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663B1 -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 - Google Patents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663B1
KR102483663B1 KR1020210009050A KR20210009050A KR102483663B1 KR 102483663 B1 KR102483663 B1 KR 102483663B1 KR 1020210009050 A KR1020210009050 A KR 1020210009050A KR 20210009050 A KR20210009050 A KR 20210009050A KR 102483663 B1 KR102483663 B1 KR 102483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set
noise
portable generator
noise reduction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6290A (ko
Inventor
이한규
김재윤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9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66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6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을 갖는 상면부, 각각 상기 상면부의 장변들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전면부와 후면부, 및 상기 상면부의 단변들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일측면부와 타측면부를 포함하는 발전기 소음저감박스; 및 상기 발전기 소음저감 박스 내에 배치된 포터블발전기셋을 포함하고,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은, 전기장치에 전력을 용출할 수 있고 일측면에 위치한 전력용출부, 연료가 주입되고 상면에 위치한 연료주입구, 오일이 주입되고 타측면에 위치한 오일주입구, 전면에 위치한 시동부, 및 후면에 위치한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Portable generator set noise reduction type soundproofing device for camping}
본 발명은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발전기 소음저감박스는 포터블발전기셋의 전력용출부, 연료주입구, 오일주입구, 배출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오픈부를 구비하여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의 용이한 작동을 도모하고, 발전기 소음저감박스의 전면부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발전기 소음저감박스의 타측면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를 통해 쉽게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시동부에 온(ON)/오프(OFF) 신호인가 시에 개방되고 상기 전기장치에 전력을 용출할 시에 폐쇄되어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저감하며, 상기 발전기 소음저감박스 내에는 차음재, 및 방음재가 전면 배치되어 소음을 저감하는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 발전기는 공급되는 연료를 기반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그 엔진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폐차 엔진에 발전기를 연결하는 엔진 발전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엔진 발전기는 가정에 구비되어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가정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하거나,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야외무대 또는 건설현장 등에 설치되어 야외무대나 산업현장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엔진 발전기 중 가장 많이 상용되는 것이 가솔린발전기이다.
특히, 220V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실외작업 및 야외활동시 필요 전력을 얻기 위한 최적에 방법은 가솔린발전기를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다. 자가동력이 없는 캠핑용 차량(도 1 참조) 또는 견인차량의 탑재된 배터리 만(도 2 참조)으로 2~3KW 고전력을 요구하는 에어컨 및 전열기구 사용에 제약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캠핑 등의 야외활동에서 전력을 얻기위해 가솔린발전기를 사용중이나 85dB 이상에 극심한 소음이 발생되어 공공시설에서 사용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55695호(1998. 10. 07. 공개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내부에 엔진과 발전기가 설치된 상자형의 본체의 일측에 개폐문이 설치되고, 본체의 상부 양쪽에 흡기창과 배기창이 구비되고 본체의 내벽에 흡음스펀지가 부착된 발전기 방음용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엔진과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일부를 흡음스펀지를 통해 감쇄시킬 수 있으나 엔진과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충분히 감쇄시키지 못하여 외부로 소음이 전달된다.
