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434B1 - 트랙터 - Google Patents

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434B1
KR102183434B1 KR1020197020009A KR20197020009A KR102183434B1 KR 102183434 B1 KR102183434 B1 KR 102183434B1 KR 1020197020009 A KR1020197020009 A KR 1020197020009A KR 20197020009 A KR20197020009 A KR 20197020009A KR 102183434 B1 KR102183434 B1 KR 102183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a water
post
tank
treatment devic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525A (ko
Inventor
가즈오 노무라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2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8Mounting or arrangement of exhaust sensors in or on exhaust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tailpipe, e.g. with means for mixing air with exhaust for exhaust cooling, dilution or evac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5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having means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exhaust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flared outlets, e.g. of fish-tai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2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heat or sound protection, e.g. using a shield or specially shaped outer surface of exhaus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2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2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 F01N2560/026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for measuring or detecting N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트랙터 (1) 는, 주행 기체 (2) 에 탑재한 엔진 (5) 과, 엔진 (5) 의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 (32) 와, 후처리 장치 (32) 를 경유한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세로로 긴 테일 파이프 (39) 를 구비한다. 주행 기체 (2) 상의 조종부 (7) 전방에, 배기 가스가 아래에서 위를 향하도록, 후처리 장치 (32) 를 종향으로 배치한다. 후처리 장치 (32) 의 상면측에 상향으로 돌출된 출구관 (111) 을 형성한다. 테일 파이프 (39) 의 배기 입구측의 내경을 출구관 (111) 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한다. 테일 파이프 (39) 의 배기 입구측에 출구관 (111) 을 끼워 넣어 연통시킨다. 후처리 장치 (32) 의 외측을 외측 커버체 (113) 로 덮는다.

Description

트랙터
본원 발명은 농작업용 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이나 질소 산화물 등을 제거하는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젤 엔진의 배기 경로 중에, 후처리 장치 (배기 가스 정화 장치라고 해도 된다) 로서, 디젤 퍼티큘레이트 필터를 내장한 케이스 (이하, DPF 케이스라고 한다) 와, 선택 환원형 촉매를 내장한 케이스 (이하, SCR 케이스라고 한다) 를 형성하고,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한 배기 가스를 양 케이스에 도입하여 정화 처리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선행기술의 구성에서는, 주행 기체 상의 조종부 전방에, 배기 가스가 아래에서 위를 향하도록, SCR 케이스를 종향으로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SCR 케이스의 상면측에 세로로 긴 테일 파이프를 연결하고 있다. 테일 파이프 상단측의 배기 출구로부터, SCR 케이스를 경유한 배기 가스가 외부로 방출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203753호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1/283687호 명세서
그러나, 선행기술의 구성에서는, 테일 파이프 내에서 배기 가스가 차가워진 경우에 발생하는 수분이나 테일 파이프 내로 들어간 빗물 등이 있으면, 이러한 수분이 테일 파이프의 내측을 타고 떨어져 SCR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그 결과, SCR 케이스의 배기 가스 정화 성능이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의 현 상황을 검토하여 개선을 실시한 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주행 기체에 탑재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와, 상기 후처리 장치를 경유한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세로로 긴 테일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기체 상의 조종부 전방에, 배기 가스가 아래에서 위를 향하도록, 상기 후처리 장치를 종향으로 배치하고 있는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장치의 상면측에 상향으로 돌출된 출구관을 형성하고,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 입구측의 내경을 상기 출구관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하여,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 입구측에 상기 출구관을 끼워 넣어 연통시키고, 상기 후처리 장치의 외측을 외측 커버체로 덮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장치에는, 상기 후처리 장치의 내부 상태를 검출하는 배기 센서를, 상기 후처리 장치의 외측에 상기 배기 센서의 기부 (基部) 가 노출되도록 장착하고, 상기 외측 커버체는, 상기 배기 센서의 기부마다 상기 후처리 장치의 외측을 덮도록 해도 된다.
본원 발명의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장치와 상기 외측 커버체 사이이고 또한 상기 배기 센서의 상방에, 상부 차폐판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본원 발명의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장치와 상기 외측 커버체 사이이고 또한 상기 배기 센서의 측방에, 측부 차폐판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본원 발명의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배기 센서로부터 연장되는 하니스를 상기 외측 커버체의 내면측에 지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원 발명의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체의 상하 중도부에, 상기 하니스를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공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주행 기체에 탑재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와, 상기 후처리 장치를 경유한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세로로 긴 테일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기체 상의 조종부 전방에, 배기 가스가 아래에서 위를 향하도록, 상기 후처리 장치를 종향으로 배치하고 있는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장치의 상면측에 상향으로 돌출된 출구관을 형성하고,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 입구측의 내경을 상기 출구관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하여,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 입구측에 상기 출구관을 끼워 넣어 연통시키고, 상기 후처리 장치의 외측을 외측 커버체로 덮고 있기 때문에, 상기 테일 파이프 내에서 배기 가스가 차가워진 경우에 발생하는 수분이나 상기 테일 파이프 내로 들어간 빗물 등은, 상기 테일 파이프의 내측을 타고 떨어지고 나서, 상기 외측 커버체 내에 있는 상기 후처리 장치의 외면측을 타고 떨어지게 되어, 상기 후처리 장치의 내부로 흘러 들어갈 우려가 없어진다. 따라서, 수분이나 빗물 등에서 기인하여 상기 후처리 장치의 배기 가스 정화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트랙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트랙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트랙터의 바닥면도이다.
