4)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이송유닛(21)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구동모터(211), 제1 구동모터(211)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롤러(212) 및 제1 구동롤러(212)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 종동롤러들(2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유닛(21)은 제1 구동롤러(212)와 제1 종동롤러들(213)의 둘레에 결합되고, 제1 구동롤러(212)와 제1 종동롤러들(213)에 의해 회전되면서 미절단된 반죽(UD)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벨트(214) 및 제1 구동롤러(212)와 제1 종동롤러들(213)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이송벨트(214)를 가압하여 제1 이송벨트(214)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1 가압롤러들(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유닛(21)은 제1 텐셔너(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텐셔너(216)는 제1 종동롤러들(213) 중 어느 하나를 수평 이동시켜, 제1 이송벨트(214)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텐셔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텐셔너(216)는 제1 종동롤러(21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 지지 브라켓(216A), 프레임 조립체(1)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216B) 및 제1 롤러 지지 브라켓(216A)에 결합되고, 제1 가이드레일(216B)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 부재(216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텐셔너(216)는 제1 슬라이딩 부재(216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나사축(216D)과, 프레임 조립체(1)의 내면에 배치되어 제1 나사축(216D)이 나사 결합되고,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나사축(216D)을 선형 이동시켜 제1 롤러 지지 브라켓(216A)에 결합된 제1 종동롤러(213)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제1 회전소켓(216E) 및 제1 회전소켓(216E)에 연결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1 회전소켓(216E)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소켓 구동모터(216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이송유닛(21)은 커팅부(4)와 가압부(3) 사이에 배치되고, 가압부(3)를 통과한 미절단된 반죽(UD)을 커팅부(4)로 이송하는 보조 이송롤러(2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송유닛(22)은 커팅부(4)를 중심으로 제1 이송유닛(21)에 대향 배치되고, 커팅부(4)에 의해 절단된 반죽(CD)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이송유닛(22)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구동모터(221), 제2 구동모터(221)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롤러(222) 및 제2 구동롤러(222)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 종동롤러들(2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유닛(22)은 제2 구동롤러(222)와 제2 종동롤러들(223)의 둘레에 결합되고, 제2 구동롤러(222)와 제2 종동롤러들(223)에 의해 회전되면서 미절단된 반죽(UD)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벨트(224) 및 제2 구동롤러(222)와 제2 종동롤러들(223)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이송벨트(224)를 가압하여 제2 이송벨트(224)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2 가압롤러들(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유닛(22)은 제2 텐셔너(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텐셔너(226)는 제2 종동롤러들(223) 중 어느 하나를 수평 이동시켜, 제2 이송벨트(224)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텐셔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텐셔너(226)는 제2 종동롤러(2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러 지지 브라켓(226A), 프레임 조립체(1)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레일(226B) 및 제2 롤러 지지 브라켓(226A)에 결합되고, 제2 가이드레일(226B)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 부재(226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텐셔너(226)는 제2 슬라이딩 부재(226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나사축(226D)과, 프레임 조립체(1)의 내면에 배치되어 제2 나사축(226D)이 나사 결합되고,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 나사축(226D)을 선형 이동시켜 제2 롤러 지지 브라켓(226A)에 결합된 제2 종동롤러(223)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제2 회전소켓(226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텐셔너(226)는 제2 회전소켓(226E)에 연결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2 회전소켓(226E)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소켓 구동모터(226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가 반죽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압유닛이 반죽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압유닛이 반죽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압부(3)는 이송부(2)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송중인 반죽(D)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반죽(D)의 일부분을 수축시키도록 구성된다.
