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295B1 -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295B1
KR101618295B1 KR1020150111628A KR20150111628A KR101618295B1 KR 101618295 B1 KR101618295 B1 KR 101618295B1 KR 1020150111628 A KR1020150111628 A KR 1020150111628A KR 20150111628 A KR20150111628 A KR 20150111628A KR 101618295 B1 KR101618295 B1 KR 101618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air
printing paper
folding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해연
Original Assignee
안해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해연 filed Critical 안해연
Priority to KR1020150111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9/00Multi-step processes for making books
    • B42C19/02Multi-step processes for making books starting with singl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53Forms specially designed for commercial use, e.g. bills, receipts, offer or order sheets, coupons
    • B42D15/006Shipp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5/008Foldable or folded sheets

Landscapes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이나 체결 장치 없이 한 장의 종이를 접어서 기존 책자의 무선제본과 같은 모서리면을 형성해주도록 한 접이식 책자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의 뼈대를 이루는 몸체 프레임(10);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좌측 상부에 배치되며, 중앙에 한 쌍의 오시선(C1)(C2)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오시선(C1)(C2)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각각 여러 장 접지되어 펼쳐진 상태로 구비된 인쇄용지를 작업진행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제1이송수단(20); 상기 몸체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용지에 형성된 한 쌍의 오시선(C1)(C2) 중 우측에 형성된 오시선(C2)을 눌러주어 정확히 접히도록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 접이수단(30); 상기 가이드 접이수단(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용지에 형성된 한 쌍의 오시선(C1)(C2)이 접힌 상태에서 가압해주어 모서리 각을 형성시켜주는 가압수단(40); 및 상기 몸체 프레임의 우측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수단의 공정을 거쳐 모서리 각이 형성되어 책자 형태로 완성된 인쇄용지를 외부로 인출시켜주는 제2이송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MANUFACTURING EQUIPMENT FOR FOLDING BOOK}
본 발명은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이나 체결 장치 없이 한 장의 종이를 접어서 기존 책자의 무선제본과 같은 모서리면을 형성해주도록 한 접이식 책자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지와 책자는 종이 인쇄물의 가장 보편적인 2가지 형태이다. 책자는 비교적 많은 내용을 전달할 경우에 사용하고, 접지는 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내용을 전달할 경우에 사용된다.
최근, 책자와 마찬가지로 접지도 저렴한 가격으로 효과적인 정보 등을 전달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제공하는 내용의 규모가 비슷하더라도 접지는 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이미지가 있고, 내구성이나 기능성으로 책자보다 불리한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일례로, 접지의 한 면 혹은 양면에, 두꺼운 겉지 등을 대어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심미적으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재고시키려는 노력을 지속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책자보다 저렴하더라도 기존 접지보다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고가이며, 여전히 접지를 모두 펼쳐야 내용을 볼 수 있는 등의 불편한 요소가 남아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두꺼운 겉장을 별도로 부착하지 않고서 책자와 같이 접는 기술은 그 한계가 있다. 가령, 얇은 종이를 접어 모서리면(일명, 세네카)을 만들려면 일종의 강한 힘 등으로 종이가 꺾여서 유지되어야 하는데 낱장의 내지만으로는 물리적인 압력 등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백화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중앙을 모서리 면으로 하고, 양 옆에서 접는 과정에서, 여러 줄의 꺾임선(일명, 오시선)을 동시에 만들어야 하는데, 기존의 압력 방식(일명 도무송 오시)을 이용하면, 종이가 틀어져서 그 선이 일직선이 되지 못하게 되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조장치에 종이를 반복적으로 넣다 보면, 종이의 내구성도 현저하게 떨어질 뿐 아니라 작업의 정밀도도 낮아지고, 단가는 높아짐으로 현실적으로 시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접었다 폈다 해야되는데 작업의 효율성이 낮아짐은 물론 작업에 대한 인건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 장으로 구성된 인쇄물을 별도의 겉장이나 보호 부재(케이스) 등을 사용하지 않고, 그 자체로서 최종적으로 접은 모습이 책자의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작은 부피로 책장과 같이 내용을 볼 수 있고, 내구성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동일한 제작 비용으로도 책자와 같은 높은 심미성과 편의성을 갖춘 인쇄물을 제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의 뼈대를 이루는 몸체 프레임; 상기 몸체 프레임의 좌측 상부에 배치되며, 중앙에 한 쌍의 오시선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오시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각각 여러 장 접지되어 펼쳐진 상태로 구비된 인쇄용지를 작업진행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제1이송수단; 상기 몸체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용지에 형성된 한 쌍의 오시선중 우측에 형성된 오시선을 눌러주어 정확히 접히도록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 접이수단; 상기 가이드 접이수단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용지에 형성된 한 쌍의 오시선이 접힌 상태에서 가압해주어 모서리 각을 형성시켜주는 가압수단; 및 상기 몸체 프레임의 우측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수단의 공정을 거쳐 모서리 각이 형성되어 책자 형태로 완성된 인쇄용지를 외부로 인출시켜주는 제2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장으로 구성된 인쇄물을 별도의 겉장이나 보호 장치(케이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 그 자체로서 최종적으로 접은 모습이 책자의 형태를 띠도록 하여, 작은 부피로 책장 넘기듯 내용을 볼 수 있고, 내구성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동일한 제작 비용으로도 책자와 같은 높은 심미성과 편의성 등을 갖춘 인쇄물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의 