공개실용신안 제1998-055695호 등록특허 제10-1964905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발전기 소음저감박스는 포터블발전기셋의 전력용출부, 연료주입구, 오일주입구, 배출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오픈부를 구비하여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의 용이한 작동을 도모하고, 발전기 소음저감박스의 전면부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발전기 소음저감박스의 타측면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를 통해 쉽게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시동부에 온(ON)/오프(OFF) 신호인가 시에 개방되고 상기 전기장치에 전력을 용출할 시에 폐쇄되어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저감하며, 상기 발전기 소음저감박스 내에는 차음재, 및 방음재가 전면 배치되어 소음을 저감하는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을 갖는 상면부, 각각 상기 상면부의 장변들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전면부와 후면부, 및 상기 상면부의 단변들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일측면부와 타측면부를 포함하는 발전기 소음저감박스; 및 상기 발전기 소음저감 박스 내에 배치된 포터블발전기셋을 포함하고,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은, 전기장치에 전력을 용출할 수 있고 일측면에 위치한 전력용출부, 연료가 주입되고 상면에 위치한 연료주입구, 오일이 주입되고 타측면에 위치한 오일주입구, 전면에 위치한 시동부, 및 후면에 위치한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연료주입구에 대응되는 상면오픈부를 포함하여 연료 주입시 개방이 가능하고, 상기 타측면부는 상기 오일주입구에 대응되는 타측면오픈부를 포함하여 오일 주입시 개방이 가능하고, 상기 전면부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면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를 통해 쉽게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시동부에 온(ON)/오프(OFF) 신호인가 시에 개방되고 상기 전기장치에 전력을 용출할 시에 폐쇄되어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저감하되, 상기 후면부는 상기 배출부와 대응되는 후면오픈부를 포함하여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배출하며, 상기 발전기 소음저감박스 내에는 차음재, 및 방음재가 전면 배치된다.
상기 배출부는 배기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배기장치는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의 엔진에 연결 설치된 배기다기관, 상기 배기다기관에 연결설치된 촉매기, 상기 촉매기에 연결설치된 중간 소음기, 및 상기 중간 소음기에 연결 설치된 후소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의 단부에 연결설치된 격벽소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소음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캡, 상기 상부캡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캡, 및 중공의 원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 사이에 고정되고, 외주면으로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상기 공기가 배출됨에 따른 상기 공기의 배출음을 흡수하는 흡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발전기 소음저감박스는 포터블발전기셋의 전력용출부, 연료주입구, 오일주입구, 배출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오픈부를 구비하여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의 용이한 작동을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발전기 소음저감박스의 전면부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발전기 소음저감박스의 타측면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를 통해 쉽게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시동부에 온(ON)/오프(OFF) 신호인가 시에 개방되고 상기 전기장치에 전력을 용출할 시에 폐쇄되어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발전기 소음저감박스 내에는 차음재, 및 방음재가 전면 배치되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자체동력이 없는 캐러밴과 전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견인차량과 전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소음저감박스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소음저감박스의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발전기셋의 사시도들이다.
도 10, 도 12, 및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사시도들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발전기셋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배기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발전기셋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격벽 소음기의 조립된 상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구성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구성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면부, 및 필터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면부, 필터부, 및 충진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3, 도 4,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소음저감박스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소음저감박스의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발전기셋의 사시도들이다. 도 10, 도 12, 및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사시도들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는 발전기 소음저감박스(10) 및 발전기 소음저감박스(10) 내에 배치된 포터블발전기셋(20)을 포함한다.