도 5 는 트랙터에 있어서의 주행 기체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트랙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 은 요소수 배관 계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캐빈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9 는 좌측 탱크 및 요소수 탱크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은 좌측 탱크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1 은 요소수 탱크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요소수 탱크의 장착 구조를 왼쪽 비스듬히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 은 요소수 탱크의 전면 (前面) 형상을 나타내는 왼쪽 비스듬히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 는 제 2 케이스와 외측 커버체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5 는 트랙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16 은 외측 커버체의 내부 구조의 제 1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7 은 외측 커버체의 내부 구조의 제 2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 도 6 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 (1) 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 (1) 의 주행 기체 (2) 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1 쌍의 전차륜 (3) 과 마찬가지로 좌우 1 쌍의 후차륜 (4)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주행 기체 (2) 의 전부 (前部) 에 탑재한 동력원으로서의 커먼 레일식의 디젤 엔진 (5) (이하, 간단히 엔진이라고 한다) 으로 후차륜 (4) 및 전차륜 (3) 을 구동시킴으로써, 트랙터 (1) 가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 (5) 은 보닛 (6) 으로 덮여 있다. 주행 기체 (2) 의 상면에는 캐빈 (7) (조종부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설치되고, 그 캐빈 (7) 의 내부에는, 조종 좌석 (8) 과, 조타에 의해 전차륜 (3) 의 조향 방향을 좌우로 움직이도록 한 조종 핸들 (9) 이 배치되어 있다. 캐빈 (7) 의 좌우 하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스텝 (10) 이 좌우에 배분되어 형성되어 있다. 캐빈 (7) 의 바닥부보다 하측에는, 엔진 (5) 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탱크 (11) 가 형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 (2) 는, 전측 범퍼 (12) 와, 전차축 케이스 (13) 를 갖는 엔진 프레임 (14) 과, 엔진 프레임 (14) 의 후부 (後部) 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고정한 좌우의 기체 프레임 (15) 을 구비하고 있다. 전차축 케이스 (13) 의 좌우 양단측으로부터 외향으로, 전차축 (16) 을 회전 가능하게 돌출시키고 있다. 전차축 케이스 (13) 의 좌우 양단측에 전차축 (16) 을 개재하여 전차륜 (3) 을 장착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 (15) 의 후부에는, 엔진 (5) 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적절히 변속하여 전후 사륜 (3, 3, 4, 4) 에 전달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 (17) 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전차륜 (3) 의 상방은 좌우의 프론트 펜더 (26) 에 의해 덮여 있다. 전차축 케이스 (13) 상면 중 좌우 각 단부 (端部) 에 좌우의 프론트 펜더 (26) 를 지지하고 있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 (15) 및 미션 케이스 (17) 의 하면측에는, 좌우 외향으로 장출 (張出) 된 바닥면에서 봤을 때 사각형틀 판상의 탱크 프레임 (18) 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 (11) 는 좌우 2 개로 나누어져 있다. 탱크 프레임 (18) 의 좌우 장출부의 상면측에, 좌우의 연료 탱크 (11) 를 배분하여 탑재하고 있다. 즉, 좌우 1 쌍의 연료 탱크 (11) 를 주행 기체 (2) 의 전후 중도부의 좌우에 배분하여 배치하고 있다. 탱크 프레임 (18) 은 우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탱크 프레임 (18) 우측의 연장 부분에는 배터리 (50) 를 배치하고 있다. 또, 탱크 프레임 (18) 우측의 연장 부분에, 스텝 (10) 중 1 개를 고정시키고 있다. 미션 케이스 (17) 의 좌우 외측면에는,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 (19) 를 좌우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장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 (19) 에는 좌우의 후차축 (20) 을 회전 가능하게 내삽 (內揷) 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 (17) 에 후차축 (20) 을 개재하여 후차륜 (4) 을 장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륜 (4) 의 상방은 좌우의 리어 펜더 (21) 에 의해 덮여 있다.
미션 케이스 (17) 의 후부 상면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 (도시 생략) 를 승강동시키는 유압식 승강 기구 (22) 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작업기는, 좌우 1 쌍의 로어 링크 (23) 및 톱 링크 (24) 로 이루어지는 3 점 링크 기구를 개재하여 미션 케이스 (17) 의 후부에 연결된다. 미션 케이스 (17) 의 후측면에는, 작업기에 PTO 구동력을 전달하는 PTO 축 (25) 을 후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다.
도 5 ∼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5) 의 배기 경로 중에는, 후처리 장치로서, 제 1 케이스 (31) (DPF 케이스라고 해도 된다) 와, 제 2 케이스 (32) (SCR 케이스라고 해도 된다) 를 구비하고 있다. 후처리 장치는, 엔진 (5) 의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 (그을음 등) 이나 질소 산화물 (NOx) 등을 제거하고, 정화 후의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케이스 (31) 내에는, 산화 촉매 및 수트 필터 (도시 생략) 를 수용하고 있다. 제 2 케이스 (32) 내에는, 요소 선택 촉매 환원용의 SCR 촉매 및 산화 촉매 (도시 생략) 를 수용하고 있다. 제 1 케이스 (31) 는, 크랭크축 방향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방향) 을 따르는 자세로 엔진 (5) 상부에 탑재하고 있다. 제 2 케이스 (32) 는, 배기 가스가 아래에서 위를 향하는 종향 자세로 캐빈 (7) 전부의 우하측에 배치하고 있다.