전체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의 전체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사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사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의 제1이송수단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의 접이수단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수단의 가이드 칼이 인쇄용지에 형성된 오시선을 누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수단의 가이드 칼이 인쇄용지에 형성된 오시선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로 인쇄용지에 모서리 각을 형성시켜 책자 형태로 제작이 완료된 인쇄용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1)는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의 뼈대를 이루는 몸체 프레임(10);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좌측 상부에 배치되며, 중앙에 한 쌍의 오시선(C1)(C2)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오시선(C1)(C2)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각각 여러 장 접지되어 펼쳐진 상태로 구비된 인쇄용지(P)를 작업진행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제1이송수단(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이송수단(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용지(P)의 양측 하단에 밀착되어 모터(7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인쇄용지를 이송시켜주는 한 쌍의 제1이송벨트(21)가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한 쌍의 제1이송벨트(21)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에 배치되며, 인쇄용지(P)의 상단에 밀착되어 인쇄용지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가이드 해주는 다수개의 제1가이드롤러(2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이송벨트(21)와 제1가이드롤러(22)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용지(P)가 올려져 받쳐주며, 상기 제1이송벨트(21)와 제1가이드롤러(22)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한 쌍의 요홈(23a)이 형성된 상판(2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이송벨트(21)는 모터(7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21a)에 장착되어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용지(P)에 형성된 한 쌍의 오시선(C1)(C2) 중 우측에 형성된 오시선(C2)을 눌러주어 정확히 접히도록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 접이수단(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접이수단(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용지(P)에 형성된 오시선(C2)을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주어 정확히 오시선(C2)만이 접혀지도록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 칼(3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칼(31)을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해주는 높이조절나사(3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칼(31)의 끝날의 두께는 인쇄용지(P)에 형성된 오시선(C2)의 폭의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 칼(31)의 끝날의 두께가 오시선(C2)의 폭의 넓이보다 두껍게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칼(31)이 오시선(C2)을 상부에서 하부로 누른 상태에서 가압수단(40)의 받침판(41)의 삽입홈(42)에 삽입되어 가압롤러(43)로 가압시키면 모서리 각이 틀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불량이 발생하고, 상기 가이드 칼(31)의 끝날의 두께가 오시선(C2)의 폭의 넓이보다 얇게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칼(31)이 오시선(C2)을 상부에서 하부로 누를 경우 인쇄용지(P)가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접이수단(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용지(P)에 형성된 한 쌍의 오시선(C1)(C2)이 접힌 상태에서 가압해주어 모서리 각(E)을 형성시켜주는 가압수단(4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수단(40)은 상기 인쇄용지가 올려져 받쳐주며, 상기 가이드 칼(31)이 오시선(C2)을 상부에서 하부로 누른 상태로 일정깊이 삽입되도록 상기 오시선(C2)과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구(42)가 형성된 가이드 받침판(41)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판의 하단 양측에는 가이드 칼(31)의 눌림에 의하여 한 쌍의 오시선(C1)(C2)이 접혀진 상태에서 인쇄용지의 양측을 가압하여 모서리 각(E)을 형성시켜주는 한 쌍의 가압롤러(4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우측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수단(40)의 공정을 거쳐 모서리 각(E)이 형성되어 책자 형태로 완성된 인쇄용지(P)를 외부로 인출시켜주는 제2이송수단(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이송수단(50)은 상기 인쇄용지(P)의 하단에 밀착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인쇄용지를 이송시켜주는 한 쌍의 제2이송벨트(51)가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인쇄용지(P)의 상단 중앙에 밀착되어 모서리 각(E)이 형성되어 책자 형태로 완성된 인쇄용지(P)를 외부로 원활하게 이송시켜 인출되도록 가이드 해주는 다수개의 제2가이드롤러(5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이송벨트(51)는 모터(7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51a)에 장착되어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40)과 상기 제2이송수단(50)의 사이에는 가압수단(40)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롤러(43)를 통과한 인쇄용지(P)가 제2이송수단(50)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가이드판(6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60)의 일단은 상기 가압롤러(43)의 하단에 위치되고, 타단은 제2이송수단(50)의 제2이송벨트(51)와 제2가이드롤러(52)의 사이에 위치되어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한 장으로 구성된 인쇄용지(P)를 별도의 겉장이나 보호 장치(케이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 최종적으로 접혔을 경우 일측 모서리에 각(E)을 형성시켜주어 책자와 같은 형태를 띠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중앙에 한 쌍의 오시선(C1)(C2)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오시선(C1)(C2)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각각 여러 장 접지되어 펼쳐진 상태로 구비된 인쇄용지(P)를 제1이송수단(20)에 구비된 상판(23)에 올려놓고 제1이송벨트(21)와 제1이송롤러(22)의 사이로 밀어넣으면 상기 제1이송벨트(21)가 인쇄용지(P)의 하단에 밀착되어 회전되고, 상기 제1이송롤러(22)가 인쇄용지(P)의 상단에 밀착되어 회전되며 가압수단(40)에 구비된 받침판(41)의 상부에 올려지도록 이송시켜준다.
