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409B1 - 직류 차단기 - Google Patents

직류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409B1
KR102481409B1 KR1020207026770A KR20207026770A KR102481409B1 KR 102481409 B1 KR102481409 B1 KR 102481409B1 KR 1020207026770 A KR1020207026770 A KR 1020207026770A KR 20207026770 A KR20207026770 A KR 20207026770A KR 102481409 B1 KR102481409 B1 KR 102481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vable
shutter
fix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8885A (ko
Inventor
시게미 사토
시게히사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우부카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우부카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우부카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11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2Insulating body insertable between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9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ensuring operation of the switch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ac cycle
    • H01H33/596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ensuring operation of the switch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ac cycle for interrupting d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01H37/54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wherein the bimetallic element is inherently snap ac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01H37/54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wherein the bimetallic element is inherently snap acting
    • H01H2037/5454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wherein the bimetallic element is inherently snap acting with separate spring biasing the bimetal snap element against the heat transfer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01H37/54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wherein the bimetallic element is inherently snap acting
    • H01H2037/549Details of movement transmission between bimetallic snap element and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06Insulating body insertable between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64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직류 차단기(10)는, 케이스(20)와, 2개의 고정 접점(33)과, 2개의 가동 접점 (42)과, 2개의 가동 접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바이패스 판(41)과, 바이패스 판을 이동시키는 이동 블록(43)과, 이동 블록을 항상 고정 접점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이동 블록용 부세부재(45)와, 설치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설치면이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는 것에 따라서 변형하는 열응동부재(61)와, 열응동부재의 변형전의 상태로 이동 블록을 걸려 고정하게 함으로써 이동 블록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부를 가지고, 열응동부재가 변형함으로써 동작해서 걸림부가 이동 블록에서 벗어나 이동 블록의 이동의 규제를 해제하는 래치(51)와,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서 이격한 경우에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 삽입되는 셔터(73)와, 셔터를 항상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셔터용 부세부재(7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직류 차단기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직류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의 실내의 냉난방 장치나 배터리 등의 전기 회로를 냉각하는 온도 제어 장치에 고전압 직류 전원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있어서는, 충돌 사고 등에 의해 회로에 이상 전류가 흐르면, 과잉 전류에 의해 발열해서 발화되거나 하는 등의 심각한 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에 관해서는 확실하게 전류를 차단하는 직류 차단기가 요구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직류 차단기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엔진룸과 같은 한정된 공간 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 장소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소형이면서 간단한 구조인 것도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직류 차단기에 있어서, 고전압 직류 전류의 활전(活電) 차단시에 발생하는 아크를 확실하게 차단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거리까지 접점을 떼거나 발생한 아크를 분산시키기 위한 소호기(消弧器)를 설치하는 등 할 필요가 있어서 소형화가 쉽지는 않았다. 게다가, 소형화를 도모할수록 구성 부품이 작아지고, 그 결과 조립이 어려워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2-212543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4-288604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6-143559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6-177891호
따라서, 확실하게 고전압 직류 전류를 차단할 수 있으며, 또 소형화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한 직류 차단기를 제공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는, 전기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된 2개의 고정 접점과, 2개의 상기 고정 접점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된 2개의 가동 접점과, 2개의 상기 가동 접점이 고정되고, 2개의 상기 가동 접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바이패스 판과, 상기 바이패스 판이 배치되는 홈부(溝部)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 내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그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바이패스 판을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을 항상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이동 블록용 부세(付勢;힘(기세)을 줌)부재와, 설치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면이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됨에 따라서 변형하는 열응동 (熱應動)부재와, 상기 열응동부재의 변형전의 상태로 상기 이동 블록을 걸려 고정(係止)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부(係止部)를 가지며, 상기 열응동부재가 변형함으로써 동작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이동 블록에서 벗어나서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의 규제를 해제하는 래치와, 전기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서 이격된 경우에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삽입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항상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셔터용 부세부재를, 구비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의 외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의 외관 구성의 일례를, 도 1과는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의 외관 구성의 일례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의 동작 전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의 동작 전의 내부 구조의 일례에 관해서 도 4의 X5-X5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의 동작 전의 내부 구조의 일례에 관해서, 도 4의 X6-X6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의 동작 후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의 동작 후의 내부 구조의 일례에 관해서 도 7의 X8-X8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의 동작 후의 내부 구조의 일례에 관해서 도 7의 X9-X9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에 관해서, 이동 블록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의 동작 전의 내부 구조의 일례에 관해서, 래치의 걸림부와 이동 블록의 피걸림부의 위치 관계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의 동작 후의 내부 구조의 일례에 관해서, 래치의 걸림부와 이동 블록의 피걸림부의 위치 관계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에 관해서, 셔터 삽입기구의 동작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에 관해서, 셔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5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에 관해서, 도 14의 X15-X15선을 따른 단면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직류 차단기에 관해서, 도 14의 X15-X15선을 따른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일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구성]
우선, 실시 형태의 직류 차단기(10)의 구성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직류 차단기(10)는, 열응동형의 직류 차단기이며, 대상 기기의 이상 과열을 검지하면 동작해서 통전(通電)을 차단한다. 직류 차단기(10)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0)와, 고정 전극기구(30)와, 가동 전극기구(40)와, 래치기구(50)와, 트리거 기구(60)와, 셔터 삽입기구(70)와, 고정 링(80)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0)는, 직류 차단기(10)의 외피(外殼)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0)의 재료는, 예를 들면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수지, UP(불포화 폴리에스테르),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ABS 등의 전기 절연성 수지나, 세라믹과 같은 무기 절연 재료 등에서, 직류 차단기(10)의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케이스(20)는, 복수, 이 경우, 두 개로 분할된 제1 케이스(21)와 제2 케이스(22)를 결합시켜 구성되어 있다.
고정 전극기구(30)는,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단자판(31)과, 2개의 배선 접속부(32)와, 2개의 고정 접점(33)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단자판 (31)과 배선 접속부(32)와 고정 접점(33)은, 각각 1개씩 1세트를 구성하고 있다. 단자판(31)은, 예를 들면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어있다. 단자판(31)은,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케이스(20), 이 경우, 제1 케이스(21)에 장착되어 있다. 단자판(31)의 일부는, 제1 케이스(21)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단자판(31)은,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0), 이 경우, 제1 케이스(21)에 대해서 예컨대 볼트(34) 및 너트(35)를 이용해서 고정되어 있다.
배선 접속부(32)는, 예를 들면 단자판(31)을 관통해서 형성된 암나사를 갖는 구멍 또는 암나사를 갖지 않는 단순한 구멍이며, 케이스(20)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배선 접속부(32)에는, 차단 대상이 되는 기기의 배선이 접속된다. 예를 들면, 이 경우, 기기의 배선은 수나사 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그 수나사 단자가 배선 접속부 (32)에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너트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배선 접속부(32)에 고정된다. 또한, 배선 접속부(32)에, 수나사 등의 단자나 스터드 단자 등을 형성해도 좋다.
