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735B1 - 전자기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735B1
KR102479735B1 KR1020207004276A KR20207004276A KR102479735B1 KR 102479735 B1 KR102479735 B1 KR 102479735B1 KR 1020207004276 A KR1020207004276 A KR 1020207004276A KR 20207004276 A KR20207004276 A KR 20207004276A KR 102479735 B1 KR102479735 B1 KR 102479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ver
contact portion
cas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7697A (ko
Inventor
카즈토 오오타케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고빠루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고빠루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고빠루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7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Abstract

부품 개수가 적고, 조립이 용이한 전자기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케이스 본체 (19)는 원형의 제1 틀(13a)과, 원형의 제2 틀(14a)과, 제1 틀과 상기 제2 틀을 연결하는 기둥(13b, 14b, 14c)을 포함한다. 대략 원통형의 커버(15)는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고, 기둥을 따른 슬릿(15a)을 포함한다. 커버(15)는 슬릿(15a)의 양측, 또한 내측에 제1 당접부(15d)를 포함하고, 기둥(13b, 14b, 14c)은 제1 당접부(15d)가 당접되는 제2 당접부(13j, 14j)를 포함하고, 제1 당접부(15d)의 두께는 제1 당접부(15d) 이외의 커버(15)의 두께보다 두껍고, 제2 당접부(13j, 14j)는 제1 당접부(15d)의 표면 형상을 따른 형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케이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압력 센서 등의 전자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기체와 액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는 센서 소자와, 전자 부품이 배치된 인쇄 기판을 구비하고, 센서 소자는 인쇄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센서 소자와 인쇄 기판은 케이스 내에 배치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13-57512호 공보
상기 케이스는 예를 들면 센서 모듈과 인쇄 기판이 설치되는 베이스 본체와, 베이스 본체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는 예를 들면 복수의 나사를 사용하여 베이스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종래 구성의 경우, 커버를 베이스 본체에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나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많고, 조립 공정수가 증가하였다.
본 실시형태는 부품 개수가 적고, 조립이 용이한 전자기기 케이스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의 전자기기 케이스는 원형의 제1 틀과, 원형의 제2 틀과, 상기 제1 틀과 상기 제2 틀을 연결하는 기둥을 갖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을 따른 슬릿을 갖는 대략 원통형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슬릿의 양측, 또한 내측에 제1 당접부(當接部)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은 상기 제1 당접부가 당접되는 제2 당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당접부의 두께는 상기 제1 당접부 이외의 상기 커버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제2 당접부는 상기 제1 당접부의 표면 형상을 따른 형상을 포함하다.
본 실시형태는 부품 개수가 적고, 조립이 용이한 전자기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를 추출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립 공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일부를 추출하여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VI-VI선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비교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를 나타낸 것이며, 본 실시형태를, 예를 들면 압력 센서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 도 2에서, 압력 센서(10)는 베이스 블록(11), 실 칼라(12)(seal collar), 제1 프레임(13), 제2 프레임(14), 커버(15), 커넥터(16), 센서 모듈(17), 인쇄 기판(20)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프레임(13)과 제2 프레임(1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로서의 케이스 프레임(19)을 구성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블록(11)은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스틸(SUS)로 구성되고, 저부(底部)로서의 제1 단부(11-1)에, 예를 들면 제1 개구(11a) 및 제2 개구(11b)를 가지고, 상부로서의 제2 단부(11-2)에 제3 개구(11c)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개구(11a) 및 제2 개구(11b)는 제3 개구(11c)와 연통되어 있다. 제1 개구(11a)는 예를 들면 유체(流體)의 입력구이며, 제2 개구(11b)는 예를 들면 유체의 출력구이다.
실 칼라(12)는 예를 들면 금속 또는 수지로 구성된 통형체이며, 베이스 블록(11)의 제2 단부(11-2)의 둘레에 설치된다.
실 칼라(12)의 내부에는 센서 모듈(17)이 설치된다. 센서 모듈(17)은 예를 들면 SUS로 형성되고, 베이스 블록(11)의 제2 단부(11-2)에 설치된다. 센서 모듈(17)은 제3 개구(11c)와 대향되는 다이어프램(17a)을 가지고, 제2 단부(11-2)에 설치된 상태에서, 다이어프램(17a)과 제3 개구(11c) 사이에 공간(17b)이 형성된다. 이 공간(17b) 내에 제3 개구(11c)로부터 유체가 도입된다.