제 1 케이스 (31) 의 배기 출구측에는 전후로 긴 정화 출구관 (33) 의 배기 입구측을 연결하고 있다. 정화 출구관 (33) 의 길이 방향 중도부에는 진동 흡수용의 벨로즈관부 (34) 를 형성하고 있다. 정화 출구관 (33) 의 배기 출구측에는 요소 혼합관 (35) 의 배기 입구측 (상단측) 을 연결하고 있다. 요소 혼합관 (35) 은, 캐빈 (7) 의 전방 우측에 있어서,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캐빈 (7) 의 하측에서 엔진 (5)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된 대략 L 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요소 혼합관 (35) 의 배기 출구측 (하단측) 은 제 2 케이스 (32) 의 좌측부 하측에 연결되어 있다. 정화 출구관 (33) 의 배기 출구측과 요소 혼합관 (35) 의 배기 입구측의 연결 지점이, 플랜지를 개재하여 엔진 (5) 에 연결되어 있다. 정화 출구관 (33) 의 배기 출구측과 요소 혼합관 (35) 의 배기 입구측을 엔진 (5) 으로 지지하고 있다. 제 2 케이스 (32) 의 하면측은, 케이스 지지바 (48) 를 개재하여 후술하는 우측 전부 지지대 (96) 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케이스 (31) 를 경유한 배기 가스는, 정화 출구관 (33) 및 요소 혼합관 (35) 을 통해 제 2 케이스 (32) 내에 도입된다.
요소 혼합관 (35) 의 상단측에는, 요소수 분사부 (36) 를 장착하고 있다. 후술하는 요소수 탱크 (51) (환원제 탱크) 의 요소수 (환원제) 가 요소수 분사부 (36) 로부터 요소 혼합관 (35) 내에 공급되어, 제 1 케이스 (31) 에서부터 제 2 케이스 (32) 에 이르는 배기 가스 중에, 요소수가 가수분해되어 암모니아로서 혼합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요소수 대신에, 다른 환원제, 예를 들어 무수 (無水) 의 암모니아나 암모니아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캐빈 (7) 을 구성하는 상자틀상의 캐빈 프레임 (37) 의 전부 우측에는 어시스트 바 (38) 를 형성하고 있다. 어시스트 바 (38) 에는,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세로로 긴 테일 파이프 (39) 의 복수 지점을 연결하고 있다. 어시스트 바 (38) 에 의해 테일 파이프 (39) 를 지지하고 있다. 제 2 케이스 (32) 의 배기 출구측 (상면측) 에는, 테일 파이프 (39) 의 배기 입구측을 연통 접속시키고 있다. 제 1 케이스 (31) 와 제 2 케이스 (32) 에 의해 엔진 (5) 의 배기 가스가 정화되어, 테일 파이프 (39) 로부터 기외로 방출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먼저, 제 1 케이스 (31) 내의 산화 촉매 및 수트 필터에 의해, 엔진 (5) 으로부터의 배기 가스 중에 있는 입자상 물질 (PM), 일산화탄소 (CO) 그리고 탄화수소 (HC) 가 저감된다. 이어서, 요소 혼합관 (35) 의 내부에서는, 제 1 케이스 (31) 경유의 배기 가스에 요소수 분사부 (36) 로부터의 요소수가 혼합되고, 제 2 케이스 (32) 내의 SCR 촉매 및 산화 촉매에 의해, 요소수가 암모니아로서 혼합된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 (NOx) 이 저감된다. 그리고, 제 2 케이스 (32) 를 경유한 배기 가스가 테일 파이프 (39) 로부터 기외로 배출된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 (11) 는, 캐빈 (7) 하측에서 좌우 1 쌍의 스텝 (10) 및 후차륜 (4) 보다 내측 (기체 프레임 (15) 측) 에 배치한 좌측 탱크 (11L) 및 우측 탱크 (11R) 를 구비하고 있다. 좌측 탱크 (11L) 및 우측 탱크 (11R) 는, 1 쌍의 기체 프레임 (15) 을 사이에 두도록 좌우에 배분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좌측 탱크 (11L) 는, 전방 부분이 좌측 기체 프레임 (15) 과 좌측 스텝 (10)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후방 부분이 좌측 기체 프레임 (15) 과 좌측 후차륜 (4) 사이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탱크 (11R) 는, 전방 부분이 우측 기체 프레임 (15) 과 우측 스텝 (10)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후방 부분이 우측 기체 프레임 (15) 과 우측 후차륜 (4) 사이에 배치된다. 좌측 탱크 (11L) 및 우측 탱크 (11R) 는 서로 용량이 상이한 것이다. 좌우의 탱크 (11L, 11R) 끼리는 서로의 좌우 내향의 측면 하부를 연료 연통관 (도시 생략) 으로 연통시키고 있다. 용량이 큰 좌측 탱크 (11L) 는, 캐빈 (7) 전방에서 좌측 스텝 (1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좌측 탱크 (11L) 는, 좌측 스텝 (10) 의 우측 및 전측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료 탱크 (11) 는, 기체 프레임 (15) 하측에서 좌우 외향으로 장출된 탱크 프레임 (18) 상에 재치 (載置) 되어 있으며, 밴드 (40) 로 고정되어 있다. 탱크 프레임 (18) 은, 좌우의 기체 프레임 (15) 에 매달려 고정되어 있는 전측 동살 프레임 (41) 과, 미션 케이스 (17) 하면에 고정된 후측 동살 프레임 (42) 과, 동살 프레임 (41, 42) 각각의 양단측에서 고정되는 좌우의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 (43) 에 의해, 바닥면에서 봤을 때 사각형틀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 (43) 는 각각, 좌측 탱크 (11L) 및 우측 탱크 (11R) 각각의 바닥면 형상과 대략 동일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상면에 재치한 좌측 탱크 (11L) 및 우측 탱크 (11R) 각각의 전후 2 개 지점을 밴드 (40) 로 결속 고정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탱크 프레임 (18) 은, 좌우의 기체 프레임 (15) 하측에서 좌우로 연장 형성시킨 전후 1 쌍의 동살 프레임 (41, 42) 과, 전후 동살 프레임 (41, 42) 에 좌우 양측에서 전후로 가설 (架設) 시킨 좌우 1 쌍의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 (43) 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좌우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 (43) 상에, 각각 대응하는 좌우의 연료 탱크 (11L, 11R) 를 재치 고정시키고 있다.
