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014A -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014A
KR20200053014A KR1020180135604A KR20180135604A KR20200053014A KR 20200053014 A KR20200053014 A KR 20200053014A KR 1020180135604 A KR1020180135604 A KR 1020180135604A KR 20180135604 A KR20180135604 A KR 20180135604A KR 20200053014 A KR20200053014 A KR 20200053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sent
antioxidant
active ingredient
g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252B1 (ko
Inventor
손호용
이효준
Original Assignee
이효준
주식회사 페이스블랑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세렌디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준, 주식회사 페이스블랑,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세렌디팜 filed Critical 이효준
Priority to KR1020180135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2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붓기 제거, 면역력 강화, 신진대사 증강 활성이 우수한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anti-oxidant)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강력한 DPPH 음이온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을 갖는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산화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의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통해 증명된 바와 같이, 활성 음이온, 활성 양이온 및 nitrite에 대해 매우 강력한 소거능을 나타내며, 우수한 환원력을 동시에 나타낸다. 상기 유효성분은 추출액, 분말, 환, 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약학 조성물, 건강 기능 식품 또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등의 용도로 적용되기에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XED EXTRACT OF VEGETABLE NATURAL PRODUCTS HAVING THE EFFECT ON REMOVAL OF SWELLING}
본 발명은 붓기 제거, 면역력 강화, 신진대사 증강 활성이 우수한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anti-oxidant)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강력한 DPPH 음이온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을 갖는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소 호흡을 하는 인체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피할 수 없으며,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활성화된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의 축척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즉, 유기물의 대사과정 중 최종 전자수용체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H2O)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지만, 비 정상적인 반응에 의해 과산화수소(H2O2), 슈퍼옥사이드(O2·), 하이드록시 레디칼(OH·) 등이 생성되면, 활성화된 산소종들은 세포 내 높은 라디칼 농도를 유지시켜 단백질 또는 DNA의 손상을 유발하고, 다양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결국 세포 구조가 손상되고 세포의 기능을 잃거나 변질된다(Choi et al.. 2008.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76-281). 또한, 최근의 연구결과는,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된 혈전 생성에 산화적 스트레스가 직접 연관되어 있으며(Bijak M 등, 2012, Thrombosis Res. 130, 123-128),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혈관 내 피브리노겐(fibrinogen)의 구조적 변화가 혈전 생성을 촉진하고, 혈류 흐름을 저해하여 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Martinez M 등, 2013. Free Radical Biol. Med. 65, 411-418). 실제 최근의 보고에 따르면, 생체 내의 산화적 스트레스는 발암, 노화, 치매, 염증 및 다양한 심혈관계 질병과 연관되어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Zhang et al., 2013. Chines J. Cancer biotheraphy, 20. 153-158; 조민현, 2014.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18: 7-12: 신정희 외,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 3561-3569). 따라서, 안정성이 확보되면서, 다양한 활성 라디칼을 제거할 수 있는 천연물 성분은 건강상 상당한 도움을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현재까지, 다양한 활성 산소종 및 라디칼 물질들을 소거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들이 항산화제로 개발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비타민 C(vitamin C), 비타민 E(vitamin E),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및 BHA(butylated hydroxy anisole) 등이 식품 첨가물, 건강 기능 식품 및 의약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강력한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화학합성 항산화제인 BHT 및 BHA의 부작용들이 보고(하현주 등, 2014. Korean J. Culinary Res. 20: 16-26; Choe and Yang, 1982.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83-288)되면서 화학합성 항산화제를 대치할 수 있는 강력한 천연물 항산화제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특히, 비타민 C와 같이 열에 약하며 매우 불안정한 물질들을 대치할 수 있는 내열성이 우수한 천연 항산화제 개발이 절실한 상태이다(Ahn et al., 2009.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266-272; Kim et al., 2009.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133-139).
