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181B1 - 안경형의 프레임 - Google Patents

안경형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181B1
KR102480181B1 KR1020207031285A KR20207031285A KR102480181B1 KR 102480181 B1 KR102480181 B1 KR 102480181B1 KR 1020207031285 A KR1020207031285 A KR 1020207031285A KR 20207031285 A KR20207031285 A KR 20207031285A KR 102480181 B1 KR102480181 B1 KR 102480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ding
slide
connecting ro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0467A (ko
Inventor
노리오 세키
Original Assignee
노리오 세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리오 세키 filed Critical 노리오 세키
Publication of KR20200130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 G02C5/124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for verticall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4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adjustabl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8Adjustment ridges or notch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형의 프레임(100)은, 한 쌍의 안경다리(1)와, 한 쌍의 안경다리의 선단을 연결하는 연결 로드(2)와, 연결 로드(2)의 중앙에 매달린 축(3)과, 축(3)에 고착된 코 접촉 부재(4)와, 상하로 배치한 광학 부재(A, B)를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 프레임(5)과, 한 쌍의 유지 프레임(5)을 연결하는 브리지(6)와, 유지 프레임(5)을 연결 로드(2)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드 수단(7)을 구비하고, 유지 프레임(5)의 하방의 광학 부재(B)의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브리지(6)를 설치하며, 유지 프레임(5)의 슬라이드 거리를 적어도, 상방의 광학 부재(A)의 중심과 하방의 광학 부재(B)의 중심과의 간격 상당의 거리로 제한한다.

Description

안경형의 프레임
본 발명은 안경형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안경형의 프레임으로서, 근시용 안경, 원시용 안경, 선글라스 등에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안경형의 프레임으로서, 안경형 웨어러블 단말(스마트 글라스라고도 함)에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안경형의 프레임의 경우, 예컨대, 안경으로부터 안경형 웨어러블 단말로 바꿔 쓰거나, 근시용 안경으로부터 원시용 안경으로 바꿔 쓰거나 하는 경우, 안경을 일단 벗어 바꿔 쓰지 않으면 안 되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예컨대, 원근 양용 안경의 경우에는, 1장의 렌즈(광학 부재)의 상부를 원시용으로, 그 하부를 근시용으로 만들고, 안경의 장착자가 안구의 방향이나 보는 각도를 변경하여, 먼 사물을 볼 때에는 치떠서, 가까운 사물을 볼 때에는 내리떠서 본다. 이 경우,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선이 수평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해 사물을 보기 때문에, 사물을 보는 데 정시(正視)하는(렌즈의 중심과 장착자의 눈의 높이가 합치한 시선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러운 데 대해, 특히 가까운 사물을 볼 때의 시선은, 부자연스러운 보는 방법, 부자연스러운 사용 방법으로 무리가 생기기 쉬워, 눈의 피로를 유발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하방의 근시용 영역을 장착자의 눈의 위치에 근접시켜, 시선을 정시 상태에 가깝게 하도록, 코 접촉부만을 상하 이동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선을 수평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해 사물을 보면, 도 22a일 때보다 하방으로 향하는 위치가 적게 되지만, 역시 눈의 피로가 생기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안경 자체를 반전시키는 제안의 것으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199126호가 있다. 이것은, 반전되어 안경이 씌워지도록 안경다리를 반전시켜 귀 접촉부를 상하 이동시키고, 코 접촉부를 상하 이동시켜, 원중시부(遠中視部) 또는 근시부의 중앙 부근에 눈이 위치하도록 하는 구조의 것이다.
그러나, 안경 자체를 반전시키는 것에서는, 안경다리의 부착부가 안경테의 외측 중앙 높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경 자체를 반전시켜도, 시선이 상하의 렌즈의 경계에 와서 보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안경을 반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후, 코 접촉부를 상하 이동시켜 상하 높이 조절할 필요가 있으나, 이때의 시선으로서는,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어, 장착자의 눈의 높이에 어긋남이 발생하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없앨 수는 없다.
상기 이외에 안경 자체를 반전시켜 쓸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화 제56-52721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14-85363,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031992호,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159733호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어 있으나, 어느 것도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하나의 안경형의 프레임으로, 다른 종류의 렌즈나 디스플레이 등의 복수의 광학 부재를 구별해서 사용하는 발상이 없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19912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화 제56-5272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14-85363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031992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159733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종류의 렌즈나 디스플레이 등의 복수의 광학 부재를 구별해서 사용할 수 있고, 안정 피로가 경감되는 안경형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은, 한 쌍의 안경다리와,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의 선단을 연결하는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 로드의 중앙에 매달린 축과, 상기 축에 고착된 코 접촉 부재와, 상하로 배치한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유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리지와, 상기 유지 프레임을 상기 연결 로드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프레임의 하방의 광학 부재의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브리지가 설치되며, 상기 유지 프레임의 슬라이드 거리를 적어도, 상방의 광학 부재의 중심과 하방의 광학 부재의 중심과의 간격 상당의 거리로 제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광학 부재를 간단히 구별해서 사용 가능해지고, 광학 부재의 중심과 장착자의 눈의 높이를 합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정시하는 자연 상태가 되어, 안정 피로가 경감되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렌즈 또는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의 양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된 수직부로 되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안경다리의 높이보다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직부와 상기 유지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유지 프레임의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유지 프레임의 흔들림을 적게 하고, 유지 프레임을 원활하게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축이 다각형 형상의 기둥이고,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상기 축에 삽입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베어링과,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을 상기 축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축의 단부에 설치하는 빠짐 방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에 부착한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을 상기 축에 압박하기 위한 스프링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상기 축에 협지(挾持) 가능하게 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협지 본체와, 상기 협지 본체의 단부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축이 한 쌍의 축이고, 또한, 각 축의 하단에 빠짐 방지부를 설치하며,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상기 축에 삽입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와, 슬라이드부를 상기 축에 유지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을 개방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축이 다각형 형상의 기둥이고,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상기 축에 삽입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베어링과, 