도 1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 (7) 의 좌우 하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스텝 (10) 을 형성하고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스텝 (10) 은 전측 동살 프레임 (41) 의 좌단측에 세워 형성하고 있다. 좌측 스텝 (10) 의 상단측에는 좌측 전부 지지대 (96) 를 장착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좌측 스텝 (10) 은, 상하 2 단의 발판 부재 (44, 45) 와, 이들 발판 부재 (44, 45) 에 연결한 전후의 측판 부재 (46) 로 구성하고 있다. 하단의 발판 부재 (45) 를 전측 동살 프레임 (41) 의 좌단측에 체결하고 있다. 전후의 측판 부재 (46) 의 상단측에 좌측 전부 지지대 (96) 를 체결하고 있다. 좌측 전부 지지대 (96) 와 좌측 스텝 (10) 과 전측 동살 프레임 (41) 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좌측 탱크 (11L) 의 앞쪽 부위가 끼워져 있다. 한편, 전측 동살 프레임 (41) 의 우단측에는, 우측 스텝 (10) 을 구성하는 하단 (下段) 의 발판 부재 (45) 를 체결하고 있다. 우측 스텝 (10) 은, 전술한 하단의 발판 부재 (45) 와, 캐빈 프레임 (37) 의 우하부에 연결한 상단 (上段) 의 발판 부재 (44) 로 되어 있다.
전측 동살 프레임 (41) 의 오른쪽 부위에는 종(縱)지주 (47) 를 세워 형성하고 있다. 종지주 (47) 의 상단측에는 우측 전부 지지대 (96) 를 장착하고 있다. 우측 전부 지지대 (96) 와 종지주 (47) 와 전측 동살 프레임 (41) 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우측 탱크 (11R) 의 전부측이 끼워져 있다. 좌우의 전부 지지대 (96) 의 상면측에는, 방진 고무체 (98) 를 개재하여 캐빈 (7) 의 전측 바닥부를 방진 지지하고 있다. 우측 전부 지지대 (96) 의 전면측에는, 좌우 가로로 긴 케이스 지지바 (48) 를 체결하고 있다. 케이스 지지바 (48) 우외측 상면에, 제 2 케이스 (32) 의 하면측을 체결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케이스 (32) 는, 케이스 지지바 (48) 를 개재하여 우측 전부 지지대 (96) 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시키는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 (19) 상면 중 좌우 폭 중간부에 후부 지지대 (97) 를 체결하고 있다. 좌우의 후부 지지대 (97) 의 상면측에, 방진 고무체 (99) 를 개재하여 캐빈 (7) 의 후측 바닥부를 방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주행 기체 (2) 는 복수의 방진 고무체 (98, 99) 를 개재하여 캐빈 (7) 을 방진 지지하고 있다.
종지주 (47) 의 상하 중도부에는 배터리 대좌 (臺座) (49) 를 장착하고 있다. 배터리 대좌 (49) 상에 배터리 (50) 를 탑재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케이스 (32) 의 하방에 배터리 (50) 가 위치하고, 배터리 (50) 보다 우외측에, 우측 스텝 (10) 에 있어서의 하단의 발판 부재 (45) 가 위치하고 있다.
도 9 ∼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탱크 (11L) 의 전하부에, 요소수 탱크 (51) (환원제 탱크) 를 수용하는 탱크용 오목부 (52) 를 형성하고 있다. 요소수 탱크 (51) 는 요소수 (선택 촉매 환원용 요소 수용액) 를 수용하는 상자상의 것이다. 탱크용 오목부 (52) 에 요소수 탱크 (51) 를 수용한 상태에서는, 좌측 탱크 (11L) 의 전상부 (11LF) 와 요소수 탱크 (51) 가 상하로 나열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트랙터 (1) 전후 길이를 길게 하거나 캐빈 (7) (조종부) 이나 스텝 (10) 의 크기 등을 희생시키거나 하지 않아도, 요소수 탱크 (51) 의 배치 스페이스의 확보와, 좌측 탱크 (11L) 용량, 나아가서는 연료 탱크 (11) 전체의 용량 확보를 양립시킬 수 있다.
탱크용 오목부 (52) 가 형성되어 있는 좌측 탱크 (11L) 쪽으로 연장되는 보조 프레임 (53) 을 주행 기체 (2) 에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좌측 엔진 프레임 (14) 에 보조 프레임 (53) 의 일단측을 체결하고 있다. 보조 프레임 (53) 의 타단측에는 평판상의 탱크 대좌 (54) 를 고정시키고 있다. 탱크 프레임 (18) 을 구성하는 전측 동살 프레임 (41) 의 좌단측에 탱크 대좌 (54) 를 체결시키고 있다.
요소수 탱크 (51) 의 바닥면과 후면에는, 인서트 너트 (도시 생략) 를 매립하고 있다. 탱크용 오목부 (52) 에 요소수 탱크 (51) 를 수용한 상태에서, 요소수 탱크 (51) 의 바닥면과 탱크 대좌 (54) 를 볼트 및 인서트 너트로 체결하고, 요소수 탱크 (51) 의 후면과 좌측 스텝 (10) 의 전측판 부재 (46) 를 볼트 및 인서트 너트로 체결하고 있다 (도 4 및 도 12 참조). 좌측 스텝 (10) 과 보조 프레임 (53) 에 의해, 요소수 탱크 (51) 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고 있다.
