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911B1 - 접지 용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접지 용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911B1
KR102117911B1 KR1020190013520A KR20190013520A KR102117911B1 KR 102117911 B1 KR102117911 B1 KR 102117911B1 KR 1020190013520 A KR1020190013520 A KR 1020190013520A KR 20190013520 A KR20190013520 A KR 20190013520A KR 102117911 B1 KR102117911 B1 KR 102117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elt
ground
paper
be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기
Original Assignee
(주) 대흥씨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흥씨앤피 filed Critical (주) 대흥씨앤피
Priority to KR1020190013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9/00Multi-step processes for making books
    • B42C19/08Conveying between operating stations in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65H5/023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between a pair of belts forming a transport n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6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6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 B65H2404/261Arrangement of belts, or belt(s) / roller(s) facing each other for forming a transport nip
    • B65H2404/2613Means for changing the transport path, e.g. deforming, length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 용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한 쌍의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이로 접지 용지를 압착이송하는 이송장치로서, 접지 용지가 압착되면서 벨트 사이로 수평하게 인입되는 인입부와, 인입부를 통해 압착된 상태로 인입되어 벨트 사이에서 압착이송되는 접지 용지가 수직하게 기울어짐과 아울러 이송방향이 전환되는 방향전환부 및 방향전환부에 의해 이송방향이 전환되면서 벨트 사이에서 압착이송되는 접지 용지가 원상태로 수평하게 기울어지면서 압착되어 반출되는 배지부를 포함하는 접지 용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첩된 접지 용지를 벨트 사이에 압착하여 이송하면서 벨트의 진행방향의 측방향으로 접지 용지의 이송방향을 전환함으로써 넓은 공간을 필요로 했던 유니트 배열이 절반 이하의 공간에서도 설치작업이 가능해져 공간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접지 용지 이송장치{Folding paper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접지 용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첩된 접지 용지의 이송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접지 용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지장치는, 정렬된 상태로 겹쳐진 여러 장의 용지를 동시에 접어서 책자의 형태를 갖추도록 하기 위해 제본기 등에 적용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접지장치를 구비하는 제본기는 독립적으로 책자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복사기나 인쇄기 등에 부가적으로 장착되어 복사기나 인쇄기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물을 책자 형태로 제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지 접지기는 복사기, 프린터 등의 인쇄기기에 설치되거나, 또는 인쇄기기와는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며,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두 개의 폴딩 롤러를 이용하여 인쇄된 용지를 반으로 접기 위한 장치이다.
한편, 용지 접지제본기에서 중첩이 많이 되는 접지물일수록 전후 공정을 위한 다수의 유니트를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에는 접지기 본체에서 'ㄱ'자로 꺾인 다음, 압축기, 라벨러와 같은 후공정 유니트부터는 각 유니트가 길게 나열된다. 이렇게 유니트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접지 용지는 벨트 컨베이어 상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하게 된다.
종래에는 본체 용지적재 투입구로부터 최종생산품이 나오는 배지부 간의 거리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투입구에 불량지 손입시 신속한 처리가 불가능해 많은 손지율과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한 명의 작업자가 여러 유니트의 가동상태를 공간상 빠르게 체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생산원가 및 노동생산성 향상이 저하되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고, 'ㄱ'자로 길게 나열됨으로써 장치설치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공간활용의 비효율성 및 제조공장의 임대료 상승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벨트 컨베이어 방식의 이송은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여러번 중첩되어 그 크기가 가로/세로 약 3.5cm 이하의 미니접지물의 이송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부연하면, 여러번 중첩된 미니접지물이 벨트 컨베이어 상에서 완전히 압착되어 이송되는 것이 아니라 접지된 부분이 펴져 이송되어 이송시 접지물이 움직이거나 이탈되는 경우가 있고, 이송되는 접지물의 형태가 일정하지 않아 다음 유니트에서의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 이송방식은 여러 번 중첩된 용지의 이송시 압착이 제대로 되지 않아 제품에 잦은 트러블이 발생하며 투입구와 배출부의 제품이송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를 통한 이송방식은 설계상 제품 투입구와 배출부의 두께조정에 한계가 존재하고, 다른 유니트와 연동시 설계방식상 접속이 부적합한 유니트가 많이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2345호(2009년 01월 27일 공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중첩된 접지 용지를 벨트 사이에 압착하여 이송하면서 벨트의 진행방향의 측방향으로 접지 용지의 이송방향을 전환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여러 장치 유니트를 설치 가동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접지 용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설치라인을 짧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각 유니트의 작동을 효과적으로 체크하여 작업 생산성의 향상과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접지 