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921B1 - 항산화 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921B1
KR101290921B1 KR1020110015210A KR20110015210A KR101290921B1 KR 101290921 B1 KR101290921 B1 KR 101290921B1 KR 1020110015210 A KR1020110015210 A KR 1020110015210A KR 20110015210 A KR20110015210 A KR 20110015210A KR 101290921 B1 KR101290921 B1 KR 101290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antioxida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719A (ko
Inventor
이상용
임종순
정인철
김승형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5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92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9Polygalaceae (Milkwor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창포 4.0 중량부 : 원지 2.0 중량부 : 백복신 4.0 중량부 : 산사육 2.0 중량부 : 파극천 2.0 중량부의 혼합물로부터 수득되는 추출물로서 종래 것보다 항산화 작용이 우수한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항산화 활성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의 거부감이 없고 다른 부작용이 없는 천연 복합생약 유래의 항산화 작용이 우수한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항산화 활성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항산화 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A Composition of Complex Herb Medicine Having Antioxidative Activity}
본 발명은 석창포 4.0 중량부, 원지 2.0 중량부, 백복신 4.0 중량부, 산사육 2.0 중량부 및 파극천 2.0 중량부의 혼합물로부터 수득되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항산화 활성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노화(Aging)는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데, 하나는 분자 수준의 노화이고 다른 하나는 세포수준의 노화이다. 분자 수준의 노화이론 이란 다른 말로는 프로 그램이론이라고도 하는데 피부노화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존재하여 체내시계에 따라 노화가 진행된다는 이론이고, 세포수준의 노화이론은 유리기이론이라고도하며 노화가 여러 가지 장애나 노화 물질의 축적에 의해서 진행된다는 이론이다. 유리기(free radical)란 자유전자를 가진 분자로서 짝지어지지 않은 최외각 전자의 존재 때문에 높은 반응성을 지니고 있으며, 생체내에서 DNA의 수소원자를 제거하여 DNA를 파괴시켜 아미노산을 산화시키고, 지질의 poly-desaturated fatty acids를 산화시키는데, 이러한 생체 내 반응들에 의해 암이나 노화가 진행된다. 유리기는 대표적으로 음식을 통하여 열량을 생산하는 대사과정 및 호흡 과정에서 생성 되는데, 최근에는 산화적 스트레스라고 불리는 자외선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생성된다. 이러한 유리기를 억제시키는 물질을 항산화제(antioxidants)라 하는데 우리 몸에서 충분한 항산화제(SOD등)의 효소들이 생체 내에서 항산화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항산화제의 섭취를 통해 항노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간단히 말하면, 인체는 생의 과정에서 대사를 위해 끊임없이 산소를 필요로 하고, 이 산화산물이 끊임없이 조직에 축적되면 역설적으로 인체를 파괴하게 된다는 이론인 유리기이론은 실험적인 결과들을 통해 프로그램설보다 유리기이론에 힘이 실어졌다. 유리기이론에서 유리기 또는 산화산물은 활성산소종이라고 불리며, 약어로 ROS(Reactive oxygen species)라 한다. 세포 성분을 산화시키고 소위, 산소장애를 일으키는 활성산소종으로는 보통의 바닥상태의 분자산소(3O2)보다도 반응성이 훨씬 더 큰 여러 종류의 산소종이 있다. 산소의 일전자 환원종인 수퍼옥사이드(superoxide anion 라디칼, O2 ·-),이 전자 환원종인 과산화수소(H2O2), 들뜬 상태의 싱글렛 옥시전(singlet oxygen, 1O2),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라디칼, ·OH)이 주요한 활성산소종이다. 그러나 광범위한 의미에서는 상기의 활성산소종과 생체성분(예, 불포화 지방산, R)과의 반응으로 유래된 과산화라디칼(peroxyl 라디칼, ROO·), 알콕실 라디칼(alkoxyl 라디칼, RO·), 하이드로과산화물(hydroperoxide, ROOH) 등도 활성산소종의 범주가 들어가며, 식세포에서 살균작용에 포함되는 HOCl과 N-chloramine 그리고 내피세포-유래 완화인자(endothelial-derived relaxing factor, EDRF)로 알려진 ·NO(nitric oxide)도 활성산소종에 포함시키고 있다. 활성산소종에 의한 피부노화는 이소플라본에 의해 방어가 가능하다.
