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370Y1 -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370Y1
KR200383370Y1 KR20-2005-0003881U KR20050003881U KR200383370Y1 KR 200383370 Y1 KR200383370 Y1 KR 200383370Y1 KR 20050003881 U KR20050003881 U KR 20050003881U KR 200383370 Y1 KR200383370 Y1 KR 200383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r hand
worm
gear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순교
Original Assignee
서순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순교 filed Critical 서순교
Priority to KR20-2005-0003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3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3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7/00Mechanical devices for setting the time indicating means
    • G04B27/02Mechanical devices for setting the time indicating means by making use of the win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손목시계(30) 내부에 에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시침 제어장치(50)는 시침(34)을 가지는 시침기어(51)와 분침(35)을 가지는 분침기어(52) 및 초침(36)을 가지는 초침기어(53)와; 상기 초침기어(53)는 무브먼트(32)에 의하여 작동하는 구동기어(54)와 연접되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시침기어(51)에는 연결기어(55)를 연접시키고, 상기 연결기어(55)에 연접되는 웜휠(56)을 제어하여 인위적으로 시침(34)을 작동시키기 위한 시침 제어장치(5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웜휠(56)에는 케이스(31)를 가로지르는 조절샤프트(60)의 중앙에 구비되어 연접과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좌측웜(57) 및 우측웜(58)과;
상기 좌,우측웜(57,58)은 케이스(31) 양측 외부까지 연결되는 조절샤프트(60)의 양측에 결합되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연접되고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격 되도록 하는 좌,우측용두(59)와;
상기 조절샤프트(60)의 양측에 케이스(31)에 지지 되어 조절샤프트(60)를 유지하면서 절도감 있는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슬리브(61)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샤프트(60)는 관체로 구비되어 내측 끝단에 우측웜(58)을 일체로 형성하는 우측샤프트(62)와;
상기 우측샤프트(62)에 내장되어 우측샤프트(62)에 삽입된 좌측웜(57)을 스토퍼(63)로 유지하는 좌측샤프트(64)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63)는 좌측샤프트(64)에서 핀 타입으로 우측샤프트(62)에 형성되는 슬로트(65)를 통하여 돌출되어 좌측웜(57)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Control device of hour hand for watch}
본 고안은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손목시계의 양측 방향에서 시계 바늘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목시계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작동을 위한 기계적인 부분인 무브먼트(Movement)가 내장되고, 상기 무브먼트의 상부에는 시간을 표시한 인덱스가 안치되고, 상기 인덱스의 상부에는 무브먼트로 부터 연결되는 시침과 분침 및 초침으로 구성되는 지침이 결합 된다.
상기 케이스의 하방에는 언더커버가 결합 되고, 케이스의 상방에는 글래스가 베젤에 의하여 단속되며,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형성되는 케이스러그에는 시계를 팔목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를 연결한다.
상기 케이스러그와는 대향(직각방향 일 측) 위치에는 무브먼트와 연결되어 지침을 제어할 수 있도록 시침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종래에는 상기 시침 제어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침(1)을 가지는 시침기어(2)와 분침(3)을 가지는 분침기어(4) 및 초침(5)을 가지는 초침기어(6)가 구비되고, 상기 초침기어(6)는 무브먼트(7)에 의하여 작동하는 구동기어(8)에 의하여 작동되어 시계(10)가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시침기어(2)에는 인위적으로 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시침 제어장치(15)가 구비된다.
상기 시침 제어장치(15)는 시침기어(2)에 연접되는 연결기어(16)와 상기 연결기어(16)와 웜휠(17)이 연접되고, 상기 웜휠(17)은 연접 및 이탈되는 웜(18)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웜(18)은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용두(Crown; 19)과 연결되어 내측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는 조절샤프트(20)의 끝단에 형성하여 조절샤프트(20)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연접되고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절샤프트(20)의 중간 위치에는 슬리브(21)를 구비하여 조절샤프트(20)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절도감 있는 작동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시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시계의 일 측 방향에만 구비되므로 왼손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시침 제어장치를 시계의 양측에 구비하여 오른손 사용자는 물론 왼손 사용자들도 용이하게 시침을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의 편의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를 가지는 시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가 적용된 시계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손목시계(30)는 케이스(31)의 내부에 작동을 위한 무브먼트(Movement;32)가 내장되고, 상기 무브먼트(32)의 상부에는 시간을 표시한 인덱스(33)가 안치된다.