고정 접점(33)은, 예를 들면 은(銀)을 주성분으로 한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접점(33)의 재료는, 예를 들면 산화 은과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의 클래드재 등의 재료에서, 직류 차단기(10)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고정 접점(33)은, 단자판(31)에 대해서 배선 접속부(32)와는 반대측을 향한 상태로 단자판(31)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33)은, 케이스(20) 내, 이 경우, 제1 케이스(21) 내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고정 접점(33)은 케이스(20) 내에 있어서 이동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가동 전극기구(4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바이패스 판(41)과, 2개의 가동 접점(42)과, 1개의 이동 블록(43)과, 2개의 가압(押壓) 스프링(44)과, 2개의 분리 스프링(45)을 가지고 있다. 바이패스 판(41)은, 예를 들면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의 클래드재 등의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상적인 사용 상태에서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있다. 바이패스 판(41)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 긴 판상의 부재를, 그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고정 접점(33)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면서 동시에, 평행한 두개의 직선부의 한쪽(片側) 단부를 이은 이른바 U자형으로 만곡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바이패스 판(41) 중 U자형으로 만곡한 부분을 만곡부(411)로 한다.
가동 접점(42)은, 고정 접점(33)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가동 접점(42)은, 각각 바이패스 판(4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각 가동 접점(42)은, 바이패스 판(41)에 대해서 고정 접점(33) 측을 향하고 있다. 이동 블록(43)은, 케이스(20), 이 경우, 제1 케이스(2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이동 블록(43)은, 예를 들면, 도 4의 지면 아래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케이스(21)는,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블록(43)을 수용하는 이동 블록 수용부(211)와, 돌출부(212)를 가지고 있다. 이동 블록 수용부(211)는, 이동 블록(43)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는 공간이다. 이동 블록 (43)은, 제1 케이스(21)의 이동 블록 수용부(211)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동 블록 (43)은, 이동 블록 수용부(211)의 벽면으로 안내되어서 고정 접점(33)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동 접점(42)이 고정 접점(33)에 접촉되어 있는 경우의 이동 블록(43)의 위치를, 이동 블록(43)의 시단(始端) 위치로 한다. 또한, 이동 블록(43)의 이동 범위 내에 있어서, 가동 접점(42)이 고정 접점(33)에서 가장 떨어진 경우의 이동 블록(43)의 위치를, 이동 블록(43)의 종단(終端) 위치로 한다.
돌출부(212)는, 이동 블록(43)의 종단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고, 이동 블록 (43)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1 케이스(21)는 2개의 돌출부 (212)를 가지고 있다. 2개의 돌출부(212)는, 이동 블록(43)의 무게 중심을 지나고 또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평면에 대해서 대상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돌출부(212)는, 도 4에서의 이동 블록(43)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대해서 대상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2개의 돌출부(212)는 각각 2개의 가동 접점(4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돌출부(212)와 가동 접점(42)은,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을 따른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동 블록(43)은, 도 4~도 6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431)와, 2개의 패임부(432)와, 2개의 가압 스프링 수용부(433)와, 2개의 분리 스프링 수용 부(434)를 가지고 있다. 홈부(431)는, 바이패스판(41)의 길이 방향의 중앙의 만곡부(411)을 따른 U자 형상이며, 또한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파는 듯이 해서 형성된 홈(溝)이다. 바이패스 판(41)의 만곡부(411)는, 이동 블록(43)의 홈부(431)에 삽입되어서 배치된다. 이 경우, 홈부(431)는, 바이패스 판(41)이 홈부(431)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으로 간극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 판(41)은 이동 블록(43)에 대해서 간극만큼의 상대적인 이동이 허용되고 있다.
이 경우, 바이패스 판(41)의 U자형으로 만곡한 만곡부(411) 중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부분은,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U자형의 홈부(431) 중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부분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 판(41)은,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에 대한 직각방향 즉 도 4 및 도 7의 지면에 대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했을 때에, 만곡부(411) 중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부분이, 홈부(431)의 내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판(41)은,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 즉 도 4 및 도 7의 지면에 대한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홈부(431)를 U자형의 홈이라고 칭하고 있는데,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에 간극을 가지며 또 접점 개방시에 접점 가압 스프링(44)의 바이어스에 의해 바이패스 판(41)이 이동 블록(43)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바이패스 판의 만곡부(411)의 U자 형상에 따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임부(432)는, 이동 블록(43)에서의 고정 접점(33)과는 반대측의 면, 즉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패임부(432)는, 제1 케이스(21)에 설치된 2개의 돌출부(212)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이동 블록(43)이 종단 위치까지 이동하면, 패임부(432)에 돌출부(212)가 끼워 넣어진다. 이에 따라, 이동 블록(43)이 고속으로 이동해서 이동 블록 수용부(211)의 종단측의 벽면에 충돌한 경우에, 이동 블록(43)이 튀어 올라 고정 접점(33) 측으로 일시적으로 돌아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접점간 개방시에 고정 접점(33)과 가동 접점 (42) 사이의 공간 거리가 짧아져 아크가 계속되거나 한번 끊어진 아크가 재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 스프링 수용부(433)는, 이동 블록(43)에 있어서, 가동 접점(42) 측의 면을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을 향해서 통(筒)형상으로 파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 스프링(44)의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한다. 2개의 가압 스프링 수용부(433)는, 각각 2개의 가동 접점(4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가동 접점(42)과 가압 스프링 수용부(433)는,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을 따른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분리 스프링 수용부(434)는, 이동 블록(43)에 있어서, 가동 접점(42) 측의 면을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을 향해서 통 형상으로 파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분리 스프링(45)의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한다. 2개의 분리 스프링 수용부(434)는, 2개의 가압 스프링 수용부(433)의 배치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2개의 분리 스프링 수용부(434)는, 도 6의 지면 깊이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이 되는 지면 좌우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2개의 분리 스프링 수용부(434)는, 이동 블록(43)의 무게중심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가압 스프링(44)은,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이패스 판(41)에 설치된 가동 접점(42)을 고정 접점(33)으로 누르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가동 접점용 부세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가압 스프링(44)은, 2개의 가동 접점(42)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고, 바이패스 판(41)에 대해서 고정 접점(33)과는 반대측에 있고 바이패스 판(41)과 이동 블록(4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
즉, 가압 스프링(44)은, 일부가 가압 스프링 수용부(433)에서 돌출한 상태로 가압 스프링 수용부(433)에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가압 스프링(44)의 일단부는 가압 스프링 수용부(433)의 저부에 지지되고, 가압 스프링(44)의 타단부는 바이패스 판(41)에서의 가동 접점(42)과는 반대 측(逆側)의 면을 지지한다. 또한, 가압 스프링(44)은 바이패스 판(41)에 설치된 가동 접점(42)을 고정 접점(33)으로 누르는 방향으로 힘을 줄 수 있다면, 압축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리 스프링(45)은,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 블록(43)을 고정 접점(3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이동 블록용 부세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즉, 분리 스프링(45)은, 이동 블록(43)과 함께 바이패스 판(41) 및 가동 접점(42)에 대해 고정 접점(33)으로부터 떼어 놓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부여한다.