현재까지 알려진 항산화 활성 약학 조성물을 보면, 공개특허공보 10-2010-0062138호(2010. 6. 10.)에는 작은 구슬산호말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 추출물이 인체 섬유아세포주(HT-1080)에서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야기시키고, 세포내 활성산소종(ROS) 수준 및 MMP-2 및 MMP-9 활성을 저해시키는 DNA 손상에 대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항노화 작용에 기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이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입증하고자, RAW264.7 세포주와 생쥐 폐 섬유아세포(mouse lung fibroblast cell, mLFC)에서 세포독성을 관찰하였으며, RAW264.7 세포주에 LPS(Lipo polysaccaride)로 자극하여 활성화시킨 후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산화질소(NO) 생성과 ROS 측정을 통하여 항산화 작용을 측정함으로써 유의한 결과를 얻어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복합생약제제로 최적 조합과 최적 조성비를 제시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석창포 4.0 중량부, 원지 2.0 중량부, 백복신 4.0 중량부, 산사육 2.0 중량부 및 파극천 2.0 중량부의 혼합물로부터 수득되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작용이 우수한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증류수를 포함한 물에 가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복합생약제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항산화 활성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국내특허 제999227호의 용도발명임을 밝히는 바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은 RAW264.7 세포주 및 생쥐의 폐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특히 RAW264.7 세포주에서 산화질소 생성량을 50㎍/㎖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고, 활성산소종의 생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는바, 이로부터 항산화 작용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생쥐 폐 섬유아세포와 RAW264.7 세포주에서 복합 생약제제 조성물의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도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RAW264.7 세포주에서 복합 생약제제 조성물의 산화질소(NO) 생성에 미치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RAW264.7 세포주에서 활성산소종(ROS) 생성에 대한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표.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적용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하는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본질이 변하거나 범위가 축소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제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실시예 및 적용예들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성분인 약제를 설명하고자 한다.
1) 석창포
석창포는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석창포나무의 뿌리줄기로 베타아사론(β-asarone), 아사론(asarone), 카리오필렌(caryophyllene), 휴물렌(a-humule-ne), 세키손(sekishone), 아미노산, 유기산 및 당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활담개규, 성신익지, 화습화위하는 효능이 있고 주치증으로는 개선, 건망, 금구하리, 담미심규, 랭비, 신지혼란, 실청, 완비불기, 음한습양, 이명, 전간, 치태, 풍한습비, 피부습창 등이 있다.
2) 원지
원지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원지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원지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사포닌 성분인 테누게닌(tenuigenin) A, B, 폴리가리톨(polygalytol), 테누이딘(tenuidi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원지의 효능은 안신개규, 녕심안신, 진심, 양심, 거담리규, 화담지해, 소산옹종, 소종해독, 교통심신, 강지익정, 익지, 총이명목 등이며, 주치는 심신불안, 실면다몽. 미혹건망, 경계불매, 신지황홀, 해담불상, 창양종독, 유방종통 등으로 역대 본초서에 기재되어 있다.
3) 백복신
백복신은 다공균과에 속한 진균인 복령의 방괴상으로 소나무 뿌리를 싸고 있으며, 질은 단단하고 백색이며 성은 평, 미는 감담하고, 심·비경으로 귀경하며, 영심안신, 녕신정지, 개심익지, 양신, 리수의 효능으로 심허경계, 건망, 실면, 경간, 소변불리 등을 치료한다.
