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587B1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587B1
KR102483587B1 KR1020160062289A KR20160062289A KR102483587B1 KR 102483587 B1 KR102483587 B1 KR 102483587B1 KR 1020160062289 A KR1020160062289 A KR 1020160062289A KR 20160062289 A KR20160062289 A KR 20160062289A KR 102483587 B1 KR102483587 B1 KR 102483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bonnet
engine
fuel
wor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7438A (ko
Inventor
다이스케 이나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60137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2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7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draining or emptying a fuel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0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 B60K2015/03509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with a droplet separator in the ven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보닛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각 부품을 구비한 작업차를 제공한다.
엔진과, 엔진을 덮는 보닛(29)과,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류 가능한 연료 탱크와, 연료 탱크 측으로부터 엔진 측을 향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고, 연료 공급 경로를 흐르는 연료로부터 수분을 분리 제거하는 세퍼레이터(46)가 구비되고, 세퍼레이터(46)는, 당해 세퍼레이터(46) 중 적어도 일부가 보닛(29)의 측면보다도 횡외측방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세퍼레이터(46)에 있어서의 보닛(29)의 측면보다도 횡외측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부위(76)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돌출 부위(76)의 전방부를 보호하는 전방측 보호부(72)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차{WORK VEHICLE}
본 발명은 엔진과, 엔진을 덮는 보닛과,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류 가능한 연료 탱크가 구비되어 있는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작업차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작업차에는, 연료 탱크 측으로부터 엔진 측을 향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경로(특허문헌 1에서는 「연료 공급로」)의 도중에 설치되고, 연료 공급 경로를 흐르는 연료로부터 수분을 분리 제거하는 세퍼레이터(특허문헌 1에서는 「수분 제거부」)가 구비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기술에서는, 세퍼레이터 전체가, 보닛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3-189939호 공보
그런데, 최근, 엔진 주위의 부품 개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기존의 보닛 내에 모든 부품을 수용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보닛을 대형화하여 해결을 도모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보닛의 설계 변경에는 막대한 수고와 비용이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실상에 비추어, 보닛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각 부품을 구비한 작업차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작업차는,
엔진과,
상기 엔진을 덮는 보닛과,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류 가능한 연료 탱크와,
상기 연료 탱크 측으로부터 상기 엔진 측을 향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 공급 경로를 흐르는 연료로부터 수분을 분리 제거하는 세퍼레이터가 구비되고,
상기 세퍼레이터는, 당해 세퍼레이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닛의 측면보다도 횡외측방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보닛의 측면보다도 횡외측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부위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 부위의 전방부를 보호하는 전방측 보호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주위의 부품의 하나인 세퍼레이터를, 당해 세퍼레이터 중 적어도 일부가 보닛의 측면으로부터 횡외측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보닛 내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의 배치 공간이 삭감되어, 다른 부품을 보닛 내에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세퍼레이터를 이와 같이 배치하면, 예를 들어 기체 주행 시 등에, 세퍼레이터에 초목 등의 이물질이 접촉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보닛의 측면보다도 횡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부위의 전방부가, 그 돌출 부위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측 보호부에 의해 보호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기체 주행 시 등에, 세퍼레이터의 돌출 부위의 전방으로부터 초목 등의 이물질이 접근해 왔다고 해도, 전방측 보호부에 의해, 그러한 이물질이 세퍼레이터의 돌출 부위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닛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각 부품을 적절하게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기체 프레임과,