한편, 사회의 고도화, 식문화의 인스턴트화 등에 따라 다양한 만성질환이 증가되고 있으며, 의약품보다는 안전성이 확인된 천연 약용작물을 이용한 질병 예방 및 개선에 많은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예컨대, 미나리(Oenanthe javanica (Blume) DC.)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방에서는 수근, 수영이라 부르면, 동의보감에서는 갈증을 풀어주고, 머리를 맑게 하며, 주독을 제거하고 황달, 부인병, 음주 후의 두통 및 구토에 효과적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는 간 기능개선, 해독작용, 중금속 배출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우엉(Arctium lappa)은 쌍떡잎 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 식물로서, 원산지는 유럽이며, 시베리아, 만주, 한국 등에 널리 분포한다. 국내에서는 경남을 중심으로 대량 재배되고 있으며, 특유의 향과 씹는 맛이 좋아 어린 순을 삶아 먹거나 뿌리를 먹는 근채류이다. 통상 생으로 먹지 않고 소금에 절이거나, 식초에 데치거나, 또는 간장에 졸여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그 뿌리를 우방근, 열매를 우방자, 줄기를 악실경이라 부르며, 그 용도를 엄격히 구분하고 있다. 식용으로 주로 이용되는 우엉 지하부는 점성이 있고 쓴맛을 가져 주로 간장에 졸여 식용하며, 이눌린, 비타민 B1, 아세트산, 아르크티제닌, 베타-카로텐, 부티릭산, 커피산, 클로로겐산, 코스틱산, 이소바레익산, 로릭산, 리그닌, 미리스트산, 프로피오닉산, 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구리, 크롬, 망간, 인, 셀렌, 규소, 아연 등 다량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엉은 항산화, 독소제거, 암세포 성장억제, 혈당조절 및 체중 감량에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박(Cucurbita moschata)은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열대 및 남아메리카가 원산이나 국내에서도 널리 재배하고 있다. 성숙 호박은 다량의 비타민 A와 비타민 B 및 C를 함유하여 비타민 원으로서 매우 중요하며, 베타 카로틴을 함유하여 노화방지에 도움을 주며, 다량의 식이섬유 함유로 장 건강 및 변비개선에 도움을 나타낸다.
질경이 잎(leaf of Plantago asiatica L.)은 질경이과(Plantaginaceae)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잎이 질기다하여 질경이라고 불리며, 잎 및 씨껍질(차전자피)을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이뇨, 설사완화, 방광염, 요로염 등에 사용하며, 간기능 활성화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팥(Phaseolus radiatus L.)은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 식물로서 한국, 중국, 일본 등의 동북아시아에서 주로 재배되며, 국내에서는 콩 다음으로 수요가 많은 두류이다. 팥알은 그 형태와 구조는 콩과 비슷하나, 적색 광택을 나타내며 콩과는 달리 중앙에 흰색 띠를 가지는 특징이 있으며, 8~9%의 수분, 68%의 탄수화물 및 20%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적으로 매우 우수하다. 특히, 팥은 비타민 B1을 포함한 각종 비타민, 칼륨, 칼슘, 인 등의 미네랄 및 쌀에 부족한 라이신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각기병 및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으며, 아미노산 부족을 해소하여 단백질 생산에 도움을 주며, 탄수화물 대사 촉진의 유익한 기능을 나타내어 영양보충용 식품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팥은 두류 중에서도 특이하게 세포벽 외부의 열 응고성 단백질을 가지며, 이들이 가열시 우선적으로 열 변성되므로 풀처럼 되지 않고 앙금이 만들어질 수 있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주로 팥죽, 팥 앙금, 양갱, 빙과 제조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팥 음료 및 팥을 이용한 장류 발효식품 등의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개발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팥을 적소두로 불리며 설사, 이질, 수종, 비만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고 있으며, 팥 삶은 물을 민간에서는 이뇨 및 배변 촉진작용을 통한 붓기 제거용 및 다이어트 음료로 애용하여 왔다.
검정콩(Glycine max (L.) Merr)은 흑두, 서리태, 블랙빈(black beans) 등으로 불리며, 다량의 단백질, 비타민과 이소플라본과 같은 노화억제, 시스테인과 같은 탈모방지 성분이 확인되어 있다. 또한, 검정콩은 시력 증진, 해독 작용 및 소갈(消渴)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약콩'이라 불릴 만큼 한국의 전통 식문화에 중요한 기능성 소재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연구결과, 탈모예방, 부종 제거에 효과적임이 알려져 있다.
