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486B1 - 공압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공압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486B1
KR101174486B1 KR1020090089053A KR20090089053A KR101174486B1 KR 101174486 B1 KR101174486 B1 KR 101174486B1 KR 1020090089053 A KR1020090089053 A KR 1020090089053A KR 20090089053 A KR20090089053 A KR 20090089053A KR 101174486 B1 KR101174486 B1 KR 101174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ower cap
spring
upper cap
absorb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699A (ko
Inventor
이상수
김전하
김장섭
Original Assignee
(주)레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베산업 filed Critical (주)레베산업
Priority to KR1020090089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486B1/ko
Publication of KR2011003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01N1/04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having sound-absorbing materials in resonance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01N1/023Helmholtz reson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24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10/00Selection of sound absorbing or insul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캡, 상부캡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캡 및 중공의 원통 구조를 가지며 상부캡과 하부캡의 결합에 의하여, 상부캡과 하부캡 사이에 고정되고, 외주면으로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됨에 따른 공기의 배출음을 흡수하는 흡음부재를 포함하는 공압용 소음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각 구성이 서로 분리되어 착탈가능하게 체결하여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리 등 유지관리를 할 때 전체를 분해하여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외부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안전밸브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공압용 소음기 {Muffler for pneumatic pressure}
본 발명은 공압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는 공압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압용 소음기는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배관 등에 설치되어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부재와 몸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공압용 소음기는 상기한 흡음부재와 몸체가 실링(sealing) 등을 이용하여 분리가 어려운 영구적 일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수명이 다한 흡음소재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소음기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각 구성의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한 공압용 소음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캡; 상기 상부캡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캡; 및 중공의 원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 사이에 고정되고, 외주면으로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공기가 배출됨에 따른 상기 공기의 배출음을 흡수하는 흡음부재를 포함하는 공압용 소음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캡과 상기 흡음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유동홀들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격판을 더 구비하며, 이와 함께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흡음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흡음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소음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코어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캡은,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입구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을 관통하는 장볼트와, 상기 장볼트와 체결되는 풀림방지너트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소재는 고분자소재를 롤링(rolling) 열융착하여 제조되며, 이때 상기 고분자소재는 폴리에스테르(PET) 계열의 원사로 짜여진 부직포이며, 상기 상부캡 및 상기 하부캡은 금속 합금을 다이캐스팅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캡에는 배압조절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캡의 외측면에는 상기 밸브시트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부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캡과 결합되며, 상기 공기의 배압정도에 따라 상기 배압조절홀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안전밸브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밸브는, 상기 배압조절홀에 관통삽입되는 밸브축과, 상기 하부캡의 외측에서 상기 밸브축의 일단부와 결합하고 저면이 상기 하부캡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밸브시트와, 상기 하부캡의 내측에서 상기 밸브축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밸브시트의 저면이 상기 하부캡과 접촉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일측면이 상기 스프링의 외측단부와 접촉하고 상기 밸브축과 결합하여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캡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밸브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스프링이 받는 예압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밸브축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된 링홈들 중의 하나에 끼워지고 일측면이 상기 스프링캡의 타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스프링캡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압용 소음기는, 각 구성이 서로 분리되어 착탈가능하게 체결하여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리 등 유지관리를 할 때 전체를 분해하여 교 체할 필요가 없으며, 외부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안전밸브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용 소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압용 소음기의 부분절단 사시도 및 분해조립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압용 소음기의 조립된 상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압용 소음기에서 하부캡의 다른 실시예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안전밸브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용 소음기(700)는, 상부캡(100)과, 하부캡(200)과, 흡음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캡(100)은 배관 및 시스템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캡(100)은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입구(110)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확관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도 6참조).
상기 하부캡(200)은 체결부재(500)에 의하여 상기 상부캡(10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한다. 이 때문에, 테프론테이프 등으로 실링(sealing)처리 되어 흡음부재(300)나 구성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를 하기 위해서는 공압용 소음기(700) 전체 를 분리하여 교체해야 하는 종래의 공압용 소음기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캡(200)만을 분리하여 수명이 다한 흡음소재나 후술되는 안전밸브(600)의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수명을 훨씬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캡(200)에는 배압조절홀(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압조절홀(210)에는 후술되는 안전밸브(600)가 장착된다. 상기 하부캡(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안전밸브(6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안전밸브(600) 주위로 보호부(22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재(500)는 상기 상부캡(100)과 상기 흡음부재(300)와 상기 하부캡(200)을 일렬로 관통체결하는 장볼트(510)와, 상기 하부캡(200)의 외측에서 상기 장볼트(510)의 말단부에 체결되는 풀림방지너트(52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장볼트(510)는 헤드부가 상기 상부캡(100)에 형성된 체결홀에 억지박음되며, 말단부는 하부캡(200)의 체결홀에 관통삽입되어 하부캡(200)의 외측면에서 상기 풀림방지너트(520)가 체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캡(100) 및 상기 하부캡(200)은 다이캐스팅용 금속합금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캡(100)과 상기 하부캡(200)은 다이캐스팅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흡음부재(300)는 중공의 원통 구조로서, 일단부는 상기 상부캡(100)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캡(200)의 내측면에 접촉되게 위치하며, 상기 상부캡(100)과 상기 하부캡(200)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상부캡(100)과 상기 하부캡(200) 사이에 고정된다.
