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0214A -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 Google Patents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0214A
KR20030030214A KR1020010062060A KR20010062060A KR20030030214A KR 20030030214 A KR20030030214 A KR 20030030214A KR 1020010062060 A KR1020010062060 A KR 1020010062060A KR 20010062060 A KR20010062060 A KR 20010062060A KR 20030030214 A KR20030030214 A KR 20030030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r hand
clutch plate
shaft
hand shaf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7172B1 (ko
Inventor
김중한
김주성
Original Assignee
김중한
김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한, 김주성 filed Critical 김중한
Priority to KR10-2001-0062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172B1/ko
Publication of KR20030030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9/00Electrically-actuated devices for setting the time-indicating means
    • G04C9/08Electrically-actuated devices for setting the time-indicating means by electric drive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3/00Clocks with attached or built-in means operating any device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intervals
    • G04C23/14Mechanisms continuously running to relate the operation(s) to the time of day
    • G04C23/18Mechanisms continuously running to relate the operation(s) to the time of day for operating one device at a number of different ti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제1지역시간을 지시하는 제1시침; 상기 제1시침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시침축; 상기 제1시침과 동심적으로 회전하여 제2지역시간을 지시하는 제2시침; 상기 제2시침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시침축; 상기 제1시침축과 상기 제2시침축을 정회전방향으로 상호 맞물리게 하여 일체회전하게 하고 역회전방향으로 상기 제1시침축과 상기 제2시침축을 물림해제하는 일방향 클러치; 및 상기 제2시침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조작가능한 회전조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제1시침 및 제2시침의 연결구동이 확실하고 또한 간단하며 저렴한 구조로서 상이한 두 지역시간의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Dual Time Analog Watch}
본 발명은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시계로 두 지역시간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시계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과 같은 국제화 시대에 있어서는 해외출장이 빈번한 항공기 승무원, 직장인, 사업가 등의 사람들이 여러 가지 목적으로 자국의 시간뿐만 아니라 해외의 현지 시각을 알아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하나의 시계로서, 자국의 시간은 물론 원하는 외국의 현지시간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하나의 시계로서 두 지역시간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디지털 시계는 자국의 시간을 나타내는 표시장치와 별도로 외국의 현지 시간을 나타내는 표시장치를 더 부가하는 것이 공간이나 경제적인 면 등에 있어서 아날로그 시계에 비해 제약이 적다. 그러나, 아날로그 시계는 통상적으로 자국의 시간을 지시하는 시침, 분침 및 초침과 이들의 구동수단 외에 외국의 현지시간을 지시하기 위해서도 이러한 장치를 별도로 더 필요하게 되므로 공간상의 제약이나 증가되는 부품에 따른 경제적인 제약을 더 받게 된다.
아날로그 시계의 이러한 제약들로 인하여, 상호 다른 각 2개의 시간안내판과 시침, 분침, 초침, 그리고 이들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사용하게 되면, 통상적으로 시판되는 시계에 비해 시간안내판이나 시침 등을 작게 만들 수밖에 없다. 따라서, 크기가 작은 각각 2개씩의 시침, 분침 그리고 초침으로 두 지역시간을 파악하여야하는 것은 기존의 모노방식에 익숙해진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할 수밖에 없다. 또한, 경제적인 면에서도 외형상으로 한 몸체에 설치되어 있지만 실제로 두 개의 시계 시스템을 구성한 것이나 마찬가지이므로 부품수가 증가하여 비용이 많이 들게 되어 시계의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동일한 시간안내판, 분침 및 초침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시침만을 두 개 사용하는 방법 즉, 세계의 시간을 표시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1시간을 단위로 하여 시차가 발생한다는데 감안하여, 제1시침과 시간차를 가지는 제2시침이 제1시침과 동일한 속도로 동심적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하고 분침 및 초침을 공유하여 두 지역시간을 나타내게 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기술의 곤란성은, 제1시침과 제2시침이 시계가 작동할 때에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하는 것과, 외국의 현지시간과 같은 제2지역시간을 변경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제2시침만을 조작할 수 있도록 제1시침과 제2시침을 구성하는 것에 있게 된다.