좌측 탱크 (11L) 의 전상부 (11LF) 의 상면에는 급유통 (55) 을 상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다. 요소수 탱크 (51) 의 좌외측면에는 보급통 (56) 을 기울어진 상방 외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급유통 (55) 과 보급통 (56) 의 돌출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고 있기 때문에, 연료의 보급과 요소수의 보급을 주행 기체 (2) 의 동일측 (좌측) 으로부터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면서, 연료와 요소수가 잘못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특히 실시형태에서는, 보급 빈도가 높은 연료의 급유통 (55) 을 요소수의 보급통 (56) 보다 상측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요소수 탱크 (51) 의 보급통 (56) 에 잘못해서 연료를 공급할 우려가 현격히 적어진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 (51) 의 전면에는, 좌측 전차륜 (3) (좌측 프론트 펜더 (26) 를 포함한다) 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패임부 (57) 를 형성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패임부 (57) 는, 좌측 전차륜 (3) (좌측 프론트 펜더 (26) 를 포함한다) 의 외주 형상을 따르는 앞쪽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패여 있다. 요소수 탱크 (51) 전면의 패임부 (57) 의 존재로 인하여, 전차륜 (3, 3) 을 좌우로 조타했을 때에 좌측 전차륜 (3) 이 요소수 탱크 (51) 에 간섭할 우려가 없다. 요소수 탱크 (51) 를 좌측 전차륜 (3) 에 가능한 한 근접시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트랙터 (1) 전후 길이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5) (냉각수 펌프) 과 요소수 분사부 (36) 는, 냉각수 이송관 (101) 및 냉각수 환송관 (102)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엔진 (5) (냉각수 펌프) 에는 냉각수 이송관 (101) 및 냉각수 환송관 (102) 의 일단측을 접속시키고, 요소수 분사부 (36) 에는 냉각수 이송관 (101) 및 냉각수 환송관 (102) 의 타단측을 접속시키고 있다. 냉각수 이송관 (101) 과 냉각수 환송관 (102) 은 요소수 분사부 (36) 내에서 연결되어 있다. 엔진 (5)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가 냉각수 이송관 (101) 으로부터 냉각수 환송관 (102) 으로 보내져 요소수 분사부 (36) 내를 통과함으로써, 요소수 분사부 (36) 내에서의 요소수의 동결이 방지된다. 요소수 분사부 (36) 내를 통과한 냉각수는, 냉각수 환송관 (102) 을 통해 엔진 (5) (냉각수 펌프) 으로 되돌려진다.
냉각수 이송관 (101) 의 중도부부터는 냉각수 공급관 (103) 을 분기시키고 있다. 냉각수 공급관 (103) 은, 요소수 탱크 (51) 에 장착한 탱크 센서부 (58) 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요소수 탱크 (51) 의 상면측에 위쪽으로 오목한 형상의 패임부 (51a) 를 형성하고 있다. 요소수 탱크 (51) 상면측의 상향 돌출부 (51b) 는, L 자 형상의 완충재 (59) 를 개재하여, 좌측 탱크 (11L) 에 있어서의 전상부 (11LF) 의 바닥면에 맞닿아 있다. 요소수 탱크 (51) 의 패임부 (51a) 에 형성한 상면 개구에, 전술한 탱크 센서부 (58) 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탱크 센서부 (58) 는 상면 개구의 덮개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탱크 센서부 (58) 에는 냉각수 공급관 (103), 냉각수 회수관 (104), 요소수 이송관 (105) 및 요소수 환송관 (106) 등을 접속시키고 있다.
냉각수 공급관 (103) 과 냉각수 회수관 (104) 은 요소수 탱크 (51) 내에서 연결되어 있다. 냉각수 회수관 (104) 은 엔진 (5) (냉각수 펌프) 에 접속되어 있다. 엔진 (5) 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가 냉각수 공급관 (103) 으로부터 냉각수 회수관 (104) 으로 보내져 요소수 탱크 (51) 내를 통과함으로써, 요소수 탱크 (51) 내에서의 요소수의 동결이 방지된다. 요소수 탱크 (51) 내를 통과한 냉각수는, 냉각수 회수관 (104) 을 통해 엔진 (5) (냉각수 펌프) 으로 되돌려진다.
일단측을 탱크 센서부 (58) 에 접속한 요소수 이송관 (105) 및 요소수 환송관 (106) 의 타단측은, 요소수 탱크 (51) 중의 요소수를 요소 혼합관 (35) 의 요소수 분사부 (36) 에 공급하는 요소수 공급 장치 (107) (서플라이 모듈, 환원제 공급 장치) 에 접속되어 있다. 요소수 공급 장치 (107) 는, 요소수 분사관 (108) 을 통해 요소수 분사부 (36) 에 접속되어 있다. 요소수 공급 장치 (107) 는, 요소수 이송관 (105) 을 통해 요소수 탱크 (51) 내의 요소수를 빨아올리고, 요소수 분사관 (108) 을 통해 요소수 분사부 (36) 에 요소수를 공급하여, 요소 혼합관 (35) 내에 요소수를 분무한다. 잉여의 요소수는, 요소수 환송관 (106) 을 통해 요소수 탱크 (51) 내로 되돌려진다.