상기 기체 프레임측에 지지되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에 상기 전방측 보호부가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기체 프레임측에 지지되는 지주부는, 기체 전체의 강성 부재로서 기능함과 함께, 각종 기기의 지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한 지주부에 지지되는 지지부에, 세퍼레이터의 돌출부의 전방부를 보호하는 전방측 보호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전방측 보호부를, 기체 프레임측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와 상기 지지부가, 동일한 고정구를 사용하여 상기 지주부 측에 고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세퍼레이터를 지주부 측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지지부를 지주부 측에 고정하는 고정구로서 겸용할 수 있으므로, 고정구의 부재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후방부와 상기 전방측 보호부의 하부를 접속하는 접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전방측 보호부와 상기 접속부가 일체로 되어 폐루프 형상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세퍼레이터의 돌출 부위의 전방부를 보호하는 전방측 보호부와, 지주부 측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후방부와 전방측 보호부의 하부를 접속하는 접속부가 일체로 되어 폐루프 형상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세퍼레이터를 보호하는 부재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에, 분리 제거한 수분으로 이루어지는 제거수를 하방측으로 배출 가능한 드레인부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부에, 상기 드레인부의 하방의 공간을 개방하는 물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접속부에 물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세퍼레이터의 드레인부로부터 제거수를 배출할 때에, 접속부가 방해가 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에, 광을 투과 가능한 투광부가 구비되고,
상기 투광부의 하부측의 횡외측 부위를 덮고, 또한 상기 투광부의 상부측의 횡외측방의 공간을 개방하는 횡외측 보호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세퍼레이터의 하부측의 횡외측 부위를, 횡외측 보호부에 의해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의 투광부의 상부측의 횡외측의 공간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세퍼레이터 내의 제거수의 저류량이 어느 정도 증가해 온 경우에, 외부로부터 투광부를 통해 세퍼레이터 내의 제거수의 저류 상태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가, 상기 보닛의 후단부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어느 정도 개방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 보닛의 후단부의 하방측의 공간을 유효 활용하여, 세퍼레이터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에 급유를 행하기 위한 급유 탱크를 적재 가능한 적재대가 구비되고,
상기 세퍼레이터가, 상기 적재대의 하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세퍼레이터의 상방의 공간의 일부가, 연료 탱크에 급유를 행하기 위한 급유 탱크를 적재 가능한 적재대로 덮이므로, 적재대에 의해, 세퍼레이터의 상부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를 도시하는 전체 측면도.
도 2는 트랙터를 도시하는 전체 정면도.
도 3은 연료 공급 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세퍼레이터의 주변의 배치 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세퍼레이터의 주변의 배치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세퍼레이터의 주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배터리의 배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례인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트랙터(「작업차」의 일례)에는, 사륜 구동식의 주행 기체(10)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10)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 프레임(11)에, 구동 가능 또한 조타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전륜(12)과, 구동 가능 또한 제동 가능한 좌우 한 쌍의 후륜(13)이 지지되어 있다.
주행 기체(10)의 전방부에는, 원동부(14)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10)의 후방부에는, 운전 좌석(15)을 갖는 운전부(16)와, 운전부(16)를 덮는 캐빈(17)이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10)의 후단부에는,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아암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링크 기구(18)와, 동력 취출축(19)이 구비되어 있다. 링크 기구(18)에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작업 장치(도시 생략)를 승강 조작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그 작업 장치에 동력 취출축(19)을 연동 연결함으로써, 작업 장치의 승강 조작 및 구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11)에는, 엔진(20)이 지지되어 있다. 엔진(20)은, 예를 들어 레일(21) 및 복수의 인젝터(도시 생략)를 구비한 커먼 레일식의 디젤 엔진이며, 연료의 분사량이나 분사 타이밍을 전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1)에는, 엔진(20)의 하부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신장되는 전방 차축 프레임(22)과, 엔진(20)의 후방부에 연결되는 전동 하우징(23)과, 전동 하우징(23)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운전 좌석(15)의 하방에 위치하는 미션 케이스(24)가 구비되어 있다. 전방 차축 프레임(22)에는, 전륜(12)이 연결되는 전방 차축(25)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 차축 케이스(26)가 지지되어 있다. 전방 차축 프레임(22)은,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전후 프레임(27)과, 전후 프레임(27)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28)이 구비되어 있다. 엔진(20)의 동력은, 전방 차축 케이스(26)를 통해 전륜(12)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엔진(20)의 동력은, 미션 케이스(24)를 통해 후륜(13)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동부(14)에는, 엔진(20)을 덮는 보닛(29)이 구비되어 있다. 보닛(29)의 내측에 형성된 배치 공간에는, 엔진(20) 외에, 엔진(20)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류 가능한 연료 탱크(30), 엔진(20)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냉각 팬(31), 엔진(20)의 냉각용 라디에이터(32), 전장 기기용 배터리(33), 엔진(20)의 배기에 포함되는 배기 미립자를 제거하는 DPF 장치(도시 생략) 등의 기기가 배치되어 있다.