발전기 소음저감박스(1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 및 상기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을 갖는 상면부(10a), 각각 상기 상면부(10a)의 장변들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전면부(10e)와 후면부(10d), 상기 상면부(10a)의 단변들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일측면부(10c)와 타측면부(10c), 및 상기 상면부(10a)와 대향하는 하면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터블발전기셋(20)은, 전기장치(ED)에 전력을 용출할 수 있고 일측면에 위치한 전력용출부(23), 연료가 주입되고 상면에 위치한 연료주입구(25), 오일이 주입되고 타측면에 위치한 오일주입구(23), 전면에 위치한 시동부(21), 및 후면에 위치한 배출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10a)는 상기 연료주입구(25)에 대응되는 상면오픈부(OP_10a)를 포함하여 연료 주입시 개방이 가능하고, 상기 타측면부(10c)는 상기 오일주입구(23)에 대응되는 타측면오픈부(OP_10c)를 포함하여 오일 주입시 개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10a)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면부(10c)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를 통해 쉽게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시동부(21)에 온(ON)/오프(OFF) 신호인가 시에 개방되고 상기 전기장치(ED)에 전력을 용출할 시에 폐쇄되어 상기 포터블발전기셋(20)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후면부(10d)는 상기 배출부(29)와 대응되는 후면오픈부(OP_10d)를 포함하여 상기 배출부(29)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발전기 소음저감박스(10) 내에는 차음재, 및 방음재가 전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발전기 소음저감박스(10) 내에서, 상기 차음재 및 상기 방음재는 전면에 배치되되, 배치 밀도가 영역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터블발전기셋(20) 중 매연 등이 배출되는 배출부(29)에서 소음이 가장 많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전기 소음저감박스(10) 내에서도 후면부(10d)에만 차음재 및 방음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전기 소음저감박스(10) 전면에 걸쳐 차음재 및 방음재가 배치되되, 차음재 및 방음재 두께가 영역마다 상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터블발전기셋(20) 중 매연 등이 배출되는 배출부(29)에서 소음이 가장 많이 발생되므로, 후면부(10d)에 적용되는 차음재 및 방음재의 두께가 다른 영역에 적용되는 차음재 및 방음재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도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차음재 및 방음재 중 어느 하나만 적용될 수도 있고,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는 차음재, 방음재 뿐만 아니라, 방음섬유가 별도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동부(21)가 상기 포터블발전기셋(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시동 온/오프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시동부(21)는 리무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동부(21)에 상기 리무트 컨트롤러에 의해 엔진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또는 인식부)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발전기셋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배기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발전기셋(20_1)은 배기장치(20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발전기셋(20)과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발전기셋(20_1)는 배기장치(200)를 더 포함함으로써, 포터블발전기셋(20_1)의 발전기에서 발생된 소음 및 매연이 유입되어 배기장치(200)를 통해 소음 및 매연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200)는 배기 다기관(202)과, 촉매기(204)와, 중간 소음기(206)와, 후소음기(208)를 포함하고, 상기 후소음기(208)의 후부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배기가스 출구관(210)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장치(200)는 견인차량(220)의 운행시 연소 또는 불연소 탄
화수소, 일산화탄소 및 황질소 화합물을 배출하고,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매연 및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장치(200)는 상기 포터블발전기셋(20_1) 내부의 엔진의 각 실린더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한곳으로 모으도록 이루어진 여러개의 관으로 이루어진 배기다기관(202)을 구비한다.
상기 배기장치(200)는 견인차량(220)에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등의 유해성분을 정화하기 위해 촉매제를 사용하여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정화시킨다.
이때, 촉매제로는 백금 및 로듐 및 팔라듐 및 그 밖의 화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배기장치(200)에는 소음기가 구비되는바,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중간 소음기(206)와 배기관의 말단에 설치되는 후소음기(208)를 구비한다.
상기 소음기는 견인차량(210)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의해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고 이를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기가스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음파를 흡수하거나 음파를 간섭시키기 위해 미세한 섬유질 재료를 복수 개로 적층시킨 흡음재를 구비한다.