상기 축의 상하 단부에 고착되는 자석과,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의 상하 단부에 부착한 철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축이 다각형 형상의 기둥이고,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상기 축에 삽입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베어링과,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의 표면에 2개 형성한 걸림 고정홈과, 상기 걸림 고정홈에 걸어 고정하고 상기 축의 상하 단부에 설치하는 걸림 고정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이고, 또한,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은, 한 쌍의 안경다리와,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의 선단을 연결하는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 로드의 중앙에 매달린 축과, 상기 축에 고착된 코 접촉 부재와, 상하로 배치한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유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리지와, 상기 브리지의 중앙에 고착되고, 상기 축에 착탈 가능한 협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프레임이 상기 연결 로드의 전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지 프레임의 상하를 반전시켜 복수의 광학 부재를 간단히 구별해서 사용 가능해진다. 특히 안경다리나 코 접촉 부재를 움직이지 않고, 유지 프레임만을 상하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복수의 광학 부재의 구별 사용을 행할 수 있고, 상하 반전시켜도 장착자의 눈의 높이가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안정 피로가 경감되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축이 다각형 형상의 기둥이고, 상기 협지 부재는, 상기 축에 협지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협지 본체와, 상기 협지 본체의 단부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축이 U자형의 축이고, 상기 협지 부재는, 상기 축에 삽입하여 배치하는 한 쌍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선단을 고착한 대략 삼각형 형상의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을 개방하여 상기 한 쌍의 삽입부의 간격을 넓히기 위한 조작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은, 한 쌍의 안경다리와,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의 선단에 연결하는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 로드의 중앙에 세워져 설치된 축과, 상기 축에 고착된 코 접촉 부재와, 상하로 배치한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유지 프레임을 상기 유지 프레임의 중앙 높이에서 연결하는 브리지와, 상기 브리지의 중앙에 고착되고, 상기 축이 삽입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중앙부는, 상기 안경다리의 높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단차부로 되며, 상기 축은, 상기 연결 로드의 상기 단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유지 프레임이 상기 연결 로드의 전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지 프레임의 상하를 반전시켜 복수의 광학 부재를 간단히 구별해서 사용 가능해진다. 특히 안경다리나 코 접촉 부재를 움직이지 않고, 유지 프레임만을 상하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복수의 광학 부재의 구별 사용을 행할 수 있고, 상하 반전시켜도 장착자의 눈의 높이가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안정 피로가 경감되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축은, 탄성을 가진 슬릿부를 선단에 형성한 다각형 형상의 기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이고, 또한, 렌즈의 상하 반전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렌즈 또는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경형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유지 프레임에 대향하는 상변부와, 상기 상변부의 양단을 하방으로 절곡한 수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경다리는, 상기 수직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부와 상기 유지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유지 프레임의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유지 프레임의 흔들림을 적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안경형의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경형의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슬라이드 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더블 클립 방식의 슬라이드 수단을 이용한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더블 클립 방식의 슬라이드 수단을 이용한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착자(着磁) 방식의 슬라이드 수단을 이용한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걸림 고정 방식의 슬라이드 수단을 이용한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b는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안경형의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안경형의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안경형의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협지 부재를 이용한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협지 부재를 대신하여 베어링을 이용한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a는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6b는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6c는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안경형의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안경형의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안경형의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절곡된 유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는 종래품의 시선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2b는 종래품의 시선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2c는 종래품의 시선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한편, 제2 실시형태 이후의 설명 시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의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 1,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안경형의 프레임(100)은, 한 쌍의 안경다리(1), 연결 로드(2), 축(3), 코 접촉 부재(4), 한 쌍의 유지 프레임(5), 브리지(6), 및 슬라이드 수단(7)을 구비하고 있다.
안경다리(1)는, 선단부가 절첩 가능하게 연결 로드(2)에 부착되어 있다. 안경다리(1)의 후단부에는, 귀 접촉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안경다리(1)의 선단부에는, 안경다리(1)를 절첩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힌지(12)가 설치되어 있다. 힌지(12)로서는, 일반적인 것을 이용하면 된다.
연결 로드(2)는, 안경다리(1)의 선단을 연결하고 있다. 연결 로드(2)는, 안경다리(1)의 굵기와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굵기로 한다. 연결 로드(2)는, 안경다리(1)의 높이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상변부(21)와, 상변부(21)의 양단부를 하방으로 절곡한 수직부(22)와, 연결 로드(2)의 중앙에서 상변부(21)에 대한 하향의 단차를 갖는 단차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상변부(21)는, 도 2에서의 2점 쇄선의 위치로부터, 광학 부재로서의 렌즈(A, B)의 합계 높이[상하 방향의 렌즈(A, B) 전체의 치수]의 1/4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직부(22)의 간격은, 유지 프레임(5)과 대략 동일한 폭 혹은 그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안경형의 프레임(100)을 장착했을 때에 연결 로드(2)가 시계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도 8a, 도 8b 참조). 또한 연결 로드(2)는, 도 2에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의 것을 이용하고, 시계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투명한 합성 수지 등으로 성형한 것으로 해도 좋다.
축(3)은, 연결 로드(2)의 중앙에 매달린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축이다. 축(3)은, 연결 로드(2)보다 약간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매단 사각기둥 등의 다각 기둥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3)의 표면에는, 후술하는 걸림편(721)의 선단이 걸려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걸림홈(31)이 2개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걸림홈(31)의 간격은, 렌즈(A)의 중심과 렌즈(B)의 중심과의 거리이다. 걸림홈(31)의 단면 형상은,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축(3)은 투명한 합성 수지제가 바람직하지만, 다른 색이나 재질이어도 좋다.