4) 산사육
산사육은 산사, 산사자 등으로도 불리며, 장미과에 속한 낙엽교목인 산리홍, 산사, 또는 야산사의 성숙한 과실로서, 구형 또는 배형으로 직경은 2.5cm 정도이고 표면은 심홍색으로 광택이 있으며 회백색의 작은 반점이 많다.
산사육의 성미는 미온 무독, 산감하고 비, 위, 간경에 귀한다. 또한 건비행기, 화담화어, 소식적의 효능이 있어 육적, 비만, 탄산, 사리 등의 질환에 사용되는데, 그 효능으로 미루어보아 기체혈어, 담음정체 등의 원인으로 야기되는 치매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파극천
파극천은 보익약으로 천초과에 속한 다년생 등본식물인 파극천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겨울과 봄에 채취하여 발근을 제거하고 세정하여 건조한다.
파극천의 성미는 감·신 미온 무독하며 보신양의 효능이 있어 비신휴허형 치매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현대에는 파극천을 보익약 중에서도 보양약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보신양, 장근골, 거풍습하는 효능이 있어 양위유정, 궁랭불잉, 소복냉통, 소변불금, 풍습비통, 요슬산통 등을 치료한다고 하여 신양의 부족에 의한 증상에 활용되고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험자료를 상세히 기술한다.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열수추출의 방법으로 각 성분의 혼합물을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먼저, 선별되고 적절한 크기로 다듬어진 건조된 석창포 4.0g, 원지 2.0g, 백복신 4.0g, 산사육 2.0g 및 파극천 2.0g을 혼합한다. 이 혼합물에 1.3ℓ의 순수를 가하고 100℃에서 3시간 열수추출을 행한 다음 영하 40℃에서 15시간 급속 동결하고, 0.23토르 이하의 압력에서 35시간 이상 진공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분말을 1.99g을 수득하였으며, 하기 시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측정
(1) 세포배양
정상 생쥐의 폐 섬유아세포는 BALB/c 생쥐의 폐조직을 4℃ 인산완충생리식염수(PBS)로 3회 세척한 다음 작은 조각으로 절단한 후 원뿔형 관 (conical tube, 15㎖)에 넣어 1,4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위 관에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 containing collagenase A(5mg/㎖, BM, Indianapoilis, IN, U.S.A.), DNase type (0.15mg/㎖, Sigma, U.S.A.), 항생제(페니실린 104U/, 스트렙토마이신 10mg/㎖, 암포테리신 B 25㎍/㎖)}를 넣고 37℃ CO2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시 0.5% 트립신-0.2% EDTA(ethylene diamine tetra acetic acid)를 첨가한 후 30분간 계속 배양한다. 배양 후 인산완충생리식염수(PBS)로 약 2회 1,500 rpm에서 원심분리한 후 DMEM-10% FBS에 1주일 동안 배양한다. 1주일 후 0.5% 트립신-0.2% EDTA로 생쥐 폐 섬유아세포를 분리하여 DMEM-5% 우태아혈청 (FBS) 배양액에 105cells/㎖ 농도로 맞추어 96 wells plate에 분주한다.
또한 RAW264.7 세포주는 DMEM-5% FBS 배양액에 105cells/㎖ 농도로 맞추어 96 well plate에 분주하였다.