상기 배기장치(200)의 끝단부에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 출구관(210)이 연결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는 하면부(10b) 상에 방진판(13)이 더 배치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진판(130)은 하면부(10b)와 포터블발전기셋(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진판(130)은 상부의 포터블발전기셋(20)의 진동을 저감시켜 포터블발전기셋(2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방진판(130)은 상부의 포터블발전기셋(20)과 밀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부의 포터블발전기셋(20)의 진동을 그대로 전달받아 흡수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방진판(130)과 포터블발전기셋(20) 간의 벨크로 결합 등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진판(130) 내부 및 포터블발전기셋(20)의 하면에 각각 자성이 반대인 자석을 추가로 배치하여 포터블발전기셋(20)과 방진판(130) 간의 밀착 고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도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방진판(130)은 포터블발전기셋(20)의 배출부(29)와 인접한 하면에 보다 큰 두께로 배치되거나, 배출부(29)와 인접한 하면에만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방진판은 포터블발전기셋(20)의 하면뿐만 아니라, 포터블발전기셋(20)의 배출부(29)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배출부(29)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발전기셋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격벽 소음기의 조립된 상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발전기셋은 배출부(29)의 단부에 추가로 격벽 소음기(700)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발전기셋(20)과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 소음기(700)는, 상부캡(100)과, 하부캡(200)과, 흡음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캡(100)은 배관 및 시스템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캡(100)은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입구(110)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확관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부캡(200)은 체결부재(500)에 의하여 상기 상부캡(10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한다. 이 때문에, 테프론테이프 등으로 실링(sealing)처리 되어 흡음부재(300)나 구성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를 하기 위해서는 격벽 소음기(700) 전체를 분리하여 교체해야 하는 종래의 공압용 소음기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캡(200)만을 분리하여 수명이 다한 흡음소재나 후술되는 안전밸브(600)의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수명을 훨씬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캡(200)에는 배압조절홀(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압조절홀(210)에는 후술되는 안전밸브(600)가 장착된다. 상기 하부캡(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안전밸브(6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안전밸브(600) 주위로 보호부(22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500)는 상기 상부캡(100)과 상기 흡음부재(300)와 상기 하부캡(200)을 일렬로 관통체결하는 장볼트(510)와, 상기 하부캡(200)의 외측에서 상기 장볼트(510)의 말단부에 체결되는 풀림방지너트(52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장볼트(510)는 헤드부가 상기 상부캡(100)에 형성된 체결홀에 억지박음되며, 말단부는 하부캡(200)의 체결홀에 관통삽입되어 하부캡(200)의 외측면에서 상기 풀림방지너트(520)가 체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캡(100) 및 상기 하부캡(200)은 다이캐스팅용 금속합금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캡(100)과 상기 하부캡(200)은 다이캐스팅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흡음부재(300)는 중공의 원통 구조로서, 일단부는 상기 상부캡(100)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캡(200)의 내측면에 접촉되게 위치하며, 상기 상부캡(100)과 상기 하부캡(200)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상부캡(100)과 상기 하부캡(200) 사이에 고정된다.
이러한 흡음부재(300)는 상기 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공기를 외주면으로 배출시키되, 공기의 배출음을 흡수하면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흡음부재(300)는 고분자소재를 이용하는데, 상기 고분자소재는 폴리에스테르(PET) 계열의 원사로 짜여진 부직포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음부재(300)는 상기 고분자소재를 적절한 장력으로 가열롤러에 융착되게 롤링(rolling)열융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흡음부재(300)는 기공도가 균일하며, 종래의 금속이나 플라스틱 코어(core;310)의 외경에 일반 부직포를 열융착으로 감은 흡음소재와 비교하여, 내경부에 지지하는 코어부품이 없어도 열용착에 의해 뛰어난 강도를 지니게 되고 내충격성이 뛰어나다. 또한, 상기 흡음부재(300)는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이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캡(100)과 하부캡(200)은 다이캐스팅용 금속합금 재질이고, 상기 흡음소재는 고분자소재의 재질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내충격성이 뛰어나며 또한, 상기 상부캡(100), 흡음소재, 하부캡(200)을 접착이나 용접이 아닌 일정한 공극을 가지고 장볼트(510)와 풀림방지너트(520)로 조립체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충격에 의한 형태변형에도 다시 쉽게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기 쉽다. 이와 더불어, 상기 격벽 소음기(700)는 상기 하부캡을 배압조절홀(2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부캡(200a)을 적용할 수도 있고, 배압조절홀(210)과 안전밸브(600)가 장착된 하부캡(200)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흡음부재(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흡음부재(300)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코어(310)가 구비된다. 상기 코어(310)는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 흡음부재(30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소음공(311)들이 타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식성을 위하여 도금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 소음기(700)는 상기 상부캡(100)과 상기 흡음부재(300) 사이에 격판(400)을 더 구비한다. 상기 격판(400)은 복수 개의 유동홀(410)들이 타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10)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속도를 저감시키고, 분산시킴으로써 배출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격판(400)은 상기 코어(310)와 마찬가지로 내부식성을 위하여 도금처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벽 소음기(700)는 상기 하부캡(200)과 결합하며, 상기 공기의 배압정도에 따라 상기 배압조절홀(210)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안전밸브(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전밸브(600)는 밸브축(610)과, 상기 밸브축(610)과 결합하는 밸브시트(620)와, 스프링(630)과, 스프링캡(640)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축(610)은 상기 하부캡(200)에 형성된 배압조절홀(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삽입된다. 상기 밸브시트(620)는, 상기 하부캡(200)의 외측에서 상기 밸브축(610)의 일단부와 결합하고 저면이 상기 하부캡(200)의 외측면과 접촉한다.