다이어프램(17a)의 표면에는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는, 예를 들면 복수(4개)의 저항(17c)이 설치된다. 공간(17b) 내에 도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다이어프램(17a)이 변형되면, 복수의 저항(17c)의 도전율(저항값)이 변화되고, 브리지 회로에 불균형이 생긴다. 브리지 회로에 불균형이 생기면, 브리지 회로의 출력단 사이에 유체의 압력에 비례된 전압차가 발생한다. 이 전압차가 후술하는 인쇄 기판에 설치된 증폭기 등을 통해 센서 출력으로서 추출된다.
센서 모듈(17)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다이어프램(17a)은 예를 들면 실리콘 기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리콘 기판 내에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는 복수의 저항이 설치된다. 복수의 저항은 다이어프램(17a)을 구성하는, 예를 들면 N형 실리콘 기판 내에 불순물로서의 붕소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P형 확산 저항일 수 있다.
베이스 블록(11), 센서 모듈(17) 및 다이어프램(17a)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계측 대상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실 칼라(12)에는 제1 프레임(13)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프레임(13)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복수의 나사(18a, 18b)로 실 칼라(12)에 고정된다.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3)과 제2 프레임(14)은 합체되어 케이스 프레임(19)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3)은 예를 들면 원형 또는 링형의 제1 틀(13a)과, 제1 틀(13a)에 설치된 복수의 기둥(13b, 13c, 13d)과, 기둥(13c, 13d)을 연결하는 연결부(13e)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프레임(14)은 예를 들면 원형 또는 링형의 제2 틀(14a)과, 제2 틀(14a)에 설치된 복수의 기둥(14b, 14c, 14d, 14e)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프레임(13)의 기둥(13b)의 선단은 제2 프레임(14)의 기둥(14b)과 기둥(14c) 사이에 위치되고, 제1 프레임(13)의 연결부(13e)는 제2 프레임(14)의 기둥(14d)과 기둥(14e)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제1 프레임(13)과 제2 프레임(14)은 제1 프레임(13)의 기둥(13b)의 선단이 제2 프레임(14)의 기둥(14b)과 기둥(14c) 사이에 삽입되고, 제1 프레임(13)의 연결부(13e)가 제2 프레임(14)의 기둥(14d)과 기둥(14e) 사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합체되고, 케이스 프레임(19)이 형성된다.
케이스 프레임(19)의 내부에는 인쇄 기판(20)이 설치된다. 인쇄 기판(2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21a, 21b)로 제2 프레임(14)의 기둥(14d, 14e)에 고정된다. 인쇄 기판(20)에는 전술한 브리지 회로에 접속되고, 브리지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며, 브리지 회로의 출력 전압을 증폭하는 증폭 회로(22) 등이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 프레임(19)은 인쇄 기판(20)의 장착을 용이화하기 위해, 제1 프레임(13)과 제2 프레임(14)로 분리되어 있으나, 제1 프레임(13)과 제2 프레임(14)을 일체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기판(20)이 고정된 제2 프레임(14)을 제1 프레임(13)에 합체시킨 상태에서, 커넥터(16)가 제2 프레임(14) 상에 설치되고, 나사(23a, 23b, 23c, 23d)로 제2 프레임(14)에 고정된다. 이때, 나사(23a, 23c)로, 제2 프레임(14)이 제1 프레임(13)에 고정된다. 즉, 나사(23a)는 제2 프레임(14)을 관통하여 제1 프레임(13)의 기둥(13b)에 나사결합되고, 나사(23c)는 제2 프레임(14)을 관통하여 제1 프레임(13)의 연결부(13e)에 나사결합된다.