코 접촉 부재(4)는, 축(3)에 고착되어 있다. 코 접촉 부재(4)는, 패드(41)와 지지봉(42)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봉(42)의 상단부는, 축(3)에 고착되어 있다.
유지 프레임(5)은, 상하로 배치한 렌즈(A, B)를 유지한다. 유지 프레임(5)은, 렌즈(A, B)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무테안경과 같이, 렌즈(A, B)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지 않은 것이나 직선형의 것을 이용해도 좋다.
유지 프레임(5)에 의해 유지되는 렌즈(A, B)로서는, 오목 렌즈, 볼록 렌즈, 판유리(도수 없는 안경이나 편광판), 착색 유리(선글라스 등),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안경형 웨어러블 단말의 디스플레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등, 여러 종류의 광투과 부재가 이용된다.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는, 투과형(시스루형)의 안경형 웨어러블 단말의 표시부를 구성하는 광투과 부재이고, 도시하지 않은 투사부로부터 투사된 정보를 표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는, 예컨대, 프리즘, 미러, 하프 미러, 홀로그램 소자 등의 광학 소자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한편, 투사부는, 유지 프레임(5)에 유지되어도 좋고, 안경다리(1)나 연결 로드(2)에 유지되어도 좋다. 렌즈(A, B)의 형상으로서는, 도 1, 도 2에 도시된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원형, 타원형이나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렌즈(A, B)는 개별이 아니라, 1장의 렌즈로 일체화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브리지(6)는, 한 쌍의 유지 프레임(5)을 일체로 연결한다. 브리지(6)의 부착 위치는, 유지 프레임(5)의 하방의 렌즈의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축(3)을 연결 로드(2)보다 상방으로 연장시킨 경우, 브리지(6)의 부착 위치는, 유지 프레임(5)의 하방의 렌즈의 중심보다 상방으로 해도 좋다.
슬라이드 수단(7)은, 유지 프레임(5)을 축(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한다. 슬라이드 수단(7)은, 축(3)에 삽입하여 슬라이드하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드 베어링(71)과, 슬라이드 베어링(71)을 축(3)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유지 가능하게 하기 위한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유지 부재(72)와, 축(3)의 단부에 설치한 빠짐 방지구(73)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 베어링(71)은, 브리지(6)의 중앙에 고착되어 있다. 유지 부재(72)는, 축(3)의 걸림홈(31)에 선단이 걸리는 걸림편(721)과, 걸림편(721)이 걸림홈(31)에 항상 걸리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재(722)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편(721)의 선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호형으로 둥글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 수단(7)은, 유지 프레임(5)을 연결 로드(2)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시키고 있다. 슬라이드 베어링(71)의 슬라이드 거리는, 걸림홈(31)의 상하의 간격, 즉, 렌즈(A)의 중심과 렌즈(B)의 중심과의 간격 상당의 거리로 하고 있으나, 그 거리 이상으로 슬라이드하는 여유를 갖게 한 것으로 해도 좋다. 한편, 슬라이드 베어링(71)이나 유지 부재(72)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가 바람직하지만, 다른 색이나 재질이어도 좋다. 또한, 슬라이드 베어링(71)의 유지 부재(72)의 구성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슬라이드 수단(7)의 작용을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처음으로 도 3의 b의 위치에서 2점 쇄선의 상태에 있는 걸림편(721)을, 흰 화살표와 같이 손가락으로 누르면, 걸림편(721)은 실선과 같이 그 선단이 걸림홈(31)으로부터 빠진다. 그리고, 슬라이드 베어링(71)을 손가락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올려 분리하면, 걸림편(721)의 선단은 축(3)의 표면에 닿는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베어링(71)을 손가락으로 들어올려 가면, 걸림편(721)의 선단은 상방의 걸림홈(31)에 걸린다. 이때, 걸림편(721)의 선단이 걸림홈(31)에 걸리고 스프링재(722)의 탄성력이 걸림편(721)의 선단에 부여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베어링(71)은 도 3의 a의 위치에서 확실히 정지된다. 이 결과, 유지 프레임(5)이 상승되어, 장착자의 눈의 위치(안경다리 위치)에, 렌즈(A)의 중심으로부터 렌즈(B)의 중심이 오는 것이다.
다음으로 슬라이드 베어링(71)을 도 3의 a의 위치로부터 b의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는, 걸림편(721)을 손가락으로 눌러, 그 선단을 걸림홈(31)으로부터 빼낸 후, 슬라이드 베어링(71)을 강하시켜 하방의 걸림홈(31)에 걸림편(721)의 선단이 걸림으로써, b의 위치로 확실히 복귀되는 것이다.
도 4는 더블 클립 방식의 슬라이드 수단(7A)을 이용한 안경형의 프레임(100A)의 분해 사시도이다. 슬라이드 수단(7A)은, 브리지(6)의 중앙에 고착되고, 축(3)에 착탈 가능한 협지 부재이다. 슬라이드 수단(7A)은, 판형의 스프링재를 절곡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사다리꼴 형상의 상변이 개구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협지 본체(74)와, 협지 본체(74)를 개방하여 축(3A)에 협지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합성 수지제의 손잡이부(741)와, 축(3A)의 단부에 설치한 빠짐 방지구(73)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협지 본체(74)의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축(3A)에 협지하여 유지 프레임(5)을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면,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협지 본체(74)와 손잡이부(741)는, 문구 용품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더블 클립과 대략 동일 구조의 것이다. 또한 빠짐 방지구(73)는, 축(3A)과 일체로 성형한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협지 본체(74)나 손잡이부(741)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가 바람직하지만, 다른 색이나 재질이어도 좋다.