상기 스프링(630)은, 상기 하부캡(200)의 내측에서 상기 밸브축(610)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밸브시트(620)의 저면이 상기 하부캡(200)과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630)은 상기 밸브축(610)이 내부로 관통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좌굴이나 중심축을 벗어나지 않는다.
상기 스프링캡(640)은 일측면이 상기 스프링(630)의 외측단부와 접촉하고 상기 밸브축(610)과 결합하여 상기 스프링(6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구성의 안전밸브(60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먼저 초기상태에서는 격벽 소음기(7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축(610)과, 스프링(630)과, 스프링캡(640)의 각각의 예압이 격벽 소음기(700)의 내압과 동일하게 설정된 상태이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 만약 흡음소재의 기공이 막히거나 하여 내압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630)에 셋팅된 예압보다 내압이 높아지게 되고, 이렇게 되면 상기 스프링(630)은 상승된 내압으로 인하여 압축되면서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축(610)을 우측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밸브축(610)이 이동하면 밸브시트(620)도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배압조절홀(210)이 개방되면서 상기 배압조절홀(210)로 공기가 배출되어 격벽 소음기(700) 내부의 내압을 낮춰준다.
즉, 상기 안전밸브(600)는 격벽 소음기(700)의 내압이 상승할 경우 공기를 배압조절홀(210)로 배출시킴으로써 격벽 소음기(700)의 파손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안전밸브(600)는 격벽 소음기(700)의 수리시기 구체적으로 흡음부재(300) 등의 교체시기를 미리 할 수 있는 척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밸브시트(620)가 이동하여 배압조절홀(210)이 개방되었다는 것은 흡음부재(300)의 기공 막힘 등으로 인해 격벽 소음기(700)의 배압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특별한 시험작업 없이도 밸브시트(620)의 이동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흡음부재(300)의 교체시기 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안전밸브(600)의 예압을 격벽 소음기(700)의 배압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스프링(630)이 받는 예압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밸브축(6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밸브축(610)의 외주면에 지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링홈(650a,650b)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캡(640)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스토퍼(660)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660)는 상기 밸브축(61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상기 링홈(650a,650b)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스프링(630)의 예압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어, 이에 따라 격벽 소음기(700)에 허용되는 배압을 일정 수준 이하로 조절함으로써 격벽 소음기(700)의 안정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스프링(630)의 예압조절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밸브축(610)에 대하여 좌측으로 전진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630)을 인장시켜 스프링(630)의 압축으로 허용할 수 있는 격벽 소음기(700)의 최대 배압을 늘릴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밸브축(610)에 대하여 우측으로 후퇴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630)을 압축시켜 스프링(630)의 압축으로 허용할 수 있는 격벽 소음기(700)의 최대 배압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밸브(600)와 조절부재는 상기 하부캡(200)과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교체수리가 용이하다.