커넥터(16)는 인쇄 기판(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커넥터(16)를 통해 압력 센서(10)에 전원이 공급되며, 센서 출력 신호가 외부로 추출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프레임(19)이 조립된 상태에서, 케이스 프레임(19)에 커버(15)가 설치된다. 커버(15)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 예를 들면 가요성을 갖는 수지재, 예를 들면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형성된다. 그러나, 수지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수지뿐만 아니라 SUS와 같은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15)는 케이스 프레임(19)의 측면을 덮도록 대략 원통형이며, 케이스 프레임(19)의 기둥(13b)을 따라 일부가 절단된 슬릿(15a)을 가진다. 슬릿(15a)의 폭(W1)은 제1 프레임(13)의 기둥(13b)에 설치된 리브(13i)의 폭(W2), 및 제2 프레임(14)의 기둥(14b)과 기둥(14c) 사이에 설치된 리브(14i)의 폭(W2)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슬릿(15a)의 근방에는 개구부(15b, 15c)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개구부(15b, 15c)는 슬릿(15a)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15b, 15c)는 커버(15)가 케이스 프레임(19)에 설치된 상태에서, 케이스 프레임(19)의 기둥(13b)에 설치된 돌기(13f, 13g)에 계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버(15)는 슬릿(15a)의 폭이 케이스 프레임(19)의 직경보다 크게 넓혀져 케이스 프레임(19)에 장착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5)를 케이스 프레임(19)에 장착한 상태에서, 커버(15)의 개구부(15b, 15c)가 제1 프레임(13)의 기둥(13b)에 설치된 돌기(13f, 13g)에 계합된다.
케이스 프레임(19)을 구성하는 제1 프레임(13)의 링형의 제1 틀(13a), 제2 프레임(14)의 링형의 제2 틀(14a), 제1 프레임(13)의 기둥(13b) 및 제2 프레임(14)의 기둥(14b, 14c)에는 커버(15)의 두께와 동일한 단차(段差)(13h, 14h)가 설치되어 있다. 기둥(13b)에 설치된 리브(13i) 및 제2 틀(14)에 설치된 리브(14i)는 제1 프레임(13)의 기둥(13b) 및 제2 프레임(14)의 기둥(14b, 14c)에 단차(13h, 14h)를 설치한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단차(13h, 14h)를 설치된 것에 의해, 커버(15)가 케이스 프레임(19)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15)의 표면은 제1 프레임(13) 및 제2 프레임(14)의 표면과 일치된다.
도 5는 커버(15)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커버(15)는 슬릿(15a)의 양측의 내면에 제1 당접부(15d)를 가진다. 커버(15)의 내면은 일정한 곡률을 갖는 원형이지만, 제1 당접부(15d)는 예를 들면 평탄부(15d-1)를 가진다. 이로 인해, 제1 당접부(15d)의 두께(T1)는 제1 당접부(15d) 이외의 커버(15)의 두께(T2)보다 두껍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3)의 기둥(13b)의 리브(13i)의 양측에는 커버(15)의 제1 당접부(15d)의 형상을 따른 형상을 갖는 제2 당접부(13j)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프레임(14)의 리브(14i)의 양측에도 제2 당접부(13j)와 동일하게 제2 당접부(14j)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당접부(13j) 및 제2 당접부(14j)는 제1 당접부(15d)를 따른 형상이며, 제1 당접부(15d)의 평탄부(15d-1)와 동일한 평탄부를 가진다.
커버(15)는 케이스 프레임(19)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15)의 탄성에 의해 커버(15)의 제1 당접부(15d)가 제1 프레임(13)의 제2 당접부(13j) 및 제2 프레임(14)의 제2 당접부(14j)에 당접되고, 슬릿(15a)의 측면이 리브(13i)에 당접된다.