(2) 세포독성 측정
세포독성 측정방법은 SRB(sulforhodamine B) assay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RAW264.7 세포주와 생쥐 폐 섬유아세포는 37℃, 5% CO2 배양기에서 자란 것을 트립신-EDTA 용액으로 단일 세포들이 되도록 떼어내고, 2.0×104개의 세포를 96 wells plate에 분주하고 배양기(37℃, 5% CO2)에서 2시간 배양한 후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을 최종 농도로 각각 200㎍/㎖, 100㎍/㎖, 50㎍/㎖, 10㎍/㎖, 1㎍/㎖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48시간 배양 종료 후에 배양액을 버리고 인산완충생리식염수(PBS)로 2회 세척한다. 각 well에 50% 트리클로로초산(TCA) 50㎕를 가하고 1시간 동안 4℃에 방치한 후 증류수로 5회 세척한 다음 well plate를 공기 중에서 건조한다. SRB(0.4% SRB/1% 초산) 용액을 100㎕/well로 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염색하고 0.1% 초산 용액으로 약 4~5회 세척한 다음 공기 중에서 건조하고 10mM Tris Base로 용해시켰다. 이 plate를 plate shaker에서 3.5speed로 5분간 shaking하고 ELISA reader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2> 산화질소(NO) 생성량 측정
RAW264.7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2×104 세포로 분주하고, 여기에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을 100㎍/㎖, 50㎍/㎖, 10㎍/㎖로 각각 처리하고 1시간 후 lipopolysaccharide(LPS) 0.1㎍/㎖를 각각의 well에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에 전체 배양액을 2,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하여 상등액을 회수한 후 다시 Griess 시약용액 A(0.2% naphthyl ethylene diamine dihydro chloride in D.W.)와 용액 B(2% sulfonyl amide in 5% H3PO4)를 1:1로 혼합하여 처리하였다. 다시 배양 상층액 100㎕를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혼합 용액 100㎕를 처리한 후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3> 세포내 활성산소종(ROS) 측정
RAW264.7 세포주 내의 ROS를 측정하기 위하여 24 well plate의 각 well에 5×105cells씩 첨가하고,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을 100㎍/㎖, 50㎍/㎖로 각각 처리하고 1시간 후 LPS (1㎍/㎖)를 처리한 다음 37℃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에 DCFH-DA (2', 7'-dichlorofluorescin-diacetate) 50μM을 처리하여 5분간 배양하고 2회 수세한 후 flow cytometer(Becton Dickinson, Co., USA)로 세포내 형광 ROS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1) 통계분석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평균±표준에러로 기록하였으며,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t-test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p<0.0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2)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생쥐 섬유아세포와 RAW264.7 세포주에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을 200, 100, 50, 10, 1㎍/㎖ 농도로 각각 처치하였는데, RAW264.7 세포주와 폐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에서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은 각각 200, 100, 50, 10, 1㎍/㎖ 농도의 경우 대조군(100%)에 비해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음을 표 1 및 도 1로부터 알 수 있다.
실험결과는 평균 ±표준에러로 표시하였고, 통계학적 결과 분석은 대조군과 비교한 T 분포 유의성 분석이며, * : p<0.05, ** : p<0.01이다.
RAW264.7과 생쥐 폐 섬유아세포에 대한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의 세포독성 대조군과 비교한 세포독성비율(%)
농도(㎍/㎖) RAW264.7 생쥐 폐 섬유아세포
대조군 100 100
1 98.6 97.7
10 97.4 95.6
50 93.1 91.3
100 90.6 85.6
200 88.1 81.5
(3) 산화질소(NO)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
RAW264.7 세포주에 LPS로 활성화하여 세포 배양 상층액에서 NO 생성량을 측정하였고, 검장선은 질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표 2에서처럼 RAW264.7 세포주 정상군의 NO 생성량은 9.3±2.2μM인데 비하여, LPS로 활성화시킨 대조군의 NO 생성량은 67.4±3.2 μM로 나타났다.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을 각각 100, 50, 10 ㎍/㎖ 처리군에서 NO 생성량은 각각 42.3±5.6, 54.6±3.8, 61.2±4.1 μM로 나타났는바, 이는 대조군에 비하여 100 ㎍/㎖의 농도에서는 37.2% (p<0.01)와 50㎍/㎖의 농도에서는 19.0% (p<0.05)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NO 생성을 억제하였음을 도 2로부터 알 수 있다.
RAW264.7 세포주에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을 각각 100, 50, 10㎍/㎖ 농도와 LPS 2 ㎍/㎖를 24시간 동안 동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상층액을 회수하여 산화질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분석은 대조군과 비교한 T 분포 유의성 분석이다.