대추(Zizyphus jujuba)는 갈매나무과의 대추나무의 열매로 목밀, 조, 홍조라고 불리며, 국내 관혼상제의 필수적인 과실로 과육에는 주로 당분이 들어 있으며, 점액질·능금산·주석산 등도 들어 있다. 씨에는 베툴린·베투릭산·지방 등이 포함되어 있다. 대추는 생으로 식용할 뿐만 아니라, 건조하여 과자 제조, 요리 및 약용으로 사용한다. 또한, 가공하여 대추술, 대추차, 대추식초, 대추죽 등으로도 활용되며, 특히 한방에서는 이뇨·강장제 및 건위진정·완화제, 폐렴, 기관지염 및 기침 등을 치료 완화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생강(Zingiber officinale)은 생강과(Zingiberaceae)의 아열대, 열대산 다년생 초본식물의 하나로서, 지하부 근경은 특이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어, 국내에서는 마늘, 고추와 함께 3대 향신료로 이용되고 있다. 생강은 그대로 식품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김치, 젓갈, 과자류 등의 다양한 식품산업에 양념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건조한 생강(건강 또는 건조분말), 올레오레진(생강 함유지), 생강 정유 등의 제품 형태로 가공되어 식의약 소재 및 화장품 소재로 이용되기도 한다(김선희 2013.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실제 생강은 본초강목에 백사(백가지 질병)를 방지한다고 기술될 만큼 다양한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건위약 및 소화불량, 구토, 진통에 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생강의 생약명은 [건강]이며, 일반인은 [새앙]으로도 많이 부른다. 고려시대에는 왕의 하사품으로 사용될 만큼 진기하였으며, 인도의 고대의학서적 [아유르데바]에는 '신이 내린 치료제'로 소개되어 있다.
현재까지, 상술한 식물성 천연물 소재의 항산화 활성과 관련된 연구로는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 (황초롱 외,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0, 316-320), "우엉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독성 평가" (문지선 외, 2017, 한국유화학회지, 34, 41-49), "우엉 뿌리의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김미선 외, 2014,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1, 727-734), "호박분말 효소가수분해물의 항산화활성" (오창경 외,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 172-178), "질경이(Plantago asiatica L.) 추출물이 고지혈 유발 흰쥐의 항산화활성 및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박성진 외, 2011,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8, 383-389)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관련 특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8568호 "우엉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조성물", 등록특허 제10-1453455호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등록특허 제10-1544543호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는 질경이와 허브의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0-1793153호 "검정콩잎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놀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등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51597호 "우엉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공개특허 제10-2016-0046455호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미나리가 함유된 천연조미료의 제조방법" 등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천연물의 복합 조성물 추출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3573호에 건강, 서목태, 당호박, 더덕, 도인, 석창포, 송로버섯, 신선초, 오가피, 원지, 육종용, 적소두, 조협, 천산설련, 청피, 행인, 치마버섯, 녹차, 감송향, 대두황권, 백합 및 시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약재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10-1290921호에 석창포, 원지, 백복신, 산사육, 파극천의 혼합물로부터 수득되는 추출물로서 "항산화 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두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을 각각 동일 중량비로 첨가한 후 이를 열수 추출한 추출물의 우수한 관능성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특허나 연구는 알려진 바 없다.