이때, 평탄부(15d-1)를 갖는 제1 당접부(15d)는 두께가 커버(15)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고, 기둥(13)의 제2 당접부(13j) 및 기둥(14)의 제2 당접부(14j)에 당접된다. 이로 인해, 제1 당접부(15d)와 제2 당접부(13j)의 마찰력이 증가한다. 커버(15)는 탄성 변형에 의해 원형 외관을 보지(保持)할 수 있고, 케이스 프레임(19)에 대해 간극 없이 밀착된다. 따라서, 커버(15)의 개구부(15b, 15c) 및 기둥(13b)의 돌기(13f, 13g)를 생략한다고 하더라도, 커버(15)를 케이스 프레임(19)에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커버(15)의 제1 당접부(15d)는 평탄부(15d-1)를 가지고, 제2 당접부(13j) 및 제2 당접부(14j)도 제1 당접부(15d)의 평탄부(15d-1)와 동일한 평탄부를 가진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5)의 제1 당접부(15d)에 돌출부(15d-2)를 설치하고, 제2 당접부(13j) 및 제2 당접부(14j)에 돌출부(15d-2)를 따른 요부(13j-2, 14j-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버(15)를 케이스 프레임(19)에 더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원통형의 커버(15)는 슬릿(15a)의 양측의 내면에 제1 당접부(15d)를 가지고, 제1 당접부(15d)는 커버(15)의 두께보다 두껍고, 평탄부(15d-1)를 가진다. 제1 프레임(13)의 기둥(13b)의 리브(13i)의 양측 및 제2 프레임(14)의 기둥(14b)의 리브(14i)의 양측은 제2 당접부(13j, 14j)를 가지고, 제2 당접부(13j, 14j)는 커버(15)의 제1 당접부(15d)의 평탄부(15d-1)를 따른 평탄부를 가진다. 이로 인해, 커버(15)를 케이스 프레임(19)에 장착한 상태에서, 커버(15)의 탄성 변형에 의해, 커버(15)의 제1 당접부(15d)가 제1 프레임(13)의 제2 당접부(13j) 및 제2 프레임(14)의 제2 당접부(14j)에 당접되고, 슬릿(15a)이 리브(13i, 14i)에 당접된다. 이로 인해, 커버(15)는 그 탄성에 의해 원형의 외관을 보지할 수 있고, 케이스 프레임(19)에 대해 간극 없이 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커버(15) 및 케이스 프레임(19)의 비교예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비교예에서, 커버(31)는 원통형이며 슬릿(31a)을 가진다. 케이스 프레임(32)은 링형이며 기둥(32a)을 가진다. 기둥(32a)은 커버(31)의 슬릿(31a)에 대응되는 리브(32b)를 가진다. 리브(31b)의 양측에 위치되는 기둥(32a)의 표면은 케이스 프레임(32)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다. 커버(31)의 슬릿(31a)의 양측에 위치되는 내면도 커버(31)의 다른 부분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커버(32)의 내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다.
상기 구성의 커버(31)를 케이스 프레임(32)에 장착한 경우, 기둥(32a)의 표면의 곡률과 커버(31)의 슬릿(31a)의 양측에 위치되는 내면의 곡률이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커버(31)의 내면과 기둥(32a)의 표면의 마찰력이 본 실시형태에 비해 작다. 이로 인해, 커버(31)는 그 탄성 변형에 의해, 케이스 프레임(32)에 밀착할 수 없고, 커버(31)의 슬릿(31a)과 리브(32b) 사이, 및 커버(31)의 내면과 케이스 프레임(32)의 표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간극을 감소시키기 위해, 커버(31)의 내경을 케이스 프레임(32)의 외경보다 작게 하거나, 예를 들면 나사 등의 부품을 사용하여 커버(31)를 케이스 프레임(32)에 고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버(15)는 슬릿(15a)의 간극을 넓혀 케이스 프레임(19)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조립이 완료된다. 이로 인해, 나사 등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품 개수가 적고, 조립이 용이하다.
본 실시형태는, 압력 센서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그 외.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그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요소의 적절한 결합에 의해 각종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나타낸 모든 구성요소에서 여러 구성요소를 삭제해도 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이르는 구성요소를 적절히 결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기 케이스는 압력 센서 등의 전자기기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압력 센서
13 제1 프레임
13a 제1 틀
13b 기둥
13j 제2 당접부
13j-2 요부
14 제2 프레임
14a 제2 틀
14b, 14c 기둥
14j 제2 당접부
14j-2 요부
15 커버
15a 슬릿
15d 제1 당접부
15d-1 평탄부
15d-2 돌출부
19 케이스 프레임(케이스 본체)

Claims (7)

  1. 원형의 제1 틀과, 원형의 제2 틀과, 상기 제1 틀과 상기 제2 틀을 연결하는 기둥을 갖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을 따른 슬릿을 갖는 원통형의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슬릿의 양측, 또한 내측에 제1 당접부(當接部)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은 상기 제1 당접부가 당접되는 제2 당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당접부의 두께는 상기 제1 당접부 이외의 상기 커버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제2 당접부는 상기 제1 당접부의 표면 형상을 따른 형상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당접부는 제1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당접부는 상기 제1 평탄부에 당접되는 제2 평탄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당접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당접부는 상기 돌출부를 따른 요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전자기기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는 수지재인, 전자기기 케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는 금속 재료인, 전자기기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슬릿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돌기에 계합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케이스.