가압부(3)는 제1 가압유닛(3A) 및 제2 가압유닛(3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가압유닛(3A)은 미절단된 반죽(UD)의 이송방향을 따라 제1 이송유닛(21)의 전방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미절단된 반죽(UD)의 좌측 및 우측에서 미절단된 반죽(UD)을 동시에 가압하여 미절단된 반죽(UD)의 일부분을 1차적으로 수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가압유닛(3B)은 미절단된 반죽(UD)의 이송방향을 따라 제1 가압유닛(3A)의 전방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미절단된 반죽(UD)의 상측 및 하측에서 미절단된 반죽(UD)을 동시에 가압하여 미절단된 반죽(UD)의 일부분을 2차적으로 수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가압유닛(3A) 및 제2 가압유닛(3B)은, 각각, 실린더 바디(31), 회전암들(32) 및 가압집게들(33)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바디(31)는 유체가 유입/배출되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 바디(31)는 유체가 유입되거나, 유체가 배출되면 내부에 배치된 구동계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암들(32)은 실린더 바디(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실린더 바디(31)에 유체가 유입되면 실린더 바디(31)에 의해 상호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실린더 바디(31)로부터 유체가 배출되면 실린더 바디(31)에 의해 상호 수평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압집게들(33)은 회전암들(32)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 미절단된 반죽(UD)의 외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가압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집게들(33)은 회전암들(32)이 상호 평행이 되면 미절단된 반죽(UD)의 외면을 가압하여 축소시키고, 회전암들(32)이 상호 수평이 되면 미절단된 반죽(UD)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커팅부(4)는 가압부(3)에 의해 수축된 반죽(D)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반죽(D)을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커팅부(4)는 제1 커팅유닛(41) 및 제2 커팅유닛(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팅유닛(41)은 이송부(2)의 상부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하강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 중인 미절단된 반죽(UD)을 상부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커팅유닛(41)은 제1 액추에이터(411), 제1 승강블록(412), 제1 케이지(413), 제1 지지부재(414), 제1 가압부재(415) 및 제1 탄성부재(4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411)는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면 그 길이가 신장되고,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면 그 길이가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승강블록(412)은 제1 액추에이터(411)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제1 액추에이터(411)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제1 케이지(413)는 제1 승강블록(412)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1 승강블록(412)에 의해 승강되고, 내부에 제1 지지부재(414), 제1 가압부재(415) 및 제1 탄성부재(416)가 수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414)는 제1 케이지(413)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1 케이지(413)의 상부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415)는 제1 케이지(413)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1 케이지(413)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케이지(413)가 하강되면 미절단된 반죽(UD)을 가압하여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압부재 및 제2 가압부재의 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가압부재(415)는 제1 승강바디(415A), 제1 커터(415B) 및 제1 완충부재(41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승강바디(415A)는 내부에 제1 커터(415B) 및 제1 완충부재(415C)가 수용되고, 제1 커터(415B)의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승강바디(415A)는 반죽(D)과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절단된 반죽(UD)의 이송방향을 따라 제1 승강바디(415A)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제1 경사면(415A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승강바디(415A)의 하강 시 제1 승강바디(415A)와 반죽(D)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1 커터(415B)는 제1 승강바디(415A)의 내부에 수용되어 일부분이 제1 승강바디(415A)의 하부로 돌출되고, 제1 승강바디(415A)의 하강 시 미절단된 반죽(UD)을 가압 및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터(415B)는 제1 승강바디(415A)의 내면에 걸려 지지되는 제1 걸림편(415B1), 제1 승강바디(415A)의 외부로 돌출되고, 미절단된 반죽(UD)을 가압하여 절개하는 요철형태의 제1 절개부(415B2) 및 제1 승강바디(415A)의 외부로 돌출되고, 미절단된 반죽(UD)을 가압하여 압착시키는 평면형태의 제1 압착부(415B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부재(415C)는 제1 승강바디(415A)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1 커터(415B)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탄성부재(416)는 제1 지지부재(414)와 제1 가압부재(415) 사이에 배치되고, 제1 가압부재(415)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커팅유닛(42)은 상하방향을 따라 제1 커팅유닛(41)에 대향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승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 중인 미절단된 반죽(UD)을 하부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커팅유닛(41)과, 제2 커팅유닛(42)은 상호 맞물리면서 미절단된 반죽(UD)을 절단할 수 있다.