KR 10-1423573 B KR 10-1290921 B
황초롱 외,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0, 316-320 문지선 외, 우엉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독성 평가, 2017, 한국유화학회지, 34, 41-49 박성진 외, 질경이(Plantago asiatica L.) 추출물이 고지혈 유발 흰쥐의 항산화활성 및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2011,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8, 383-38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두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산화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의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통해 증명된 바와 같이, 활성 음이온, 활성 양이온 및 nitrite에 대해 매우 강력한 소거능을 나타내며, 우수한 환원력을 동시에 나타낸다. 상기 유효성분은 추출액, 분말, 환, 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약학 조성물, 건강 기능 식품 또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등의 용도로 적용되기에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 추출물 분말 및 (나) 10% 수용액의 상등액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의 혼합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효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각각 동일 중량비로 첨가한 후, 가수하고, 고온에서 16시간 이상 추출하여 추출액을 조제하고 이를 분무건조하여 추출물을 조제하였으며, 이의 관능성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여 상기 추출물이 관능성과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인간 적혈구에 대해 용혈 활성은 전혀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열 안정성과 산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추출물을 항산화용 조성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민간에서 다양한 생리 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이용하여 항산화 조성물로 개발하기 위하여, 상기 7종의 식용 또는 약용의 식물성 천연물을 각각 동일 중량비로 혼합하고, 여기에 15배 중량비를 가수한 후, 100℃의 고온에서 16시간 이상 추출하여 추출액을 조제하고, 이를 분무건조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우수한 관능성과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1mg/ml 농도에서도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아 급성 독성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효능 실험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선, 세척된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세절하는 단계: 세절된 상기 7종 천연물을 100℃에서 16시간 이상 밀폐 조건에서 가열처리하여 추출하는 단계; 이후 열수 추출액으로부터 추출물을 조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의 관능성 및 항산화 활성 평가 및 활성 물질의 안정성 평가 단계의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상기 7종의 천연물은 동일 중량으로 혼합될 수 있으며, 열수 추출액은 감압건조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분말화 과정을 거쳐 분말 형태의 추출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단계들에 의하여 수득된 추출물을 대상으로 그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0.5mg/ml의 농도에서 다양한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평가한 결과, 2배 이상 우수한 DPPH 음이온 소거능과 1.5배 강력한 ABTS 양이온 소거능, 3.3배 강력한 nitrite 소거능, 1.78배 우수한 환원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관능성 또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혈장 내의 다양한 분해효소에 분해되지 않으며, 100℃의 열처리와 pH 2의 인체 위 내의 pH에서도 활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은 항산화용 약학 조성물의 용도이다.
상기 '항산화용'이라 함은 생체 내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각종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질환들은 각종 암, 치매, 염증 및 심혈관계 질환일 수 있으며, 상기 심혈관계 질환은 심근경색, 가슴 통증, 호흡 곤란, 의식 소실, 뇌졸중, 협심증, 고혈압, 두통, 운동 이상, 감각 이상, 시력 저하, 가슴 통증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에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 당 1 내지 5,000m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항산화용의 기능성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질환들은, 예를 들어, 암, 치매, 염증 및 심혈관계 질환일 수 있으며, 상기 심혈관계 질환은 심근경색, 가슴 통증, 호흡 곤란, 의식 소실, 뇌졸중, 협심증, 고혈압, 두통, 운동 이상, 감각 이상, 시력 저하, 가슴 통증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 예컨대, 천연 탄수화물 및 다양한 향미제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등의 천연 향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을 사용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 100중량부 당 0.01 내지 약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항산화 용도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산화 활성에 따른 효과는, 예를 들어, 색소 침착 개선, 미백 효과,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이다. 