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971B1 - 용두 위치가 다른 편심 구조의 손목 시계용 무브먼트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용두 위치가 다른 편심 구조의 손목 시계용 무브먼트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971B1
KR102481971B1 KR1020220085684A KR20220085684A KR102481971B1 KR 102481971 B1 KR102481971 B1 KR 102481971B1 KR 1020220085684 A KR1020220085684 A KR 1020220085684A KR 20220085684 A KR20220085684 A KR 20220085684A KR 102481971 B1 KR102481971 B1 KR 102481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rown
shaft
restraining plat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봉
조영태
김세환
장재갑
Original Assignee
조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봉 filed Critical 조영봉
Priority to KR1020220085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7/00Mechanical devices for setting the time indicating means
    • G04B27/002The setting apparatus being crown shaped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3/00Gearwork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7/00Mechanical devices for setting the time indicating means
    • G04B27/02Mechanical devices for setting the time indicating means by making use of the winding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1Construction of crowns for rotating movement; connection with the winding stem; winding stem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8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 G04B37/10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of winding stems
    • G04B37/103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of winding stems by screwing the crown onto the c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작동 장치는 무브먼트의 조절축에 대하여 어긋난 회전축을 갖는 용두; 상기 조절축의 회전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서로 연동시키는 기어부; 상기 조절축의 길이 방향 이동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 이동을 서로 연동시키는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두 위치가 다른 편심 구조의 손목 시계용 무브먼트 작동 장치{Movement actuator for wrist watch with eccentric structure with different crown position}
본 발명은 기계식 무브먼트 또는 쿼츠 무브먼트가 탑재된 사각형 디자인의 시계에 형성된 용두의 위치를 중심축이 아닌 편심축으로 변경하고, 3단 이상의 기어 체결 방식을 사용하여 링크시켜 해당 무브먼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든 시계는 용두(Crown)를 이용하여 시간, 날짜를 나타내는 시침, 분침, 초침, 문자판 등의 표시자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표시자를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무브먼트에 용두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용두는 일반적으로 무브먼트에 마련된 조절축에 직결되어 있다. 이 경우 통상 무브먼트의 조절축은 장치의 제조의 편의성등을 위하여 중앙에 위치되어 있어서, 이로부터 연장된 융두도 외관상 항상 시계의 측면 정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435724호에는 조절축에 직결된 용두가 마련된 무브먼트 또는 시계가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중앙부에 한정되게 용두를 위치시키는 것은 디자인의 제약을 가져온다. 특히 최근 경쟁하고 있는 스마치워치는 용두를 중앙부에 위치시키지 않고 상부 또는 하부에 자유롭게 위치시켜 수요자에게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한다.
이에 무브먼트를 채용한 시계에서도 용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요구가 있어 왔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435724호
본 발명은 무브먼트의 조절축과 다른 위치에 설치된 용두의 회전축을 해당 조절축에 연동시키는 작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브먼트의 조절축과 다른 위치에 설치된 용두의 회전축을 해당 조절축에 연동시키는 작동 장치를 포함한 시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동 장치는 무브먼트의 조절축에 대하여 어긋난 회전축을 갖는 용두; 상기 조절축의 회전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서로 연동시키는 기어부; 상기 조절축의 길이 방향 이동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 이동을 서로 연동시키는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동 장치는 시계의 표시자를 움직이는 무브먼트, 상기 무브먼트에 형성되고 상기 무브먼트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표시자를 조절하는 조절축이 마련될 때, 상기 시계의 용두의 회전축에 형성된 용두 기어; 상기 조절축에 형성된 조절 기어; 상기 용두 기어와 상기 조절 기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용두 기어와 상기 조절 기어를 연동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계는 표시자를 움직이는 무브먼트; 상기 표시자를 움직이는 조절축; 상기 조절축에 대하여 어긋난 회전축을 갖는 용두; 상기 조절축과 상기 회전축의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장치는 상기 조절축의 회전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서로 연동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장치는 상기 조절축의 길이 방향 이동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 이동을 서로 연동시키는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부 및 상기 구속부에 의하여, 상기 용두는 상기 조절축의 연장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동 장치는 기어부 및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 및 구속부에 따르면, 용두의 회전축은 무브먼트에 마련된 조절축과 동축 상에 배치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기계식 무브먼트가 마련된 시계에 있어서, 무브먼트의 조절축과 비매칭되는 다양한 위치에 용두가 설치될 수 있다.