제2 커팅유닛(42)은 제2 액추에이터(421), 제2 승강블록(422), 제2 케이지(423), 제2 지지부재(424), 제2 가압부재(425) 및 제2 탄성부재(4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421)는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면 그 길이가 신장되고,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면 그 길이가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승강블록(422)은 제2 액추에이터(421)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제2 액추에이터(421)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제2 케이지(423)는 제2 승강블록(42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제2 승강블록(422)에 의해 승강되고, 내부에 제2 지지부재(424), 제2 가압부재(425) 및 제2 탄성부재(426)가 수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424)는 제2 케이지(423)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2 케이지(423)의 하부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압부재(425)는 제2 케이지(423)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2 케이지(423)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케이지(423)가 상승되면 미절단된 반죽(UD)을 가압하여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가압부재(425)는 제2 승강바디(425A), 제2 커터(425B) 및 제2 완충부재(42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승강바디(425A)는 내부에 제2 커터(425B) 및 제2 완충부재(425C)가 수용되고, 제2 커터(425B)의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승강바디(425A)는 반죽(D)과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절단된 반죽(UD)의 이송방향을 따라 제2 승강바디(425A)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제2 경사면(425A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승강바디(425A)의 상승 시 제2 승강바디(425A)와 반죽(D)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2 커터(425B)는 제2 승강바디(425A)의 내부에 수용되어 일부분이 제2 승강바디(425A)의 상부로 돌출되고, 제2 승강바디(425A)의 상승 시 미절단된 반죽(UD)을 가압 및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터(425B)는 제2 승강바디(425A)의 내면에 걸려 지지되는 제2 걸림편(425B1), 제2 승강바디(425A)의 외부로 돌출되고, 제1 절개부(415B2)에 맞물리면서 미절단된 반죽(UD)을 가압하여 절개하는 요철형태의 제2 절개부(425B2) 및 제2 승강바디(425A)의 외부로 돌출되고, 제1 압착부(415B3)에 맞물리면서 미절단된 반죽(UD)을 가압하여 압착시키는 평면형태의 제2 압착부(425B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완충부재(425C)는 제2 승강바디(425A)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2 커터(425B)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2 탄성부재(426)는 제2 지지부재(424)와 제2 가압부재(425)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가압부재(425)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커팅부(4)는 가이드 유닛들(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 유닛들(43)은 제1 커팅유닛(41)과 제2 커팅유닛(42) 사이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에서 미절단된 반죽(UD) 및 절단된 반죽(CD)의 외면을 지지 및 가이드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유닛들(43)은 각각,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미절단된 반죽(UD) 및 절단된 반죽(CD)의 외면을 지지하는 가이드판(431), 가이드판(431)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부재(432), 볼트부재(432)가 나사 결합되어 지지되는 지지 블록(433), 볼트부재(432)의 단부에 결합되고, 회전을 통하여 볼트부재(432)를 선형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볼트 제어 소켓(434) 및 볼트 제어 소켓(434)의 단부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볼트 제어 소켓(434)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소켓 제어 모터(4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꽈배기 모양의 반죽(D)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도록 구성되므로, 균일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이에 제품의 품질 및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3)를 통해 반죽(D)의 외경을 축소시킨 뒤, 상하로 배치된 커팅부(4)를 통해 반죽(D)의 축소된 부위를 커팅하므로, 반죽(D)의 절단 시 절단부위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의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꽈배기 형태의 반죽(D)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균일한 길이로 절단하는 과정이 자동화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나아가 최소인력으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꽈배기 제조장치
1. 프레임 조립체
2. 이송부
21. 제1 이송유닛
211. 제1 구동모터
212. 제1 구동롤러
213. 제1 종동롤러
214. 제1 이송벨트
215. 제1 가압롤러
216. 제1 텐셔너
216A. 제1 롤러 지지 브라켓
216B. 제1 가이드레일
216C. 제1 슬라이딩 부재
216D. 제1 나사축
216E. 제1 회전소켓
216F. 제1 소켓 구동모터
217. 보조 이송롤러
22. 제2 이송유닛
221. 제2 구동모터
222. 제2 구동롤러
223. 제2 종동롤러
224. 제2 이송벨트
225. 제2 가압롤러
226. 제2 텐셔너
226A. 제2 롤러 지지 브라켓
226B. 제2 가이드레일
226C. 제2 슬라이딩 부재
226D. 제2 나사축
226E. 제2 회전소켓
226F. 제2 소켓 구동모터
3. 가압부
3A. 제1 가압유닛
3B. 제2 가압유닛
31. 실린더 바디
32. 회전암
33. 가압집게
331. 가압홈
4. 커팅부
41. 제1 커팅유닛
411. 제1 액추에이터
412. 제1 승강블록
413. 제1 케이지
414. 제1 지지부재
415. 제1 가압부재
415A. 제1 승강바디
415A1. 제1 경사면
415B. 제1 커터
415B1. 제1 걸림편
415B2. 제1 절개부
415B3. 제1 압착부
415C. 제1 완충부재
416. 제1 탄성부재
42. 제2 커팅유닛
421. 제2 액추에이터
422. 제2 승강블록
423. 제2 케이지
424. 제2 지지부재
425. 제2 가압부재
425A. 제2 승강바디
425A1. 제2 경사면
425B. 제2 커터
425B1. 제2 걸림편
425B2. 제2 절개부
425B3. 제2 압착부
425C. 제2 완충부재
426. 제2 탄성부재
43. 가이드 유닛
431. 가이드판
432. 볼트부재
433. 지지 블록
434. 볼트 제어 소켓
435. 소켓 제어 모터

Claims (7)

  1. 지면에 지지되는 프레임 조립체;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꽈배기 모양의 반죽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송중인 상기 반죽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반죽의 일부분을 수축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의해 수축된 상기 반죽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반죽을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미절단된 반죽을 상기 커팅부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유닛; 및
    상기 커팅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이송유닛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반죽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유닛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구동모터;
    상기 제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롤러;
    상기 제1 구동롤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 종동롤러들;
    상기 제1 구동롤러와 상기 제1 종동롤러들의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구동롤러와 상기 제1 종동롤러들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벨트;