이러한 함량 범위에서 적절한 제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목적하는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 외에도 본 발명의 유효 활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항산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재생 촉진의 효과를 위한 공지의 천연물 추출물이나 기타 성분을 추가로 포함시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들, 예를 들면,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와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나 담체를 포함하여 특정 제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팩,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팩트, 립글로즈, 립스틱, 섀도우, 샴푸 및 린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추출물의 조제 및 관능성 평가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 식용 또는 약용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각각 구입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선별한 후, 세절하고, 상기 7종 천연물을 각각 동일 중량비로 첨가한 후, 이의 15배 중량비를 가수하고, 이를 밀폐 조건, 100℃에서 16시간 이상 열수 추출하였다. 이때, 14시간 이하로 열수 추출때까지는 질경이 잎 등의 섬유소 분해가 나타나지 않아 제대로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특유의 풋내가 나타나 관능성이 낮았다. 따라서, 16시간 이상 추출시 추출물은 충분한 열수 추출과 관능성 향상이 매우 증대된다. 한편,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품명 '라온차'라는 명칭으로 공지되어 있는 제품의 원료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약용 또는 식용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로 제조된 기존 시판 제품 2종(시판 제품 1: 정진 농업회사법인의 '목애' 제품으로서 조청, 배, 도라지, 오미자를 함유, 시판 제품 2: (주)메가바이오숲의 '공미' 제품으로서 진피, 대나무잎, 황기, 복령, 창출, 소맥, 계지, 연자육, 노근, 지황, 창출 및 옥수수 수염을 함유)과 본 발명의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색차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 분말 및 10% 수용액 상등액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색차 분석은 Hunter Color Difference meter(Super color SP-80 Colormeter, Tokyo Denshoku C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명도(백색 100 ~ 0 검정색), 적색도(적색 100 ~ -80 녹색), 황색도(황색 70 ~ -80 검정색)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백판의 색도는 L값이 92.44, a값이 -0.06, b값이 1.35로 기준을 정하였으며, 시료당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여 나타내었고 색차(△E)는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표 1]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색차 분석
Figure pat0000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의 경우, 95% 이상의 매우 높은 brix를 나타내었으며, pH는 기존 시판 제품 2와 유사한 4.9로 나타났다. 그러나, 산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0.8을 나타내어 쉽게 음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기존 제품과 본 발명의 추출물을 9.5 brix로 조정한 후 관능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관능 평가는 식품영양학 전공의 전문가 10명 및 20대 소비자 40명을 대상으로 맛, 향 및 전체적 선호도로 구분하여 7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표 2] 추출물의 관능성 평가
Figure pat00003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은 기존 천연물 복합 추출물인 시판 제품 1에 비해1.36점 이상의 전체적 선호도 상승이 확인되었으며, 맛, 향, 목넘김, 입안 잔류감 모두에서 증가된 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낮은 산도로 인해 자극도가 낮으면서 당도가 낮아, 지속적인 음용이 용이하리라 판단된다.
실시예 2: 추출물의 성분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추출물의 성분 분석으로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당 및 환원당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 검액 400μl에 50μl의 Folin-ciocalteau, 100μl의 Na2CO3 포화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tannic acid를 사용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의 시료를 18시간 메탄올 교반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 검액 400μl에 90% diethylene glycol 4ml를 첨가하고 다시 1N NaOH 40μl를 넣고 37℃에서 1시간 반응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rutin을 사용하였다. 환원당은 DNS법으로, 총 당은 phenol-sulfuric acid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시료 대조구로는 유사한 천연물 복합 추출물 시판 농축 스틱제품 2종을 사용하였고, 본 발명의 추출물은 분말을 10% 용액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표 3] 추출물의 성분 분석 결과
Figure pat00004
그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함량은 2.10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915mg/g으로 나타났으며,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 각각 47.1mg/g 및 8.2mg/g으로 나타났다.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기존 시판 제품 2와 비교하면 68% 수준이나, 시판 제품 1과 비교시는 1.78배 높은 양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기존 제품의 4.9~35.2배 높았으며,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 각각 9~20% 및 2.5~7.6%를 포함하고 있었다. 따라서, 기존 시판 제품들과 비교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낮은 당 함량을 가진 것이 특징이었다.