시계의 커버에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는 용두에 따르면, 심미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브먼트의 구조, 크기에 상관없이 용두의 위치를 기존 시계와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기존 시계용으로 제작된 케이스 등의 다양한 액세서리를 그대로 사용 가능한 새로운 시계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동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구속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제1 구속판과 제2 구속판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용두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용두 기어가 결합된 용두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체결홈에 결합된 체결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연결 기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제2 구속판에 설치된 연결 기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제1 구속판과 제2 구속판이 설치된 연결 기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작동 장치가 설치된 시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동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작동 장치는 용두(110), 기어부(131), 구속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용두(110)는 시계(10)에서 태엽을 감거나, 시침, 분침, 초침, 날짜 등의 표시자(199)를 조절하는 납작한 원통 형상의 꼭지를 의미할 수 있다. 용두(110)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용심이 마련될 수 있다. 용심은 용두(110)의 회전축(111)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용두(110)는 무브먼트(190)의 조절축(191)에 대하여 어긋난 회전축(111)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111)과 조절축(191)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무브먼트(190)에는 표시자(199)를 움직이는 각종 기계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무브먼트(190)에는 표시자(199)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축(191)이 마련될 수 있다.
비교 실시예의 경우, 무브먼트(190)의 조절축(191)과 용두(110)의 회전축(111)(용심)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에 노출된 용두(110)의 위치가 조절축(19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시계(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시침, 분침, 초침의 조절을 위하여 조절축(191)은 시계(1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라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시계(10)의 중심을 관통하는 조절축(191)의 설치 위치는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이에 종속된 용두(110)의 위치 역시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시침 등의 기계적 표시자(199)를 갖는 대부분의 시계(10)는 거의 유사한 위치에 용두(110)가 마련되고 있다.
심미성, 액세서리 호환성 등의 개선을 위해, 용두(110)는 조절축(191)과 상관없이 다양한 위치에 형성 가능한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는 일단 용두(110)의 회전축(111)과 조절축(191)이 분리되어야 한다. 분리로 인해, 회전축(111)과 조절축(191)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이로 인해 서로 분리된 상태의 회전축(111)과 조절축(191)을 연동시키는 수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때, 회전축(111)과 조절축(191)은 2가지의 연동 방식을 모두 만족할 필요가 있다.
먼저, 회전축(111)이 회전하면 조절축(191)이 따라서 회전하거나, 조절축(191)이 회전하면 회전축(111)이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 연동성이 만족될 필요가 있다.
또한, 시침 등의 각종 표시자(199)를 수동 조절하기 위한 준비 과정으로 용두(110)를 잡아 빼거나 밀어넣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용두(110) 및 회전축(111)의 직선 이동(회전축(111)의 길이 방향 이동)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회전축(111)이 직선 이동하면 조절축(191)이 따라서 직선 이동(조절축(191)의 길이 방향 이동)하거나, 조절축(191)이 직선 이동하면 회전축(111)이 따라서 이동하는 직선 이동 연동성이 만족될 필요가 있다.
회전축(111)과 조절축(191) 간의 회전 연동성을 만족하기 위해 기어부(131)가 이용될 수 있다. 기어부(131)는 조절축(191)의 회전과 회전축(111)의 회전을 서로 연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기어부(131)에는 회전축(111)과 조절축(191)에 맞물리는 홀수 개수의 연결 기어(130)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축(111)과 조절축(191) 간의 직선 이동 연동성을 만족하기 위해 구속부(150)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구속부(150)는 조절축(191)의 길이 방향 이동과 회전축(111)의 길이 방향 이동을 서로 연동시킬 수 있다. 구속부(150)는 회전축(111)의 회전을 보장하고 조절축(191)의 회전을 보장하는 범위 내에서, 회전축(111) 또는 조절축(19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축(111)과 조절축(191)을 구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동 장치는 시계(10)의 표시자(199)를 움직이는 무브먼트(190), 무브먼트(190)에 형성되고 무브먼트(19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표시자(199)를 조절하는 조절축(191)이 마련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작동 장치에는 용두 기어(120), 조절 기어(140), 기어부(131)가 마련될 수 있다.