도 5는 더블 클립 방식의 슬라이드 수단(7B)을 이용한 안경형의 프레임(100B)의 분해 사시도이다. 슬라이드 수단(7B)은, 한 쌍의 축(3B)에 삽입하여 슬라이드하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드부(75)와, 슬라이드부(75)를 축(3B)에 유지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판스프링(751)과, 그 판스프링(751)을 개방하기 위한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조작 손잡이(752)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75)는 조작 손잡이(752)에 의해, 그 간격이 변화한다. 즉, 조작 손잡이(752)를 손에서 놓으면 상기 간격은 좁아지고, 한 쌍의 축(3B)의 간격보다 좁아지려고 하는 힘이 계속 작용하기 때문에, 유지 프레임(5)은 낙하하지 않고, 그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이 된다. 한편, 축(3B)의 하단에는, 빠짐 방지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75), 판스프링(751), 조작 손잡이(752)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가 바람직하지만, 다른 색이나 재질이어도 좋다.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드 수단(7A)이나,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드 수단(7B)의 경우, 손잡이부(741) 혹은 조작 손잡이(752)를 잡고, 협지 본체(74) 혹은 슬라이드부(75)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시킨 후, 손잡이부(741) 혹은 조작 손잡이(752)를 손에서 놓으면,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협지 본체(74) 혹은 슬라이드부(75)가 유지되는 것이 된다.
도 6은 착자 방식의 슬라이드 수단(7C)을 이용한 안경형의 프레임(100C)의 분해 사시도이다. 슬라이드 수단(7C)은, 축(3C)에 삽입하여 슬라이드하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드 베어링(71C)과, 축(3C)의 단부에 설치한 빠짐 방지구(73)와, 축(3C)의 상하 단부에 고착되는 자석(76)과, 슬라이드 베어링(71C)의 상하 단부에 부착한 철판(71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베어링(71C)의 표면에는 손잡이(712)가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드 베어링(71C)은 투명한 합성 수지제가 바람직하지만, 다른 색이나 재질이어도 좋다. 또한, 축(3C)의 상단에는, 빠짐 방지부(33)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은 걸림 고정 방식의 슬라이드 수단(7D)을 이용한 안경형의 프레임(100D)의 분해 사시도이다. 슬라이드 수단(7D)은, 축(3D)에 삽입하여 슬라이드하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드 베어링(71D)과, 슬라이드 베어링(71D)의 표면에 2개 형성한 걸림 고정홈(713)과, 그 걸림 고정홈(713)에 걸어 고정하고 축(3D)의 상하 단부에 설치하는 걸림 고정편(77)과, 축(3D)의 단부에 설치한 빠짐 방지구(73)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의 걸림 고정홈(713)에 걸림 고정편(77)이 걸려 고정되었을 때의 고저차는, 렌즈(A)의 중심과 렌즈(B)의 중심과의 거리에 상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슬라이드 베어링(71D)과 걸림 고정편(77)은 투명한 합성 수지제가 바람직하지만, 다른 색이나 재질이어도 좋다. 또한, 걸림 고정편(77)을 축(3D)의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축(3D)에 일체 성형한 것으로 해도 좋다.
도 6에 도시된 슬라이드 수단(7C)이나,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드 수단(7D)의 경우, 슬라이드 베어링(71C, 71D)의 손잡이(712)를 손가락으로 집어 상방 혹은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드 베어링(71C, 71D)은 착자 혹은 걸려 고정되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 8a 및 도 8b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처음으로 도 8a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상태로 안경을 쓰면, 장착자의 눈의 높이와 렌즈(A)의 중심이 합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물이나 표시 화상이 매우 보기 쉽고, 또한, 렌즈(A)의 상하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그 후, 렌즈(B)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손가락으로 걸림편(721)을 손가락으로 눌러, 걸림 상태를 해제한 후, 도 8b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슬라이드 베어링(71)을 상승시켜, 상방의 걸림홈(31)에 걸림편(721)의 선단을 걸리게 함으로써, 슬라이드 베어링(71)은 도 8b의 위치에서 정지되고 거기에서 낙하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렌즈(A) 시와 마찬가지로 렌즈(B)의 중심이 눈의 높이와 합치하므로, 사물이나 표시 화상을 볼 때에 정시할 수 있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격감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베어링(71)을 상하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유지 프레임(5)이 상하 이동되는 것이 된다. 이때, 걸림홈(31)을 형성하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협지 본체(74)나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드부(75)와 같이, 그 상하 단부면에 접촉시킬 뿐인 것으로 해 두면, 조작을 보다 간단히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게다가, 상하 이동은 렌즈측뿐이며, 코 접촉 부재(4), 귀 접촉부(11), 안경다리(1)의 위치 관계는 변화하지 않는 것이 되는 것이다.
또한, 예컨대, 렌즈(A)로서 오목 렌즈를 사용하고, 렌즈(B)로서 볼록 렌즈를 사용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1) 운전석의 카 내비게이션이나 오디오 기기 등을 조작한 후, 즉시 전방을 보아도, 초점이 맞지 않아 전방이 흐려지거나 혹은 거리감에 이상을 느끼는 것이 방지 가능해진다. 2) 컴퓨터 앞에서, 수중의 데이터나 문자를 확인한 후, 화면을 보면 작은 문자가 보기 어렵고, 또한, 눈부시게 느끼거나 하는 일이 없어져, 눈의 피로가 감소하고, 두통이나 어깨 결림 등이 감소하는 것이 된다. 3) 계단을 내려갈 때에 발밑이 흐려져, 걷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계단을 헛디디는 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된다. 4) TV를 보면서 신문이나 잡지를 보아도 초점 흐려짐이 감소한다. 5) 암석 지대에서 낚시를 하는 경우, 바늘에 미끼를 끼운 후에 즉시 암석 지대를 걸어도 바위에 걸려 넘어지는 일이 거의 없어진다.