실시예 3: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조제된 본 발명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추출물을 DMSO(dimethylsulfoxide)에 녹인 후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 ABTS[2,2-azobis (3-ethylbenzo thiazoline-6-sulfonate)]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 측정에 사용하였다. 먼저, DPPH 소거능의 경우 다양한 농도로 희석한 시료 20μl에, 99.5% 에탄올에 용해시킨 2x10-4M DPPH 용액 380μl를 넣고 혼합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16nm에서 microplate reader(Asys Hitech, Expert96, Asys Co., Austria)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시료첨가구와 비첨가구의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ABTS 소거능의 경우, 7mM ABTS(Sigma Co., USA) 5ml와 140mM potassium persulfate 88ml를 섞은 후 상온에서 16시간 빛을 차단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켰으며, 이후 이 용액을 414nm에서 흡광도 값이 1.5가 되도록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조제된 희석용액 190ml와 다양한 농도로 조제된 시료 10ml를 혼합한 후 상온에서 6분간 반응시킨 후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다음의 식에 의해 ABTS radical 소거능을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5
한편, nitrite 소거능 측정의 경우, 아질산염 용액(1mM)에 시료용액을 가하고, 여기에 0.1N HCl을 가해 pH 1.2로 조정한 후,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Griess reagent(Sigma Co., USA)를 가하고 혼합하였다. 이후, 15분간 실온에서 방치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존 nitrite 양을 측정하였다. nitrite 소거능(%)는 다음의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6
또한, 추출물의 환원력 평가의 경우, Oyaizu 등의 방법을 변형(안선미 등, 2011. J. Life Sci. 21: 576-583)하여 측정하였다. 에탄올에 용해한 시료 2.5ml에 0.2M sodium phosphate buffer(pH 6.6) 2.5ml와 10% potassium ferricyanide 2.5ml를 첨가하고, 50℃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10% trichloroacetic acid 2.5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4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상등액은 증류수로 2배 희석한 후, 신선하게 조제된 0.1% ferric chloride 용액과 5:1(v/v) 비율로 혼합하고 7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상기의 항산화 실험에서 대조구로는 vitamin C(Sigma Co., USA)를 사용하였으며, 용매 대조구로는 DMSO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활성 평가는 각각 3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과 편차로 표시하였으며(표 4), 최종적으로 각각의 항산화능은 50% 라디칼 소거능에 필요한 추출물의 농도(RC50)로 나타내었다.
[표 4]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Figure pat00007
그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을 10배 희석하여 9.5brix로 조정한 후 다양한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평가한 결과, 기존 천연물 복합 추출물인 시판 제품 1보다 2배 이상 우수한 DPPH 음이온 소거능과 1.5배 강력한 ABTS 양이온 소거능, 3.3배 강력한 nitrite 소거능, 1.78배 우수한 환원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Vitamin C와 비교한 항산화능 평가 결과, 특히 우수한 양이온 소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타민 C의 DPPH 음이온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Nitrite 소거능에 대한 RC50는 각각 9.3, 4.7 및 15.4μg/ml로 계산되었으며, 본 발명의 추출물의 DPPH 음이온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Nitrite 소거능에 대한 RC50는 각각 164.2, 204.3 및 946.6μg/ml로 계산되었다.
실시예 4: 추출물의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 평가
본 발명의 추출물의 원료인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은 과거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어 온 바, 그 추출물은 별도의 특이한 독성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잠재적 급성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용혈 활성은 기존의 보고(정인창, 손호용, 2014년,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2: 285~292)에 준해 평가하였으며, 간단하게는 PBS로 3회 수세한 인간 적혈구 100μl를 96-well microplate에 가하고 다양한 농도의 시료용액 100μl를 가한 다음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으며, 이후 반응액을 10분간 원심분리(1,500rpm)하여 상등액 100μl를 새로운 microtiter plate로 옮긴 후 용혈에 따른 헤모글로빈 유출 정도를 414nm에서 측정하였다. 시료의 용매 대조구로는 DMSO(2%)를 사용하였으며, 적혈구 용혈을 위한 실험 대조구로는 Triton X-100(1mg/ml)를 사용하였다. 용혈 활성은 다음의 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8
[표 5] 추출물의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
Figure pat00009
먼저, 대조구로 사용된 DMSO와 증류수는 적혈구 용혈 활성이 없었으며, Triton X-100은 1mg/ml 농도에서 적혈구를 100% 용혈시킴을 확인하였다. 항진균제 및 항암제로 사용되고 있는 엠포테라신 비의 경우, 0.025mg/ml 농도에서도 85.3%의 강력한 용혈 활성이 나타났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 및 시판 천연물 복합 추출물인 시판 제품 1과 시판 제품 2의 경우, 모두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별도의 급성 독성 유발의 문제점을 나타내지 않으리라 판단된다.
실시예 5: 추출물의 혈장, 산 및 열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조제된 본 발명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에 대한 혈장 안정성, 열 안정성 및 산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100 ℃에서 1시간 열 처리, pH 2(0.01M HCl)에서의 1시간 처리, 혈장에서 1시간 처리시에도 DPPH 음이온 및 ABTS 양이온에 대한 소거능의 심각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아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소화 흡수 과정 및 식품 제조 과정 중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3)

  1.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약학 조성물.