용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여러번 중첩된 용지를 형태 변형 및 트러블 없이 빠르고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고, 중첩된 인쇄물의 두께에 따라 정확히 이송함과 아울러 기계조작의 간편함을 제공할 수 있는 접지 용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과제는, 다수 중첩된 미니 인쇄물의 이송이 가능할 뿐만 나이라 어떠한 유니트와도 호환될 수 있는 접지 용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한 쌍의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이로 접지 용지를 압착이송하는 이송장치로서, 상기 접지 용지가 압착되면서 상기 벨트 사이로 수평하게 인입되는 인입부, 상기 인입부를 통해 압착된 상태로 인입되어 상기 벨트 사이에서 압착이송되는 상기 접지 용지가 수직하게 기울어짐과 아울러 이송방향이 전환되는 방향전환부 및 상기 방향전환부에 의해 이송방향이 전환되면서 상기 벨트 사이에서 압착이송되는 상기 접지 용지가 원상태로 수평하게 기울어지면서 압착되어 반출되는 배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입부와 상기 배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하부프레임 사이에 장착되며, 제1 벨트가 무한궤도로 권취된 하부 롤러 및 상기 하부 롤러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부 롤러와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며, 한 쌍의 상부프레임 사이에 장착되고, 제2 벨트가 무한궤도로 권취된 상부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벨트와 제2 벨트 사이에 상기 접지 용지가 압착된 상태로 이송되며, 상기 인입부와 상기 배지부는 서로 비대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부와 상기 배지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상기 상부프레임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제1 돌기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단부 일측에 돌출형성된 제2 돌기와,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에 양단이 각각 결합된 탄성 스프링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프레임에 나선결합되고 끝단이 하부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조절볼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부와 상기 배지부는, 상기 제2 벨트의 상부를 하향 가압하는 홈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전환부는, 회전축이 수직인 상태로 상기 인입부와 상기 배지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벨트의 상부와 상기 제2 벨트의 하부가 권취된 구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에 연결되어 구동 롤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며, 구동 롤러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벨트의 하부가 권취된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아이들 롤러는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롤러의 일측에 배치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 벨트의 상부가 권취된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가이드 롤러는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지지대에 경사지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측에 비접촉한 상태로 지면에 안착된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지지대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 블럭, 상기 수직지지대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블럭에 타측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가이드 블럭의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블럭, 상기 가이드 블럭의 하단부에 축결합된 구동기어, 상기 가이드 블럭의 상단부에 축결합된 종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 무한궤도로 권취되며, 일단은 상기 승강블럭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블럭의 하부에 각각 연결된 체인 및 상기 구동기어에 결합되어 구동기어를 정역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첩된 접지 용지를 벨트 사이에 압착하여 이송하면서 벨트의 진행방향의 측방향으로 접지 용지의 이송방향을 전환함으로써 넓은 공간을 필요로 했던 유니트 배열이 절반 이하의 공간에서도 설치작업이 가능해져 공간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번 중첩된 접지 용지를 빠른 속도로 형태 변형 및 트러블 없이 인입부에서 배지부까지 정확히 이송함으로써 후공정 유니트가 정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입부와 배지부를 중첩된 접지 용지의 두께에 맞게 간단한 조작을 통해 조절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절감되어 작업 생산성이 증대되며,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라인의 효율화로 공간 및 생산성 향상과 품질관리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라인을 공간이나 생산성, 품질관리에 맞게 'ㄷ'자 형태, 'ㄹ'자 형태 등 자유롭게 작업자가 배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율적 기계라인을 구동함으로써 생산성 및 품질증대 이외에 임대료와 전기세 등의 공장유지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초 용지 투입부터 최종 생산품 배출까지 동선이 짧아짐으로 인해 작업자가 유니트 가동을 쉽게 체크할 수 있고, 신속히 에러를 처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세로 약 3.5cm 이하의 초소형 인쇄물도 빠르고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을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지 용지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접지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접지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접지 용지 이송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지 용지 이송장치는, 인입부(100), 방향전환부(200) 및 배지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접지 용지 이송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롤러(120, 320)와, 이 하부롤러(120, 320)에 무한궤도로 권취된 제1 벨트(400)로 이루어진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와, 한 쌍의 상부롤러(140, 340)와, 이 상부롤러(140, 340)에 무한궤도로 권취된 제2 벨트(500)로 이루어진 다른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제1 벨트(400)와 제2 벨트(500) 사이로 접지 용지(P)를 압착이송하는 이송장치이다.