이러한 흡음부재(300)는 상기 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공기를 외주 면으로 배출시키되, 공기의 배출음을 흡수하면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흡음부재(300)는 고분자소재를 이용하는데, 상기 고분자소재는 폴리에스테르(PET) 계열의 원사로 짜여진 부직포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음부재(300)는 상기 고분자소재를 적절한 장력으로 가열롤러에 융착되게 롤링(rolling)열융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흡음부재(300)는 기공도가 균일하며, 종래의 금속이나 플라스틱 코어(core;310)의 외경에 일반 부직포를 열융착으로 감은 흡음소재와 비교하여, 내경부에 지지하는 코어부품이 없어도 열용착에 의해 뛰어난 강도를 지니게 되고 내충격성이 뛰어나다. 또한, 상기 흡음부재(300)는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이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캡(100)과 하부캡(200)은 다이캐스팅용 금속합금 재질이고, 상기 흡음소재는 고분자소재의 재질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내충격성이 뛰어나며 또한, 상기 상부캡(100), 흡음소재, 하부캡(200)을 접착이나 용접이 아닌 일정한 공극을 가지고 장볼트(510)와 풀림방지너트(520)로 조립체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충격에 의한 형태변형에도 다시 쉽게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기 쉽다. 이와 더불어, 상기 공압용 소음기(700)는 상기 하부캡을 배압조절홀(2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부캡(200a;도 6참조)을 적용할 수도 있고, 배압조절홀(210)과 안전밸브(600)가 장착된 하부캡(200)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흡음부재(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흡음부재(300)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코어(310)가 구비된다. 상기 코어(310)는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 흡음부재(30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소음공(311)들이 타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식성을 위하여 도금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압용 소음기(700)는 상기 상부캡(100)과 상기 흡음부재(300) 사이에 격판(400)을 더 구비한다. 상기 격판(400)은 복수 개의 유동홀(410)들이 타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10)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속도를 저감시키고, 분산시킴으로써 배출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격판(400)은 상기 코어(310)와 마찬가지로 내부식성을 위하여 도금처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압용 소음기(700)는 상기 하부캡(200)과 결합하며, 상기 공기의 배압정도에 따라 상기 배압조절홀(210)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안전밸브(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전밸브(600)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밸브축(610)과, 상기 밸브축(610)과 결합하는 밸브시트(620)와, 스프링(630)과, 스프링캡(640)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축(610)은 상기 하부캡(200)에 형성된 배압조절홀(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삽입된다. 상기 밸브시트(620)는, 상기 하부캡(200)의 외측에서 상기 밸브축(610)의 일단부와 결합하고 저면이 상기 하부캡(200)의 외측면과 접촉한다.
상기 스프링(630)은, 상기 하부캡(200)의 내측에서 상기 밸브축(610)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밸브시트(620)의 저면이 상기 하부캡(200)과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630)은 상기 밸브축(610)이 내부로 관통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좌굴이나 중심축을 벗어나지 않는다.
상기 스프링캡(640)은 일측면이 상기 스프링(630)의 외측단부와 접촉하고 상기 밸브축(610)과 결합하여 상기 스프링(6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구성의 안전밸브(60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먼저 초기상태에서는 공압용 소음기(7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축(610)과, 스프링(630)과, 스프링캡(640)의 각각의 예압이 공압용 소음기(700)의 내압과 동일하게 설정된 상태이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 만약 흡음소재의 기공이 막히거나 하여 내압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630)에 셋팅된 예압보다 내압이 높아지게 되고, 이렇게 되면 상기 스프링(630)은 상승된 내압으로 인하여 압축되면서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축(610)을 우측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밸브축(610)이 이동하면 밸브시트(620)도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배압조절홀(210)이 개방되면서 상기 배압조절홀(210)로 공기가 배출되어 공압용 소음기(700) 내부의 내압을 낮춰준다.