또한, 렌즈(A)로서 선글라스를 사용하고, 렌즈(B)로서 볼록 렌즈를 사용할 때, 특히 운전석의 카 내비게이션이나 오디오 기기 등을 조작한 후, 즉시 선글라스로 바꿔 보면, 전방이 흐려지거나 혹은 거리감에 이상을 느끼는 것이 방지 가능해지고 눈부심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렌즈(A)로서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를 사용하고, 렌즈(B)로서 볼록 렌즈를 사용하면, 안경으로서 렌즈(B)를 사용하면서, 일일이 안경을 벗지 않아도 웨어러블 단말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안경을 바꿔 쓰지 않아도 간단히 2종류의 렌즈(A, B)를 각각 단독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되는 것이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안경형의 프레임(100E)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해, 안경다리(1)의 선단부에 단차부(13)를 형성하고, 연결 로드(2)의 수직부(22)를 길게 하며, 또한 유지 프레임(5)이 원활하게 상하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8)를 설치한 것이다.
안경다리(1)의 단차부(13)는, 힌지(12)보다 연결 로드(2)측에 설치되고, 힌지(12)측으로부터 연결 로드(2)측을 보았을 때에 하향의 단차를 구성한다. 단차부(13)의 선단에는, 연결 로드(2)의 수직부(22)가 접속되어 있다.
연결 로드(2)는, 수직부(22)가 유지 프레임(5)의 외측 프레임부(51)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수직부(22)의 길이가 유지 프레임(5)의 중앙 위치[렌즈(A)와 렌즈(B)의 경계]보다 길게 되어 있다. 연결 로드(2)에는, 안경다리(1)가 렌즈(A) 혹은 렌즈(B)의 중심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8)는, 암형의 구조를 갖고 있다. 가이드 부재(8)는, 연결 로드(2)의 수직부(22)와 유지 프레임(5)의 외측 프레임부(51) 사이에 설치되고, 유지 프레임(5)을 수직부(22)를 따라 안내한다. 가이드 부재(8)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로드(2)의 수직부(22)에 삽입하여 상하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링(81)과, 슬라이드 링(81)과 유지 프레임(5)의 외측 프레임부(51)를 접속하는 접속 로드(82)와, 슬라이드 링(81)이 수직부(22)의 상부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83)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 링(81)의 중심에는, 수직부(22)에 대응한 형상의 구멍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83)는, 수직부(22)의 외면을 압박 접촉하는 구체(球體; 831)와, 구체(831)에 압박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832)을 구비하고 있다(도 10 참조). 수직부(22)의 상부의 외면에는, 구체(831)의 선단이 결합하기 위한 구멍(221)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토퍼(83)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즉, 유지 프레임(5)은, 슬라이드 수단(7)의 유지 부재(72)로 강하하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링(81)의 강하는, 스토퍼(83)가 없어도 방지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또한, 스토퍼(83)가 있을 때에는, 슬라이드 수단(7)의 유지 부재(72)를 생략해도 좋다.
도 11은 수형의 가이드 부재(8A)의 사시도이다. 가이드 부재(8A)에서는, 미리 수직부(22)를 박스형으로 형성하고 정면에 슬릿(222)을 형성해 둔다. 가이드 부재(8A)는, 수직부(22)의 내부를 상하 이동 가능한 피스(84)와, 피스(84)와 유지 프레임(5)의 외측 프레임부(51)를 접속하는 접속 로드(85)와, 피스(84)가 수직부(22)의 상부에서 걸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83)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84)는, 직육면체 혹은 정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83)에는, 가이드 부재(8)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면 되지만, 다른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가이드 부재(8A)의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1)를 대략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해도 좋다. 이때의 안경다리(1)의 재질로서는, 합성 수지가 바람직하지만, 다른 재료여도 좋다. 가이드 부재(8)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안경다리(1)를 대략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가이드 부재(8, 8A)가 설치됨으로써, 유지 프레임(5)의 흔들림을 적게 하고, 유지 프레임(5)을 원활하게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 12, 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안경형의 프레임(100F)에 있어서, 축(3E)은, 연결 로드(2)보다 약간 전방으로 돌출시키고(도 13, 도 16a 참조), 또한 매단 사각기둥 등의 다각 기둥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축(3E)의 하단에는 플랜지형의 낙하 방지부(34)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지지봉(42)의 상단부는, 축(3E)에 고착하지 않고, 연결 로드(2)에 고착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협지 부재(9)는, 축(3E)에 유지 프레임(5)을 착탈 가능하게 한다. 협지 부재(9)는, 축(3E)에 협지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협지 본체(91)와, 협지 본체(91)의 단부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부(92)를 구비하고 있다. 협지 본체(91)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판형의 스프링재로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정상부가 개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92)의 단부는, 협지 본체(91)의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92)는, 협지 본체(91)를 개구하여, 그것을 축(3E)에 협지하기 위해서 구비된 것이고, 또한, 투명한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협지 본체(91)와 손잡이부(92)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계의 방해가 되지 않는 다른 색이나 재질이면 된다. 또한, 협지 본체(91)와 손잡이부(92)는, 문구 용품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더블 클립과 대략 동일 구조의 것이다.
브리지(6A)의 부착 위치는, 유지 프레임(5)의 중앙 높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브리지(6A)의 중앙에는, 협지 부재(9)의 협지 본체(91)가 고착되어 있다.
도 14는 다른 양태의 협지 부재(9A)를 이용한 안경형의 프레임(100G)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경우, 축(3F)이 선재로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협지 부재(9A)는, 축(3F)에 삽입하여 배치하는 한 쌍이며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삽입부(93)와, 삽입부(93)에 선단을 고착한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대략 삼각형 형상의 판스프링(94)과, 그 판스프링(94)을 개방하여 삽입부(93)의 간격을 넓히기 위한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조작 손잡이(95)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삽입부(93), 판스프링(94), 조작 손잡이(95)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가 바람직하지만, 시계의 방해가 되지 않는 다른 색이나 재질이어도 좋다.