여기서, 접지 용지(P)는, 다수 중첩되어 그 크기가 매우 작은 용지를 일컫으며, 접힌 횟수에 한정되지 않고, 최소 한번 이상 접힌 용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롤러(120, 320)와 상부롤러(140, 340)와 각각 무한궤도로 권취되어 하부롤러(120, 320)와 상부롤러(140, 340)에 접하는 제1 벨트(400)와 제2 벨트(500)의 내측면은 신축성 있는 천 소재이며, 접지 용지(P)에 접하여 접지 용지(P)가 압착되는 제1 벨트(400)와 제2 벨트(500)의 외측면은 접지 용지(P)를 정확히 이송하고, 접지 용지(P)의 형태변형, 이탈 및 슬립을 억제하기 위해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인입부(100)는, 고속으로 다수 접지된 접지 용지(P)를 이전 유니트로부터 넘겨 받아 접지 용지(P)를 제1 벨트(400)와 제2 벨트(500) 사이로 수평하게 인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에 각각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하부프레임(110) 사이에 장착되며, 제1 벨트(400)가 권취된 하부 롤러(120) 및 하부 롤러(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부 롤러(120)와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며, 한 쌍의 상부프레임(130) 사이에 장착되고, 제2 벨트(500)가 권취된 상부 롤러(140)로 구성된다.
이때, 하부 롤러(110)와 상부 롤러(140)의 회전축이 수평한 상태이기 때문에 접지 용지(P)가 수평하게 인입된다.
그리고, 하부 롤러(110)와 상부 롤러(140)가 서로 비접촉한 상태로 상하 마주보며 대응하는데, 접지 용지(P)가 하부 롤러(110)와 상부 롤러(140)에 의해 상하로 압축되면서 하부 롤러(110)와 상부 롤러(140) 사이로 인입되기 때문에 접지 용지(P)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하부프레임(110)에 상부프레임(130)이 힌지결합되어 상부 롤러(140)와 하부 롤러(1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먼저, 하부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제1 돌기(111)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30)의 후단부 일측에는 제2 돌기(131)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제1 돌기(111)와 제2 돌기(131)에는 양단이 각각 결합된 탄성 스프링(15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30)의 후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프레임(130)에 나선결합되고 끝단이 하부프레임(110)의 상면에 안착된 조절볼트(160)로 구성된다.
즉, 조절볼트(160)가 하부프레임(11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조절볼트(160)를 정역회전하면 지렛대 원리로 인해 상부 롤러(140)와 하부 롤러(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인입되는 접지 용지(P)의 두께에 맞게 상부 롤러(140)와 하부 롤러(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부 롤러(140)와 하부 롤러(120) 사이로 인입되는 접지 용지(P)의 인입을 안정화할 수 있고, 탄력 및 탄성이 강한 제1 벨트(400)와 제2 벨트(500) 사이로 접지 용지(P)를 압착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인입부(100)에는, 제2 벨트(500)의 상부를 하향 가압하는 홈 롤러(1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홈 롤러(170)가 제2 벨트(500)의 상부를 하향 가압함으로 인해 제2 벨트(500)의 쏠림 및 흔들림을 방지하여 인입되는 접지 용지(P)의 이송을 안정화할 수 있다.
방향전환부(200)는, 인입부(100)와 배지부(300) 사이에 배치되며, 인입부(100)를 통해 압착된 상태로 인입되어 제1 벨트(400)와 제2 벨트(500) 사이에서 압착이송되는 접지 용지(P)가 수직하게 기울이면서 접지 용지(P)의 이송방향을 접지 용지(P)의 진행방향의 측방향, 즉 배지부(300)를 향해 방향을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동 롤러(210)와, 구동 모터(220) 및 아이들 롤러(230)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 롤러(210)는, 하부 롤러(120, 320) 및 상부 롤러(140, 340)와 달리 회전축이 수직인 상태로 인입부(100)와 배지부(30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동 롤러(210)의 외경에 제1 벨트(400)의 상부와 제2 벨트(500)의 하부가 권취된다.