분리 스프링(45)은, 2개의 가동 접점(42)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분리 스프링(45)은, 이동 블록(43)과 케이스(20)의 벽면, 이 경우, 제1 케이스(21)의 벽면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분리 스프링(45)의 일단부는 분리 스프링 수용부(434)의 저부에 지지되고, 분리 스프링(45)의 타단부는 제1 케이스(21)의 이동 블록 수용부(211) 내의 벽부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분리 스프링(45)은 이동 블록(43)을 항상 고정 접점(3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준다.
이때, 2개의 분리 스프링 수용부(434)는, 이동 블록(43)의 무게중심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 스프링(45)도, 이동 블록(43)의 무게 중심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가압 스프링(44)의 탄성력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하면, 이동 블록(43)에는, 분리 스프링(45)에서 받는 탄성력에 의해 무게중심 위치를 회전 중심으로 한 회전력이 작용한다. 그러면, 이동 블록(43)이 이동 블록 수용부(211)의 내벽면에 걸려버려, 원활한 이동을 방해한다.
이때,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분리 스프링(45)의 탄성력은 가압 스프링(44)의 탄성력보다도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 즉, 가동 접점용 부세부재인 2개의 가압 스프링(44)의 부세력의 합계는, 이동 블록용 부세부재인 2개의 분리 스프링(45)의 탄성력의 합계보다도 커지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압 스프링(44)은 이동 블록(43)의 이동의 초기 단계에서 분리 스프링(45)에 의한 회전력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킨다. 따라서, 이동 블록(43)의 이동의 초기 단계에서 이동 블록 (43)의 회전이 억제된다. 그 결과, 이동 블록(43)이 이동 블록 수용부(211)의 내 벽면에 걸리는 것이 억제되어, 이동 블록(43)의 이동을 원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래치기구(50)는, 가동 전극기구(40)의 동작 즉 이동 블록(43)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래치기구(5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51)와 래치축(52)을 가지고 있다. 래치(51)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이나 황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래치축(52)은, 스테인레스나 탄소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래치(51) 및 래치축(52)은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재료라면, 수지나 그 밖의 금속으로 구성해도 좋다.
래치(51)는,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구부러진 이른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래치축(52)은,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51)의 L자 형상의 굴곡 부분에 통과되어 있다. 또한, 래치(51)와 래치축(52)은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래치(51)는, 래치축(52)이 통과된 상태에서 케이스(20) 내, 이 경우, 제1 케이스(21) 내에 수용된다. 래치축(52)의 양단부는, 제1 케이스(2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부에 지지된다.
래치(51)는, 수동부(受動部)(511) 및 걸림부(512)를 가지고 있다. 수동부(511)는, L자 형상의 한쪽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트리거 기구(60)에서 래치(51)의 동작력을 받는 부분이다. 걸림부(512)는, L자 형상의 다른 쪽 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동 블록(43)을 걸어 고정하는 부분이다. 이 경우, 이동 블록(43)은 피걸림부(435)를 가지고 있다. 피걸림부(435)는 고정 접점(33)과는 반대측 부분의 일부를 단차 형상으로 노치(切欠)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래치(51)의 걸림부(512)가 이동 블록(43)의 피걸림부(435)를 걸리게 함으로써, 래치(51)는 이동 블록(43)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래치(51)가 동작해서 도 11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걸림부(512)가 이동 블록(43)의 피걸림부(435)에서 벗어나 이동 블록(43)의 이동의 규제가 해제된다 .
이때,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을 따르며 또 래치(51)의 회전 중심 즉 래치축(52)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을, 중심선 H로 한다. 이 경우, 래치(51)의 걸림부(512)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51)의 걸림부(512)가 이동 블록(43)을 걸어 고정하게 하는 상태에 있어서, 중심선 H에 대해서 동작시의 래치(51)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 블록(43)에서 래치(51)에 작용하는 힘이 클스록 래치(51)에는,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래치(51)의 동작 방향과는 역방향, 즉 걸림부(512)의 걸림이 풀어지는 방향과는 역박항으로의 회전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래치(51)의 걸림이 확실해지고, 예를 들면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수동부(511)에 트리거 기구(60)의 동작력 이외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잘못해서 래치(51)의 걸림이 실수로 풀어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블록(43)은, 도 5 및 도 1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 안내면(436)을 가지고 있다. 래치 안내면(436)은, 래치(51)가 동작해서 이동 블록(43)이 이동할 때에, 래치(51)에 접촉하는 면이다. 래치 안내면(436)은, 이동 블록(43)의 진행 방향의 종단측에서 시단측을 향해 래치(51)의 회전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진 테이퍼 형상의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래치 안내면(436)은, 이동 블록(43)이 이동했을 때에, 래치(51)를 래치(51)의 동작 방향 즉 도 11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눌러서 래치(51)의 회전을 보조한다. 이에 따라 이동 블록(43)이 이동할 때에, 래치(51)가 걸려서 이동 블록(43)의 이동을 저해하는 것이 억제된다.
트리거 기구(60)는, 직류 차단기(10)에서의 설치면(90) 측에 설치되어 있고, 대상 기기의 이상 과열을 감지한 경우에 래치(51)를 동작시켜서 이동 블록(43)의 규제를 해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트리거 기구(60)는,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응동부재(61)와, 누름 스프링(62)과, 커버(63)를 가지고 있다. 열응동부재(61)는, 예를 들면 원판 형상의 바이메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열응동부재(61)는, 얕은 접시 모양으로 드로잉 가공된 바이메탈을 사용하고 있다. 열응동부재(61)는, 도 4 내지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0)에 있어서 대상 기기의 설치면(90)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대상 기기의 설치면(90)이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된 것에 따라서 변형된다. 본 실시 형태의 열응동부재(61)는 스냅 액션에 의해 만곡 방향을 반전한다. 그리고, 열응동부재(61)의 변형은 래치(51)의 수동부(511)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래치(51)가 동작한다.
누름 스프링(62)은, 예를 들면 중앙부에 원형의 구멍이 형성된 판 스프링이며, 케이스(20)와 열응동부재(6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누름 스프링(62)은, 열응동부재(61)의 온도에 의한 변형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하중으로 열응동부재(61)를 설치면(90) 쪽으로 눌러붙이고 있다. 이 경우, 누름 스프링(62)은, 4개의 다리부(621)를 가지고, 그 다리부(621)에 의해 열응동부재(61)의 외주 부근을 설치면(90) 쪽으로 눌러붙이고 있다. 한편, 열응동부재(61)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하중으로 균등하게 눌러붙이는 것이 가능하다면, 다리부(621)의 갯수는 3개 또는 5개 이상이어도 좋다.
커버(63)는, 열 전도성이 높은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이나 구리 합금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얕은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63)는 열응동부재(61)를 케이스(20)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열응동부재(61)의 중앙 부분을 노출시켜 열응동부재(61)의 외주 부분을 유지한 상태로 케이스(20)에 장착된다.