한편, 상기 하부캡(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밸브시트(62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시트(620) 주위로 보호부(22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밸브시트(620)는 상기 보호부(220)에 의하여 상기 밸브시트(620)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이 되지 않도록 함몰된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대하여 상기 밸브시트(620)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에 설치하여 공기 또는 압축공기의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는 용도로 적용되었으나, 이는 일실시예로 상기 공기는 공기 외의 기타 가스를 포함하는 유체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구성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는 제어부(CP), 센서(SP), 및 출력부(DP)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센서(SP)는 소음 측정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소음 측정 장치는 발전기 소음저감박스(10)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음 측정 장치는 발전기 소음저감박스(10)에 일체로 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별도로 상기 소음 측정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 측정 장치는 발전기 소음저감박스(10)의 외면에 설치된다. 사용자는 별도로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소음 측정 장치를 전원 온(On)하여 소음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소음 측정 장치는 제어부(CP)에 의해 자동적으로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실시간으로 측정된 소음 데이터는 제어부(CP)에 전달되고, 제어부(CP)는 상기 소음크기가 기준치 이상의 소음크기라고 판단될 경우, 출력부(DP)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경고 메시지는 LED 등일 수도 있고, 음성 메시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구성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는 발전기 모터를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전기 모터는 포터블발전기셋(20)을 구동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제어부(CP)는 상기 소음크기가 기준치 이상의 소음크기라고 판단될 경우, 출력부(DP)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일정 시간 이후에도 센서(SP)를 통해 측정되는 소음이 줄어들지 않는 경우, 발전기 모터의 정지 신호를 발전기 모터에 전달하여 발전기 모터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소음 발생으로 인한 주변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는 후면오픈부(OP_10d) 내에 소음 필터장치(FT_10d)가 더 배치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장치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음 필터장치(FT_10d)는 상술한 흡음재, 차음재, 또는 방음 섬유일 수 있다.
소음 필터장치(FT_10d)는 후면오픈부(OP_10d)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소음 필터장치(FT_10d)는 후면오픈부(OP_10d) 내에 밀착 고정되어야 후면오픈부(OP_10d)를 통해 배출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소음 필터장치(FT_10d)와 인접한 후면부(10d)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 등을 통해 밀착고정되거나, 볼트/너트 등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음 필터장치(FT_10d)는 방진판을 구성하는 물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소음 필터장치(FT_10d)를 통해 포터블발전기셋의 배출부(29)로부터 발생되는 매연 등이 배출되어야 하므로, 소음 필터장치(FT_10d)는 매연 등이 배출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더 나아가, 소음 필터장치(FT_10d)는 매연 등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상술한 촉매제가 표면에 도포되거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는 소음 필터장치(FT_10d_1)의 평면상 크기가 후면오픈부(OP_10d)의 평면상 크기보다 클 수 있다는 점에서 도 22 및 도 23과 상이하다. 소음 필터장치(FT_10d_1)는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후면오픈부(OP_10d)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소음 필터장치(FT_10d_1)는 후면오픈부(OP_10d)를 둘러싸는 후면부(10d)와 결합 부재(AM)를 통해 밀착 고정될 수 있다. 결합 부재(AM)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AM)는 방음 섬유 재질을 추가로 섞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4 및 도 25에 따른 소음 필터장치(FT_10d_1)는 도 22 및 도 23에 따른 소음 필터장치(FT_10d) 대비 후면부(10d)와의 결합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음 필터장치(FT_10d_1)가 후면부(10d)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 신뢰성을 개선될 수 있으며, 소음 필터장치(FT_10d_1)의 평면상 크기가 소음 필터장치(FT_10d)의 평면상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소음 저감 효과도 더 뛰어날 수 있다. 