    상기 제1 구동롤러와 상기 제1 종동롤러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이송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이송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1 가압롤러들;
    상기 제1 종동롤러들 중 어느 하나를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1 이송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1 텐셔너; 및
    상기 커팅부와 상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를 통과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상기 커팅부로 이송하는 보조 이송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텐셔너는,
    상기 제1 종동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 지지 브라켓;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
    상기 제1 롤러 지지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 부재;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나사축;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나사축이 나사 결합되고,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 나사축을 선형 이동시켜 상기 제1 롤러 지지 브라켓에 결합된 상기 제1 종동롤러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제1 회전소켓; 및
    상기 제1 회전소켓에 연결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회전소켓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소켓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꽈배기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유닛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구동모터;
    상기 제2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롤러;
    상기 제2 구동롤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 종동롤러들;
    상기 제2 구동롤러와 상기 제2 종동롤러들의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구동롤러와 상기 제2 종동롤러들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벨트;
    상기 제2 구동롤러와 상기 제2 종동롤러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이송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제2 이송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2 가압롤러들; 및
    상기 제2 종동롤러들 중 어느 하나를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2 이송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2 텐셔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텐셔너는,
    상기 제2 종동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러 지지 브라켓;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레일;
    상기 제2 롤러 지지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 부재;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나사축;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나사축이 나사 결합되고,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 나사축을 선형 이동시켜 상기 제2 롤러 지지 브라켓에 결합된 상기 제2 종동롤러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제2 회전소켓; 및
    상기 제2 회전소켓에 연결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 회전소켓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소켓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꽈배기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송유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일부분을 1차적으로 수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가압유닛; 및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가압유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상측 및 하측에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미절단된 반죽의 일부분을 2차적으로 수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꽈배기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하강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 중인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상부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1 커팅유닛; 및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커팅유닛에 대향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승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 중인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하부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커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팅유닛과, 상기 제2 커팅유닛은 상호 맞물리면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절단하는, 꽈배기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팅유닛은,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면 그 길이가 신장되고,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면 그 길이가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제1 액추에이터;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승강되는 제1 승강블록;
    상기 제1 승강블록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승강블록에 의해 승강되는 제1 케이지;
    상기 제1 케이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케이지의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케이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케이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케이지가 하강되면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가압하여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가압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압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팅유닛은,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면 그 길이가 신장되고,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면 그 길이가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제2 액추에이터;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해 승강되는 제2 승강블록;
    상기 제2 승강블록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승강블록에 의해 승강되는 제2 케이지;
    상기 제2 케이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케이지의 하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2 지지부재;
    상기 제2 케이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케이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케이지가 상승되면 상기 제1 가압부재에 맞물리면서 상기 미절단된 반죽을 가압하여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압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2 가압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압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꽈배기 제조장치.