설치면(90)의 표면에 열 전도성이 높고 유연한 열 매체를 설치하는 경우는, 커버(63)로 열응동부재(61)를 완전히 덮는 구성이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케이스(20)는 열응동부재 장착부(201)를 가지고 있다. 열응동부재 장착부(201)는, 제1 케이스(21)와 제2 케이스(22)가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설치면(90) 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열응동부재 장착부(201)의 외형 형상은, 열응동부재(61)의 외형 형상에 일치한다. 그리고,도 4~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류 차단기(10)를 대상 기기에 장착한 경우, 열응동부재 장착부(201)의 주위에서의, 케이스(20)와 대상 기기의 설치면(90) 사이에는 공간부(11)가 형성된다.
이 공간부(11)에 의해, 케이스(20)가 설치면(90)에 접촉하는 것이 방해된다. 따라서, 이 공간부(11)는, 설치면(90)에서의 열이, 케이스(20)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단열층으로서 기능한다. 이 공간부(11)의 단열 작용에 의해, 케이스(20)는 설치면(90)으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즉, 설치면(90)에서의 열이, 열응동부재(61) 이외의 부분에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열응동부재(61)는, 예를 들면 케이스(20)에 축적되는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설치면(90)의 열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즉, 설치면(90)에서 케이스(20)로의 열전달을 늦어지게 함으로써 급격한 온도 상승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 설치면(90)의 열을 열응동부재(61)에 효율적으로 전함으로써 열의 변화를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류 차단기(10)는, 설치면(90)의 온도가 규정 값 이상의 온도로 오른 경우에는 신속하게 차단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셔터 삽입기구(7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장착부재(71)와, 2 개의 셔터 삽입용 스프링(72)과, 2개의 셔터(73)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재(71)는, 케이스(2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전기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재(71)의 재료는, 예를 들면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수지, UP(불포화 폴리에스테르),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ABS 등의 전기 절연성 수지나, 세라믹과 같은 무기 절연 재료 등에서, 직류 차단기(10)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장착부재(71)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지지축(711)을 일체로 가지고 있다. 2개의 지지축(711)은, 이동 블록(43) 및 가동 접점(42)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은, 셔터(73)를 항상 고정 접점(33)과 가동 접점 (42) 사이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셔터용 부세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부(721)와, 지지 아암(722)과, 작용 아암(723)을 갖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부(721)는, 코일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지지 아암(722)은 코일부(721)의 한쪽 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장착부재(71) 또는 케이스(20) 이 경우 제2 케이스(22)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작용 아암(723)은, 코일부(721)에 대해 다른 쪽 단부에 설치되고, 셔터(73)에 대해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부분이다.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은, 코일부(721)가 장착부재(71)의 지지축(711)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부재(71)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73)의 이동 방향 즉 도 13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과 직교하는 축을 직교축 P로 한다. 또한, 셔터(73)가 고정 접점(33)과 가동 접점(42) 사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비동작시 즉 동작전의 상태에서의 직교축 P와 작용 아암(23)이 이루는 각도를 동작전 각도 θ1로 하고, 셔터(73)가 고정 접점(33)과 가동 접점(42) 사이에 삽입된 동작시 즉 동작후 상태에서의 직교축 P와 작용 아암(23)이 이루는 각도를 동작후 각도 θ2로 한다. 그리고,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은, 동작전 각도 θ1 및 동작후 각도 θ2가 모두 30°이하가 되도록 케이스(20) 내에 수용되어 있다. 환언하면, 작용 아암(23)은 동작전 및 동작후의 어느 상태에서도, 직교축 P에 대해서 ±30°의 범위 내가 된다.
또한, 소형화를 고려하면, 동작전 각도 θ1 및 동작후 각도 θ2는, 20°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작전 각도 θ1는 17°로 설정되어 있으며, 동작후 각도 θ2는 18°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작용 아암(23)의 동작 각도 θ는 35°가 된다.
2개의 셔터(73)는 각각 2개의 고정 접점(33) 및 가동 접점(42)에 대응한다. 셔터(73)는, 케이스(2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전기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73)의 재료는, 예를 들면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수지, UP(불포화 폴리에스테르),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ABS 등의 전기 절연성 수지나, 세라믹과 같은 무기 절연 재료 등에서, 직류 차단기(10)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셔터(73)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20), 이 경우 제2 케이스(22)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셔터(73)는,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블록(43)의 이동방향 즉 가동 접점(42)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셔터(73)는,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으로부터 항상 탄성력을 받고있다. 그리고, 이동 블록(43)이 이동하지 않은 비작동시에 있어서 셔터(7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판(41)에 걸려서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블록(43)이 이동한 동작시에는 셔터(73)에 대한 바이패스 판(41)에 의한 걸림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셔터(73)는,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의 작용에 의해 이동하고, 가동 접점(42)이 고정 접점(33)으로부터 이격된 경우에 고정 접점(33)과 가동 접점(42) 사이에 삽입된다. 이 경우, 2개의 셔터(73)는 각각 별도의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으로부터 부세력(付勢力)을 받고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셔터(73)의 진행 방향에서의 선단부(731)는, 선단측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케이스(20) 중 제1 케이스(2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받이부(213)를 가지고 있다. 셔터 받이부(213)는 제1 케이스(21)의 내벽부 중, 셔터(73)의 이동단(移動端)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셔터 받이부(213)는, 셔터(73)의 선단부(731)의 형상을 따른 테이퍼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셔터(73)의 선단부(731)는, 그 이동단에 있어서 셔터 받이부(213)에 꼭 끼인다. 이에 따라, 셔터(73)가 고속으로 이동했을 경우에도 셔터(73)가 튀어 올라 일시적으로 고정 접점(33)과 가동 접점(42) 사이에서 빠져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셔터(73)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용 아암(723)을 받는 오목부(732)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732)는, 셔터(73)의 진행 방향에서의 후단측을 잘라내서(노치) 형성되어 있다. 작용 아암(723)은 오목부(732)에 끼워져 있다. 오목부(732)의 바닥 부분은, 항상 작용 아암(723)과 접촉되어 있고, 작용 아암(723)에서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에 의한 탄성력을 받고 있다. 이 경우, 오목부(732)의 바닥 부분 즉 오목부(732) 중 작용 아암(723)과 접촉하는 부분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용 아암(723)의 이동에 따라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732) 중 작용 아암(723)과 접촉하는 부분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용 아암(723)을 따라서 경사져 있어도 좋다. 이 오목부(732)가 만곡 또는 경사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셔터(73)의 이동시에 작용 아암(723)과 오목부(732)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케이스(20) 중 제2 케이스(22)는, 셔터 수용부(221) 및 장착부재 수용부 (222)를 가지고 있다. 셔터 수용부(221)는, 도 4 및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케이스(22)를 관통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셔터(73)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즉, 셔터(73)는, 셔터 수용부(221)에 수용된 상태로 셔터 수용부 (221)의 주위의 벽부에 안내되어서 이동한다. 셔터 수용부(221)는 제2 케이스(22)의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셔터(73)는 제2 케이스(22)의 외부에서 셔터 수용부(221) 내로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장착부재 수용부(22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케이스(22)를 외측에서 패이게 한 것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장착부재(71)는 지지축(711)에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이 장착된 상태로 셔터 삽입용 스프링 (72)과 함께 제2 케이스(22)의 외부에서 장착부재 수용부(222)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고정링(80)은, 2개로 분할된 케이스(21,22), 및 장착부재(71)를, 결합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다. 고정링(80)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이나 황동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원환상, 이 경우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케이스(21), 제2 케이스(22), 및 장착 부재(71)는, 상호 결합된 상태로 고정링(80)의 내측에 삽입된다. 그리고, 고정링(80)을 코킹함으로써, 제1 케이스(21), 제2 케이스(22), 및 장착부재(71)는, 상호 고정된다.