이때, 상기 받침판(41)의 상부에 올려지는 인쇄용지(P)는 받침판(41)에 형성된 삽입홈(42)과 인쇄용지(P)에 형성된 한 쌍의 오시선(C1)(C2)이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올려진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41)의 상부에 올려진 인쇄용지(P)에 형성된 한 쌍의 오시선(C1)(C2) 중 우측에 형성된 오시선(C2)을 접이수단(30)에 구비된 가이드 칼(31)이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주어 받침판(41)에 형성된 삽입홈(42)으로 밀어주어 한 쌍의 가압롤러(43)의 사이로 오시선(C1)(C2)이 접힌 상태로 인쇄용지(P)가 빨려들어감과 아울러 가압롤러(43)가 인쇄용지(P)를 가압시켜주어 모서서리 각(E)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가이드 칼(31)은 인쇄용지(P)에 형성된 오시선(C2)을 눌러주어 오시선(C2)만이 접혀진 상태로 가압롤러(43)로 유입시켜주므로 모서리 각(E)이 틀어지지 않고 바르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칼(31)은 인쇄용지(P)의 두께의 크기에 맞춰 높이조절나사(32)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므로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가압롤러(43)에서 가압되어 빠져나와 모서리 각(E)이 형성되어 책자 형태로 완성된 인쇄용지(P)가 가이드판(60)의 가이드를 받으며 제2이송수단(50)에 구비된 제2이송벨트(51)와 제2가이드롤러(52)의 사이로 밀려 들어간다. 그러면 상기 제2이송벨트(51)가 책자 형태로 완성된 인쇄용지(P)의 하단에 밀착되어 회전되고, 상기 제2가이드롤러(52)가 인쇄용지의 상단 중앙에 밀착되어 회전되면서 인쇄용지(P)를 외부로 인출시켜주는 것이다.
본 발명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 :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 10 : 몸체 프레임
20 : 제1이송수단 21 : 제1이송벨트
22 : 제1가이드롤러 30 : 접이수단
31 : 가이드 칼 32 : 높이조절나사
40 : 가압수단 41 : 받침판
42 : 삽입구 43 : 가압롤러
50 : 제2이송수단 51 : 제2이송벨트
52 : 제2가이드롤러 60 : 가이드판
70 : 모터 P : 인쇄용지
C1,C2 : 오시선

Claims (6)

  1. 삭제
  2.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의 뼈대를 이루는 몸체 프레임(10),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좌측 상부에 배치되며, 중앙에 한 쌍의 오시선(C1)(C2)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오시선(C1)(C2)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각각 여러 장 접지되어 펼쳐진 상태로 구비된 인쇄용지(P)를 작업진행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제1이송수단(20), 상기 몸체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용지에 형성된 한 쌍의 오시선(C1)(C2) 중 우측에 형성된 오시선(C2)을 눌러주어 정확히 접히도록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 접이수단(30), 상기 가이드 접이수단(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용지에 형성된 한 쌍의 오시선(C1)(C2)이 접힌 상태에서 가압해주어 모서리 각을 형성시켜주는 가압수단(40) 및 상기 몸체 프레임의 우측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수단의 공정을 거쳐 모서리 각이 형성되어 책자 형태로 완성된 인쇄용지를 외부로 인출시켜주는 제2이송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수단(20)은 상기 인쇄용지의 양측 하단에 밀착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인쇄용지(P)를 이송시켜주는 한 쌍의 제1이송벨트(21)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이송벨트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에 배치되며, 인쇄용지의 상단에 밀착되어 인쇄용지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가이드 해주는 다수개의 제1가이드롤러(22)가 구비되고, 상기 제1이송벨트와 제1가이드롤러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용지가 올려져 받쳐주며, 상기 제1이송벨트와 제1가이드롤러와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요홈(23a)이 형성된 상판(23)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접이수단(30)은 상기 인쇄용지(P)에 형성된 오시선(C2)을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주어 정확히 오시선(C2)만이 접혀지도록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 칼(31)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칼을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해주는 높이조절나사(32)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수단(40)은 상기 인쇄용지(P)가 올려져 받쳐주며, 상기 가이드 칼(31)이 오시선(C2)을 상부에서 하부로 누른 상태로 일정깊이 삽입되도록 상기 오시선(C2)과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구(42)가 형성된 가이드 받침판(41)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의 하단 양측에는 가이드 칼에 의하여 한 쌍의 오시선(C1)(C2)이 접혀진 상태에서 인쇄용지의 양측을 가압하여 모서리 각을 형성시켜주는 한 쌍의 가압롤러(43)가 구비되며,