그러나 소음 필터장치(FT_10d_1)를 별도로 부착하는 과정에서 비용증가가 예상되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후면오픈부(OP_10d)의 평면상 크기보다는 크지만, 집중적으로 배출부(29)와 후방에서 중첩하는 영역에만 배치되기 때문에 비용 증가를 크게 줄이면서도 소음 저감에 효과적인 구조일 수 있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면부, 및 필터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는 소음 필터장치(FT_10d_1)가 복수개로 마련된다는 점이 도 24 및 도 25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각각의 소음 필터장치(FT_10d_1)는 결합 부재(AM)를 통해 후면부(10d)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소음 필터장치(FT_10d_1)가 후면부(10d)의 외면과 내면에 각각 결합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으로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소음 자체가 줄어든다는 이점이 있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면부, 필터부, 및 충진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6의 두 개의 소음 필터장치(FT_10d_1), 후면부(10d)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충진부(FM)가 더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26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충진부(FM)는 두 개의 소음 필터장치(FT_10d_1), 후면부(10d)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형성되고, 배출 소음을 줄이기 위해, 차음재, 또는 흡음재나 방음 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충진부(FM)는 점착 성분을 더 포함함으로써, 양측에 위치한 소음 필터장치(FT_10d_1)를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충진부(FM)도 매연이 배출되는 통로 상에 위치하므로 매연이 통과될 정도의 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매연을 흡착시키도록 촉매제 등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발전기 소음저감박스 20: 포터블 발전기셋
SP: 센서 CP: 제어부
DP: 출력부

Claims (3)

  1.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을 갖는 상면부,
    각각 상기 상면부의 장변들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전면부와 후면부, 및
    상기 상면부의 단변들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일측면부와 타측면부를 포함하는 발전기 소음저감박스; 및
    상기 발전기 소음저감 박스 내에 배치된 포터블발전기셋을 포함하고,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은,
    전기장치에 전력을 용출할 수 있고 일측면에 위치한 전력용출부(23),
    연료가 주입되고 상면에 위치한 연료주입구(25),
    오일이 주입되고 타측면에 위치한 오일주입구(23),
    전면에 위치한 시동부(21), 및
    후면에 위치한 배출부(29)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연료주입구에 대응되는 상면오픈부를 포함하여 연료 주입시 개방이 가능하고,
    상기 타측면부는 상기 오일주입구에 대응되는 타측면오픈부를 포함하여 오일 주입시 개방이 가능하고,
    상기 전면부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면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를 통해 쉽게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시동부에 온(ON)/오프(OFF) 신호인가 시에 개방되고 상기 전기장치에 전력을 용출할 시에 폐쇄되어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저감하되,
    상기 후면부는 상기 배출부와 대응되는 후면오픈부를 포함하여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배출하며,
    상기 발전기 소음저감박스 내에는 차음재, 및 방음재가 전면 배치되고,
    상기 소음저감박스는 상기 상면부와 대향하는 하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면부와 상기 포터블발전기셋 사이에 배치된 방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진판은 상부의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의 진동을 저감시켜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방진판은 상부의 상기 포터블발전기셋과 밀착 배치되고,
    상기 방진판과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은 상호 벨크로 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방진판 내부 및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의 하면에 각각 자성이 반대인 자석을 추가로 배치되고,
    상기 방진판은 포터블발전기셋의 하면뿐만 아니라,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의 상기 배출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제어부, 센서, 및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소음 측정 장치이고, 상기 소음 측정 장치는 상기 발전기 소음저감박스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소음 측정 장치는 상기 발전기 소음저감박스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소음 측정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측정한 소음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소음의 크기가 기준치 이상의 소음의 크기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 메시지는 LED, 또는 음성 메시지이고,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소음의 크기가 기준치 이상의 소음의 크기라고 판단되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소정의 시간 이후에도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소음이 줄어들지 않는 경우,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을 구동하는 발전기 모터의 정지 신호를 상기 발전기 모터에 전달하여 상기 발전기 모터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상기 후면오픈부 상에 소음 필터장치가 더 배치되고,