보닛(29)에는, 엔진(20)의 상방에 위치하는 천장판부(34)와, 천장판부(34)의 좌우의 측단부에 각각 연속 설치되고, 엔진(20)의 횡외측에 위치하는 측판부(35)와, 천장판부(34)의 전단부 및 각 측판부(35)의 전단부에 연속 설치되고, 엔진(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판부(36)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측판부(35)에는, 각각, 천장판부(34)와 일체의 사이드 패널(37)과, 사이드 패널(37)의 하부측의 전후 중앙부 부근으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위치하는 사이드 커버(38)가 구비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38)는, 사이드 패널(37)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37)의 측면과 사이드 커버(38)의 측면은, 동일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38)에는, 공기를 통류 가능한 그물 형상의 횡측 통기부(39)가 형성되어 있다. 횡측 통기부(39)를 통해 보닛(29) 내와 외부 사이에서 횡방향을 따라 공기의 통류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방판부(36)에는, 공기를 통류 가능한 그물 형상의 전방측 통기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측 통기부(40)를 통해 보닛(29) 내와 외부 사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공기의 통류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 도 4∼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11)측에는, 역 U자 형상의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주부(41)가 지지되어 있다. 지주부(41)는, 연료 탱크(30)의 주위를 덮고 있다. 연료 탱크(30)의 횡측방에는, 연료 탱크(30)에 급유를 행하기 위한 급유 탱크를 적재 가능한 적재대(42)가 구비되어 있다. 적재대(42)는, 지지 부재(43)를 통해 지주부(41)에 지지되어 있다. 적재대(42)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후 축심(Z)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적재면(44)이 수평 형상으로 되는 적재 자세(A1)와, 적재면(44)이 횡방향이 되는 저장 자세(A2)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0)에는, 연료 탱크(30)로부터 엔진(20)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시스템(45)이 구비되어 있다. 연료 공급 시스템(45)에는, 연료 공급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세퍼레이터(46), 전자 펌프(47), 합류 배출부(48), 냉각부(49), 피드 펌프(50), 필터(51), 서플라이 펌프(52)가 구비되어 있다.
세퍼레이터(46), 전자 펌프(47), 합류 배출부(48), 피드 펌프(50), 필터(51) 및 서플라이 펌프(52)는, 엔진(20)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30), 전자 펌프(47), 합류 배출부(48), 냉각부(49), 피드 펌프(50), 필터(51) 및 서플라이 펌프(52)는, 보닛(29) 내의 배치 공간에 구비되어 있다.
합류 배출부(48)에는, 연료를 저류 가능한 합류 저류부(53), 연료 탱크(30)로부터 합류 저류부(53)에 연료를 도입하는 도입구(54), 엔진(20)측을 향해 합류 저류부(53)로부터 연료를 배출하는 배출구(55), 엔진(20)측으로부터 합류 저류부(53)에 연료를 도입하는 복귀구(56), 합류 저류부(53)로부터 연료 탱크(30)에 연료를 배출하는 복귀구(57)가 구비되어 있다.