한편, 최근의 기술 중에서, 시계가 작동 중인 경우에는 중공축인 제1시침축에 제2시침축이 끼워맞춤 연결되도록 하여 제1시침과 제2시침이 동심적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제2시침축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외부로 연결된 제2시침축 회전조작부를 눌러 제2시침축에 연결한 뒤 제2시침축을 조작하고, 조작이 끝나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에 있어서는, 제2시침축을 조작할 경우 제2시침축이 중공축인 제1시침축 내로 끼워맞춤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실상 제1시침축과 같이 회전하게 되어 제2시침축만을 조정하기가 곤란하며, 제2시침축 회전조작부와 제2시침축의 연결 및 분리 시에 발생하는 충격과 마모에 의하여 제1시침축 및 제2시침축의 끼워맞춤 연결이 헐거워져 제2시침축이 제1시침축과 같이 회전하지 못하게 되어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제1시침 및 제2시침의 연결구동이 확실하고 또한 간단하며 저렴한 구조로서 상이한 두 지역시간의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일방향 클러치에 대한 부분 파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의 일방향 클러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의 일방향 클러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의 제2시침축 구동부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5a : 제1시침축 45b : 제1시침
47a : 제2시침축 47b : 제2시침
50 : 일방향 클러치 51 : 고정클러치판
53 : 가동클러치판 55 : 스프링
57 : 물림수단 70 : 회전조작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지역시간을 지시하는 제1시침과, 상기 제1시침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시침축; 상기 제1시침과 동심적으로 회전하여 제2지역시간을 지시하는 제2시침; 상기 제2시침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시침축; 상기 제1시침축과 상기 제2시침축을 정회전방향으로 상호 맞물리게 하여 일체회전하게 하고 역회전방향으로 상기 제1시침축과 상기 제2시침축을 물림해제하는 일방향 클러치; 및 상기 제2시침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조작가능한 회전조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제1시침축과 상기 제2시침축 중 어느 하나에 회전고정되며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클러치판; 상기 고정클러치판의 타측에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시침축과 상기 제2시침축 중 다른 하나에 회전고정되며 상기 고정클러치판에 대해 접근 및 이격가능한 가동클러치판; 상기 고정클러치판과 상기 가동클러치판에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어 정방향으로 물림 및 역방향으로 물림해제되는 물림수단; 및 상기 가동클러치판과 상기 고정클러치판 중 어느 하나를 탄성적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클러치판과 상기 가동클러치판은 측부에 마련된 톱니형 치형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림수단은, 상기 고정클러치판과 상기 가동클러치판 중 어느 하나에 물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물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물림홈은 접촉영역에서 경사면을 갖도록 하는 것이 보다 간편하나, 상기 가동클러치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연부에 상향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동클러치판을 관통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클러치판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정방향으로 맞물리며 역방향으로 물림해제되는 물림홈을 갖도록 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중앙영역에 소정 함몰된 함몰부의 측부에 래칫형 치형부를 가지고 상기 제1시침축에 회전고정되며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래칫휠; 및 상기 래칫형 치형부에 정회전방향에서 상호 맞물리게하여 일체회전하게 하고 역회전방향에서 물림해제하게 하는 래칫폴을 가지고, 상기 제2시침축에 회전고정되며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시침축 회전판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스프링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보다 바람직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지역시간을 지시하는 제1시침; 상기 제1시침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시침축; 상기 제1시침과 동심적으로 회전하여 제2지역시간을 지시하는 제2시침; 상기 제2시침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시침축; 상기 제2시침축을 양방향으로 회전조작가능한 회전조작부; 상기 제1시침축을 회전구동하게 하는 제1시침축 구동부; 및 상기 제1시침축 구동부와 별도로 상기 제2시침축을 구동하는 제2시침축 구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방향 클러치에 대한 부분 파단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1)는 시간표시판(10), 구동부(20), 동력전달부(30), 초침조립체(41), 분침조립체(43), 제1시침조립체(45), 일방향 클러치(50), 제2시침조립체(47), 시간조작부(60) 및 회전조작부(70)를 갖는다.
시간표시판(10)은 원주방향으로 12등분되어 각 시간을 표시하는 숫자가 표현되어 있는 12시간표시판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12시간표시판으로는 제2지역시간이 오전인지 오후인지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우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원주방향으로 24등분하여 24시간 표시판으로 구성하여 보다 용이하게 시차를 확인할 수도 있다.