상기 인덱스(33)의 상부에는 무브먼트(32)로 부터 연결되는 시침(34)과 분침(35) 및 초침(36)으로 구성되는 지침이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31)의 상방에는 글래스(37)가 베젤(38)에 의하여 단속된다.
상기 케이스(31)의 양측에 형성되는 케이스러그(39)에는 시계를 팔목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40)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러그(39)와 대향 위치에는 무브먼트(32)와 연결되어 시침을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시침 제어장치(5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시침 제어장치(50)는 시침(34)을 가지는 시침기어(51)와 분침(35)을 가지는 분침기어(52) 및 초침(36)을 가지는 초침기어(53)를 구비한다.
상기 초침기어(53)는 무브먼트(32)에 의하여 작동하는 구동기어(54)와 연접되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시침기어(51)에는 연결기어(55)를 연접시키고, 상기 연결기어(55)에는 웜휠(56)을 연접시킨다.
상기 웜휠(56)은 케이스(31)를 가로지르는 조절샤프트(60)의 중앙에 구비되는 좌측웜(57)과 우측웜(58)과의 연접 및 이탈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좌,우측웜(57,58)은 케이스(31) 양측 외부까지 연결되는 조절샤프트(60)의 양측에 결합되는 좌,우측용두(59)에 의하여 조절샤프트(60)를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연접되고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절샤프트(60)의 양측에는 케이스(31)와 유지되는 슬리브(61)를 구비하여 조절샤프트(60)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절도감 있는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조절샤프트(60)는 관체로 구비되어 내측 끝단에 우측웜(58)을 일체로 형성하는 우측샤프트(62)와, 상기 우측샤프트(62)에 내장되어 우측샤프트(62)에 삽입된 좌측웜(57)을 스토퍼(63)로 유지하는 좌측샤프트(64)로 구성한다.
상기 좌측웜(57)을 유지하는 스토퍼(63)는 좌측샤프트(64)에서 핀 타입으로 우측샤프트(62)에 형성되는 슬로트(65)를 통하여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슬로트(65)의 길이는 좌측웜(57)이 충분히 웜휠(56)과 연접되고 이격 될 수 있을 정도로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시계를 착용한 상태에서 우측 손을 사용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케이스(31)의 우측에 구비되는 용두(59)를 이용하여 시침(34)을 인위적으로 제어하고, 좌측 손을 사용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케이스(31)의 좌측에 구비되는 용두(59)를 이용하여 시침(34)를 인위적으로 제어하면 된다.
즉, 시침(34)을 제어하고자 할 경우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는 용두(59)를 잡고 케이스(31)의 외측 방향으로 당기면, 우측샤프트(62) 또는 좌측샤프트(64)의 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좌,우측웜(57,58)이 당겨지면서 이격 상태에서 연접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두(59)를 회전시키면 좌,우측웜(57,58)이 회전하고, 좌,우측웜(57,58)과 연접된 웜휠(56)이 회전하여 연결기어(55)를 회전시키고, 연결기어(55)는 시침기어(51)를 회전시켜 제어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우측샤프트(62) 또는 좌측샤프트(64)를 작동시키면 자연스럽게 우측웜(58) 또는 좌측웜(57)이 당겨지는 데, 이때에는 우측샤프트(62)에 삽입된 상태에 있는 좌측샤프트(64)는 우측샤프트(62)에 형성되는 슬로트(65)에 의하여 스토퍼(63)가 걸림 되는 현상 없이 자연스럽게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예로서는,
상기 웜휠(56)의 상,하측에 좌측웜(57)과 우측웜(58)을 가지는 좌측샤프트(64)와 우측샤프트(62)를 케이스(31)의 양측으로 연결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시침 제어장치를 시계의 양측에 구비하여 오른손 사용자는 물론 왼손 사용자들도 용이하게 시침을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의 편의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를 가지는 시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가 적용된 시계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시침 제어장치가 적용된 시계의 내부를 도시한 일부생략 상태의 평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손목시계
50; 시침 제어장치
55; 연결기어
56; 웜휠
57; 좌측웜
58; 우측웜
60; 조절샤프트

Claims (3)

  1. 손목시계(30) 내부에 에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시침 제어장치(50)는 시침(34)을 가지는 시침기어(51)와 분침(35)을 가지는 분침기어(52) 및 초침(36)을 가지는 초침기어(53)와;