연료 탱크(30)와 세퍼레이터(46)는, 제1 관로(5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세퍼레이터(46)와 합류 배출부(48)의 도입구(54)는, 제2 관로(5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2 관로(59)에 전자 펌프(47)가 구비되어 있다. 합류 배출부(48)의 배출구(55)와 냉각부(49)는, 제3 관로(6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냉각부(49)와 피드 펌프(50)는, 제4 관로(6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피드 펌프(50)와 필터(51)는, 제5 관로(6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필터(51)와 서플라이 펌프(52)는, 제6 관로(6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엔진(20)과 합류 배출부(48)의 복귀구(56)는, 제7 관로(6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합류 배출부(48)의 복귀구(57)와 연료 탱크(30)는, 제8 관로(6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필터(51)와 제8 관로(65)의 도중 부분은, 제9 관로(6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연료 탱크(30)에 저류된 연료는, 전자 펌프(47)에 의해 가압되고, 순서대로, 제1 관로(58), 세퍼레이터(46), 제2 관로(59), 합류 배출부(48)의 도입구(54), 합류 배출부(48)의 합류 저류부(53), 합류 배출부(48)의 배출구(55), 제3 관로(60)를 통과하고, 냉각부(49)에 보내진다. 세퍼레이터(46)에서는, 연료에 포함되는 수분이 분리 제거된다. 합류 배출부(48)의 합류 저류부(53)에서는, 엔진(20)측으로부터 복귀구(56)를 통과하여 복귀되는 가열된 연료와 연료 탱크(30)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 합류한다. 그리고, 합류 배출부(48)의 합류 저류부(53)에 있어서 합류한 연료는, 합류 배출부(48)의 배출구(55)로부터 엔진(20)측을 향해 배출된다. 냉각부(49)에서는, 연료가 원하는 온도 범위 내의 온도가 되도록 냉각된다. 그리고, 냉각부(49)에서 냉각된 연료는, 피드 펌프(50)에 의해 가압되고, 순서대로, 제4 관로(61), 제5 관로(62), 필터(51), 제6 관로(63), 서플라이 펌프(52)에 보내진다. 필터(51)에서는, 연료에 포함되는 석출물 등의 불순물이 제거된다. 불순물이 제거된 연료는, 서플라이 펌프(52)에 의해 가압되고, 엔진(20)의 레일(21)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연료 탱크(30)에 저류되어 있는 연료를 엔진(20)에 공급하는 연료 공급 경로가 구성되어 있다.
엔진(20)의 잉여 연료는, 제7 관로(64), 합류 배출부(48)의 복귀구(56)를 통과하고, 합류 배출부(48)의 합류 저류부(53)로 복귀된다. 또한, 엔진(20)의 잉여 연료는, 레일(21)이나 인젝터(도시 생략)에 있어서의 잉여 연료이다. 그리고, 합류 배출부(48)의 합류 저류부(53)에 있어서의 잉여 연료는, 합류 배출부(48)의 복귀구(57)로부터 제8 관로(65)를 통해, 연료 탱크(30)로 복귀된다. 또한, 필터(51)에 있어서의 잉여 연료는, 제8 관로(65)를 통해, 제8 관로(65)에 합류되어, 연료 탱크(30)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잉여 연료를 연료 탱크(30)로 복귀시키는 연료 복귀 경로가 구성되어 있다.
[세퍼레이터와 그 보호 부재에 대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4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 탱크(30)측으로부터 엔진(20)측을 향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세퍼레이터(46)는, 연료 공급 경로를 흐르는 연료로부터 수분을 분리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4∼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46)의 근방에는, 세퍼레이터(46)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67)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46)는, 세퍼레이터(46)의 일부가 보닛(29)의 측면으로부터 횡외측으로 밀려나오고, 또한 세퍼레이터(46)의 잔여의 부분이 보닛(29) 내의 배치 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세퍼레이터(46)는, 당해 세퍼레이터(46) 중 적어도 일부가 보닛(29)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37) 및 사이드 커버(38)보다도 횡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46)에는, 제거수 저류부(68), 광을 투과 가능한 투광부(69), 제거수 저류부(68) 내에 배치되는 플로트(70), 드레인부(71) 등이 구비되어 있다. 제거수 저류부(68)는, 연료 공급 경로에 있어서의 연료로부터 분리 제거한 수분으로 이루어지는 제거수를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투광부(69)는, 제거수 저류부(68)를 형성하는 저류조의 주위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거수 저류부(68)를 형성하는 저류조의 주위부의 전체가, 광을 투과하도록 되어 있다. 