구동부(20)는 일반적으로 밧데리를 전원으로 하는 전기모터(21)와회전축(25), 그리고 전기모터의 회전축(25)에 결합된 기어(23)로 구성된다. 전기모터의 회전축(25)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력은 동력전달부(30)로 전달된다.
동력전달부(30)는 전기모터(21)의 회전력을 일정한 기어비로 변환하여 초침조립체(41)에 전달하는 초침동력전달부(31)와, 초침조립체(41)의 회전력을 일정한 기어비, 보통 60:1로 감속하여 분침조립체(43)에 전달하는 분침동력전달부(33)와, 분침조립체(43)의 회전력을 일정한 기어비, 보통 60:5로 감속하여 제1시침조립체(45)에 전달하는 제1시침동력전달부(35)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시침동력전달부(35)는 기어(35a), 피니언(35b), 축(35c) 그리고 기어(35a)와 피니언(35b) 사이의 축 중간영역에 결합되는 베벨기어(35d)로 구성되며 베벨기어(35d)에는 후술할 시간조작부(60)와 결합된다.
초침조립체(41)는 초침동력전달부(31)와 맞물리는 초침피니언(41c)과, 이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초침축(41a)과, 초침축의 초침기어 반대측 단부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초침(41b)과, 분침동력전달부(33)에 연결되는 초침기어(41d)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침조립체(43)는 분침동력전달부(33)와 맞물리는 분침피니언(43c)과, 이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분침축(43a)과, 분침축의 분침기어 반대측 단부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분침(43b)과, 제1시침동력전달부(35)에 연결되는 분침기어(43d)로 구성된다. 분침동력전달부(33)의 기어비에 의하여 초침(41b)이 1회전하게 되면 분침(43b)이 1°회전하게 된다.
제1시침조립체(45)는 제1시침동력전달부(35)에 의하여 분침(43b)이 1회전할 때 30°회전하는 제1시침축(45a)과, 제1시침축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제1시침(45b)을 갖는다. 제1시침(45b)은 분침(43b) 및 초침(41b)과 함께 자국의 시간과 같은 제1지역시간을 지시하게 된다.
일방향 클러치(50)는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가동클러치판(53)과 가동클러치판(53)에 대해 축선에 정적인 위치를 갖는 고정클러치판(51), 그리고 가동클러치판(53)을 탄성적으로 미는 탄성부재(55) 즉, 일반적으로 스프링을 갖는다. 고정클러치판(51)은 제2시침축(47a)의 제2시침(47b) 반대측 단부에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회전고정 결합되고, 가동클러치판(53)은 고정클러치판(51)에 대해 접근 및 이격가능하도록 고정클러치판(51)의 상측에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시침축(45a)에 회전고정된다. 한편, 가동클러치판(53)에는 물림돌기(53a)가 형성되고 고정클러치판(51)에는 물림홈(51a)이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어 정방향으로 상호 물림이 발생하고 역방향으로는 상호 물림해제 되게 된다. 물림 및 물림해제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물림홈(51a)은 접촉영역에서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고정클러치판(51)과 가동클러치판(53)의 측부에는 톱니형 치형부(51b, 53b)가 마련되어 고정클러치판(51)의 측부는 제2시침축(47a)만을 회전시키는 회전조작부(70)에, 가동클러치판(53)의 측부는 제1시침동력전달부(35)에 연결된다.
제2시침조립체(47)는 제2지역시간을 지시하는 제2시침(47b)과 제2시침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시침축(47a)을 갖는다. 제2시침축(47a)의 회전에 의하여 제2시침(47b)이 회전하게 되어 외국의 현지시간과 같은 제2지역시간을 지시하게 된다.