이 경우, 케이스(20) 및 장착부재(71)의 적어도 한쪽은, 코킹 받이부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0) 중 제1 케이스(21)는, 코킹 받이부(214)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장착부재(71)는, 코킹 받이부(712)를 가지고 있다. 코킹 받이부(214,712)는, 고정링(80)을 코킹했을때의 변형을 받는 부분이다. 코킹 받이부(214,712)는, 케이스(20)의 주위에 있어서 대각(對角)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고정링(80)은 케이스(20)의 주위에서 대각의 위치가 되는 2점에서 코킹되어 있다.
이 경우, 코킹 받이부(712)는, 장착부재(71)를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서 원형으로 패이게 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킹 받이부(214)는 제1 케이스(21)를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서 원형으로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코킹 받이부(214)는, 래치(51)의 걸림부(512)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코킹 받이부(214)는, 케이스(20)를 관통하여 케이스(20)의 외부에서 케이스(20) 내에서의 걸림부(512)와 이동 블록(43)의 걸림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창문부(窓部)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창문부(214)는 고정링(80)에 의해 막힌다.
[조립 방법]
이어서, 직류 차단기(10)의 조립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작업자는, 직류 차단기(10)를 조립할 때에, 먼저 고정 전극기구(30), 가동 전극기구(40), 및 래치기구(50)를 제1 케이스(21)에 장착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고정 전극기구(30), 가동 전극기구(40), 및 래치기구(50)가 설치된 제1 케이스(21)와 제2 케이스(22)를 결합한다. 그 후, 작업자는 제1 케이스(21)와 제2 케이스(22)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트리거 기구(60)를 케이스(20)에 장착하면서 동시에, 셔터 삽입기구(70)를 케이스(20)의 외부에서 제2 케이스(22)의 셔터 수용부(221) 및 장착부재 수용부(222) 내에 삽입한다.
그 후, 작업자는 코킹 받이부를 겸용하는 창문부(214)에서, 래치(51)의 걸림 부(512)와 이동 블록(43)의 피걸림부(435)의 걸림 상태를 눈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래치(51)의 걸림부(512)와 이동 블록(43)의 피걸림부(435)의 걸림 상태에 문제가 없으면, 케이스(20)에 고정링(80)를 끼워넣고, 고정링(80)을 코킹해서, 제1 케이스(21)와 제2 케이스(22)와 장착부재(71)를 상호 고정한다. 이에 따라, 직류 차단기(10)가 완성된다.
[동작]
이어서, 직류 차단기(1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직류 차단기(10)는, 대상 기기의 설치면(90)이 이상 과열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대상 기기의 설치면 (90)이 소정 온도 미만인 상태에서는,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동작 상태이고, 가동 접점(42)은 고정 접점(33)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2개의 고정 접점(33) 사이는, 가동 접점(42) 및 바이패스 판(41)에 의해 도통 상태 즉 닫힘 상태가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바이패스 판(41)은, 가압 스프링(44)의 탄성력을 받아 고정 접점(33) 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경우, 바이패스 판(41)이 삽입되는 홈부(431)는, 바이패스 판(41)이 홈부(431)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 판(41)의 고정 접점(33) 측으로의 이동이, 이동 블록(43)의 홈부(431)에 의해 저해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바이패스 판(41)에 설치된 가동 접점(42)과 고정 접점(33)을 보다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대상 기기의 설치면(90)이 이상 과열되어서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직류 차단기(10)는,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작 상태가 되어 회로를 차단한다. 이 경우, 대상 기기의 설치면(90)이 이상 과열되어서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트리거 기구(60)의 열응동부재(61)가 변형하고, 그 열응동부재(61)의 변형에 의해 래치(51)의 수동부(511)가 눌린다. 그러면, 래치(51)는 래치축(52)을 축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이동 블록(43)의 피걸림부(435)에 대한 걸림부(512)의 걸림이 해제되어서, 이동 블록(43)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그러면, 이동 블록(43)은 분리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접점(33)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바이패스 판(41)에 설치된 가동 접점(42)은, 이동 블록(43)과 함께 고정 접점(3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동 접점(42)이 고정 접점(33)에서 떼어 놓아진다. 그 결과, 2개의 고정 접점(33) 사이의 도통(導通)이 개방되어서 열림상태가 된다. 이때, 고전압 직류 전류가 흐르고 있는 회로를 열어서, 고정 접점(33)과 가동 접점(42) 사이에 아크가 발생할 수 있다.
그 후, 이동 블록(43)과 함께 바이패스 판(41)이 이동하면, 바이패스 판(41)에 의한 셔터(73)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어서 셔터(73)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그러면, 셔터(73)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의 탄성력의 작용에 의해 고정 접점(33)과 가동 접점(42) 사이에 삽입된다. 이렇게 해서 고정 접점(33)과 가동 접점(42)과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동시에 고정 접점(33)과 가동 접점(42)에 절연성을 갖는 셔터(73)가 삽입됨으로써 회로가 차단된다. 그리고, 이때, 고정 접점(33)과 가동 접점(42)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셔터(73)의 선단부(731)와 케이스(20)의 내면으로 사이에 끼워져 중단됨으로써 확실하게 소호(消弧)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직류 차단기(10)는, 케이스(20)와, 2개의 고정 접점(33)과, 2개의 가동 접점(42)과, 바이패스판(41)과, 이동 블록(43)과, 분리 스프링(45)과, 열응동부재(61)와, 래치(51)와, 셔터(73)와,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을, 구비한다.
케이스(20)는, 전기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접점(33)은, 케이스(20) 내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 접점(42)은, 2개의 고정 접점(33)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바이패스 판(41)은, 2개의 가동 접점(42)이 고정되어 있으며, 2개의 가동 접점(42)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동 블록(43)은, 바이패스 판(41)이 배치되는 홈부(431)를 가지고 있으며, 케이스(20) 내에 있어서 고정 접점(3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블록(43)은 고정 접점(3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그 이동에 따라서 바이패스 판(41)을 고정 접점(3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분리 스프링(45)은, 이동 블록(43)에 대해서 항상 고정 접점(33)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것으로, 이동 블록용 부세부재로서 기능한다. 열응동부재(61)는, 설치면(90)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설치면(90)이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되는 것에 따라서 변형된다. 래치(51)는 걸림부(512)를 가지고 있다. 걸림부(512)는, 열응동부재(61)의 변형전의 상태 즉 비동작시의 상태에 있어서, 이동 블록(43)을 걸리게 함으로써 이동 블록(43)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래치(51)는 열응동부재(61)가 변형함으로써 동작해서 걸림부(512)가 이동 블록(43)에서 벗어나 이동 블록(43)의 이동의 규제를 해제한다.