도 9 ∼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 (2) 와 요소수 탱크 (51) 사이에, 요소수 공급 장치 (107) 를 배치하고 있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요소수 공급 장치 (107) 는, 요소수 탱크 (51) 내의 요소수를 압송하는 요소수 펌프와, 요소수 펌프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요소수 공급 장치 (107) 가 요소수 탱크 (51) 내의 요소수를 요소 혼합관 (35) 의 요소수 분사부 (36) 에 공급함으로써, 요소수 분사부 (36) 로부터 요소 혼합관 (35) 내로 요소수가 분무된다. 이 경우, 좌측 기체 프레임 (15) 과 요소수 탱크 (51) 사이이고 또한 탱크 대좌 (54) 상에, 요소수 공급 장치 (107) 를 배치하고 있다. 주행 기체 (2) (좌측 기체 프레임 (15)) 와 요소수 탱크 (51) 사이라고 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요소수 공급 장치 (107) 의 배치 공간으로서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요소수 탱크 (51) 로부터 요소수 공급 장치 (107) 를 개재하여 요소 혼합관 (35) 의 요소수 분사부 (36) 에, 요소수 배관 계통을 짧은 거리로 접속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 (51) 의 탱크 센서부 (58) 에는, 요소수 탱크 (51) 내의 압력을 빼기 위한 브리더 파이프 (109) 의 일단측을 접속시키고 있다. 브리더 파이프 (109) 의 타단측은 두 갈래로 분기되어 있다. 분기된 일방의 파이프 부분 (109a) 은, 상향으로 연장되어 개구되어 있다. 분기된 타방의 파이프 부분 (109b) 은, 주행 기체 (2) 의 좌우 중앙측 (전후차륜 (3, 4) 보다 좌우 내측) 이고 또한 하향으로 연장되어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요소수 공급시에는 브리더 파이프 (109) 의 상향의 파이프 부분 (109a) 으로부터 외기를 도입하여, 요소수 탱크 (51) 내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예를 들어 엔진 (5) 진동이나 포장 (圃場) 의 요철로 요소수 탱크 (51) 가 흔들리거나 해서, 요소수가 브리더 파이프 (109) 내로 들어갔다고 해도, 요소수는 브리더 파이프 (109) 의 하향의 파이프 부분 (109b) 으로부터 넘쳐흘러 떨어지게 되어, 요소의 부착 석출 등으로 상향의 파이프 부분 (109a) 을 폐색시킬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브리더 파이프 (109) 를 통한 외기의 원활한 도입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탱크용 오목부 (52), 요소수 탱크 (51) 및 제 2 케이스 (32) 의 위치 관계가 실시형태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반대로 뒤바뀌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 배터리 (50), 좌우의 연료 탱크 (11), 스텝 (10) 등의 위치 관계도 좌우 반대로 뒤바뀌어도 된다.
도 2, 도 6 및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처리 장치의 일례인 제 2 케이스 (32) 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기 가스가 아래에서 위를 향하는 종향 자세로 캐빈 (7) 전부의 우하측에 배치하고 있다. 제 2 케이스 (32) 의 좌측부 하측에 요소 혼합관 (35) 의 배기 출구측 (하단측) 을 접속시키고 있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 2 케이스 (32) 내에는, 요소 선택 촉매 환원용의 SCR 촉매 및 산화 촉매를 수용하고 있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 (32) 의 배기 출구측인 상면측에는 SCR 출구관 (111) 을 상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다.
제 2 케이스 (32) 의 상방에는 세로로 긴 테일 파이프 (39) 를 배치하고 있다. 테일 파이프 (39) 의 배기 입구측의 내경을 SCR 출구관 (111) 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다. 테일 파이프 (39) 의 배기 입구측에 SCR 출구관 (111) 을 끼워 넣어 연통시키고 있다. 즉, 테일 파이프 (39) 와 SCR 출구관 (111) 의 연통 지점은 이중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SCR 출구관 (111) 으로부터 테일 파이프 (39) 로 제 2 케이스 (32) 경유 후의 배기 가스를 유입시킴과 함께, SCR 출구관 (111) 과 테일 파이프 (39)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외기를 받아들여, 테일 파이프 (39) 내를 통과하는 배기 가스를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 (39) 의 외주측에는 차열용의 테일 외측 커버 (112) 를 장착하고 있다. 테일 파이프 (39) 의 외주측을 테일 외측 커버 (112) 로 덮고 있다. 제 2 케이스 (32) 의 외주측에는 대략 통상의 외측 커버체 (113) 를 장착하고 있다. 제 2 케이스 (32) 의 외주측을 외측 커버체 (113) 로 덮고 있다. 외측 커버체 (113) 의 좌측부 하측에는, 요소 혼합관 (35) 의 배기 출구측 (하단측) 을 삽입 통과시키는 측면 개구공 (114) 을 형성하고 있다. 외측 커버체 (113) 의 상면측에는, 테일 파이프 (39) 의 배기 입구측의 외경보다 큰 상면 개구공 (115) 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테일 파이프 (39) 와 SCR 출구관 (111) 의 연통 지점을 이중관 구조로 하여, 제 2 케이스 (32) 의 외주측을 외측 커버체 (113) 로 덮도록 하면, 테일 파이프 (39) 내에서 배기 가스가 차가워진 경우에 발생하는 수분이나 테일 파이프 (39) 내로 들어간 빗물 등은, 테일 파이프 (39) 의 내측을 타고 떨어지고 나서, 외측 커버체 (113) 내에 있는 제 2 케이스 (32) 외면측을 타고 떨어지게 되어, 제 2 케이스 (32) 내부로 흘러 들어갈 우려가 없어진다. 따라서, 수분이나 빗물 등에서 기인하여 제 2 케이스 (32) 의 배기 가스 정화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케이스 (32) 에는, 제 2 케이스 (32) 의 내부 상태를 검출하는 배기 센서로서, 제 2 케이스 (32) 내의 SCR 촉매 및 산화 촉매를 통과한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 (NOx) 을 검출하는 NOx 센서 (116) 와, 제 2 케이스 (32) 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117) 를 장착하고 있다. NOx 센서 (116) 는 제 2 케이스 (32) 의 전측 상부에 장착하고 있다. NOx 센서 (116) 의 검출부는 제 2 케이스 (32) 내에 끼워 넣고 있다. NOx 센서 (116) 의 기부는 제 2 케이스 (32) 의 전상부 외측에 노출시키고 있다. 온도 센서 (117) 는 제 2 케이스 (32) 의 전측 하부에 장착하고 있다. 온도 센서 (117) 의 검출부는 제 2 케이스 (32) 내에 끼워 넣고 있다. 온도 센서 (117) 의 기부는 제 2 케이스 (32) 의 전하부 외측에 노출시키고 있다.