    상기 초침기어(53)는 무브먼트(32)에 의하여 작동하는 구동기어(54)와 연접되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시침기어(51)에는 연결기어(55)를 연접시키고, 상기 연결기어(55)에 연접되는 웜휠(56)을 제어하여 인위적으로 시침(34)을 작동시키기 위한 시침 제어장치(5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웜휠(56)에는 케이스(31)를 가로지르는 조절샤프트(60)의 중앙에 구비되어 연접과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좌측웜(57) 및 우측웜(58)과;
    상기 좌,우측웜(57,58)은 케이스(31) 양측 외부까지 연결되는 조절샤프트(60)의 양측에 결합되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연접되고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격 되도록 하는 좌,우측용두(59)와;
    상기 조절샤프트(60)의 양측에 케이스(31)에 지지 되어 조절샤프트(60)를 유지하면서 절도감 있는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슬리브(61)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샤프트(60)는 관체로 구비되어 내측 끝단에 우측웜(58)을 일체로 형성하는 우측샤프트(62)와;
    상기 우측샤프트(62)에 내장되어 우측샤프트(62)에 삽입된 좌측웜(57)을 스토퍼(63)로 유지하는 좌측샤프트(64)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63)는 좌측샤프트(64)에서 핀 타입으로 우측샤프트(62)에 형성되는 슬로트(65)를 통하여 돌출되어 좌측웜(57)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트(65)의 길이는 좌측웜(57)이 충분히 웜휠(56)과 연접되고 이격 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웜(57)과 우측웜(58)은 웜휠(56)의 상,하측에서 케이스(31)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좌측샤프트(64)와 우측샤프트(62)의 내측 단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
KR20-2005-0003881U 2005-02-14 2005-02-14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 KR200383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881U KR200383370Y1 (ko) 2005-02-14 2005-02-14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881U KR200383370Y1 (ko) 2005-02-14 2005-02-14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370Y1 true KR200383370Y1 (ko) 2005-05-03

Family

ID=4368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881U KR200383370Y1 (ko) 2005-02-14 2005-02-14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3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971B1 (ko) * 2022-07-12 2022-12-27 조영봉 용두 위치가 다른 편심 구조의 손목 시계용 무브먼트 작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971B1 (ko) * 2022-07-12 2022-12-27 조영봉 용두 위치가 다른 편심 구조의 손목 시계용 무브먼트 작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2758B2 (en) Electric device for switching between at least three different contacts
JP5606823B2 (ja) 時計の機能を調節しかつ/または制御する手動装置
US20150023142A1 (en) Control device for a timepiece
JP4749728B2 (ja) 自動セッティング装置
US9122248B2 (en) Case for timepiece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CN1945464B (zh) 一种可旋转手表
CN104597738B (zh) 用于计时器的固定和分度装置
JP2007041003A (ja) 時計
JP2005274580A (ja) 時計
KR20110102184A (ko) 시계 무브먼트용 감김 및 시간-설정 조절 장치
JP2015526737A (ja) トゥールビヨンを具備する時計のためのバランス停止装置
KR200383370Y1 (ko)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시침 제어장치
JP2007303843A (ja) リバーシブル表示装置
CN108508736B (zh) 表壳和具有该表壳的腕戴设备
CN108851389A (zh) 一种腕带结构和一种可穿戴设备
JP2011523027A (ja) クロノグラフ機構を備える時計
JP2020165964A (ja) 回転ベゼル阻止装置
CN105319942B (zh) 用于时计的倾斜联接装置
JP2016102781A (ja) 時計の機能を調節するためのデバイス
CN201229478Y (zh) 新型手表
BG108895A (en) Fixing device for a movable wall
KR20100003423U (ko) 손목시계
CN105629703B (zh) 具有速度选择器的计时器
CN209547188U (zh) 一种翻转表带结构及手表
CN110671597B (zh) 一种旅游用地理位置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