  2.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건강 기능 식품.
  3. 미나리, 우엉, 호박, 질경이 잎, 팥, 검정콩,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35604A 2018-11-07 2018-11-07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149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04A KR102149252B1 (ko) 2018-11-07 2018-11-07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04A KR102149252B1 (ko) 2018-11-07 2018-11-07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014A true KR20200053014A (ko) 2020-05-18
KR102149252B1 KR102149252B1 (ko) 2020-09-01

Family

ID=70912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604A KR102149252B1 (ko) 2018-11-07 2018-11-07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2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902B1 (ko) * 2020-12-01 2021-06-16 주식회사 티르티르 붓기 개선용 조성물과 그 조성물의 생성에 사용되는 분무건조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538184B1 (ko) * 2022-04-21 2023-05-31 조정민 호박차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호박차
WO2023149791A1 (ko) * 2022-02-07 2023-08-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소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부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875B1 (ko) 2021-11-19 2022-04-21 주식회사 함소아제약 비만 예방 및 혈당 감소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921B1 (ko) 2011-02-21 2013-07-2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KR20140034645A (ko) * 2012-09-12 2014-03-2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40047335A (ko) * 2012-10-12 2014-04-22 한재미나리영농조합법인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423573B1 (ko) 2007-07-02 2014-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573B1 (ko) 2007-07-02 2014-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90921B1 (ko) 2011-02-21 2013-07-2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KR20140034645A (ko) * 2012-09-12 2014-03-2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40047335A (ko) * 2012-10-12 2014-04-22 한재미나리영농조합법인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문지선 외, 우엉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독성 평가, 2017, 한국유화학회지, 34, 41-49
박성진 외, 질경이(Plantago asiatica L.) 추출물이 고지혈 유발 흰쥐의 항산화활성 및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2011,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8, 383-389
영양소 분류. 카페 게시글 (주마니아 암 자연치유센터). 2016.11.06.* *
우관식 외. 품종별 팥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한국식품과학회지. 제42권 제6호, 2010, pp. 693-698* *
최고의 건강식품 '녹즙'. 카페 게시글(암승모). 2016.08.07.* *
황초롱 외,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0, 316-320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902B1 (ko) * 2020-12-01 2021-06-16 주식회사 티르티르 붓기 개선용 조성물과 그 조성물의 생성에 사용되는 분무건조기 및 그 제조방법
WO2023149791A1 (ko) * 2022-02-07 2023-08-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소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부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38184B1 (ko) * 2022-04-21 2023-05-31 조정민 호박차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호박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252B1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252B1 (ko)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JP2017141201A (ja) 糖化阻害剤
JP2022173481A (ja) コラゲナーゼ阻害剤
KR20200106577A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붓기 완화용 조성물
KR20120024262A (ko)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292837B1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10265251A (ja) 血流促進改善剤
JP2023041873A (ja) 肝機能改善剤
JP6758623B2 (ja) ショウガオール及び/又はジンゲロールの吸収促進剤
JP200305524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該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を配合した皮膚化粧料及び飲食物
KR102149254B1 (ko)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JP2013184974A (ja) メイラード反応抑制剤及びその利用
KR100768830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개느삼 추출물
KR102252763B1 (ko) 색도가 감소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978507B1 (ko)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이 증가된 밀폐 열처리 생강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0193216A (ja) ショウガオール及び/又はジンゲロールの吸収促進剤
KR20200038691A (ko) 풋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JP7112786B2 (ja) ショウガオール及び/又はジンゲロールの吸収促進剤
KR101889431B1 (ko) 흑우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
JP6566658B2 (ja) 添加剤
KR102590758B1 (ko) 안토시아니딘 성분인 시아니딘, 델피니딘, 페튜니딘등을 함유한 빌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25560B1 (ko) 엘리오카퍼스 페티오라투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429214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425047B1 (ko) 로도덴드론 알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20118174A (ko) 항산화 작용을 갖는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