용두 기어(120)는 용두(110)의 회전축(111)에 고정 형성된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용두 기어(120)는 회전축(111)과 함께 회전하거나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조절 기어(140)는 조절축(191)에 고정 형성된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 기어(140)는 조절축(191)과 함께 회전하거나 직선 이동할 수 있다.
기어부(131)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용두 기어(120) 또는 회전축(111)을 조절 기어(140) 또는 조절축(191)에 연동시킬 수 있다. 시계(10) 내부의 제한된 공간 활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어부(131)는 용두 기어(120)와 조절 기어(1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회전축(111)과 조절축(191)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축(111)은 조절축(191)과 다른 위치에 배치되거나 다른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용두 기어(120)는 회전축(111)과 동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조절 기어(140)는 조절축(191)과 동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131)는 서로 다른 축 상에 배치된 용두 기어(120)가 회전하면 용두 기어(120)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어부(131)에는 용두 기어(120)에 맞물리는 연결 기어(130)가 마련될 수 있다.
용두 기어(120)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기어부(131)는 조절 기어(140)에 연동되어 조절 기어(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기어부(131)에는 조절 기어(140)에 맞물리는 기어가 마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용두 기어(120)와 조절 기어(140) 모두에 맞물린 기어부(131)에 의해, 용두 기어(120)와 조절 기어(140)는 서로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용두(110)의 회전축(111)과 조절축(191)이 일체로 형성된 비교 실시예와 유사한 조작 방식을 제공하기 위해, 회전축(111)과 조절축(191)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기어부(131)에는 홀수 개수의 연결 기어(130)가 서로 맞물리게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맞물리는 연결 기어(130)가 홀수 개수이고 복수의 연결 기어(130)가 순서대로 맞물린 상태라면, 복수의 연결 기어(130) 중에서 양 말단의 연결 기어(130)에 각각 맞물리는 용두 기어(120) 및 조절 기어(140)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어부(131)의 일측 연결 기어(130)에는 용두 기어(120)가 맞물릴 수 있다. 기어부(131)의 타측 연결 기어(130)에는 조절 기어(140)가 맞물릴 수 있다. 기어부(131)에 의해 용두 기어(120)와 조절 기어(140)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공간 활용성 개선을 위해 기어부(131) 전체의 크기가 감소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기어부(131)는 단일의 연결 기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홀수개의 연결 기어(130)가 마련된 셈이므로, 회전 방향 면에서 용두 기어(120)와 조절 기어(140)의 연동성이 보장될 수 있다.
회전 연동을 통해 단일의 연결 기어(130)의 일측에는 용두 기어(120)가 맞물릴 수 있다. 단일의 연결 기어(130)의 타측에는 조절 기어(140)가 맞물릴 수 있다.
용두 기어(1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연결 기어(130)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연결 기어(130)에 의해 조절 기어(140)는 역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는 용두 기어(120)와 동일한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구속부(15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구속부(150)는 회전축(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축(111)을 구속하는 동시에 조절축(19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절축(191)을 구속할 수 있다. 구동부가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회전축(111)과 조절축(191)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회전축(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축(111)이 움직이면, 구속부(150)에 의해 조절축(191)이 조절축(19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일 예로, 구속부(150)에는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이 마련될 수 있다. 각 구속판은 용두 기어(120)로부터 조절 기어(140)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판, 막대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속판(151)은 용두 기어(120), 조절 기어(140) 및 기어부(13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속판(151)은 용두 기어(120)의 넓적한 일면 및 조절 기어(140)의 넓적한 일면에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속판(152)은 용두 기어(120)의 넓적한 타면 및 조절 기어(140)의 타면에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속판(151) 및 제2 구속판(152)의 간격은 간격 유지 수단(500)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 구속판(151) 및 제2 구속판(152)에 의하여 용두 기어(120), 조절 기어(140) 및 기어부(131)는 회전축(111)의 길이 방향 또는 조절축(19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용두 기어(120)는 회전축(111)보다 큰 직경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조절 기어(140)는 조절축(191)보다 큰 직경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속판(151)의 일측은 용두 기어(120)의 넓적한 일면에 대면 밀착되고, 제1 구속판(151)의 타측은 조절 기어(140)의 넓적한 일면에 대면 밀착될 수 있다.