즉, 상기 안전밸브(600)는 공압용 소음기(700)의 내압이 상승할 경우 공기를 배압조절홀(210)로 배출시킴으로써 공압용 소음기(700)의 파손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안전밸브(600)는 공압용 소음기(700)의 수리시기 구체적으로 흡음부재(300) 등의 교체시기를 미리 할 수 있는 척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밸브시트(620)가 이동하여 배압조절홀(210)이 개방되었다는 것은 흡음부재(300)의 기공 막힘 등으로 인해 공압용 소음기(700)의 배압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특별한 시험작업 없이도 밸브시트(620)의 이동을 육 안으로 확인하여 흡음부재(300)의 교체시기 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안전밸브(600)의 예압을 공압용 소음기(700)의 배압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스프링(630)이 받는 예압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밸브축(6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밸브축(610)의 외주면에 지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링홈(650a,650b)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캡(640)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스토퍼(660)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660)는 상기 밸브축(61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상기 링홈(650a,650b)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스프링(630)의 예압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어, 이에 따라 공압용 소음기(700)에 허용되는 배압을 일정 수준 이하로 조절함으로써 공압용 소음기(700)의 안정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스프링(630)의 예압조절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밸브축(610)에 대하여 좌측으로 전진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630)을 인장시켜 스프링(630)의 압축으로 허용할 수 있는 공압용 소음기(700)의 최대 배압을 늘릴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밸브축(610)에 대하여 우측으로 후퇴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630)을 압축시켜 스프링(630)의 압축으로 허용할 수 있는 공압용 소음기(700)의 최대 배압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밸브(600)와 조절부재는 상기 하부캡(200)과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교체수리가 용이하다.
한편, 상기 하부캡(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밸브시트(62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시트(620) 주위로 보호부(22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밸브시트(620)는 상기 보호부(220)에 의하여 상기 밸브시트(620)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이 되지 않도록 함몰된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대하여 상기 밸브시트(620)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에 설치하여 공기 또는 압축공기의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는 용도로 적용되었으나, 이는 일실시예로 상기 공기는 공기 외의 기타 가스를 포함하는 유체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시험결과>
1. 통기도
공압용 소음기의 배기음 감쇠효과는 흡음부재의 통기특성에 의해 크게 좌우되며, KSK0570(천의 공기투과도 측정방법) 규격에 따라 측정한 결과, 압력 1,000[Pa], 면적 100[㎠] 조건에서 대략 130~135 [(㎤/min)/ ㎠] 정도의 양호한 통기도를 보였다.
2. 소음감쇠
KSB6375(공기압용 소음기) 규격에 따라 소음레벨을 측정한 결과 약 29.5~31㏈ 정도의 소음감쇠 효과를 나타내고 있고, 규격상의 기준인 20㏈ 보다 크게 향상된 결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3. 주파수특성
소음기 부착으로 그래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5㎑ 이내 전대역에 걸쳐 주파수 진폭이 안정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4. 내압성
KSB6375(공기압용 소음기) 규격에 따라 소음기 내부에 이물질을 투입하여 15bar의 내압상태로 시험한 결과, 결함이나 파손은 발생하지 않았다.