외측 커버체 (113) 는, NOx 센서 (116) 및 온도 센서 (117) 의 기부마다 제 2 케이스 (32) 의 외주측을 덮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커버체 (113) 의 전부에, 앞쪽으로 돌출된 세로로 긴 팽출부 (118) 를 형성하고 있다. 팽출부 (118) 의 내부측에, NOx 센서 (116) 및 온도 센서 (117) 의 기부를 위치시키고 있다. 팽출부 (118) 가 달린 외측 커버체 (113) 의 존재로 인하여, 빗물이나 포장으로부터의 오수 등이 NOx 센서 (116) 및 온도 센서 (117) 의 기부에 부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빗물이나 포장으로부터의 오수 등에서 기인하여 NOx 센서 (116) 및 온도 센서 (117) 가 오작동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팽출부 (118) 는, 외측 커버체 (113) 의 상단측에서부터 상하 중도부까지 세로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측 커버체 (113) 의 하단측까지는 연장되어 있지 않다. 팽출부 (118) 는, 외측 커버체 (113) 의 종방향 길이에 대해 하부측을 절결하여 짧게 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결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전차륜 (3, 3) 을 좌우로 조타했을 때에, 우측 전차륜 (3) (우측 프론트 펜더 (26) 를 포함한다) 이 외측 커버체 (113) (팽출부 (118)) 를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외측 커버체 (113) 의 내면측에는, 배기 센서로서의 NOx 센서 (116) 의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NOx 센서 하니스 (119) 를 지지시키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팽출부 (118) 의 내면측에 복수의 하니스 클립 (120) 을 세로로 나열하여 형성하고, 각 하니스 클립 (120) 의 환상부에 NOx 센서 하니스 (119) 를 삽입 통과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외측 커버체 (113) 내에 있는 제 2 케이스 (32) 외면측을 타고 떨어지는 수분이나 빗물 등이 NOx 센서 하니스 (119) 에 직접 부착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어, NOx 센서 하니스 (119) 를 보호할 수 있다.
외측 커버체 (113) 의 상하 중도부에는, NOx 센서 하니스 (119) 및 온도 센서 (117) 의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온도 센서 하니스 (121) 를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공 (122) 을 형성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커버체 (113) 의 전부 아래쪽 지점에 삽입 통과공 (122) 을 형성하고 있다. 삽입 통과공 (122) 은, 캐빈 프레임 (37) 의 전부 하측이나 우측 전부 지지대 (96) 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삽입 통과공 (122) 으로부터 인출한 NOx 센서 하니스 (119) 및 온도 센서 하니스 (121) 를, 캐빈 프레임 (37) 의 전부 하측이나 우측 전부 지지대 (96) 를 따르게 해서 배치할 수 있고, NOx 센서 하니스 (119) 및 온도 센서 하니스 (121) 를 배치하기 쉬워, 미감적으로도 양호하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 (32) 의 하면측은, 우측 전부 지지대 (96) 에 연결한 케이스 지지바 (48) 로 지지하고 있다. 제 2 케이스 (32) 의 외주 하부측에는 복수의 장착판 (32a) 을 용접 등으로 고정시키고 있다. 각 장착판 (32a) 과 케이스 지지바 (48) 는 측부 지지 플레이트 (48a) 를 개재하여 연결하고 있다. 측부 지지 플레이트 (48a) 의 상단측을 제 2 케이스 (32) 측의 장착판 (32a) 에 볼트 체결함과 함께, 측부 지지 플레이트 (48a) 의 하단측을 케이스 지지바 (48) 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또한, 도 16 에 나타내는 다른 예와 같이, 제 2 케이스 (32) 와 외측 커버체 (113) 사이이고 또한 NOx 센서 (116) 의 상방에, 상부 차폐판 (123) 을 형성하거나 해도 되고, 이에 맞춰서, 도 17 에 나타내는 다른 예와 같이, 제 2 케이스 (32) 와 외측 커버체 (113) 사이이고 또한 NOx 센서 (116) 및 온도 센서 (117) 의 측방에, 측부 차폐판 (124) 을 형성하거나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부 차폐판 (123) 이나 측부 차폐판 (124) 의 존재로 인하여, NOx 센서 (116), 온도 센서 (117) 그리고 이들의 하니스 (119, 121) 까지 둘러쌀 수 있어, 외측 커버체 (113) 내에 있는 제 2 케이스 (32) 외면측을 타고 떨어지는 수분이나 빗물 등이 NOx 센서 (116), 온도 센서 (117) 그리고 이들의 하니스 (119, 121) 에 부착될 우려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 트랙터
2 : 주행 기체
5 : 디젤 엔진
7 : 캐빈
10 : 스텝
11 : 연료 탱크
11L : 좌측 탱크
11LF : 좌측 탱크의 전상부
11R : 우측 탱크
18 : 탱크 프레임
31 : 제 1 케이스
32 : 제 2 케이스
35 : 요소 혼합관
36 : 요소수 분사부
39 : 테일 파이프
51 : 요소수 탱크
52 : 탱크용 오목부
55 : 급유통
56 : 보급통
57 : 패임부
58 : 탱크 센서부
107 : 요소수 공급 장치
111 : SCR 출구관
113 : 외측 커버체

Claims (6)

  1. 주행 기체에 탑재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와, 상기 후처리 장치를 경유한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세로로 긴 테일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기체 상의 조종부 전방에, 배기 가스가 아래에서 위를 향하도록, 상기 후처리 장치를 종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후처리 장치의 외측을 외측 커버체로 덮고 있는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장치에는, 상기 후처리 장치의 내부 상태를 검출하는 배기 센서를, 상기 후처리 장치의 외측에 상기 배기 센서의 기부가 노출되도록 장착하고,
    상기 외측 커버체는, 상기 배기 센서의 기부마다 상기 후처리 장치의 외측을 덮고 있으며,
    상기 외측 커버체는, 상기 후처리 장치의 외주측의 통상부와, 적어도 상기 배기 센서를 덮는 세로로 긴 팽출부를 갖는, 트랙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센서로부터 연장되는 하니스를 상기 팽출부의 내면측에 지지시키고 있는, 트랙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체의 상하 중도부에, 상기 하니스를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공을 형성하고 있는, 트랙터.