부연하면, 구동 롤러(210)의 회전축이 수직이기 때문에 인입부(100)를 통해 인입되는 접지 용지(P)를 수평하게 압착하는 제1 벨트(400)의 상부와 제2 벨트(500)의 하부가 일방향으로 비틀리면서 수직하게 세워지게 되고, 이렇게 세워진 제1 벨트(400)의 상부와 제2 벨트(500)의 하부가 구동 롤러(210)의 외경에 권취된다.
즉,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제1 벨트(400)와 제2 벨트(500)의 외측면에 접지 용지(P)가 압착된 상태로 이송되는데, 구동 롤러(210)의 외경에는 제1 벨트(400)의 상부 내측면이 접하게 된다.
구동 모터(2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부에 설치되며, 구동 롤러(210)에 연결되어 구동 롤러(2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구동 모터(220)는 구동 롤러(210)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어 구동 롤러(2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타이밍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용 벨트를 통해 구동 롤러(2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2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장착된 컨트롤러(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컨트롤러(C)에 의해 구동 모터(220)의 온오프 및 구동 모터(220)의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아이들 롤러(230)는, 구동 롤러(2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1 벨트(400)의 하부가 권취된다. 그리고, 아이들 롤러(230)는 구동 롤러(210)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구동 롤러(210)와 아이들 롤러(230)는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즉, 구동 롤러(210)는 접지 용지(P)를 배지부(300)로 이송하기 위해 배지부(300)를 향해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반대방향으로 아이들 롤러(230)가 역방향 회전하여 아이들 롤러(230)에 권취된 제1 벨트(400)의 하부는 인입부(100)를 향해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아이들 롤러(230)의 외경에는 제1 벨트(400)의 하부 외측면이 접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구동 롤러(210)의 일측에 배치된 지지대(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대(11)에는 고무 소재의 가이드 롤러(24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가이드 롤러(240)에는 제2 벨트(500)의 상부가 권취된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240)는 지지대(11)에 경사지게 장착되며, 구동 롤러(210)와 가이드 롤러(240)는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즉, 구동 롤러(210)의 상측에 가이드 롤러(240)를 배치하되, 지지대(11)에 약 111.5도 가량 경사지게 장착된 상태로 구동 롤러(210)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함으로써 가이드 롤러(240)에 권취된 제2 벨트(500)의 급격한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지부(300)를 통과한 제2 벨트(500)를 인입부(100)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접지 용지(P)의 이동에 간섭을 방지하고 고속회전시에 벨트의 유연성 및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240)의 외경에는 제2 벨트(500)의 상부 내측면이 접하게 된다.
배지부(300)는, 방향전환부(200)에 의해 이송방향이 전환되면서 제1 벨트(400)와 제2 벨트(500) 사이에서 압착이송되는 접지 용지(P)가 원상태로 수평하게 기울어지면서 접지 용지(P)를 수평하게 압착하여 후공정 유니트로 넘겨주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타측에 각각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하부프레임(310) 사이에 장착되며, 제1 벨트(400)가 권취된 하부 롤러(320) 및 하부 롤러(320)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부 롤러(320)와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며, 한 쌍의 상부프레임(330) 사이에 장착되고, 제2 벨트(500)가 권취된 상부 롤러(3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입부(100)와 상기 배지부(300)는 방향전환부(300)에 의해 서로 비대면 배치된다.
한편, 하부 롤러(320)와 상부 롤러(340)의 회전축이 수평한 상태이기 때문에 접지 용지가 수평하게 배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롤러(320)와 상부 롤러(340)가 서로 비접촉한 상태로 상하 마주보며 대응하는데, 접지 용지(P)가 하부 롤러(320)와 상부 롤러(340)에 의해 상하로 압축되면서 하부 롤러(320)와 상부 롤러(340) 사이로 배지되기 때문에 배지되는 접지 용지(P)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하부프레임(310)에 상부프레임(330)이 힌지결합되어 상부 롤러(340)와 하부 롤러(3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먼저, 하부프레임(310)의 일측에는 제1 돌기(311)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330)의 후단부 일측에는 제2 돌기(331)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제1 돌기(311)와 제2 돌기(331)에는 양단이 각각 결합된 탄성 스프링(35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330)의 후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프레임(330)에 나선결합되고 끝단이 하부프레임(310)의 상면에 안착된 조절볼트(360)로 구성된다.
즉, 조절볼트(360)가 하부프레임(31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조절볼트(360)를 정역회전하면 지렛대 원리로 인해 상부 롤러(340)와 하부 롤러(3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배지되는 접지 용지(P)의 두께에 맞게 상부 롤러(340)와 하부 롤러(3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부 롤러(340)와 하부 롤러(320) 사이로 배지되는 접지 용지(P)의 배지를 안정화할 수 있다.
