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898B1 - 오리엔탈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피부 외용제 용도 - Google Patents

오리엔탈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피부 외용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898B1
KR102478898B1 KR1020210008522A KR20210008522A KR102478898B1 KR 102478898 B1 KR102478898 B1 KR 102478898B1 KR 1020210008522 A KR1020210008522 A KR 1020210008522A KR 20210008522 A KR20210008522 A KR 20210008522A KR 102478898 B1 KR102478898 B1 KR 102478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sambaekcho
crea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767A (ko
Inventor
박준성
고희경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8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리엔탈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피부 외용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증법 포제에 의한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및 항염증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리엔탈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피부 외용제 용도 {Saururus chinensis extract using oriental processing and its use for external skin}
본 발명은 오리엔탈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피부 외용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증법 포제에 의한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및 항염증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삼백초(Saururus chinensis)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잎은 녹색을 띠며 줄기 길이는 40∼80 cm 정도로 자라고 6월 하순경에 상위부 3∼4개의 잎이 백색으로 출현하며 6∼8월에 백색 꽃과 줄기를 띄어 삼백초라고 하며, 우리나라, 중국 및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과 제주도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다. 삼백초는 전초나 뿌리를 건조한 것을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잎을 달여 마시거나 즙을 내어 마셔 피부질환 및 내과적 질환에 전통적으로 사용 되어져 왔다. 삼백초 주요성분에는 퀴르시틴(quercetin), 퀴르시트린(quercetrin), 이소퀴르시트린(isoquercetrin), 아비쿠라린(avicularin), 루틴(rutin) 등 페놀성 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암 효과가 있다. 이 중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퀴르시틴(quercetin), 퀴르시트린(quercetrin) 등은 식물계에 존재하는 천연항산화제로 지방산화와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며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노화나 암 및 심장병 등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오리엔탈 프로세싱 기법인 포제(匍制)는 한방이론에 근거하여 약재를 가공처리 함으로서 약재 본래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제약기술(製藥技術)이다. 어떤 약재는 독성이 있거나 성질이 매우 강하여 직접 복용할 수 없고 어떤 약재는 쉽게 약성이 변해 오래 저장 할 수 없으며 또 어떤 것은 잡질과 어느 부분을 제거하여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있다. 또한 동일한 약재라고 하여도 생재와 숙재는 성질이 같지 않거나 작용에서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약재를 사용하기에 앞서 반드시 가공을 하여야 하는데 이를 약용식물의 포제라 한다. 포제는 경우에 따라서 보료(輔料)를 가하여 함께 가공하는데, 보료를 사용하는 것은 변증에 따라 용약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이다. 약물의 포제에 사용하는 보료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기 다른 성질과 작용이 있으며, 이로 인해 포제한 약재가 일으키는 작용도 각기 다르다. 상용되는 보료의 종류는 무수히 많으나, 일반적으로는 크게 액체 보료와 고체 보료로 분류할 수 있다. 액체 보료로는 술, 식초, 꿀, 생강즙, 감초즙, 흑두즙, 식염수, 미감수, 젖, 동변(7세 미만 아이의 소변), 석회수 등을 사용하며, 고체 보료로는 쌀, 밀기울, 백반, 두부, 흙, 합분, 모래 등을 사용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3440호
본 발명자들은 삼백초 추출물의 피부 외용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하던 중, 삼백초 추출믈을 오리엔탈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하는 경우 삼백초 추출물 내의 플라보노이드 및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증가하며(실험예 1), 항산화(실험예 2), 피부미백(실험예 3), 피부 주름 개선(실험예 4), 피부 보습(실험예 5) 및 항염증(실험예 6) 효과가 더욱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한 후,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A) 삼백초를 증법으로 포제 가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삼백초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포제 삼백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법 포제에 의한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법 포제에 의한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법은 삼백초를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침지시켜 90 내지 12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법 포제에 의한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물, C1-C6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40 내지 100 ℃에서 2 내지 24시간 동안 1 내지 5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증법 포제에 의한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삼백초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삼백초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피부미백,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삼백초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또는 바디에센스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리엔탈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삼백초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및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증가하며(실험예 1), 항산화(실험예 2), 피부미백(실험예 3), 피부 주름 개선(실험예 4), 피부 보습(실험예 5) 및 항염증(실험예 6)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리엔탈 프로세싱 단계를 통해 제조된 삼백초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리엔탈 프로세싱 단계를 통해 제조된 삼백초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리엔탈 프로세싱 단계를 통해 제조된 삼백초 추출물의 AQP3 유전자 발현량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리엔탈 