시간조작부(60)는 단부에 결합된 베벨기어(61)와 시계의 외부로 노출되는 시간조작레버를 가진다. 시간조작부(60)의 단부에 마련된 베벨기어(61)는 제1시침동력전달부(35)에 결합된 베벨기어(35d)와 한 쌍의 베벨기어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외부에서 시간조작레버(63)를 회전시키면 제1시침동력전달부(35)에 회전력을 전달시키고 되며, 이에 의하여 분침(43b)과 제1시침(45b), 그리고 제1시침축(45a)에 일방향 클러치(50)로 연결된 제2시침축(47a)이 회전하게 되어 제2시침(47b)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조작부(70)는 고정클러치판(51) 측면의 톱니형 치형부(51b)에 상호 결합되는 회전조작동력전달부(71)와 이와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조작레버(73)를 가진다. 외부에서 사용자가 회전조작레버(73)를 가동클러치판(53)의 회전방향의 역방향, 보통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동클러치판(53)의 물림돌기(53a)는 고정클러치판(51)의 물림홈(51a)의 경사면을 따라 물림홈(51a)을 이탈하도록 움직이게 되어 물림해제되게 되므로 고정클러치판(51)만이 회전하게 된다. 고정클러치판(51)만이 회전하게 되면 이에 연결된 제2시침축(47a)만이 회전하게 되어 제2지역시간만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계가 작동 중인 경우, 전기모터(21)의 회전이 초침동력전달부(31)에 의하여 초침조립체(41)에 전달되어 초침(41b)이 회전하게 되며 초침축이 1회전하게 되면 분침동력전달부(33)에 의하여 분침조립체(43)가 1°회전하게 된다. 마찬가지로분침축이 1회전하게 되면 제1시침동력전달부(35)가 가동클러치판(53)을 회전시켜 제1시침조립체(45)가 30°회전하게 되어 제1지역시간을 지시하게 된다. 가동클러치판(53)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가동클러치판(53)의 하면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하여 압축력을 받게 되고 가동클러치판(53)의 물림돌기(53a)가 고정클러치판(51)의 물림홈(51a)에 접촉하여 물림홈(51a)의 전면을 가압함으로써 고정클러치판(51)에 회전력을 부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클러치판(51)이 가동클러치판(53)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제2시침(47b)도 제1시침(45b)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어 제1지역시간을 지시하는 제1시침(45b)과 일정한 시차를 가지고 제2지역시간을 지시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초침(41b)과 분침(43b)을 공유하여 제1시침(45b)으로 제1지역시간을 알 수 있고 제2시침(47b)으로는 제2지역시간을 알 수 있게 된다.
시간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시간조작부(60)에 의해 일단 전기모터(21)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동력의 연결을 차단한 후에, 시간조작레버(63)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전력은 제1시침동력전달부(35)에 전달되어 분침(43b)과 제1시침(45b)이 회전하게 되며, 제1시침(45b)이 회전하게 되면 가동클러치판(53), 고정클러치판(51) 및 스프링(55)에 의하여 제2시침(47b)이 함께 회전하게 되어 제1시침(45b)과 제2시침(47b)의 시차를 유지한 채 제1지역시간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출장지역을 이동하는 경우와 같이, 외국의 현지시간 등을 지시하는 제2지역시간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시계 외부로 노출된 회전조작부(70)의 회전조작레버(73)를 회전시키면 회전조작동력전달부(71)에 의하여 고정클러치판(51)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회전조작레버(73)를 가동클러치판(53)의 회전방향에 역방향, 보통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클러치판(5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시침축(47a)이 회전하게 되어 제2시침(47b)이 지시하는 제2지역시간을 변경할 수 있게된다. 이 때 고정클러치판(51)에 형성된 물림홈(51a)은 시계방향으로 깊어지는 경사면을 가지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고정클러치판(51)과 가동클러치판(53)은 상호 물림해제되어 가동클러치판(53)을 정지한 상태로 고정클러치판(51)만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제1시침(45b)과 상대적으로 이격되도록 제2시침(47b)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제2지역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의 일방향 클러치(50)는, 제1실시 예에서 설명된 물림돌기(53a)와 물림홈(51a)으로 구성되는 물림수단과 다른 물림수단(57)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의 일방향 클러치 부분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생략되도록 도시하여 제1실시 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해 필요한 경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물림수단(57)은 가동클러치판(53)의 하면에 배치되는 연결판(57a)과, 연결판(57a)의 연부에 상향돌출 형성되며 가동클러치판(53)을 관통하는 