KR1020220123952A 2022-09-29 2022-09-29 꽈배기 제조장치 KR102484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952A KR102484370B1 (ko) 2022-09-29 2022-09-29 꽈배기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952A KR102484370B1 (ko) 2022-09-29 2022-09-29 꽈배기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370B1 true KR102484370B1 (ko) 2023-01-03

Family

ID=8492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952A KR102484370B1 (ko) 2022-09-29 2022-09-29 꽈배기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3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419A (ko) 2004-05-19 2005-11-23 허동걸 꽈배기용 반죽물 이를 이용한 꽈배기의 제조 방법
KR100741304B1 (ko) * 2004-10-29 2007-07-23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음식 재료 공급 방법과 장치
KR101970821B1 (ko) * 2018-12-26 2019-04-23 (주)아그로시스템즈 포앙식품용 성형 컨베이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419A (ko) 2004-05-19 2005-11-23 허동걸 꽈배기용 반죽물 이를 이용한 꽈배기의 제조 방법
KR100741304B1 (ko) * 2004-10-29 2007-07-23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음식 재료 공급 방법과 장치
KR101970821B1 (ko) * 2018-12-26 2019-04-23 (주)아그로시스템즈 포앙식품용 성형 컨베이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70934B (zh) 一种用于书籍封面的压痕装置及其使用方法
CN102896806A (zh) 一种纸箱折叠机
CN109433914A (zh) 一种冰箱外壳柔性生产线
CN112810350A (zh) 一种精装书的装订生产线
KR102484370B1 (ko) 꽈배기 제조장치
CN105290924A (zh) 一种带旋转装置的筷子自动成型机
CN105685146B (zh) 一种食品加工装置
CN106141660A (zh) 一种挂带全自动组装机
EP1873092A1 (en) Bilateral machine for processing glass panes shaped like a parallelogram with non-right angles
CN107089021A (zh) 胎肩垫胶供料装置
CN209452612U (zh) 一种冰箱外壳柔性生产线
TWI680107B (zh) 玻璃板之折斷機械
CN104510086B (zh) 一种鞋类加工设备及方法
CN114851328B (zh) 一种用于竹材料加工的展平加工装置
CN115366217A (zh) 人造板热压整型机及其工作方法
CN114259065B (zh) 一种苹果去核机及其使用方法
CN114775178A (zh) 一种面料花型缝制用输送设备
KR20160083251A (ko) 가열압착부를 갖는 롤형 이음김 제조장치
KR102105964B1 (ko) 야채절단장치
US5409341A (en) Book cover assembly apparatus
CN210589555U (zh) 一种减少废料产生的裁切机
KR100952701B1 (ko) 구이김 누름장치
KR101868335B1 (ko) 만두용 성형장치
CN215469489U (zh) 一种铁盒包装生产用裁剪装置
KR102117911B1 (ko) 접지 용지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