KR1020197020009A 2017-03-30 2018-02-21 트랙터 KR102183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9277 2017-03-30
JP2017069277A JP6707489B2 (ja) 2017-03-30 2017-03-30 トラクタ
PCT/JP2018/006136 WO2018180028A1 (ja) 2017-03-30 2018-02-21 トラク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493A Division KR20200133828A (ko) 2017-03-30 2018-02-21 트랙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525A KR20190092525A (ko) 2019-08-07
KR102183434B1 true KR102183434B1 (ko) 2020-11-26

Family

ID=6367484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324A KR20220000417A (ko) 2017-03-30 2018-02-21 트랙터
KR1020197020009A KR102183434B1 (ko) 2017-03-30 2018-02-21 트랙터
KR1020207033493A KR20200133828A (ko) 2017-03-30 2018-02-21 트랙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324A KR20220000417A (ko) 2017-03-30 2018-02-21 트랙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493A KR20200133828A (ko) 2017-03-30 2018-02-21 트랙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994603B2 (ko)
EP (1) EP3604758A4 (ko)
JP (1) JP6707489B2 (ko)
KR (3) KR20220000417A (ko)
WO (1) WO2018180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5255B2 (ja) * 2017-03-30 2021-01-20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トラクタ
US10941696B2 (en) * 2018-06-27 2021-03-09 Kubota Corporation Engine cover and work vehicle
JP7167075B2 (ja) * 2020-03-16 2022-11-0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N113482755B (zh) * 2021-08-04 2022-12-13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后处理器及车辆
US20230044506A1 (en) * 2021-08-06 2023-02-09 Anthony Kelly Fuel/diesel exhaust fluid combination auxiliary tank
DE102022107706A1 (de) 2022-03-31 2023-10-05 Deere & Company Abgasanlage für einen Traktor
US11952929B1 (en) * 2023-07-13 2024-04-09 Fca Us Llc Hydracarbon dozer valve pivoting multi purpose brack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2153A1 (en) 2010-02-05 2011-08-11 Keith Jonathan Schmidt Exhaust after treatment assembly
US20140331658A1 (en) 2012-11-30 2014-11-13 Cnh America Llc Exhaust system for an off-road vehicle
JP2016203753A (ja) 2015-04-20 2016-12-08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2707U (ja) * 1981-12-29 1983-07-13 三菱農機株式会社 マフラ−の安全カバ−
US6584768B1 (en) * 2000-11-16 2003-07-01 The Majestic Companies, Ltd. Vehicle exhaust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US7926604B2 (en) * 2006-12-19 2011-04-19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Electrical harness clipping bar for aftertreatment device
US8281581B2 (en) * 2008-10-20 2012-10-09 Deere & Company Construction for an exhaust after treatment device
GB2466483A (en) 2008-12-19 2010-06-30 Agco Gmbh & Co A vertical exhaust system for a vehicle
US20100186381A1 (en) * 2009-01-26 2010-07-29 Caterpillar Inc Exhaust system thermal enclosure
US9103262B2 (en) * 2010-11-24 2015-08-11 Cnh Industrial America Llc Combined intake aspirator venturi tube and water trap in vertical exhaust outlet stack
DE102013225767A1 (de) * 2013-12-12 2015-06-18 Deere & Company Landwirtschaftliches Arbeitsfahrzeug
JP6426500B2 (ja) * 2015-03-05 2018-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酸素センサを備えた排気装置
US10557398B2 (en) * 2015-06-04 2020-02-11 Honda Motor Co., Ltd. Exhaust pipe structur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2153A1 (en) 2010-02-05 2011-08-11 Keith Jonathan Schmidt Exhaust after treatment assembly
US20140331658A1 (en) 2012-11-30 2014-11-13 Cnh America Llc Exhaust system for an off-road vehicle
JP2016203753A (ja) 2015-04-20 2016-12-08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17A (ko) 2022-01-03
US20200047606A1 (en) 2020-02-13
US20210237557A1 (en) 2021-08-05
KR20190092525A (ko) 2019-08-07
JP2018168847A (ja) 2018-11-01
JP6707489B2 (ja) 2020-06-10
WO2018180028A1 (ja) 2018-10-04
EP3604758A4 (en) 2020-02-19
US11458833B2 (en) 2022-10-04
EP3604758A1 (en) 2020-02-05
KR20200133828A (ko) 2020-11-30
US10994603B2 (en)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434B1 (ko) 트랙터
KR102173867B1 (ko) 트랙터
JP7143365B2 (ja) トラクタ
JP7055854B2 (ja) トラクタ
JP7152464B2 (ja) トラクタ
KR20240070691A (ko) 작업 차량
JP2020059502A (ja) 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