제2 구속판(152)의 일측은 용두 기어(120)의 넓적한 타면에 대면 밀착되며, 제2 구속판(152)의 타측은 조절 기어(140)의 넓적한 타면에 대면 밀착될 수 있다.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은 설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간격 유지 수단(50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용두 기어(120)가 회전축(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면, 이동 방향에 따라 용두 기어(120)에 대면 밀착된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 중 어느 하나가 용두 기어(120)에 밀려서 이동할 수 있다.
간격 유지 수단(500)을 통한 서로 간의 결합으로 인해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용두 기어(120)에 어느 하나의 구속판이 밀려서 이동하면, 나머지 구속판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하는 나머지 구속판에 밀려서 조절 기어(140) 역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절 기어(140)는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 중 나머지 하나에 밀려서 이동될 수 있다.
용두 기어(120)와 조절 기어(140)에 맞물리는 연결 기어(130)가 마련될 때, 제1 구속판(151) 및 제2 구속판(152)은 연결 기어(1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속판(151) 및 제2 구속판(152)은 연결 기어(130) 전체를 덮는 동시에, 제1 구속판(151)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제2 구속판(152)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구속판은 연결 기어(130)에 대한 용두 기어(120) 및 조절 기어(140)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정렬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각 구속판은 용두 기어(120)와 조절 기어(140) 중 어느 하나의 직선 이동에 맞춰 나머지 하나를 구속해서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사용자가 용두(110)를 잡아 빼는 동작에 의해 용두 기어(120)가 제1 방향 a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용두 기어(120)를 기준으로 제1 방향 a 측에 위치하면서 용두 기어(120)의 타면을 덮고 있던 제2 구속판(152)은 제1 방향 a를 따라 움직이는 용두 기어(120)에 밀려서 제1 방향 a로 움직일 수 있다.
제2 구속판(152)은 제1 방향 a 상으로 조절 기어(140)를 밀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 a를 따라 움직이는 제2 구속판(152)은 자신을 따라서 조절 기어(140)가 제1 방향 a로 움직이도록 강제하거나 구속할 수 없다.
반면, 제2 구속판(152)이 제1 방향 a로 이동하면, 간격 유지 수단(500)에 의해 제2 구속판(152)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제1 구속판(151)은 설정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제2 구속판(152)을 따라서 제1 방향 a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 a를 따라 움직이는 제1 구속판(151)은 위치상으로 조절 기어(140)의 일면을 밀어낼 수 있다. 제1 구속판(151)의 밀어냄에 따라, 조절 기어(140) 역시 제1 방향 a로 움직일 수 있다.
도 2에서 사용자가 용두(110)를 시계(10)를 향해 밀어 넣는 동작에 의해 용두 기어(120)가 제2 방향 b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용두 기어(120)를 기준으로 제2 방향 b 측에 위치하면서 용두 기어(120)의 일면을 덮고 있던 제1 구속판(151)이 용두 기어(120)에 밀려서 제2 방향 b로 움직일 수 있다.