그리고, 배지부(300)에는, 제2 벨트(500)의 상부를 하향 가압하는 홈 롤러(3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홈 롤러가 제2 벨트(500)의 상부를 하향 가압함으로 인해 제2 벨트(500)의 쏠림 및 흔들림을 방지하여 접지 용지(P)의 배지를 안정화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베이스 플레이트(10)에는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수직지지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지지대(12)의 하측에 비접촉한 상태로 지면에 안착된 받침 플레이트(13)가 구비된다. 높이조절수단(600)은 수직지지대(12)와 받침 플레이트(13)에 연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높이조절수단(600)은, 가이드 블럭(610), 승강블럭(620), 구동기어(630), 종동기어(640), 체인(650) 및 핸들(660)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블럭(610)은, 받침 플레이트(13)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받침 플레이트(13)의 하부에는 복수의 캐스터(W)가 장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접지 용지 이송장치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승강블럭(620)은, 수직지지대(12)의 일측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 블럭(610)에 타측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가이드 블럭(610)을 따라 가이드 블럭(610)의 길이방향으로 승강한다.
구동기어(630)는 가이드 블럭(610)의 하단부에 축결합되고, 종동기어(640)는 가이드 블럭(610)의 상단부에 축결합된다.
이러한 구동기어(630)와 종동기어(640)에 체인(650)이 무한궤도로 권취되는데, 여기서 체인(650)의 일단은 승강블럭(620)의 상부에 연결되고, 체인(650)의 타단은 승강블럭(620)의 하부에 연결된다.
핸들(660)은 구동기어(630)에 결합되어 구동기어(630)를 정역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핸들(660)을 파지한 상태로 핸들(66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블럭(620)이 가이드 블럭(610)을 따라 슬라이딩 하강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 또한 하강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핸들(660)을 역방향 회전시키면 승강블럭(620)이 가이드 블럭(610)을 따라 슬라이딩 상승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 또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수직지지대(12)와 받침 플레이트(13)에 양단이 각각 결합된 쇽업쇼바(670)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승강블럭(620)이 가이드 블럭(6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가 가이드 블럭(610)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베이스 플레이트 11: 지지대
12: 수직지지대 13: 받침 플레이트
100: 인입부 110, 310: 하부프레임
111, 311: 제1 돌기 120, 320: 하부 롤러
130, 330: 상부프레임 131, 331: 제2 돌기
140, 340: 상부 롤러 150, 350: 탄성 스프링
160, 360: 조절볼트 170, 370: 홈 롤러
200: 방향전환부 210: 구동 롤러
220: 구동 모터 230: 아이들 롤러
240: 가이드 롤러 300: 배지부
400: 제1 벨트 500: 제2 벨트
600: 높이조절수단 610: 가이드 블럭
620: 승강블럭 630: 구동기어
640: 종동기어 650: 체인
660: 핸들 670: 쇽업쇼바
680: 스토퍼 C: 컨트롤러
P: 접지 용지 W: 캐스터

Claims (10)

  1.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한 쌍의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이로 접지 용지를 압착이송하는 이송장치로서,
    상기 접지 용지가 압착되면서 상기 벨트 사이로 수평하게 인입되는 인입부;
    상기 인입부를 통해 압착된 상태로 인입되어 상기 벨트 사이에서 압착이송되는 상기 접지 용지가 수직하게 기울어짐과 아울러 이송방향이 전환되는 방향전환부; 및
    상기 방향전환부에 의해 이송방향이 전환되면서 상기 벨트 사이에서 압착이송되는 상기 접지 용지가 원상태로 수평하게 기울어지면서 압착되어 반출되는 배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입부와 상기 배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하부프레임 사이에 장착되며, 제1 벨트가 무한궤도로 권취된 하부 롤러; 및
    상기 하부 롤러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부 롤러와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며, 한 쌍의 상부프레임 사이에 장착되고, 제2 벨트가 무한궤도로 권취된 상부 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벨트와 제2 벨트 사이에 상기 접지 용지가 압착된 상태로 이송되며, 상기 인입부와 상기 배지부는 서로 비대면 배치되되,
    상기 방향전환부는,
    회전축이 수직인 상태로 상기 인입부와 상기 배지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벨트의 상부와 상기 제2 벨트의 하부가 권취된 구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에 연결되어 구동 롤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며, 구동 롤러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벨트의 하부가 권취된 아이들 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아이들 롤러는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용지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와 상기 배지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상기 상부프레임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용지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제1 돌기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단부 일측에 돌출형성된 제2 돌기와,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에 양단이 각각 결합된 탄성 스프링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프레임에 나선결합되고 끝단이 하부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조절볼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용지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와 상기 배지부는,