    상기 제2이송수단(50)은 상기 인쇄용지(P)의 하단에 밀착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인쇄용지를 이송시켜주는 한 쌍의 제2이송벨트(5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송벨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인쇄용지의 상단 중앙에 밀착되어 모서리 각이 형성되어 책자 형태로 완성된 인쇄용지를 외부로 원활하게 이송시켜 인출되도록 가이드 해주는 다수개의 제2가이드롤러(52)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수단(40)과 상기 제2이송수단(50)의 사이에는 가압수단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롤러(43)를 통과한 인쇄용지가 제2이송수단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가이드판(60)이 더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판(60)의 일단은 상기 가압롤러의 하단에 위치되고, 타단은 제2이송수단의 제2이송벨트와 제2가이드롤러의 사이에 위치되어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11628A 2015-08-07 2015-08-07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 KR101618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628A KR101618295B1 (ko) 2015-08-07 2015-08-07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628A KR101618295B1 (ko) 2015-08-07 2015-08-07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295B1 true KR101618295B1 (ko) 2016-05-04

Family

ID=5602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628A KR101618295B1 (ko) 2015-08-07 2015-08-07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2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746B1 (ko) * 2016-08-03 2018-03-23 안해연 라운드 접지기 및 접이식 책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접이식 책자의 접지방법
KR102117911B1 (ko) * 2019-02-01 2020-06-02 (주) 대흥씨앤피 접지 용지 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746B1 (ko) * 2016-08-03 2018-03-23 안해연 라운드 접지기 및 접이식 책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접이식 책자의 접지방법
KR102117911B1 (ko) * 2019-02-01 2020-06-02 (주) 대흥씨앤피 접지 용지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0060B2 (en) Device for joining book block and book cover
EP2090537A3 (en) Sheet creaser, sheet conveyer, sheet finish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creasing method
CN107531073A (zh) 书芯形成装置
WO2018025464A1 (ja) 製本装置
EP2634125B1 (en) Device for folding a stack of sheets
KR101618295B1 (ko) 접이식 책자의 제조장치
KR102348208B1 (ko) 시트 접이용 장치
CN208306181U (zh) 带有压纸装置的骑马装订搭页机
JP2016107502A (ja) 糊付圧着搬送装置
CN218434176U (zh) 一种印刷品折页机
CN101811378B (zh) 一种新型自动化的制作相册方法及其制作设备
ITMI982378A1 (it) Macchina per formare e pressare libri ad elevata qualita' di formatura e pressatura.
CN215040660U (zh) 一种模切机用压纸结构
JP4547311B2 (ja) 段ボールシートの折り曲げ装置。
KR101841746B1 (ko) 라운드 접지기 및 접이식 책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접이식 책자의 접지방법
KR20150001324A (ko) 인쇄매체 후처리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CN205416804U (zh) 一种设有整纸台的胶装机
CN211542994U (zh) 一种印刷品高效成型输送装置
CN211567400U (zh) 一种粘页机的粘页机构
CN215041549U (zh) 封面机的对折覆面装置
JP5761222B2 (ja) 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215438869U (zh) 一种具有限位结构的折页机
CN216836491U (zh) 一种印刷品高效折页机
KR102143433B1 (ko) 라미네이터
CN113858849B (zh) 一种基于纸张预折的胶装联机勒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