돌출부(57b)와, 돌출부(57b)에 대응하도록 돌출부와 정방향으로 맞물리며 역방향으로 물림해제되도록 고정클러치판(51)에 반시계방향으로 깊어지는 경사면을 가진 물림홈(57c)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시계가 작동될 때, 제1시침축(45a)에 연결된 가동클러치판(53)이 회전하게 되면 연결판(57a) 하부에 배치된 스프링(55)이 연결판(57a)을 압축하고 연결판(57a)의 돌출부(57b)가 고정클러치판(51)의 물림홈(57c)에 상호 맞물려 가동클러치판(53)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클러치판(51)이 가동클러치판(53)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전조작레버(73)를 조작하여 고정클러치판(5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돌출부(57b)와 물림홈(57c)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2시침축(47a)만이 회전하게 되는 것은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의 일방향 클러치 부분 파단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생략되도록 하여 일방향 클러치(50) 부분만을 도시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해 필요한 경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일방향 클러치(50)는, 래칫휠(52)과, 래칫폴(56)을 가지는 제2시침축회전판(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시침축(45a)에 회전고정되며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래칫휠(52)은, 중앙영역에 소정 함몰된 함몰부(52c)가 형성되어 있고 함몰부(52c)의 측부에는 래칫형 치형부(52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2시침축(47a)에 회전고정되며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시침축회전판(54)에는 중앙으로부터 소정의 원주거리에 하향돌출된 돌출부(56a)가 형성되어, 래칫형 치형부(52b)와 정회전방향에서 상호 맞물리게하여 일체회전하게 하고 역회전방향에서 물림해제하게 하는 래칫폴(56)이 장착된다. 또한 래칫폴(56)의 작용을 위해 스프링(56b)이 래칫폴(56)의 후방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시계가 작동될 때, 제1시침축(45a)에 연결된 래칫휠(5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래칫폴(56)과 맞물려 제2시침축회전판(54)이 회전하게 되고 제2시침축회전판(54)의 회전에 의하여 제2시침(47b)이 제1시침(45b)과 동심상에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전조작레버(73)를 조작하여 제2시침축회전판(5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래칫폴(56)은 래칫휠(52)의 래칫형 치형부(52b)에 미끄러져 제2시침축(47a)만이 회전하게 되어 제2시침만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의 부분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생략되도록 도시하여 제1실시 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해 필요한 경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처럼 제2시침축(47a)에 결합된 고정클러치판(51)을 제1시침축(45a)에 결합된 가동클러치판(53)과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기모터(21a)와 전기모터(21a)의 회전을 일방향으로 전달하는 톱니형 치형부(23a)를 갖는 제2시침 구동부(20a)를 더 장착하여 고정클러치판(51)의 측부에 치형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시침과 제2시침의 연결구동이 확실하고 또한 간단하며 저렴한 구조로서 상이한 두 지역시간의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술 및 실시 예에서는, 제1시침(45b)이 지시하는 제1지역시간은 자국의 시간에 해당하고 제2시침(47b)이 지시하는 제2지역시간은 외국의 현지시간에 대응되도록 설명하였으나 이를 상호 반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전술 및 실시 예에서는 물림돌기(53a)가 가동클러치판(53)에 마련되고 물림홈(51a)이 고정클러치판(51)에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물림돌기(53a)가 고정클러치판(51)에 물림홈(51a)이 가동클러치판(53)에 마련하여도 무방하며, 따라서 스프링(55)도 일방향 클러치(50)의 하측에 마련될 수도 상측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한 쌍의 맞물려 돌아가는 기어에서 기어와 피니언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력전달을 위한 톱니형 치형부를 갖는 각 요소에서 다른 요소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톱니형 치형부를 피니언으로, 다른 요소에 동력을 전달하는 톱니형 치형부를 기어라고 표현하였으나, 이는 축의 양단에 형성된 톱니형 치형부를 구별하여 지칭하기 위한 표현상의 문제일 뿐임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시침 및 제2시침의 연결구동이 확실하고 또한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로서 상이한 두 지역시간의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가 제공된다.