도 15는 협지 부재(9, 9A) 대신에 베어링(9B)을 이용한 안경형의 프레임(100H)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경우, 연결 로드(2)의 단차부(23A)는, 안경다리(1)의 높이보다 하방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축(3E)이 매달리는 대신에,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축(3G)이 단차부(23A)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협지 부재(9, 9A) 대신에, 축(3G)에 삽입하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베어링(9B)이, 브리지(6A)의 중앙에 고착되고 한 쌍의 유지 프레임(5)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지 프레임(5)을 상하 반전시키는 경우에는, 축(3G)으로부터 베어링(9B)을 벗기고, 유지 프레임(5)을 상하 반전시킨 후, 베어링(9B)을 축(3G)에 삽입하면 된다. 또한, 축(3G)의 선단에는, 탄성을 가진 슬릿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부(35)는 베어링(9B)을 축(3G)에 삽입한 후,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축(3G)의 형상은 사각기둥 등의 다각 기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전하지 않는 형상이면 되고, 예컨대 타원 기둥으로 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 16a 내지 도 16c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처음으로 도 16a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유지 프레임(5)의 상방에 렌즈(A)를, 하방에 렌즈(B)를 유지하고 있고, 유지 프레임(5) 사이에는, 협지 부재(9)가 브리지(6A)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도 13 참조). 먼저 손잡이부(92)를 손가락으로 눌러, 협지 본체(91)를 넓게 개구시킨 후,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축(3E)에 협지 본체(91)를 협지한다. 이때, 협지 본체(91)의 상하단이 낙하 방지부(34)나 축(3E)의 상부에 올라앉아 있지 않은지 확인하고 협지 본체(91)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협지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손가락을 떼면, 유지 프레임(5)은 축(3E)에 세트된다. 이때, 협지 본체(91)는 축(3E)에 협지하는 힘이 계속 작용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안경을 쓰면, 도 16b의 상태가 된다. 이때, 장착자의 눈의 높이와 렌즈(A)의 중심이 합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물이나 표시 정보가 매우 보기 쉽고, 또한, 렌즈(A)의 상하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다음으로 렌즈(B)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손가락으로 손잡이부(92)를 손가락으로 눌러, 협지 본체(91)를 넓게 개구시켜 축(3E)으로부터 벗긴다. 그리고 유지 프레임(5)을 상하로 반전시킨 후, 축(3E)에 협지 본체(91)를 협지시키고, 손가락을 손잡이부(92)에서 떼면, 협지 본체(91)는 도 16c의 위치에서 축(3E)에 협지하는 힘이 계속 작용하는 것이 된다. 이때, 상기 렌즈(A) 시와 마찬가지로 렌즈(B)의 중심이 장착자의 눈의 높이와 합치하므로, 사물이나 표시 정보를 볼 때에 정시할 수 있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격감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베어링(9B)을 이용한 경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처음으로 도 16b와 같이 렌즈(A)의 상태로 안경을 쓰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장착자의 눈의 높이와 렌즈(A)의 중심이 합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물이나 표시 화상이 매우 보기 쉽고, 또한, 렌즈(A)의 상하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다음으로 렌즈(B)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손가락으로 도 15에 도시된 축(3G)의 슬릿부(35)를 압박하여, 돌출을 없애고 다른쪽 손의 손가락으로 베어링(9B)을 잡아 상방으로 들어올려 축(3G)으로부터 벗긴다. 그리고 유지 프레임(5)을 상하로 반전시킨 후, 베어링(9B)을 축(3G)의 선단에 삽입하면 된다. 이때, 베어링(9B)을 축(3G)의 선단에 삽입하면, 슬릿부(35)의 간극이 붙고, 베어링(9B)이 삽입되어 통과하면, 슬릿부(35)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간극이 확보되어, 슬릿부(35)의 선단이 넓어진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베어링(9B)은 축(3G)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유지 프레임(5)을 축(3E, 3F) 혹은 축(3G)으로부터 벗기고, 그 후, 상하를 반전시켜 유지 프레임(5)을 부착할 뿐의 간단한 작업으로, 렌즈(A, B)의 상하를 반전시켜 다른 종류의 렌즈(A, B) 등을 구별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되는 것이다.
한편, 유지 프레임(5)에 상하로 다른 종류의 렌즈(A, B)를 나누지 않고, 하나의 렌즈만을 유지시키고, 그것을 교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컨대, 볼록 렌즈를 사용한 것, 선글라스를 사용한 것 등을 복수 개 준비하고, 용도에 따라, 이들을 교환시키도록 한 것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도 1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안경형의 프레임(100J)은, 제3 실시형태에 대해,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안경다리(1)의 선단부에 단차부(13)가 형성되고, 연결 로드(2)의 수직부(22)가 길어지며, 또한 유지 프레임(5)의 흔들림을 적게 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8B)를 설치한 것이다.
가이드 부재(8B)는, 연결 로드(2)의 수직부(22)와 유지 프레임(5)의 외측 프레임부(51) 사이에 설치되고, 유지 프레임(5)을 수직부(22)에 유지한다. 가이드 부재(8B)는, 연결 로드(2)의 수직부(22)를 협지하는 협지편(86)과, 협지편(86)과 유지 프레임(5)의 외측 프레임부(51)를 접속하는 접속 로드(87)가 있다. 협지편(86)은, 고무나 수지 등의 탄성을 가진 재료로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8B)는, 상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도 18에 도시된 가이드 부재(8C)와 같이, 협지편(86) 대신에 삽입편(88)을 설치하고, 그것을 수직부(22)에 뚫어 형성한 긴 구멍(223)에 삽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때의 접속 로드(89)는, 탄성을 가진 합성 수지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부재(8C)의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1)를 대략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해도 좋다. 이때의 안경다리(1)의 재질로서는, 합성 수지가 바람직하지만, 다른 재료여도 좋다. 가이드 부재(8B)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안경다리(1)를 대략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가이드 부재(8B, 8C)가 설치됨으로써, 유지 프레임(5)의 흔들림을 적게 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도 1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안경형의 프레임(100K)은, 제4 실시형태에 대해, 축(3E)(도 17 참조)을 상방으로 연장하여 축(3H)으로 하고, 상기 축(3H)에 협지 부재(9)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 것이다.