셔터(73)는 전기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동 접점(42)이 고정 접점(33)에서 이격한 경우에 고정 접점(33)과 가동 접점(42)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은 셔터(73)를 항상 고정 접점(33)과 가동 접점(42) 사이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며, 셔터용 부세부재로서 기능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대상 기기에 이상 과열이 발생한 경우에는, 가동 접점(42)이 고정 접점(33)에서 강제적로 떼어내지면서 동시에 가동 접점(42)과 고정 접점(33) 사이에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셔터(73)가 삽입된다. 따라서, 가동 접점 (42)과 고정 접점(33) 사이에 발생한 아크가 확실하게 소호되고, 그 결과 고정 접점(33) 사이의 전류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때, 가동 접점(42)이 고정된 바이패스 판(41)을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해, 예를 들면 샤프트 등의 부품을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샤프트 등의 부품은 통형상의 구멍을 통하게 하거나, 양단을 체결 부재 등으로 고정하는 등 조립에 많은 작업을 수반한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동 접점(42)이 고정된 바이패스 판(41)은, U자형으로 만곡한 만곡부(41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 판(41)은, 만곡부(41)를, 이동 블록(43)에 설치된 U자형의 홈부(431)에 삽입함으로써 이동 블록(43)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가동 접점(42)이 고정된 바이패스 판(41)을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해 샤프트 등의 부재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 수를 줄임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하고 동시에 조립에 필요한 작업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확실하게 전류를 차단할 수 있으며, 또 소형화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은, 코일 형태로 형성된 코일부(721)의 양단 부분에지지 아암(722)과 작용 아암(723)을 갖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 아암(722)은 코일부(721)에 대해 한쪽 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장착부재(71) 또는 케이스(20)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작용 아암(723)은, 코일부(721)에 대해 다른 쪽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셔터(73)에 대해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부분이다. 그리고,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은, 셔터(73)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축 P와 작용 아암(723)이 이루는 각도로서, 셔터(73)의 비동작시의 동작전 각도 θ1 및 동작시의 동작후 각도 θ2가, 모두 30°이하가 되도록 케이스(2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의 설치 공간을 더 작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직류 차단기(10)의 한층 더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셔터(73)는,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732)를 가지고있다. 오목부(732)는, 작용 아암(723)을 받는 부분으로, 작용 아암(723)과 접촉하는 부분이 작용 아암(723)을 따라서 경사 또는 만곡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셔터(73)의 후단부 즉 작용 아암(723)과의 접촉 부분이 직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서 작용 아암(723)과 셔터(73)의 접촉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의 탄성력을 효율적으로 셔터(73)에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셔터(73)를 더 확실하게 동작시키면서 동시에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을 소형화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직류 차단기(10)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직류 차단기(10)는,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이 장착되는 장착부재(71)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20)는 셔터 수용부(221)와, 장착부재 수용부(222)를 가지고 있다. 셔터 수용부(221)는, 케이스(20)의 외부에서 셔터(73)가 삽입되어서 셔터(73)를 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재 수용부(222)는, 케이스(20)의 외부에서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이 장착된 장착부재(71)가 삽입되고, 셔터 삽입용 스프링(72)과 함께 장착부재(71)를 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셔터 삽입용 스프링(72) 및 셔터(73)의 장착 작업을 케이스 (20)의 외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셔터 삽입용 스프링(72) 및 셔터(73)의 장착 작업이 쉬워지고, 그 결과 직류 차단기(10)의 생산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장착부재(71)는,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전기 절연성을 갖는 재료이며, 셔터 삽입용 스프링(72)의 코일부(721)를 지지하는 지지축(711)을 일체로 가지고 있다. 이에 따르면, 지지축(711)을 조립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져, 직류 차단기(10)의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있다. 또한, 케이스(20)의 재료는, 예를 들면 PPS(폴리페닐 렌 설파이드)수지, UP(불포화 폴리에스테르),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ABS 등의 전기 절연성 수지나, 세라믹과 같은 무기 절연 재료 등에서, 직류 차단기 (10)의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또한, 직류 차단기(10)는, 2개의 가압 스프링(44)을 구비하고 있다. 2개의 가압 스프링(44)은 각각 가동 접점(42)에 대응하고 바이패스 판(41)에 대해서 고정 접점(33)과는 반대측에 있고 바이패스 판(41)과 이동 블록(4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가압 스프링(44)은 바이패스 판(41)에 설치된 2개의 가동 접점(42)을 각각 2개의 고정 접점(33)에 누르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가동 접점용 부세부재로서 기능한다.
즉, 직류 차단기(10)는, 2개의 가동 접점(42)의 각각에 대응한 2개의 가압 스프링(44)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바이패스 판(41)에 설치된 가동 접점(42)과 고정 접점(33)을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상적인 사용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서는 용이하게 가동 접점(42)이 고정 접점(33)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직류 차단기(10)의 오작동 즉 통상적인 사용 환경에서의 진동 등 의해 열리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스프링(44)의 탄성력은, 분리 스프링(45)의 탄성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가압 스프링(44)은 이동 블록(43)의 이동의 초기 단계에서 분리 스프링(45)에 의한 회전력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킨다. 따라서, 이동 블록(43)의 이동의 초기 단계에서 이동 블록(43)의 회전이 억제된다. 그 결과, 이동 블록(43)이 이동 블록 수용부(211)의 내벽면에 걸려버리는 것이 억제되고, 이동 블록(43)의 이동이 원활한 것이 된다.