5. 온도
온도 55℃에서 16시간 동안 부하시험한 결과, 결함이나 파손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시험 이전과 거의 동일한 배기음 감쇠특성을 보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용 소음기(700)는, 상부캡(100)과 흡음부재(300)와 하부캡(200)이 착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지보수 및 부품의 교체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도 좋으며, 장볼트(510)와 풀림방지너트(520)를 통하여 체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높은 배압에서도 잘 견딜수 있는 내구성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용 소음기(700)는, 내부에 안전밸브(600)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공압용 소음기(7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흡음부재(300)를 적용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용 소음기(700)는, 상부캡(100)의 유입구(110)를 확관시킴으로써 공기의 유속을 떨어뜨리는 팽창식, 흡음부재(300)에 의 한 흡수식, 격판(400)에 의하여 유속을 떨어뜨리는 격벽식 등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였기 때문에 소음저감의 효과가 좋다. 때문에, 소유량용 뿐만 아니라 대유량 소음기용(high flow muffler)으로도 적합하여 다양한 산업용 기계의 공압 배기구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용 소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압용 소음기의 부분절단 사시도 및 분해조립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압용 소음기의 조립된 상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압용 소음기에서 하부캡의 다른 실시예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안전밸브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공압용 소음기의 탈부착에 따른 주파수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상부캡 110... 유입구
200,200a... 하부캡 210... 배압조절홀
220... 보호부 300... 흡음부재
310... 코어 400... 격판
500... 체결부재 600... 안전밸브
610... 밸브축 620... 밸브시트
630... 스프링 640... 스프링캡
650a,650b... 링홈 660... 스토퍼

Claims (10)

  1.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캡;
    상기 상부캡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배압조절홀이 형성된 하부캡;
    중공의 원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 사이에 고정되고, 외주면으로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공기가 배출됨에 따른 상기 공기의 배출음을 흡수하는 흡음부재;
    상기 배압조절홀에 관통삽입되고 외주면에 이격되게 복수개의 링홈들이 형성된 밸브축과, 상기 하부캡의 외측에서 상기 밸브축의 일단부와 결합하고 저면이 상기 하부캡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밸브시트와, 상기 하부캡의 내측에서 상기 밸브축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밸브시트의 저면이 상기 하부캡과 접촉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일측면이 상기 스프링의 외측단부와 접촉하고 상기 밸브축과 결합하여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캡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의 배압정도에 따라 상기 배압조절홀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안전밸브; 및
    상기 밸브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스프링이 받는 예압을 조절하며, 상기 밸브축의 링홈들 중의 하나에 끼워지고 일측면이 상기 스프링캡의 타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스프링캡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공압용 소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과 상기 흡음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유동홀들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격판을 더 구비하는 공압용 소음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흡음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흡음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소음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코어를 더 포함하는 공압용 소음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입구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인 공압용 소음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을 관통하는 장볼트와, 상기 장볼트와 체결되는 풀림방지너트를 구비하는 공압용 소음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는 고분자소재를 롤링(rolling) 열융착하여 제조되는 공압용 소음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의 외측면에는 상기 밸브시트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부가 돌출형성된 공압용 소음기.
KR1020090089053A 2009-09-21 2009-09-21 공압용 소음기 KR101174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053A KR101174486B1 (ko) 2009-09-21 2009-09-21 공압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053A KR101174486B1 (ko) 2009-09-21 2009-09-21 공압용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699A KR20110031699A (ko) 2011-03-29
KR101174486B1 true KR101174486B1 (ko) 2012-08-21

Family

ID=4393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053A KR101174486B1 (ko) 2009-09-21 2009-09-21 공압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951B1 (ko) * 2011-12-23 2013-06-12 세종공업 주식회사 차량 소음기용 밸브 유닛
US9982959B2 (en) 2013-03-15 2018-05-29 Centre Firearms Co., Inc. Monolithic noise suppression device for firearm
KR200477306Y1 (ko) * 2013-07-26 2015-05-28 주식회사 앤투앤 안전 소음기
KR102483663B1 (ko) * 2021-01-22 2022-12-3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캠핑용 포터블발전기셋 소음저감형 방음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188B1 (ko) * 2003-07-22 2005-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날개를 이용한 가변배압 머플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188B1 (ko) * 2003-07-22 2005-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날개를 이용한 가변배압 머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699A (ko)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486B1 (ko) 공압용 소음기
CN100418797C (zh) 轮胎阀门
KR20070089230A (ko) 소음기
US4316523A (en) Silencer for gas discharge devices
US6109387A (en) Silencer for gas discharge devices
US3672465A (en) Gas exhaust silencer
US6968923B2 (en) Reduced noise valve stack connection
CN115463367A (zh) 气体系灭火设备用的具有消音功能的喷射头及其保管和组装方法
KR20110056138A (ko) 소음기의 응축수 배출 장치
JP2010260019A (ja) パルスジェット式集塵機
JP5635498B2 (ja) 組立てユニット用パージ装置及び組立てユニットをデフレートさせる方法
KR101744804B1 (ko) 차량용 테일 파이프 어셈블리
KR102365641B1 (ko) 전기차 배터리팩 소염배기장치
KR101252212B1 (ko) 진동흡수댐퍼
JP5364547B2 (ja) エアばね付きダンパ
JP4664867B2 (ja) サイレンサ
JP2008057509A (ja) 触媒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22563B1 (ko) 배기관용 소음기
JP2005248948A (ja) 空気機械用消音器
CN106467067B (zh) 消声单元及工程车辆
CN202532098U (zh) 一种管道水锤保护装置
CN105090578A (zh) 一种高压集液型调压、溢流、安全阀
CN101457925B (zh) 一种排气消声装置
JP2007315209A (ja) サイレンサ
JP4716952B2 (ja) ラプチャーディ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