KR1020207004276A 2017-09-19 2018-07-27 전자기기 케이스 KR102479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79289 2017-09-19
JP2017179289A JP6976783B2 (ja) 2017-09-19 2017-09-19 電子機器筐体
PCT/JP2018/028348 WO2019058762A1 (ja) 2017-09-19 2018-07-27 電子機器筐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697A KR20200057697A (ko) 2020-05-26
KR102479735B1 true KR102479735B1 (ko) 2022-12-20

Family

ID=6581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276A KR102479735B1 (ko) 2017-09-19 2018-07-27 전자기기 케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76783B2 (ko)
KR (1) KR102479735B1 (ko)
WO (1) WO201905876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0949A (ja) 2002-10-30 2004-05-27 Denso Corp センサ取付け用弾性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センサ装置
JP3656689B2 (ja) 1996-08-30 2005-06-08 株式会社デンソー センサ取付け用弾性部材、それを用いたセンサ取付け構造体およびそのセンサ取付け方法
JP2008298530A (ja) 2007-05-30 2008-12-11 Ngk Spark Plug Co Ltd 圧力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6930U (ko) * 1989-05-10 1990-12-13
DE4413914A1 (de) * 1994-04-21 1995-10-26 Bosch Gmbh Robert Brennstoffeinspritzeinrichtung
JP2602419B2 (ja) * 1994-08-19 1997-04-23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海底中継器の放熱緩衝構造
JPH10246819A (ja) * 1997-03-05 1998-09-14 Nec Eng Ltd 海底中継器の放熱緩衝構造
JP5851163B2 (ja) * 2011-09-07 2016-02-03 日本電産コパル電子株式会社 圧力セン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6689B2 (ja) 1996-08-30 2005-06-08 株式会社デンソー センサ取付け用弾性部材、それを用いたセンサ取付け構造体およびそのセンサ取付け方法
JP2004150949A (ja) 2002-10-30 2004-05-27 Denso Corp センサ取付け用弾性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センサ装置
JP2008298530A (ja) 2007-05-30 2008-12-11 Ngk Spark Plug Co Ltd 圧力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8762A1 (ja) 2019-03-28
KR20200057697A (ko) 2020-05-26
JP6976783B2 (ja) 2021-12-08
JP2019054222A (ja)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0006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control device
CN107432093B (zh) 电子控制单元
US10401230B2 (en) Temperature sensor and mounting structure for same
US8854827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US10145749B2 (en)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including a sensor module and a joint for locking the sensor module
KR20150056482A (ko) 물리량 측정 센서
US20180092240A1 (en) Control unit
KR102479735B1 (ko) 전자기기 케이스
US10039197B2 (en) Housing having an opening and a covering device
US10006826B2 (en) Semiconductor pressure sensor device
US8567254B2 (en) Pressure sensor assembly
JP2012230857A (ja) シールド
US9506829B2 (en) Pressure sensors having low cost, small, universal packaging
CN116034011A (zh) 具有带有密封中心凸台的塑料盖的电子设备
JP2017216120A (ja) 接地用クリップ
US20190035572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de Button Structure
JP5970485B2 (ja) 圧力センサモジュール
JP6255288B2 (ja) センサモジュール
JP2017211260A (ja) 物理量測定装置
JP2017166872A (ja) 圧力センサモジュール及び圧力センサモジュールの接続構造
CN109073492B (zh) 压力传感器装置
US9922786B2 (en) Pressure switch
KR20230152213A (ko) 센서 모듈
JP7050645B2 (ja) センサ
JP5997686B2 (ja) 物理量測定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