Claims (7)

  1.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에 있어서,
    제1지역시간을 지시하는 제1시침;
    상기 제1시침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시침축;
    상기 제1시침과 동심적으로 회전하여 제2지역시간을 지시하는 제2시침;
    상기 제2시침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시침축;
    상기 제1시침축과 상기 제2시침축을 정회전방향에서 상호 맞물리게 하여 일체회전하게 하고 역회전방향에서 물림해제하는 일방향 클러치; 및
    상기 제2시침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조작가능한 회전조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제1시침축과 상기 제2시침축 중 어느 하나에 회전고정되며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클러치판;
    상기 고정클러치판의 타측에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시침축과 상기 제2시침축 중 다른 하나에 회전고정되며 상기 고정클러치판에 대해 접근 및 이격가능한 가동클러치판;
    상기 고정클러치판과 상기 가동클러치판에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어 정방향으로 물림 및 역방향으로 물림해제되는 물림수단; 및
    상기 가동클러치판과 상기 고정클러치판 중 어느 하나를 탄성적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러치판과 상기 가동클러치판은 측부에 마련된 톱니형 치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수단은, 상기 고정클러치판과 상기 가동클러치판 중 어느 하나에 물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물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물림홈은 접촉영역에서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수단은,
    상기 가동클러치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연부에 상향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동클러치판을 관통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클러치판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정방향으로 맞물리며 역방향으로 물림해제되는 물림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중앙영역에 소정 함몰된 함몰부의 측부에 래칫형 치형부를 가지고 상기 제1시침축에 회전고정되며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래칫휠; 및
    상기 래칫형 치형부에 정회전방향에서 상호 맞물리게하여 일체회전하게 하고 역회전방향에서 물림해제하게 하는 래칫폴을 가지고, 상기 제2시침축에 회전고정되며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시침축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7.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에 있어서,
    제1지역시간을 지시하는 제1시침;
    상기 제1시침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시침축;
    상기 제1시침과 동심적으로 회전하여 제2지역시간을 지시하는 제2시침;
    상기 제2시침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시침축;
    상기 제2시침축을 양방향으로 회전조작가능한 회전조작부;
    상기 제1시침축을 회전구동하게 하는 제1시침축 구동부; 및
    상기 제1시침축 구동부와 별도로 상기 제2시침축을 구동하는 제2시침축 구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KR10-2001-0062060A 2001-10-09 2001-10-09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KR100467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060A KR100467172B1 (ko) 2001-10-09 2001-10-09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060A KR100467172B1 (ko) 2001-10-09 2001-10-09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214A true KR20030030214A (ko) 2003-04-18
KR100467172B1 KR100467172B1 (ko) 2005-01-24

Family

ID=2956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060A KR100467172B1 (ko) 2001-10-09 2001-10-09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1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811B1 (ko) * 2018-12-31 2020-06-26 김민혁 잔여시간 확인용 아날로그 시계
KR102481971B1 (ko) * 2022-07-12 2022-12-27 조영봉 용두 위치가 다른 편심 구조의 손목 시계용 무브먼트 작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811B1 (ko) * 2018-12-31 2020-06-26 김민혁 잔여시간 확인용 아날로그 시계
KR102481971B1 (ko) * 2022-07-12 2022-12-27 조영봉 용두 위치가 다른 편심 구조의 손목 시계용 무브먼트 작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7172B1 (ko) 2005-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3226B1 (en) Driveline for a vehicle
KR100467172B1 (ko) 듀얼타임 아날로그 시계
JP4404525B2 (ja) 変速機
JPH0238828B2 (ko)
US4669333A (en) Planetary gear mechanism
JPS6449743A (en) Transmission of vehicle
JPH1123733A (ja) 時計歯車列用の切り離し歯車装置
JPS5932751B2 (ja) 時計の表示修正装置
JPH0615670Y2 (ja) 玩具用動力切替装置
JPH0517487Y2 (ko)
JPS6213222B2 (ko)
KR101999770B1 (ko) 효과적인 다자유도 구동을 위한 구동 메커니즘
JPS62255888A (ja) 副針表示時計
KR910009141Y1 (ko) 양면 시계
JPH0234512Y2 (ko)
JPS5819500Y2 (ja) 目覚まし時計
JPH0222914Y2 (ko)
JPS6111784Y2 (ko)
JPS5844383Y2 (ja) ラチエツト機構
US3944795A (en) Setting mechanism for digital display devices
JPH0365046U (ko)
KR900004167B1 (ko) 변속기
JPH0236147Y2 (ko)
JPS61176623U (ko)
JPH0744244U (ja) 時差調整機能付両面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