플로트(70)는, 제거수 저류부(68)에 제거수가 저류되면 제거수 저류부(68) 내에서 부상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드레인부(71)는, 콕(도시 생략)을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제거수 저류부(68)에 저류된 제거수를 하방측으로 배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46) 및 보호 부재(67)는, 전방 차축(25)보다도 후방측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46) 및 보호 부재(67)는, 전방 차축 프레임(22)의 전후 프레임(27)의 후단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46) 및 보호 부재(67)는, 적재대(42)의 하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46) 및 보호 부재(67)는, 보닛(29)의 후단부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퍼레이터(46) 및 보호 부재(67)는, 사이드 커버(38)의 후단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46)의 드레인부(71)는, 피드 펌프(50)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4∼도 6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호 부재(67)에는, 전방측 보호부(72)와, 지지부(73)와, 접속부(74)와, 횡외측 보호부(75)가 구비되어 있다. 전방측 보호부(72)는, 세퍼레이터(46)에 있어서의 보닛(29)의 측면보다도 횡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부위(76)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돌출 부위(76)의 전방부를 보호하는 전방측 보호부(72)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부(73)는, 지주부(41)에 지지되어 있다. 전방측 보호부(72)는, 지지부(73)에 지지되어 있다. 접속부(74)는, 지지부(73)의 후방부와 전방측 보호부(72)의 하부를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접속부(74)에는, 드레인부(71)의 하방의 공간을 개방하는 물 배출부(77)가 형성되어 있다. 물 배출부(77)는, 접속부(74)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물 배출부(77)는, 접속부(74)에 있어서의 하면의 일부로부터 전방면의 일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전방측 보호부(72)와, 접속부(74)는, 띠 형상의 판체를 절곡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횡외측 보호부(75)는, 띠 형상의 판체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전방측 보호부(72)의 하부와 접속부(74)의 후방부 하측에 걸쳐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73)는, 띠 형상의 판체를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73)는, 전단부(78)와 후단부(79)를 기체 외측을 향해 절곡하고 있고, 전단부(78)가 전방측 보호부(72)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고, 후단부(79)가 접속부(74)의 상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지지부(73)와 전방측 보호부(72)와 접속부(74)는, 일체로 되어 폐루프 형상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도 4, 도 6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부(73)는, 지주부(41)에 고정되는 L자 형상의 브래킷(80)에 대해, 볼트 등으로 구성되는 제1 고정구(81)로 고정되어 있다. 세퍼레이터(46)는, 볼트 등으로 구성되는 제2 고정구(82)로, 지지부(73)와 함께 브래킷(80)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즉, 세퍼레이터(46)와 지지부(73)는, 동일한 제2 고정구(82)(「고정구」에 상당)를 사용하여 지주부(41)측에 고정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세퍼레이터(46)와 보호 부재(67)의 지지부(73)는, 지주부(41)에 고정되는 브래킷(80)에 대해 함께 체결되어 있다.
도 4∼도 6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횡외측 보호부(75)는, 투광부(69)의 하부측의 횡외측 부위를 덮고, 또한 투광부(69)의 상부측의 횡외측의 공간을 개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횡외측 보호부(75)의 상방의 영역은, 투광부(69)의 내측에 위치하는 플로트(70)가 횡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커버에 대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닛(29)은, 종래의 배치 형태보다도, 전방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닛(29)의 내측에 위치하는 기기의 배치 공간이 확대되어 있다. 캐빈(17)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전방 벽부(83)와 보닛(29)의 후단부 사이에 빈 간극에는, 보닛(29)의 후단부의 형상을 따른 역 U자 형상의 수지제의 커버(84)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84)에 의해, 연료 탱크(30) 중 캐빈(17)의 전방 벽부(83)와 보닛(29)의 후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주위가 덮여 있다.