협지 부재(9)는, 축(3H)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협지 부재(9)는, 슬라이드 수단이기도 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예컨대, 협지 본체(91)를 축(3H)으로부터 벗기고, 유지 프레임(5)을 상하로 반전시킨 후, 다시 축(3H)에 협지 본체(91)를 협지시킴으로써, 렌즈(A, B)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그 중심을 눈의 높이에 합치시킬 수 있다.
또한, 협지 부재(9)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유지 프레임(5)이 상하 이동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렌즈(A, B)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그 중심을 눈의 높이에 합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컨대, 유지 프레임(5)은, 렌즈(A, B) 대신에, 또는 렌즈(A, B)와 병용하여,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C)를 유지해도 좋다. 디스플레이(C)는, 프리즘, 미러, 하프 미러, 홀로그램 소자 등의 광학 소자와,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부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C)로서는, 투과형(시스루형), 비투과형(논시스루형), 망막 주사형, 망막 투영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투과형 및 비투과형의 디스플레이(C)는, 예컨대, 액정 패널,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패널 등의 투사부에서 투사한 화상을 표시한다. 망막 주사형 및 망막 투영형의 디스플레이(C)는, 예컨대, 레이저광을 망막 상에 투사한다.
유지 프레임(5)은, 렌즈(A, B)가 경사지도록,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곡(경사)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이때의 안경다리(1)와 브리지(6)의 최대 고저차를, 렌즈(A)의 중심과 렌즈(B)의 중심과의 간격 상당의 거리로 하면 되고, 축(3)을 연결 로드(2)에 설치할 때, 유지 프레임(5)의 상부의 경사에 맞춰 평행 이동하도록 경사를 부여한 것으로 해도 좋으나, 직각으로 설치한 것으로 해도 좋다. 한편, 도 21 중의 일점 쇄선은 장착자의 눈의 높이를 나타낸다.
1: 안경다리 2: 연결 로드
21: 상변부 22: 수직부
23: 단차부 3: 축
3G: 축 32: 빠짐 방지부
35: 슬릿부 4: 코 접촉 부재
5: 유지 프레임 6: 브리지
7: 슬라이드 수단 71: 슬라이드 베어링
711: 철판 713: 걸림 고정홈
72: 유지 부재 721: 걸림편
722: 스프링재 73: 빠짐 방지구
74: 협지 본체 741: 손잡이부
75: 슬라이드부 751: 판스프링
752: 조작 손잡이 76: 자석
77: 걸림 고정편 8: 가이드 부재
9: 협지 부재 9B: 베어링
91: 협지 본체 92: 손잡이부
93: 삽입부 94: 판스프링
95: 조작 손잡이

Claims (15)

  1. 한 쌍의 안경다리와,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의 선단을 연결하는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 로드의 중앙에 매달린 축과,
    상기 축에 고착된 코 접촉 부재와,
    상하로 배치한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유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리지와,
    상기 유지 프레임을 상기 연결 로드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드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프레임의 하방의 광학 부재의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브리지가 설치되며, 상기 유지 프레임의 슬라이드 거리를 적어도, 상방의 광학 부재의 중심과 하방의 광학 부재의 중심과의 간격의 거리로 제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의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렌즈 또는 디스플레이인 것인 안경형의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의 양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된 수직부로 되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안경다리의 높이보다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직부와 상기 유지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유지 프레임의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안경형의 프레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다각형 형상의 기둥이고,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상기 축에 삽입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베어링과, 이 슬라이드 베어링을 상기 축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축의 단부에 설치하는 빠짐 방지구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에 부착한 걸림편과, 이 걸림편을 상기 축에 압박하기 위한 스프링재를 구비한 것인 안경형의 프레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상기 축에 협지(挾持) 가능하게 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협지 본체와, 이 협지 본체의 단부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구비한 것인 안경형의 프레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한 쌍의 축이고, 또한, 각 축의 하단에 빠짐 방지부를 설치하며,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상기 축에 삽입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와, 이 슬라이드부를 상기 축에 유지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과, 이 판스프링을 개방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를 구비한 것인 안경형의 프레임.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다각형 형상의 기둥이고,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상기 축에 삽입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베어링과, 상기 축의 상하 단부에 고착되는 자석과,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의 상하 단부에 부착한 철판을 구비한 것인 안경형의 프레임.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다각형 형상의 기둥이고,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상기 축에 삽입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베어링과, 이 슬라이드 베어링의 표면에 2개 형성한 걸림 고정홈과, 이 걸림 고정홈에 걸어 고정하고 상기 축의 상하 단부에 설치하는 걸림 고정편을 구비한 것인 안경형의 프레임.
  9. 한 쌍의 안경다리와,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의 선단을 연결하는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 로드의 중앙에 매달린 축과,
    상기 축에 고착된 코 접촉 부재와,
    상하로 배치한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유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리지와,
    상기 브리지의 중앙에 고착되고, 상기 축에 착탈 가능한 협지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프레임이 상기 연결 로드의 전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의 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다각형 형상의 기둥이고,
    상기 협지 부재는, 상기 축에 협지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협지 본체와, 상기 협지 본체의 단부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구비한 것인 안경형의 프레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U자형의 축이고,
    상기 협지 부재는, 상기 축에 삽입하여 배치하는 한 쌍의 삽입부와, 이 삽입부에 선단을 고착한 삼각형 형상의 판스프링과, 이 판스프링을 개방하여 상기 한 쌍의 삽입부의 간격을 넓히기 위한 조작 손잡이를 구비한 것인 안경형의 프레임.