RAW264.7 세포주에서 산화질소의 생성에 미치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의 억제 효과
Group NO synthesis (μM)
정상군 9.3±2.2
대조군(LPS) 67.4±3.2
ACM-100㎍/㎖ (LPS) 42.3±5.6**
ACM-50㎍/㎖ (LPS) 54.6±3.8*
ACM-10㎍/㎖ (LPS) 61.2±4.1
주 ) a) : 평균 ±표준에러
* : p<0.05,
** : p<0.01
(4)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의 세포내 활성산소종(ROS)의 분석
RAW264.7 세포주에 LPS로 활성화하고 ROS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배양 후 DCFH-DA로 형광염색하여 유세포형광분석기(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FACS)로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RAW264.7 세포주에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을 100, 50㎍/㎖ 농도와 LPS 2㎍/㎖ 를 48시간 동안 동시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배양 RAW264.7세포주를 회수하여 DCFH-DA로 형광 염색하여 ROS를 측정하였다. 결과 분석은 대조군과 비교한 T 분포 유의성 분석, 표 3 및 도 3에서처럼 RAW264.7 세포주에 LPS로 활성화시킨 대조군의 ROS 생성량은 46.9%(B)로 정상군(3.2%, A)에 비하여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ROS생성이 100㎍/㎖ (C)에서 28.1%, 그리고 50㎍/㎖ (D)에서 37.4%로 나타나 각각 대조군에 비하여 ROS 생성능이 40.0%와 20.2%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이 ROS 생산량을 억제하여 세포내에서 항산화 작용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RAW264.7 세포주에서 활성산소종 생성에 대한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의 억제 효과
Group 활성산소종 생산량
(DCFH-DA 활성세포율, %)
정상군 3.2
대조군(LPS) 46.9
ACM-100㎍/㎖ (LPS) 28.1
ACM-50㎍/㎖ (LPS) 37.4
주) a) : 평균 ±표준에러.
(5) 분석결과 종합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에서는 생쥐 폐 섬유아세포와 RAW264.7 세포주에 대하여 가장 고농도인 200 ㎍/㎖ 농도 이하에서 실험을 실시하였고, 모든 실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기존의 실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정상세포에 대하여 본 시료가 세포독성이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표 1, 도 1).
산화질소(NO)는 nitric oxide synthase(NOS) 효소에 의해 만들어지며, 체내 염증 과정에서는 과량의 NO가 만들어져 관절염을 비롯한 각종 급성, 혹은 만성 염증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OS는 I형과 II형, III형의 3종류가 있으며, 이 중 생체에서 항상성과 관련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I형이나 III형과 달리 II형은 inducible NOS(iNOS)로 사이토카인이나 세균 등에서 분비되는 LPS나 calcium ionophore에 의해 일부 세포에서 생성되며, 생성된 iNOS는 과량의 NO를 생성해 각종 염증질환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산된 과량의 NO는 그 자체로도 유전자 및 단백질에 독성을 나타내지만 활성산소의 하나인 과산화물 음이온(superoxide anion, O2 -)과 반응해 맹독성을 가진 peroxynitrite (ONOO-)를 생성하므로 더욱 강력한 독성 물질로 변화되어 암 형성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각종 염증의 발생 억제와 치료를 위해서는 iNOS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인체 내에서는 일생을 통하여 끊임없이 반응력이 큰 활성산소종(ROS)과 활성질소종(RNS)가 불가피하게 생성되고 이들은 세포내의 DNA나 기타 핵산 등과 반응하여 산화적 손상 및 변이를 유발한다.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많은 양의 산소 라디칼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는 내피세포의 허혈과 재관류 동안에 중성구의 활성화 기간에 보이기도 한다. 세포막 활성산소종과 산화질소의 활성화는 hydroxyl radical을 생성하고 활성산소종을 발생시키며 증가된 Ca2 +로 에너지 공급을 더욱 감소시키고 free radical들의 생성 증가를 초래하고 free radical들은 DNA 손상 외에도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에 의해 세포막을 손상시켜 세포사에 이르게 한다. 또한 모세혈관이나 혈액-뇌장벽(blood-brain barrier)의 사이토카인의 투과성을 높이게 되어 염증과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활성산소종과 유관하며 또한 산화질소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이 활성산소종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활성산소종 생성량은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투여군(100㎍/㎖ , 10㎍/㎖)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였다(도 3).