래치(51)의 걸림부(512)는, 이동 블록(43)을 걸어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 블록(43)의 이동 방향을 따르고 또 래치(51)의 회전 중심인 래치축(52)을 지나는 중심선 H에 대해서 동작시의 래치(51)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벗어나 있다. 이에 따르면, 이동 블록(43)에서 래치(51)에 작용하는 힘이 클수록, 래치(51)에는 도 10에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래치(51)의 동작 방향과는 역방향, 즉 걸림부(512)의 걸림이 벗어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환언하면, 걸림부(512)와 피걸림부(435)의 걸림이 강해지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걸림부(512)와 피걸림부(435)의 걸림을 더 확실하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이동 블록(43)에서 래치(51)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통상적인 사용 환경에서의 진동 등에 의해 래치(51)의 걸림이 잘못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복수, 이 경우 두 개로 분할된 제1 케이스(21) 및 제2 케이스 (22)를 결합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20)를 구성하는 제1 케이스(21) 및 제2 케이스(22)는, 원환상으로 형성된 고정링(8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링(80)을 코킹함으로써 상호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케이스(21) 및 제2 케이스(22)의 조립에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부재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면서 동시에 체결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도 불필요해진다. 또한, 고정링(80)을 코킹함으로써 제1 케이스(21) 및 제2 케이스(22)를 조립할 수 있어서 체결부재의 장착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그 결과, 조립 작업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는, 창문부(214)를 가지고 있다. 창문부(214)는 케이스 (20)를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20)의 외부에서 케이스(20) 내에 설치된 래치(51)의 걸림부(512)를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링(80)은 창문부(214)를 막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작업자는 고정링(80)을 장착해서 직류 차단기(10)를 완성시키기 직전까지, 창문부(214)에서 래치(51)와 이동 블록(43)의 걸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립 작업 중의 진동 등에 의해 래치(51)와 이동 블록(43)의 걸림이 해제된 경우에는, 작업자는 창문부(214)를 통해서 케이스(20) 내를 육안으로 보아서 그 걸림이 해제된 것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래치(51)가 이동 블록(43)에 걸려 있지 않은, 즉 조립 시점에서 가동 접점(42)과 고정 접점(33)이 열린채 조립되어 버리는 등의 불량을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불량품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링(80)은 창문부(214)를 막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창문부(214)를 통해서 케이스(20) 내의 래치(51)에 잘못 접촉해서 래치(51)의 걸림이 해소되어서, 의도하지 않고 직류 차단기(10)가 작동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는 열응동부재 장착부(201)를 가지고 있다. 열응동부재 장착부(201)는, 열응동부재(61)가 설치되는 부분이며, 설치면(90) 측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열응동부재 장착부(201)의 주위에 있어서, 케이스(20)와 설치면 사이에는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이 공간부(11)의 작용에 의해, 케이스(20)는 설치면(90)에서의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즉, 설치면(90)에서의 열이, 열응동부재(61) 이외의 부분에 전달되기 어려워져서, 열응동부재(61)는 예를 들면 케이스(20)에 축적되는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설치면(90)의 열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즉, 설치면(90)에서 케이스(20)로의 열 전달을 지연하게 함으로써 급격한 온도 상승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 설치면(90)의 열을 열응동부재(61)에 효율적으로 전함으로써 열의 변화를 더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류 차단기(10)는 설치면(90)의 온도가 규정 값 이상의 온도로 오른 경우에는 신속하게 차단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동 접점용 부세부재(44), 이동 블록 부세부재(45), 및 셔터용 부세부재(72)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케이스(20), 장착부재(71), 및 셔터 (73)는 전기 절연성의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일한 재료로 구성 할 필요는 없고, 이종 재료를 조합해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케이스(20), 장착부재(71), 및 셔터(73)를 구성하는 전기 절연성의 재료는, 예를 들면 PBT,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수지, UP(불포화 폴리에스테르), ABS 등의 전기 절연성 수지나, 세라믹 같은 무기 절연 재료 등에서, 직류 차단기(10)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이상 설명한 일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대체, 변경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 및 요지에 포함되면서 동시에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전기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된 2개의 고정 접점과,
    2개의 상기 고정 접점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된 2개의 가동 접점과,
    2개의 상기 가동 접점이 고정되고, 2개의 상기 가동 접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바이패스 판과,
    상기 바이패스 판이 배치되는 홈부(溝部)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 내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그 이동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판을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을 항상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이동 블록용 부세부재(付勢部材)와,
    설치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면이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는 것에 따라서 변형하는 열응동(熱應動)부재와,
    상기 열응동부재의 변형전의 상태로 상기 이동 블록을 걸려 고정(係止)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부(係止部)를 가지며, 상기 열응동부재가 변형함에 따라 동작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이동 블록에서 벗어나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의 규제를 해제하는 래치와,
    전기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서 이격된 경우에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삽입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항상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셔터용 부세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홈부는, 상기 이동 블록을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파는 듯이 해서 내부를 남긴 U자형으로 파낸 형상이며,
    상기 바이패스 판은, 2개의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설치되어 U자 형상으로 만곡해서 상기 홈부에 배치되는 만곡부를 가지고 있는, 직류 차단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용 부세부재는,
    코일형상으로 형성된 코일부와, 상기 셔터에 대해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작용 아암을, 갖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셔터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축과 상기 작용 아암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셔터의 비동작시 및 동작시에 있어서 30°이하가 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는, 직류 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작용 아암과 접촉하는 부분에 상기 작용 아암을 따라서 경사 또는 만곡한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직류 차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용 부세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셔터가 삽입되어서 상기 셔터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 가능한 셔터 수용부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셔터용 부세부재가 장착된 상기 장착부재가 삽입되어서 상기 셔터용 부세부재와 함께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 가능한 장착부재 수용부를 가지고 있는, 직류 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용 부세부재는, 코일형상으로 형성된 코일부와, 상기 셔터에 대해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작용 아암을, 갖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부재는, 수지제이며 상기 셔터용 부세부재의 상기 코일부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일체로 가지고 있는, 직류 차단기.
  7.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가동 접점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판에 대해서 상기 고정 접점과는 반대측에 있고 상기 바이패스 판과 상기 이동 블록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바이패스 판에 설치된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으로 누르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2개의 가동 접점용 부세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가동 접점용 부세부재의 부세력(付勢力)은, 상기 이동 블록용 부세부재의 부세력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직류 차단기.
  8. 전기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된 2개의 고정 접점과,
    2개의 상기 고정 접점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된 2개의 가동 접점과,
    2개의 상기 가동 접점이 고정되고, 2개의 상기 가동 접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바이패스 판과,
    상기 바이패스 판이 배치되는 홈부(溝部)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 내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그 이동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판을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을 항상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이동 블록용 부세부재(付勢部材)와,
    설치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면이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는 것에 따라서 변형하는 열응동(熱應動)부재와,
    상기 열응동부재의 변형전의 상태로 상기 이동 블록을 걸려 고정(係止)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부(係止部)를 가지며, 상기 열응동부재가 변형함에 따라 동작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이동 블록에서 벗어나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의 규제를 해제하는 래치와,
    전기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서 이격된 경우에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삽입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항상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셔터용 부세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이동 블록을 걸어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 방향을 따르고 또 상기 래치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에 대해서, 상기 열응동부재가 변형함에 따라 동작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이동 블록에서 벗어나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의 규제를 해제하는 래치의 동작시의 상기 래치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벗어나 있는, 직류 차단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복수로 분할된 부품을 결합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각 부품은, 원환(圓環)상으로 형성된 고정링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링을 코킹함으로써 상호 고정되어 있는, 직류 차단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걸림부로 관통한 창문부를 가지고 있는, 직류 차단기.
  11. 전기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된 2개의 고정 접점과,
    2개의 상기 고정 접점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된 2개의 가동 접점과,
    2개의 상기 가동 접점이 고정되고, 2개의 상기 가동 접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바이패스 판과,
    상기 바이패스 판이 배치되는 홈부(溝部)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 내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그 이동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판을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을 항상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이동 블록용 부세부재(付勢部材)와,
    설치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면이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는 것에 따라서 변형하는 열응동(熱應動)부재와,
    상기 열응동부재의 변형전의 상태로 상기 이동 블록을 걸려 고정(係止)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부(係止部)를 가지며, 상기 열응동부재가 변형함에 따라 동작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이동 블록에서 벗어나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의 규제를 해제하는 래치와,
    전기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서 이격된 경우에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삽입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항상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셔터용 부세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복수로 분할된 부품을 결합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각 부품은, 원환상으로 형성된 고정링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링을 코킹함으로써 상호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걸림부로 관통한 창문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링은, 상기 창문부를 막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직류 차단기.