[배터리의 배치에 대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터리(33)는, 보닛(29) 내에 있어서의 라디에이터(32)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터리(33)는, 전방 차축 프레임(22)에 있어서의 좌우의 전후 프레임(27) 사이의 공간에 떨어뜨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측면에서 보아, 배터리(33)의 하부는, 전방 차축 프레임(22)의 전후 프레임(27)과 중복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방 차축 프레임(22)의 상부에는, 판상의 지지대(85)가 지지되어 있다. 지지대(85)의 중앙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에, 판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오목 형상의 설치 부재(86)가 끼워 넣어져 있다. 배터리(33)는, 설치 부재(86)에 끼워 넣어져 위치 유지되어 있다. 즉, 배터리(33)를 배치하는 높이가 낮게 되어 있으므로, 주행 시의 대향풍이나 냉각 팬(31)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이, 전방측 통기부(40)를 통해 보닛(29) 내에 유입될 때에, 배터리(33)에 의해 바람의 흐름이 저해되기 어렵고, 라디에이터(32)측에 바람이 원활하게 공급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라디에이터(32) 등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하, 상기 실시 형태에 변경을 가한 다른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하기의 각 다른 실시 형태는, 설명하고 있는 사항 이외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하기의 각 다른 실시 형태는,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 및 하기의 각 다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개변 가능하다.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세퍼레이터(46)의 일부가 보닛(29)의 측면보다도 횡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세퍼레이터(46)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세퍼레이터(46)의 전체가 보닛(29)의 측면보다도 횡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세퍼레이터(46)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정면에서 보아, 보호 부재(67)가 세퍼레이터(46)와 중복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보호 부재(67)가 정면에서 보아 세퍼레이터(46)와 중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보호 부재(67)의 일부가 세퍼레이터(46)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면, 주행 시 등에, 보호 부재(67)에 의해 세퍼레이터(46)를 어느 정도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 보호부(72)가 지지부(73)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방측 보호부(72)가 지지부(73)를 통하지 않고 지주부(41)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세퍼레이터(46)와 보호 부재(67)의 지지부(73)가, 동일한 제2 고정구(82)를 사용하여 지주부(41)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세퍼레이터(46)와 보호 부재(67)의 지지부(73)가, 서로 다른 고정구를 사용하여 지주부(41)측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펌프(47)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전자 펌프(47)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피드 펌프(50)의 가압에 의해, 연료 탱크(30)에 저류된 연료가, 세퍼레이터(46), 합류 배출부(48), 냉각부(49), 필터(51)의 순으로 보내지는 것으로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먼 레일식의 디젤 엔진인 엔진(20)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커먼 레일식이 아닌 통상의 디젤 엔진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트랙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콤바인, 전식기, 예초기 등의 다른 작업차에도 이용할 수 있다.
11 : 기체 프레임
20 : 엔진
29 : 보닛
30 : 연료 탱크
41 : 지주부
42 : 적재대
46 : 세퍼레이터
69 : 투광부
71 : 드레인부
72 : 전방측 보호부
73 : 지지부
74 : 접속부
75 : 횡외측 보호부
76 : 돌출 부위
77 : 물 배출부
82 : 제2 고정구(고정구)

Claims (8)

  1. 엔진과,
    상기 엔진을 덮는 보닛과,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류 가능한 연료 탱크와,
    상기 연료 탱크 측으로부터 상기 엔진 측을 향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 공급 경로를 흐르는 연료로부터 수분을 분리 제거하는 세퍼레이터가 구비되고,
    상기 세퍼레이터는, 당해 세퍼레이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닛의 측면보다도 횡외측방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보닛의 측면보다도 횡외측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부위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 부위의 전방부를 보호하는 전방측 보호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기체 프레임과,
    상기 기체 프레임 상에서 상기 보닛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에 상기 세퍼레이터 및 상기 전방측 보호부를 지지시키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세퍼레이터가 존재하는 개소 근방에 있어서 상기 보닛의 측면의 내외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와 상기 지지부가, 동일한 고정구를 사용하여 상기 지주부 측에 고정되어 있는, 작업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후방부와 상기 전방측 보호부의 하부를 접속하는 접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전방측 보호부와 상기 접속부가 일체로 되어 폐루프 형상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작업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에, 분리 제거한 수분으로 이루어지는 제거수를 하방측으로 배출 가능한 드레인부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부에, 상기 드레인부의 하방의 공간을 개방하는 물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에, 광을 투과 가능한 투광부가 구비되고,
    상기 투광부의 하부측의 횡외측 부위를 덮고, 또한 상기 투광부의 상부측의 횡외측방의 공간을 개방하는 횡외측 보호부가 구비되어 있는, 작업차.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가, 상기 보닛의 후단부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에 급유를 행하기 위한 급유 탱크를 적재 가능한 적재대가 구비되고,
    상기 세퍼레이터가, 상기 적재대의 하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작업차.