제2 방향 b로 움직이는 제1 구속판(151) 자체는 위치상으로 조절 기어(140)를 구속할 수 다. 하지만, 간격 유지 수단(500)을 통해 제1 구속판(151)과 설정 간격을 유지하던 제2 구속판(152)이 제2 방향 b로 이동함에 따라 조절 기어(140) 역시 제2 구속판(152)에 밀려서 제2 방향 b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용두 기어(120)와 조절 기어(140)는 제1 구속판(151), 제2 구속판(152), 간격 유지 수단(500)을 통해 회전축(111)의 길이 방향 또는 조절 기어(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께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을 설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 수단(500)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유지 수단(500)은 설정 간격의 두께를 가지면서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기어(130)에 의해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은 설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기어(130)가 간격 유지 수단(500)에 해당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구속판(151) 또는 제2 구속판(152)에 형성된 축부가 간격 유지 수단(5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속판(151)에는 제2 구속판(152)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축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축부(511)에는 시계(10)에 지지되는 관통축(160)이 통과하는 제1 구멍(513)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축(160)은 회전축(111) 또는 조절축(191)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속판(151)은 관통축(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시계(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구속판(151)은 제1 구멍(513) 또는 제1 축부(511)를 통해 관통축(16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축(160)은 시계(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만약, 관통축(160)이 시계(10)에 고정 설치된다면, 제1 축부(511)는 관통축(16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속판(152)에는 제1 구속판(151)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축부(5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축부(521)에는 제1 축부(511)가 삽입되는 제2 구멍(5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축부(521)는 제2 구멍(523)을 통해 제1 축부(511)에 억지 끼워맞춤되거나 다양한 체결 수단을 통해 제1 축부(5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축부(511)의 연장 길이 또는 제2 축부(521)의 연장 길이에 따라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의 간격이 설정 간격으로 결정되고 유지될 수 있다.
연결 기어(130)는 제2 축부(52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의 사이에 끼워진 연결 기어(130)는 회전축(111), 조절축(191), 관통축(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속될 수 있다.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은 서로 동일한 직경 d2를 가질 수 있다. 기어 이빨까지 포함된 연결 기어(130)의 직경 d1은 제1 구속판(151) 및 제2 구속판(152)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용두 기어(120) 및 조절 기어(140)의 적어도 일부 부위는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일부 부위가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의 사이에 끼워진 용두 기어(120) 및 조절 기어(140) 역시,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에 의해 회전축(111), 조절축(191), 관통축(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속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용두 기어(120), 조절 기어(140), 연결 기어(130)는 회전축(111), 조절축(191), 관통축(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몸처럼 함께 움직이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4는 용두(1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용심에 해당하는 회전축(111)은 용두(110)의 중심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111)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11)의 단부에는 결합부(118)와 체결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8)는 평면상으로 원형인 회전축(111) 단부의 일부가 잘려 나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8)로 인해 회전축(111)의 단부는 일부가 잘려 나간 원형 형상을 갖게 되며, 결합부(118)로 인해 일종의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111)의 길이 방향 상으로 결합부(118)가 형성된 구간의 가운데에는 회전축(111)의 둘레를 따라 체결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용두 기어(120)가 결합된 용두(1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용두 기어(120)의 가운데에는 결합부(118)로 인해 일부가 잘려 나간 원형 형상을 갖는 회전축(111)의 단부와 동일한 크기, 형상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통공을 통해 용두 기어(120)는 회전축(111)에 삽입되며, 회전 방향 상으로 회전축(111)에 구속될 수 있다.
체결홈(117)은 용두 기어(120)의 구멍을 통과해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6은 체결홈(117)에 결합된 체결부(119)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회전축(111)의 직경 또는 용두 기어(120)의 구멍보다 큰 체결부(119)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119)는 체결홈(117)에 끼워지는 'U' 형상 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19)가 체결홈(117)에 끼워지면, 용두 기어(120)는 회전축(111)에 대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연결 기어(13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연결 기어(130)의 외주면에는 용두 기어(120) 또는 조절 기어(140)에 맞물리는 기어 이빨이 원주를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기어(130)의 중심에는 제2 축부(521)가 통과하는 통과 구멍(13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제2 구속판(152)에 설치된 연결 기어(13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 구속판(152)의 제2 축부(521)는 연결 기어(130)의 통과 구멍(133)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통과 구멍(133) 내주면은 제2 축부(521)의 외주면에 유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제1 구속판(151)과 제2 구속판(152)이 설치된 연결 기어(13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구속판(151)의 제1 축부(511)는 연결 기어(130)의 통과 구멍(133)을 관통한 제2 축부(521)에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축부(521)의 가운데에는 제1 축부(511)가 관통 설치되는 제2 구멍(5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축부(511)의 가운데에는 관통축(160)이 관통 설치되는 제1 구멍(51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작동 장치가 설치된 시계(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시계(10)의 일면에는 표시자(199)를 보호하는 강화 유리 등의 보호부(11)가 마련될 수 있다.