  12. 한 쌍의 안경다리와,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의 선단에 연결하는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 로드의 중앙에 세워져 설치된 축과,
    상기 축에 고착된 코 접촉 부재와,
    상하로 배치한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유지 프레임을 상기 유지 프레임의 중앙 높이에서 연결하는 브리지와,
    상기 브리지의 중앙에 고착되고, 상기 축이 삽입되는 베어링
    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중앙부는, 상기 안경다리의 높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단차부로 되며,
    상기 축은, 상기 연결 로드의 상기 단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유지 프레임이 상기 연결 로드의 전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의 프레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탄성을 가진 슬릿부를 선단에 형성한 다각형 형상의 기둥인 것인 안경형의 프레임.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렌즈 또는 디스플레이인 것인 안경형의 프레임.
  15.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유지 프레임에 대향하는 상변부와, 이 상변부의 양단을 하방으로 절곡한 수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경다리는, 상기 수직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부와 상기 유지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유지 프레임의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안경형의 프레임.
KR1020207031285A 2018-04-02 2018-04-02 안경형의 프레임 KR102480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4101 WO2019193623A1 (ja) 2018-04-02 2018-04-02 眼鏡状のフレー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467A KR20200130467A (ko) 2020-11-18
KR102480181B1 true KR102480181B1 (ko) 2022-12-21

Family

ID=6810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285A KR102480181B1 (ko) 2018-04-02 2018-04-02 안경형의 프레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40671B2 (ko)
KR (1) KR102480181B1 (ko)
WO (1) WO20191936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7647B (zh) * 2022-07-21 2024-04-12 瑞安市华美眼镜有限公司 一种能够适用于不同眼镜架的后置防夹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031A (ja) 1999-11-15 2001-05-25 Mikio Kuzuu 視界に広い安全なメガネ
JP2009003335A (ja) 2007-06-25 2009-01-08 Masaharu Sugihara センサー付き遠近両用眼鏡
JP2010102025A (ja) 2008-10-22 2010-05-06 Miki Holdings:Kk 遠近両用メガネ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6725A (en) * 1945-12-03 1948-08-10 Seguin Jean Hughes Adjustable nose bridge support for bifocal spectacles
US3698801A (en) * 1971-03-31 1972-10-17 Alan A Masucci Spectacles with adjustable lenses
JPS5921374Y2 (ja) 1979-09-27 1984-06-23 純一 百瀬 持運び用細身形老眼鏡
JPS5652721A (en) 1979-10-08 1981-05-12 Sony Corp Liquid crystal cell
JP3031992B2 (ja) 1990-11-06 2000-04-10 富士通株式会社 非同期多重化伝送用リング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障害復旧方式
JPH07159733A (ja) 1993-12-10 1995-06-23 Bunzo Hirano 遠近両用眼鏡
JPH07199126A (ja) 1993-12-28 1995-08-04 Mitsuru Hikasa 反転する遠近両用眼鏡及び上下移動ができる遠近両用眼鏡
US5499063A (en) * 1994-04-25 1996-03-12 Vision Express Group Limited Multifocal trial frame system
JP3031992U (ja) 1996-05-28 1996-12-13 重成 松江 めがね
RU2143870C1 (ru) * 1999-03-18 2000-01-10 Кугоева Екатерина Эммануиловн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миопии слабой и средней степени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напряжения аккомодации
US6554422B2 (en) * 2000-12-06 2003-04-29 John L. Bell Neck-saver eyeglass frames for bi-focals
US7648235B1 (en) * 2008-09-05 2010-01-19 Rosenfeld Philip J Spectacle assembly for faces without a prominent upper nasal support
JP2014085363A (ja) 2012-10-19 2014-05-12 Asakura Plan Kk 上下反転式遠近両用メガネ
CN203069896U (zh) * 2013-01-29 2013-07-17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带调整装置的眼镜
JP5699248B2 (ja) 2013-02-06 2015-04-08 増永眼鏡株式会社 眼鏡フレームのテンプル部材
EP3521904B1 (en) * 2016-10-03 2024-05-22 Norio Seki Frame for bifocal eyeglass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031A (ja) 1999-11-15 2001-05-25 Mikio Kuzuu 視界に広い安全なメガネ
JP2009003335A (ja) 2007-06-25 2009-01-08 Masaharu Sugihara センサー付き遠近両用眼鏡
JP2010102025A (ja) 2008-10-22 2010-05-06 Miki Holdings:Kk 遠近両用メガ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3623A1 (ja) 2019-10-10
KR20200130467A (ko) 2020-11-18
US11940671B2 (en) 2024-03-26
US20210149214A1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1305B (zh) 远近两用眼镜状的框架
KR102469152B1 (ko) 안경형의 프레임
US20130077041A1 (en) Eyeglasses having replaceable and foldable temples
EP3396440A1 (en) Bifocal glasses-shaped frame
KR102480181B1 (ko) 안경형의 프레임
JP6268247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6330090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KR102256265B1 (ko)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TWI727158B (zh) 眼鏡狀之框架
JP6379266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6882811B1 (ja) 眼鏡フレーム
JP6407385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6276748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6268263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2013137366A (ja) 遠近の切替え装置を備えた遠近両用めがね
JP6924481B2 (ja) 多機能眼鏡
TW202202904A (zh) 擴增實境眼鏡裝置
JP3136439U (ja) 遠近両用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