  8. 삭제
KR1020160062289A 2015-05-21 2016-05-20 작업차 KR102483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03818 2015-05-21
JP2015103818A JP6436852B2 (ja) 2015-05-21 2015-05-21 作業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438A KR20160137438A (ko) 2016-11-30
KR102483587B1 true KR102483587B1 (ko) 2023-01-03

Family

ID=5732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289A KR102483587B1 (ko) 2015-05-21 2016-05-20 작업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34088B2 (ko)
JP (1) JP6436852B2 (ko)
KR (1) KR1024835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3380A (ja) * 2002-05-24 2003-12-03 Iseki & Co Ltd 乗用管理機
JP2011156956A (ja) * 2010-02-01 2011-08-18 Yanmar Co Ltd 燃料供給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5616U (ko) * 1976-08-10 1978-03-04
US4328825A (en) * 1980-09-10 1982-05-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tank water drain system
JPS60142734U (ja) * 1984-03-02 1985-09-2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
FR2629876B1 (fr) * 1988-04-11 1991-03-08 Labinal Dispositifs pour eliminer l'eau du gazole alimentant un moteur diesel
JPH051814A (ja) * 1991-02-21 1993-01-08 Hitachi Constr Mach Co Ltd 燃料フイルタ
US5368001A (en) * 1994-01-21 1994-11-29 Walbro Corporation Fuel handling system
DE19733949C1 (de) * 1997-08-06 1999-01-21 Mannesmann Vdo Ag Kraftstoffversorgungssystem
JP3622494B2 (ja) * 1998-04-01 2005-02-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セジメンタの保護構造
SE520422C2 (sv) * 2002-10-22 2003-07-08 Scania Cv Abp Anordning för bränsletransport vid förbränningsmotor
US6953527B2 (en) * 2003-02-17 2005-10-11 Tecumseh Products Company Fuel tank with water trap
US7429322B2 (en) * 2003-11-20 2008-09-30 Honda Motor Co., Ltd. Fuel tank with filters
US7507131B2 (en) * 2004-11-18 2009-03-24 Schaefer Jr Louis E Fuel tank with trash and water separation/containment device
JP2010031774A (ja) * 2008-07-30 2010-02-12 Mikuni Corp 燃料供給装置
JP5785511B2 (ja) 2012-03-14 2015-09-30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CA2827580A1 (en) * 2013-09-20 2015-03-20 Peter Kerrin Filter and system for removing emulsified water from a liquid
US10052945B2 (en) * 2014-06-02 2018-08-21 Nikki Co., Ltd. Fuel supply system
US9308813B1 (en) * 2014-12-30 2016-04-12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Utility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3380A (ja) * 2002-05-24 2003-12-03 Iseki & Co Ltd 乗用管理機
JP2011156956A (ja) * 2010-02-01 2011-08-18 Yanmar Co Ltd 燃料供給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36852B2 (ja) 2018-12-12
KR20160137438A (ko) 2016-11-30
US9834088B2 (en) 2017-12-05
JP2016217276A (ja) 2016-12-22
US20160339778A1 (en)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748B2 (en) Work vehicle having an exhaust gas treatment unit
US11634024B2 (en) Working machine
US9708951B2 (en) Reducing agent tank module
KR102138732B1 (ko) 작업 차량
US10519908B2 (en) Device for supplying fuel to engine
US8801019B2 (en) Working vehicle
KR102183434B1 (ko) 트랙터
US20150068827A1 (en) Snowmobile fuel tank
US20130240283A1 (en) Work vehicle with engine mounted rearwardly
KR102089930B1 (ko) 작업 차량
JP6733117B2 (ja) 作業車両
EP3127734B1 (en) Tractor
US7690461B2 (en) All terrain vehicle
KR102483587B1 (ko) 작업차
US9125340B2 (en) Ride-on lawn mower
JP6121222B2 (ja) ハイブリッド作業車の動力制御装置
JP2010195120A (ja) 作業車両
US8770325B2 (en) Bulldozer
KR102275192B1 (ko) 농업용 작업차
JP7058592B2 (ja) 作業車
JP7105686B2 (ja) 作業車
KR102529833B1 (ko) 농업용 작업차의 배기장치
EP1683959A1 (en) Air cleaner structure for vehicle
JP2011156956A (ja) 燃料供給構造
JP2014209883A (ja) 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