프로세싱 단계를 통해 제조된 삼백초 추출물의 NO 생성량을 나타낸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오리엔탈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피부 외용제 용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 또는 "함유"라 함은 어떤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를 별다른 제한 없이 포함함을 지칭하며, 다른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의 부가를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1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삼백초를 증법으로 포제 가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삼백초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포제 삼백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법 포제에 의한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1) 포제 가공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증법 포제에 의한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백초는 증법으로 포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법은 삼백초를 액체 보료로서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침지시켜 90 내지 12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2) 삼백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증법 포제에 의한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추출용매를 가하여 삼백초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은 포제 가공된 삼백초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삼백초 추출물을 추출하고, 삼백초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진탕 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 온도는 4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60 내지 8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추출시간은 2 내지 24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용매로는 물, C1-C6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7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용매는 포제 가공된 삼백초의 5 내지 15배 중량 또는 부피로 첨가되는 바람직하며, 10배 첨가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감압 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증법 포제에 의한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피부미백,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삼백초 추출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여 활성성분으로서의 작용을 기대하기 어렵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또는 바디에센스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로션, 크림, 연고 또는 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피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삼백초 추출물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대략 0.0001mg/kg/일 내지 2000g/kg/일 범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청증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오리엔탈 프로세싱 단계: 삼백초 지상부 500g을 정제수에 축축해지도록 담가 두고 용기 하부에 물을 넣고 설정 온도를 110℃로 하여 증기를 발생시킨 후 30분~3시간 동안 찐 다음 그늘에서 건조시켰다.
추출 단계: 청증 삼백초 건조물을 분쇄하고 50 mesh 크기로 분리한 후 각 분쇄물의 10배 중량의 70%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진공 농축기로 농축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청증 삼백초 추출물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2. 주증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오리엔탈 프로세싱 단계: 삼백초 지상부 500g을 황주 또는 주정이 30% 혼합된 주정 수용액에 축축해지도록 담가 두고 용기 하부에 30% 주정이 혼합된 주정 수용액을 넣고 설정 온도를 110℃로 하여 증기를 발생시킨후 30분~3시간 동안 찐 다음 그늘에서 건조시켰다.
추출 단계: 주증 삼백초 건조물을 분쇄하고 50 mesh 크기로 분리한 후 각 분쇄물의 10배 중량의 70%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진공 농축기로 농축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청증 삼백초 추출물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1. 일반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오리엔탈 프로세싱 단계를 거치지 않은 일반 삼백초 건조물을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추출 방법으로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삼백초 추출물의 주요 활성 성분 분석
1-1.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청증 삼백초 추출물, 실시예 2에 따른 주증 삼백초 추출물, 및 비교예 1에 따른 일반 삼백초 추출물의 주요 활성 성분인 퀴르시트린(Quercitrin) 및 미퀴엘리아닌(miquelianin)의 함량을 HPLC 분석법을 측정하였다.
샘플 Quercitrin (mg/g) Miquelianin (mg/g)
일반 삼백초 추출물 1.145 2.860
청증 삼백초 추출물 2.161 5.193
주증 삼백초 추출물 1.795 5.945
그 결과,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에 따른 청증 삼백초 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주증 삼백초 추출물의 퀴르시트린(Quercitrin) 및 미퀴엘리아닌(miquelianin)의 함량은 일반 삼백초 추출물에 비해 각각 1.7 내지 2배 및 약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삼백초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활성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오리엔탈 프로세싱 단계를 통해 증가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2-2. 폴리페놀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청증 삼백초 추출물, 실시예 2에 따른 주증 삼백초 추출물, 및 비교예 1에 따른 일반 삼백초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Folin-Ciocalteu법(Benvenuti et al 2004)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0.1mg/mL 농도로 조절된 각 삼백초 추출물 100μL에 50% Folin-ciocalteu 시약(1N)을 20μl를 첨가하고, 5분 후에 5% Na2CO₃100μl를 추가로 첨가한 후 암실에서 60분 동안 놓아두었다. 그 다음 7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Gallic acid(98 %, Sigma Aldrich, USA)를 표준물질로 하여 1g의 각 삼백초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Gallic acid equivalent (GAE)의 mg수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1에 따른 일반 삼백초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약 9mgGAE/g로 나타났으나, 실시예 1에 따른 청증 삼백초 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주증 삼백초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약 14mgGAE/g 및 약 16mgGAE/g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 따라서, 삼백초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오리엔탈 프로세싱 단계를 통해 증가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실험예 2.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활성 평가