보호부(11)의 내측으로 표시자(199)가 배치될 수 있다. 휴대성의 개선을 위해 소형화가 요구되는 손목 시계(10)에서 표시자(199)는 평면적으로 보호부(11)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자(199)를 수동 조절할 수 있는 조절축(191) 역시 보호부(11)의 중심을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용두(110)가 조절축(191)에 직결되는 비교 실시예의 경우, 용두(110)는 시계(10)의 측면 중앙에 배치될 수밖에 없다.
이상의 시계(10)는 무브먼트(190), 조절축(191), 용두(110), 작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축(191)과 회전축(111)의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 장치는 기어부(131)를 통하여 조절축(191)의 회전과 회전축(111)의 회전을 서로 연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속부(150)를 통하여 조절축(191)의 길이 방향 이동과 회전축(111)의 길이 방향 이동을 서로 연동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작동 장치에 따르면, 조절축(191)의 위치에 상관없이 용구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는 시계(10)가 제공될 수 있다. 시계(10)의 평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폐곡선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시계 11...보호부
110...용두 111...회전축
117...체결홈 118...결합부
119...체결부 120...용두 기어
130...연결 기어 131...기어부
133...통과 구멍 140...조절 기어
150...구속부 151...제1 구속판
152...제2 구속판 160...관통축
190...무브먼트 191...조절축
199...표시자 500...간격 유지 수단
511...제1 축부 513...제1 구멍
521...제2 축부 523...제2 구멍

Claims (12)

  1. 시계에 사용되는 작동장치로서,
    용두;
    상기 용두에 회전축으로 연결된 용두기어,
    상기 용두기어에 맞물리며 양면에 제1구속판 및 제2구속판을 포함하는 연결기어,
    상기 연결기어와 연동된 조절기어,
    상기 조절기어에 연동되고 상기 시계의 무브먼트에 연결된 조절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조절축에 대해서 상하방향(시계의 12시와 6시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되고,
    상기 연결기어는 상기 제1구속판 및 상기 제2구속판을 관통하는 관통축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축은 상기 시계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하지 않으며,
    상기 용두기어, 상기 연결기어, 및 상기 조절기어는 동일평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용두를 이동시킬 때 상기 용두 기어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직선 이동하면,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용두 기어에 대면 밀착된 상기 제1 구속판과 상기 제2 구속판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용두기어에 밀리게 되어, 상기 용두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작동장치가 상기 관통축을 따라 이동되는 작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는 상기 관통축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두기어는 상기 회전축과 동축 상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기어는 상기 조절축과 동축 상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기어는 서로 다른 축 상에 배치된 상기 용두 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용두 기어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두기어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연결기어는 상기 조절기어에 연동되어 상기 조절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용두 기어와 상기 조절 기어는 상기 연결기어에 의해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작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어는 복수의 기어가 홀수개로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기어의 일측에는 상기 용두기어가 맞물리며,
    상기 연결기어의 타측에는 상기 조절기어가 맞물리고,
    상기 연결기어에 의해 상기 용두 기어와 상기 조절 기어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어에는 단일의 연결 기어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기어의 일측에는 상기 용두 기어가 맞물리며,
    상기 연결 기어의 타측에는 상기 조절 기어가 맞물리고,
    상기 용두 기어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연결 기어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연결 기어에 의해 상기 조절 기어가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두 기어는 상기 회전축보다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조절 기어는 상기 조절축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구속판의 일측은 상기 용두 기어의 일면에 대면 밀착되며,
    상기 제1 구속판의 타측은 상기 조절 기어의 일면에 대면 밀착되고,
    상기 제2 구속판의 일측은 상기 용두 기어의 타면에 대면 밀착되며,
    상기 제2 구속판의 타측은 상기 조절 기어의 타면에 대면 밀착되고,
    상기 제1 구속판과 상기 제2 구속판은 설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서로 결합되며,
    상기 제1 구속판과 상기 제2 구속판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 구속판과 상기 제2 구속판 중 나머지 하나에 밀려서 상기 조절 기어가 이동되는 작동 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판에는 상기 제2 구속판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구속판에는 상기 제1 구속판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축부에는 상기 시계에 지지되는 관통축이 통과하는 제1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축부에는 상기 제1 축부가 삽입되는 제2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기어는 상기 제2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작동 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작동 장치가 구비된 시계.