위 결과를 종합하면 복합생약제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생쥐 폐 섬유아세포 및 RAW264.7 세포주에 대하여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둘째, RAW264.7 세포주에서 산화질소 생성량을 50㎍/㎖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고,
셋째, RAW264.7 세포주에서 ROS 생성량을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Claims (3)

  1. 석창포 4.0 중량부, 원지 2.0 중량부, 백복신 4.0 중량부, 산사육 2.0 중량부 및 파극천 2.0 중량부의 혼합물로부터 수득되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50㎍/㎖ ~ 100㎍/㎖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증류수를 포함한 물에 가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3. 삭제
KR1020110015210A 2011-02-21 2011-02-21 항산화 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KR101290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210A KR101290921B1 (ko) 2011-02-21 2011-02-21 항산화 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210A KR101290921B1 (ko) 2011-02-21 2011-02-21 항산화 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719A KR20120095719A (ko) 2012-08-29
KR101290921B1 true KR101290921B1 (ko) 2013-07-29

Family

ID=4688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210A KR101290921B1 (ko) 2011-02-21 2011-02-21 항산화 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014A (ko) 2018-11-07 2020-05-18 이효준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105A (ko) * 2002-04-01 2003-10-10 퓨리메드 주식회사 기억능력 증진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KR100999227B1 (ko) * 2010-03-03 2010-12-07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매치료 및 억제용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105A (ko) * 2002-04-01 2003-10-10 퓨리메드 주식회사 기억능력 증진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KR100999227B1 (ko) * 2010-03-03 2010-12-07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매치료 및 억제용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임정화 등.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년, 제20권, 제4호, 페이지 997-1008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014A (ko) 2018-11-07 2020-05-18 이효준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719A (ko)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Tannin Components from Vaccinium vitis‐idaea L.
US20240189376A1 (en) Novel mushroom strains, extracts thereof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US11116747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proanthocyanidins and oenothein B
KR20110077131A (ko) 고장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 개선용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JP2012232920A (ja) 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幹細胞増殖因子mRNA発現上昇抑制剤、過酸化水素細胞障害の予防・改善剤及び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
KR20200128998A (ko) 천마 및 적하수오를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20100025992A (ko) 소나무로부터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1290921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KR100663876B1 (ko) 생리활성을 갖는 버섯균사체의 배양물
KR2009009209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2272237B1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JP2013126980A (ja) 韓薬材混合エキスを含有する抗酸化用又は美白用の化粧料組成物
JP6020155B2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CN102793643B (zh) 具有抗皮肤衰老功效的中药提取物组合物及其制法和用途
CN115802905A (zh) 阿拉伯辣木种子饼的蛋白质水解产物用于其用作药物的应用、获得其的方法及药物和皮肤病学组合物
KR102478898B1 (ko) 오리엔탈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피부 외용제 용도
Hu et al. Diarylheotanoid from Alnus hirsuta improves glucose metabolism via insulin signal transduction in human hepatocarcinoma (HepG2) cells
CN104840508A (zh) 黑荆树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060133608A (ko) 피부노화방지 및 주름억제 기능을 갖는 생약재조성물
KR102052522B1 (ko)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090097232A (ko) 가막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CN117797055B (zh) 一种改善皮肤老化的复方精油和含有其的护肤品组合物
KR102163015B1 (ko) 오미자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방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