70% 에탄올 용액에 DPPH(Sigma-Aldrich Co.)를 용해하여 제조된 100 μM 농도의 DPPH 라디칼 용액을 0.2 mg/mL 농도로 조절된 삼백초 추출물 0.1 μL에 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놓아두었다. 양성대조군으로 L-ascorbic acid(A.A)를 10, 25, 50 및 100ppm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그 다음, 혼합액을 microplate reader(BKMPR-1096A, Konvision Inc., China)를 이용하여 5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삼백초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제거 활성은 백분율(%, inhibition)로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다음 식에 따라 계산되었다. (A: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변화; B: 시료 무첨가군의 흡광도 변화)
DPPH 라디칼 소거능(%)
Figure 112021008056736-pat00001
그 결과, 실시예 1에 따른 청증 삼백초 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주증 삼백초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일반 삼백초 추출물에 비해 약 1.5~2배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 따라서, 삼백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본 발명에 따른 오리엔탈 프로세싱 단계를 통해 증가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실험예 3.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을 통한 미백 효과 평가
삼백초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C57BL/6 마우스 유래의 쥐의 색소세포(Mel-Ab cell)를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DMEM)에 10% 우태반 혈청, 100nM 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빌 (tetradecanoyphorbol)-13-아테이트, 1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을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Mel-Ab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24-웰 플레이트에 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하고 이틀째부터 3일 연속으로 50ppm의 시험물질을 가하여 배양하였다. 한편, 양성대조군으로서 코지산을 사용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포를 녹여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다음 식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였다(Dooley의 방법).
Figure 112021008056736-pat00002
시험물질 멜라닌 생성 억제율(%)
일반 삼백초 추출물 41.2
청증 삼백초 추출물 20.4
주증 삼백초 추출물 18.5
코지산 32.6
그 결과, 실시예 1에 따른 청증 삼백초 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주증 삼백초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일반 삼백초 추출물뿐만 아니라, 심지어 코지산 보다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삼백초 추출물의 미백 활성은 본 발명에 따른 오리엔탈 프로세싱 단계를 통해 증가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실험예 4. 콜라겐 생합성 촉진을 통한 주름 개선 효과 평가
인간섬유아세포(fibroblast)(PromoCell, Germany)를 24웰 플레이트에 1웰당 105개씩 파종(seeding)하여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를 24시간 동안 무혈청 DMEM 배지로 배양한 후 무혈청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에 따른 삼백초 추출물과 양성대조군(토코페롤 및 EGCG)을 각각 50 ppm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들의 상층액을 떠내어 프로콜라겐 형(I) ELISA 키트(procollagen type(I))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증감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이 때 콜라겐 합성능은 비처리군을 100으로 하여 대비하여 표현하였다
시험물질 콜라겐 합성능(%)
비처리군 100
토코페롤 118
EGCG 125
일반 삼백초 추출물 102
청증 삼백초 추출물 135
주증 삼백초 추출물 148
그 결과, 실시예 1에 따른 청증 삼백초 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주증 삼백초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량은 일반 삼백초 추출물뿐만 아니라, 심지어 토코페롤 및 EGCG 보다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삼백초 추출물의 주름 개선 능력은 본 발명에 따른 오리엔탈 프로세싱 단계를 통해 증가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실험예 5. 아쿠아포린 3(AQP3) 생성 증가를 통한 보습 효과 평가
각질형성세포인 HEKn(Human Epidermal Keratinocyte neonatal, C-001-5C, invitrogen, USA) 세포를 론자(사)로부터 구입한 10% FBS (fetal Bovine Serum)와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일반, 청증 및 주증 삼백초 추출물을 100 ppm(w/w)의 농도로 각질형성세포에 12시간 동안 처리하고, 전체 RNA를 TRIzolTM (Invitrogen, USA)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RNA 농도는 분광광도법적으로 측정하였고, RNA integrity는 BioAnalyzer 2100 (Agilent Technologies,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NA 4 μg을 SuperScript®III 역전사효소 (Invitrogen, USA)를 이용하여 cDNA로 역전사시키고 분취량을 -70℃에서 저장하였으며, 타겟 유전자의 발현 수준은 정량적 리얼 타임 TaqMan RT-PCR (7500Fast, Applied Biosystems, USA)로 측정하였다. 사이클 조건은 95 ℃에서 10분간, 95 ℃에서 15분간 50 사이클, 및 60 ℃에서 1분간으로 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조군의 유전자 발현에 비해 해당 유전자 발현이 얼마나 증가하였는지 상대적인 값을 측정하였다. AQP3 유전자 발현량은 상대적 발현 양상의 분석을 위해 RPLPO의 mRNA의 발현량을 기준으로 보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 따른 청증 삼백초 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주증 삼백초 추출물의 AQP3 유전자 발현양은 일반 삼백초 추출물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 따라서, 삼백초 추출물의 보습 능력은 본 발명에 따른 오리엔탈 프로세싱 단계를 통해 증가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실험예 6. NO 생성 억제를 통한 항염증 효과 평가