    상기 소음 필터장치는 흡음재, 차음재, 또는 방음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 필터장치는 매연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촉매제가 표면에 도포되거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소음 필터장치의 평면상 크기는 상기 후면오픈부의 평면상 크기보다 크고,
    상기 소음 필터장치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개의 상기 소음 필터장치들은 각각 상기 후면오픈부와 상기 포터블발전기셋 사이, 및 상기 후면오픈부의 외부 상에 배치되고,
    두 개의 상기 소음 필터장치들, 상기 후면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충진부가 더 배치되고,
    상기 충진부는 배출 소음을 줄이기 위해, 차음재, 또는 흡음재나 방음 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충진부도 매연이 배출되는 통로 상에 위치하므로 매연을 흡착시키도록 촉매제가 더 형성되는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배기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배기장치는 상기 포터블발전기셋의 엔진에 연결 설치된 배기다기관, 상기 배기다기관에 연결설치된 촉매기, 상기 촉매기에 연결설치된 중간 소음기, 및 상기 중간 소음기에 연결 설치된 후소음기를 포함하는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단부에 연결설치된 격벽소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소음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캡, 상기 상부캡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캡, 및 중공의 원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 사이에 고정되고, 외주면으로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상기 공기가 배출됨에 따른 상기 공기의 배출음을 흡수하는 흡음부재를 포함하는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
KR1020210009050A 2021-01-22 2021-01-22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 KR102483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050A KR102483663B1 (ko) 2021-01-22 2021-01-22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050A KR102483663B1 (ko) 2021-01-22 2021-01-22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290A KR20220106290A (ko) 2022-07-29
KR102483663B1 true KR102483663B1 (ko) 2022-12-30

Family

ID=8260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050A KR102483663B1 (ko) 2021-01-22 2021-01-22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6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4769A (ja) * 2014-10-28 2016-05-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発電機搭載車両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695A (ko) 1996-12-28 1998-09-25 김영귀 자동차 엔진의 오일팬
JPH10325333A (ja) * 1997-05-27 1998-12-08 Rii Ekisupooto:Kk キャンピングカー用の発電設備
KR101174486B1 (ko) * 2009-09-21 2012-08-21 (주)레베산업 공압용 소음기
KR101964905B1 (ko) 2018-02-05 2019-04-02 주식회사 이노비 엔진발전기의 방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4769A (ja) * 2014-10-28 2016-05-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発電機搭載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290A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62869A (en) Combined muffler and catalytic converter exhaust unit
US20090136387A1 (en) Diesel particulate filter system for auxiliary power units
WO2014142224A1 (ja) エンジン装置
US6422006B2 (en)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00224438A1 (en) Acoustically and Thermally Acting Insulation
WO2010050314A1 (ja) 作業車両搭載用のエンジン装置
KR101114377B1 (ko) 소음기의 응축수 배출 장치
JP2007537848A (ja) 触媒コンバータの触媒担体
KR102483663B1 (ko)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
CN209586555U (zh) 空气滤清器及车辆
CN207064040U (zh) 一种高效汽车排气静音装置
US20020040827A1 (en) Reduced-noise device
CN201065799Y (zh) 汽车进气系统
JP2008057509A (ja) 触媒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1260003U (zh) 一种大型管道消音器
KR200210095Y1 (ko) 자동차용 전부 머플러
CN108661752B (zh) 一种新型基于消音技术的内嵌多板的汽车专用消音器
JP6051078B2 (ja) エンジン装置
KR200444426Y1 (ko) 흡음 및 강도가 보강된 차량용 매연저감머플러
KR100525766B1 (ko) 프론트 머플러
CN205615441U (zh) 消声单元及工程车辆
JPS6040815Y2 (ja) 頭上マフラ−の吸水・吸音装置
CN219601222U (zh) 一种车辆的消音装置及车辆
CN220909797U (zh) 一种优化油管脱附噪音的膨胀腔及其系统
JPH1030454A (ja) エンジンを備えた給電システムの吸排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