  12. 삭제
KR1020220085684A 2022-07-12 2022-07-12 용두 위치가 다른 편심 구조의 손목 시계용 무브먼트 작동 장치 KR102481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684A KR102481971B1 (ko) 2022-07-12 2022-07-12 용두 위치가 다른 편심 구조의 손목 시계용 무브먼트 작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684A KR102481971B1 (ko) 2022-07-12 2022-07-12 용두 위치가 다른 편심 구조의 손목 시계용 무브먼트 작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971B1 true KR102481971B1 (ko) 2022-12-27

Family

ID=8456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684A KR102481971B1 (ko) 2022-07-12 2022-07-12 용두 위치가 다른 편심 구조의 손목 시계용 무브먼트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97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834B2 (ko) * 1982-11-09 1989-03-20 Omega Sa
US20010046186A1 (en) * 2000-03-17 2001-11-29 Jean-Philippe Dubois Mechanism for the transmission of axial and rotative movements between two offset axles
KR20030030214A (ko) * 2001-10-09 2003-04-18 김중한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KR200383370Y1 (ko) * 2005-02-14 2005-05-03 서순교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
KR101435724B1 (ko) 2011-12-13 2014-09-01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기능모듈들을 가진 모듈식 시계 무브먼트
JP2018155620A (ja) * 2017-03-17 2018-10-04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ムーブメント及びそれを備えた時計
KR102118811B1 (ko) * 2018-12-31 2020-06-26 김민혁 잔여시간 확인용 아날로그 시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834B2 (ko) * 1982-11-09 1989-03-20 Omega Sa
US20010046186A1 (en) * 2000-03-17 2001-11-29 Jean-Philippe Dubois Mechanism for the transmission of axial and rotative movements between two offset axles
KR20030030214A (ko) * 2001-10-09 2003-04-18 김중한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KR200383370Y1 (ko) * 2005-02-14 2005-05-03 서순교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
KR101435724B1 (ko) 2011-12-13 2014-09-01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기능모듈들을 가진 모듈식 시계 무브먼트
JP2018155620A (ja) * 2017-03-17 2018-10-04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ムーブメント及びそれを備えた時計
KR102118811B1 (ko) * 2018-12-31 2020-06-26 김민혁 잔여시간 확인용 아날로그 시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6994B1 (en) Linked locking mechanism and antenna downtilt angle control device
US8743664B2 (en) Dial module for a watch, and watch including such a dial module
US7170825B2 (en) Power reserve display mechanism and mechanical timepiece having the same
KR102481971B1 (ko) 용두 위치가 다른 편심 구조의 손목 시계용 무브먼트 작동 장치
US8213269B2 (en) Timepiece with dial having a rotary index
CN102346425A (zh) 手动上弦轮系、具备该轮系的钟表用机芯及钟表
US6776519B2 (en) Mysterious rotating bezel
JP6484739B2 (ja) 計時器用の非近接制御機構
JP7076464B2 (ja) 時計の機能を調節するための装置
JP2007085895A (ja) 携帯機器
US10248082B2 (en) Timepiece movement, mechanical timepiece, and method for releasing pawl lever from engagement
JP6787099B2 (ja) 時計用ムーブメントおよび機械式時計
JP6969652B2 (ja) 時計用ムーブメントおよび機械式時計
CN112824979B (zh) 用于时计的控制表冠
US7350968B2 (en) Case for a watch movement
CN202362596U (zh) 机械手表平行柄轴间偏移距离的调整机构
JP6650010B2 (ja) 復帰ばね、輪列機構、時計用ムーブメント及び機械式時計
US20120092970A1 (en) Angled crown setting device
JP7087879B2 (ja) ムーブメントおよび電子時計
JP7126428B2 (ja) 巻真動作の切替機構及び時計
US11754977B2 (en) Timepiece with reversible watch case
JP2017096814A (ja) ムーブメントおよび時計
JP5660682B2 (ja) アナログ時計のムーブメント
JP5649228B2 (ja) 電波修正時計
JP2006053104A (ja) 回転ベゼル付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