RAW 264.7 세포를 4×104 cells/dish density로 96well 플레이트(plate)에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플레이트에 부착시켰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 따른 삼백초 추출물을 100 ppm(w/w)의 농도로 처리한 1시간 후에 염증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2㎍/㎖ 농도의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여 18시간 배양하였다. RAW 264.7 세포에서 생성되어 배양액에 존재하는 NO 수준을 그리스(Griess) 반응을 기본으로 하는 NO 디텍션키트(detection kit, intron사의 21021)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NO가 존재한다고 추정되는 배양액을 96 well-플레이트(well plate)에 100㎕씩 분주한 후 N1 버퍼(sulfanilamide) 50㎕를 넣어 1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다. 이어서 N2 버퍼(naphthylethylenediamine) 50㎕를 넣고 1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 측정하였으며, 각 NO 생성량은 아질산염 기준(nitrite standard)를 이용하여 얻은 표준검량곡선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은 quercetin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결과는 t-테스트(Paired t-test, 양측검증) 기능을 이용하여 시험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 따른 청증 삼백초 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주증 삼백초 추출물의 NO 생성량은 일반 삼백초 추출물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 따라서, 삼백초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오리엔탈 프로세싱 단계를 통해 증가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A) 삼백초를 증법으로 포제 가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삼백초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포제 삼백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법 포제에 의한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증법은 삼백초를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침지시켜 90 내지 12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삼백초 추출물은 피부미백,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과가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물, C1-C6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40 내지 100 ℃에서 2 내지 24시간 동안 1 내지 5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삼백초 추출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또는 바디에센스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6. 삭제
KR1020210008522A 2021-01-21 2021-01-21 오리엔탈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피부 외용제 용도 KR102478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522A KR102478898B1 (ko) 2021-01-21 2021-01-21 오리엔탈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피부 외용제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522A KR102478898B1 (ko) 2021-01-21 2021-01-21 오리엔탈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피부 외용제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67A KR20220105767A (ko) 2022-07-28
KR102478898B1 true KR102478898B1 (ko) 2022-12-19

Family

ID=8260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522A KR102478898B1 (ko) 2021-01-21 2021-01-21 오리엔탈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피부 외용제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8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0007A1 (en) 2006-04-17 2007-10-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xtract of echinosophora koreensis removing hangover and having anti-oxidant a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778B1 (ko) * 2003-08-28 2007-04-17 박순화 홍삼곤짠지의 제조방법
KR101483440B1 (ko) * 2008-05-02 2015-01-19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0007A1 (en) 2006-04-17 2007-10-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xtract of echinosophora koreensis removing hangover and having anti-oxidant activity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창수 외 3명.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aururus chinensis Extract. 생명과학회지, 2012
박혜진 외 8명. 초미세 qnstoh한 삼백초 추출물의 미용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0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67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3300B1 (ko) 포포나무의 초음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을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KR20180110939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10075742A (ko) 하수오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황촉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2478898B1 (ko) 오리엔탈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피부 외용제 용도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6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20220B1 (ko) 천연식물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부 비만 감소용 화장료 또는 식품 조성물
KR20200114810A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45718B1 (ko)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재생용 조성물
KR102178510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석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6020155B2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69906B1 (ko) 비짜루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20110063269A (ko)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95372B1 (ko) 까치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60133608A (ko)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억제 기능을 갖는 생약재조성물
KR20140139447A (ko) 진귤 과피 효소 처리물 또는 그것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20200064204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
KR102615332B1 (ko) 피버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44047B1 (ko)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290921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