  12. 전기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된 2개의 고정 접점과,
    2개의 상기 고정 접점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된 2개의 가동 접점과,
    2개의 상기 가동 접점이 고정되고, 2개의 상기 가동 접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바이패스 판과,
    상기 바이패스 판이 배치되는 홈부(溝部)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 내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그 이동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판을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을 항상 상기 고정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이동 블록용 부세부재(付勢部材)와,
    설치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면이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는 것에 따라서 변형하는 열응동(熱應動)부재와,
    상기 열응동부재의 변형전의 상태로 상기 이동 블록을 걸려 고정(係止)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부(係止部)를 가지며, 상기 열응동부재가 변형함에 따라 동작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이동 블록에서 벗어나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의 규제를 해제하는 래치와,
    전기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서 이격된 경우에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삽입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항상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셔터용 부세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설치면 측으로 돌출한 상기 열응동부재가 설치되는 열응동부재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열응동부재 장착부의 주위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설치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설치면에 접촉하는 것이 방해되는, 직류 차단기.
KR1020207026770A 2018-09-20 2018-09-20 직류 차단기 KR102481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34858 WO2020059086A1 (ja) 2018-09-20 2018-09-20 直流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885A KR20200118885A (ko) 2020-10-16
KR102481409B1 true KR102481409B1 (ko) 2022-12-27

Family

ID=6988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770A KR102481409B1 (ko) 2018-09-20 2018-09-20 직류 차단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95424B2 (ko)
EP (1) EP3855469A4 (ko)
JP (1) JP6986300B2 (ko)
KR (1) KR102481409B1 (ko)
CN (1) CN111886666B (ko)
BR (1) BR112020023521A2 (ko)
WO (1) WO2020059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7447A (zh) * 2020-11-19 2021-03-05 佛山市高明欧一电子制造有限公司 一种便于检修的人工干预复位的限温式温控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9120A (ja) * 2000-01-06 2001-07-10 Fuji Koki Corp 圧力スイッチ
JP2005019160A (ja) * 2003-06-25 2005-01-20 Sumitomo Electric Ind Ltd 直流リレー
JP2016143559A (ja) * 2015-02-02 2016-08-08 株式会社生方製作所 高電圧直流電源遮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23646A5 (ko) * 1971-01-26 1972-09-15 Vidalenq Maurice
DE2759251B2 (de) * 1977-12-31 1981-04-23 Behr-Thomson Dehnstoffregler Gmbh, 7014 Kornwestheim Zweistufen-Temperaturschalter
US4843364A (en) * 1987-09-04 1989-06-27 Therm-O-Disc, Incorporated Thermostatic electric switch
JPH08171846A (ja) 1994-12-19 1996-07-0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FR2735614B1 (fr) * 1995-06-19 1997-07-18 Schneider Electric Sa Dispositif de reglage du declencheur thermique d'un disjoncteur
JP4171578B2 (ja) 2000-11-13 2008-10-22 ワコー電子株式会社 サーモスタット
US7298239B2 (en) * 2002-05-07 2007-11-20 Ubukata Industries Co., Ltd. Thermal protector
JP4050098B2 (ja) * 2002-06-11 2008-02-20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直流電流遮断スイッチ
TW200409160A (en) * 2002-11-27 2004-06-01 Fuji Electric Co Ltd Electromagnetic contactor
JP2004288604A (ja) 2003-02-21 2004-10-14 Sumitomo Electric Ind Ltd 直流リレー
US6891464B2 (en) * 2003-06-30 2005-05-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hermal switch striker pin
JP4339750B2 (ja) * 2004-06-10 2009-10-07 ワコー電子株式会社 手動復帰型サーモスタット
JP4628203B2 (ja) * 2005-07-05 2011-02-09 游聰謀 電気回路制御保護器
CN101677044B (zh) * 2008-09-19 2011-12-28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高可靠长寿命的高压直流真空继电器
JP5758169B2 (ja) 2011-03-31 2015-08-05 Nkkスイッチズ株式会社 消弧装置付き直流電流遮断用小形スイッチ
US20130057381A1 (en) * 2011-09-06 2013-03-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hermostat and method
MX349456B (es) * 2013-03-29 2017-07-31 Ubukata Ind Co Ltd Interruptor de respuesta térmica y método para manufacturar el mismo.
US10361051B2 (en) * 2014-11-06 2019-07-2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ingle pole, single current path switching system and method
JP6503542B2 (ja) 2015-03-18 2019-04-24 株式会社生方製作所 直流用感熱遮断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9120A (ja) * 2000-01-06 2001-07-10 Fuji Koki Corp 圧力スイッチ
JP2005019160A (ja) * 2003-06-25 2005-01-20 Sumitomo Electric Ind Ltd 直流リレー
JP2016143559A (ja) * 2015-02-02 2016-08-08 株式会社生方製作所 高電圧直流電源遮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41987A1 (en) 2021-08-05
WO2020059086A1 (ja) 2020-03-26
JPWO2020059086A1 (ja) 2021-02-15
EP3855469A1 (en) 2021-07-28
EP3855469A4 (en) 2022-04-06
BR112020023521A2 (pt) 2021-06-01
CN111886666A (zh) 2020-11-03
JP6986300B2 (ja) 2021-12-22
US11495424B2 (en) 2022-11-08
KR20200118885A (ko) 2020-10-16
CN111886666B (zh)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6925B2 (ja) 電気装置
US7234981B2 (en) Spring force terminal
CN107482369B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US6211759B1 (en) Ionized gas deflector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1857239B1 (ko) 차단기
KR101094038B1 (ko) 누전차단기
KR102481409B1 (ko) 직류 차단기
JP2006236995A (ja) 電気貫通接続ブロック
JP5050253B2 (ja) 過電流遮断機
US4894637A (en)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device
JP2019041461A (ja) 電気接続箱
JP2008169755A (ja) 圧縮機
EP3651177B1 (en) Switch device and opening/closing detection device
US7829809B2 (en) Switching device with snap-fit housing
JP4908118B2 (ja) 回路遮断器
JPWO2020136862A1 (ja) 2次電池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JP7070942B2 (ja) 端子過熱検出装置
JP2018181819A (ja) サービスプラグ機能付き高電圧ヒューズ
KR20050093653A (ko) 내부 로킹기구가 보호되는 커넥터
US6385026B1 (en) Circuit breaker
JP2005044643A (ja) コネクタ構成部品のがたつき防止構造
JPH0773922A (ja) 電源用クリップ
KR20190047693A (ko) 단락 점퍼 요소가 통합된 다중 접촉 플러그
JP2016177891A (ja) 直流用感熱遮断器
JPH0717344A (ja) 衝突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