    상기 제2 벨트의 상부를 하향 가압하는 홈 롤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용지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롤러의 일측에 배치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 벨트의 상부가 권취된 가이드 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가이드 롤러는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용지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지지대에 경사지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용지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측에 비접촉한 상태로 지면에 안착된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지지대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용지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 블럭;
    상기 수직지지대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블럭에 타측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가이드 블럭의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블럭;
    상기 가이드 블럭의 하단부에 축결합된 구동기어;
    상기 가이드 블럭의 상단부에 축결합된 종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 무한궤도로 권취되며, 일단은 상기 승강블럭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블럭의 하부에 각각 연결된 체인; 및
    상기 구동기어에 결합되어 구동기어를 정역회전시키는 핸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용지 이송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13520A 2019-02-01 2019-02-01 접지 용지 이송장치 KR102117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20A KR102117911B1 (ko) 2019-02-01 2019-02-01 접지 용지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20A KR102117911B1 (ko) 2019-02-01 2019-02-01 접지 용지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911B1 true KR102117911B1 (ko) 2020-06-02

Family

ID=7109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520A KR102117911B1 (ko) 2019-02-01 2019-02-01 접지 용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9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479A (ko) * 1994-09-13 1996-04-20 이형도 인쇄회로기판의 투입방향 전환장치
JP2000108556A (ja) * 1998-10-06 2000-04-18 Dainippon Printing Co Ltd 連続フォームの接着装置
JP2000198617A (ja) * 1998-12-30 2000-07-18 Toppan Forms Co Ltd 連続装置の丁合装置
KR20000074235A (ko) * 1999-05-19 2000-12-15 성재갑 화장품 용기의 자동 팩킹장치
KR20120012345A (ko) 2010-07-30 2012-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화 규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18295B1 (ko) * 2015-08-07 2016-05-04 안해연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479A (ko) * 1994-09-13 1996-04-20 이형도 인쇄회로기판의 투입방향 전환장치
JP2000108556A (ja) * 1998-10-06 2000-04-18 Dainippon Printing Co Ltd 連続フォームの接着装置
JP2000198617A (ja) * 1998-12-30 2000-07-18 Toppan Forms Co Ltd 連続装置の丁合装置
KR20000074235A (ko) * 1999-05-19 2000-12-15 성재갑 화장품 용기의 자동 팩킹장치
KR20120012345A (ko) 2010-07-30 2012-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화 규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18295B1 (ko) * 2015-08-07 2016-05-04 안해연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215614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тапелировани сфальцованных печатных материалов ,подводимых каскадным потоком
US8152434B2 (en) Double infeed stacking table with centering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tacks to a gripper with an infeed station of this type
CN216186407U (zh) 纸张的输送、堆叠捆扎一体式设备
GB1561761A (en) Sheet feeding
KR100426598B1 (ko) 복사기의 용지처리장치
KR102117911B1 (ko) 접지 용지 이송장치
CN108483075B (zh) 一种进纸装置以及运用该进纸装置的折纸机
KR101237004B1 (ko) 하급지형 골판지 자동급지기계
US6234474B1 (en) Paper accumulating device
EP3459754B1 (en) Book binding apparatus
CN103043467A (zh) 用于页张并且具有上置式喷吹空气室的输送装置
US20090165960A1 (en) Tape binding device
CN1648023A (zh) 纸令横向传送的方法和布置以及设备
CN211108282U (zh) 一种纸盒上料装置
GB2538651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processing blank
KR20170074479A (ko) 인쇄매체 후처리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CN220640442U (zh) 一种通用型打包机
JPH07171914A (ja) バッチ揃え・搬送機構
CN109955312A (zh) 一种废纸筛除机
CN109353606A (zh) 折叠板封面机
JP5092899B2 (ja) 中継搬送装置及び後処理装置
CN214827850U (zh) 一种印刷折页机
CN220180262U (zh) 纸箱折叠设备
CN110526016B (zh) 一种废品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211105914U (zh) 糊盒机的压边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