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781B1 - 펠렛 또는 장작을 사용할 수 있는 펠렛 화로대 - Google Patents

펠렛 또는 장작을 사용할 수 있는 펠렛 화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781B1
KR102478781B1 KR1020210097868A KR20210097868A KR102478781B1 KR 102478781 B1 KR102478781 B1 KR 102478781B1 KR 1020210097868 A KR1020210097868 A KR 1020210097868A KR 20210097868 A KR20210097868 A KR 20210097868A KR 102478781 B1 KR102478781 B1 KR 102478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ylindrical portion
tube
outer cylinde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7515A (ko
Inventor
안동호
민선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PCT/KR2022/00472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11579A1/ko
Publication of KR20220137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3/00Heaters not covered by group F24B1/00, e.g. charcoal braz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펠렛 화로대는, 이중 보호벽 형성을 위한 외부통부 및 외부통부 내부에 삽입되어 펠렛이 연소될 수 있도록 펠렛을 담을 수 있는 내부통부를 포함하고, 외부통부는, 중앙 부근에 형성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제1 하단면, 제1 길이의 높이로 형성된 외측 원통부, 개방부 하단에 부착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외부통부 안쪽으로 불어넣기 위한 통풍 팬, 통풍팬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외측 원통부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꺾여서 연장 형성된 제1 걸림턱부를 포함하고, 내부통부는, 제2 길이의 높이로 형성된 내측 원통부, 내측 원통부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꺾여서 연장 형성된 제2 걸림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펠렛 또는 장작을 사용할 수 있는 펠렛 화로대{Pellet Fire brazier capable of using pellet or firewood}
본 발명은 펠렛 화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로는 음식을 구워먹거나 주변을 따뜻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하지만, 최근에 캠핑장이나 가정에서 심신의 힐링 용도로 연소되는 불을 멍하니 쳐다보는 소위 불멍 화로가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불멍을 위한 화로는 장작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를 위해 나무 등의 장작을 연소하기 편한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렇지만, 장작의 경우, 일반 화로대에서 연소가 잘 되지 않은 경우가 있고, 연료 즉, 장작을 조금씩 화로대 안에 채워야 해서, 자주 장작을 채워져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했다. 또한 펠렛 등 연소 시 불안전 연소로 인해 많은 그을림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불멍의 효과가 줄어드는 문제점도 존재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7112 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의 숯불구이 장치)
본 발명은 펠렛을 한꺼번에 가득 채워두고 위에서부터 연소를 시켜 오랫동안 별도의 재료 충전을 하지 않아도 되는 취사 및 불멍용 화로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팬을 통해 외부 통기를 내부로 유입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펠렛 화로대롤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야외에서도 손쉽게 불완전 연소없이 펠렛과 타연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충전식 배터리 전원 장치를 구비하고, 다이얼을 통해 이용자의 의도에 따라 연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펠렛 화로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펠렛 화로대는, 이중 보호벽 형성을 위한 외부통부; 및 상기 외부통부 내부에 삽입되어 펠렛이 연소될 수 있도록 펠렛을 담을 수 있는 내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통부는, 중앙 부근에 형성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제1 하단면; 제1 길이의 높이로 형성된 외측 원통부; 상기 외측 원통부 외측에 부착된 손잡이; 상기 외측 원통부의 측면부 하단 주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외부 통풍 구멍; 상기 개방부 하단에 부착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외부통부 안쪽으로 불어넣기 위한 통풍 팬; 상기 통풍팬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외측 원통부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꺾여서 연장 형성된 제1 걸림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통부는, 제2 길이의 높이로 형성된 내측 원통부; 상기 내측 원통부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꺾여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턱부 에 얹혀질 수 있는 제2 걸림턱부; 중앙 부근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바닥층 통풍구멍이 형성된 제2 하단면; 상기 제2 하단면 아래에서 제3 길이로 떨어져 상기 제2 하단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단면을 통해 배출되는 재와 불꽃이 하부로 떨어져 통풍팬이 열에 의해 녹거나, 작동이 중단되는 것을 막기 위한 1개 이상의 하단 받침면; 상기 제2 하단면과 상기 하단 받침면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상기 내측 원통부 상단에 다수의 공기 홀이 다수의 열로 형성된 상측 통풍 구멍; 및 상기 내측 원통부 하단 주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하측 통풍 구멍;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 원통부의 제2 길이와 상기 제2 하단면과 상기 하단 받침면 사이의 제3 길이의 합은 상기 외측 원통부의 제1 길이보다 소정 길이 이상 짧아, 상기 내부통부의 상기 제2 걸럼턱부가 상기 외부통부의 상기 제1 걸림턱부에 걸려 상기 내부통부가 상기 외부통부 내부에 삽입되어 걸쳐질 때, 상기 하단 받침면이 상기 제1 하단면에서 상기 소정 길이 이상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 원통부의 지름은 상기 외측 원통부의 지름보다 상기 제1 걸림턱의 연장 길이 이상으로 작아 상기 통풍팬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외부통부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내측 원통부와 상기 외측 원통부 사이의 틈을 공기 통로로 이용하여, 상기 상측 통풍 구멍, 상기 하측 통풍 구멍 및 상기 제2 하단면의 바닥층 통풍구멍을 통해 상기 내부통부 안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풍팬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부 및 상기 통풍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이얼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풍팬에 외부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전원 코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펠렛, 장작, 숯 및 차콜 중 적어도 하나를 연료로 사용하는 펠렛 화로대는, 이중 보호벽 형성을 위한 외부통부; 상기 외부통부 내부에 삽입되어 펠렛이 연소될 수 있도록 펠렛을 담을 수 있는 내부통부; 및 상기 외부통부와 상기 내부통부를 그 상부에 올려둔 채로 지지하고, 통풍팬을 통해 공기를 상기 외부통부 및 내부통부로 주입시키기 위한 하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통부는, 중앙 부근에 형성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제1 하단면; 제1 길이의 높이로 형성된 외측 원통부; 및 상기 외측 원통부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꺾여서 연장 형성된 제1 걸림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통부는,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의 높이로 형성된 내측 원통부; 상기 내측 원통부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꺾여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턱부 에 얹혀질 수 있는 제2 걸림턱부; 상기 내측 원통부 하단에 연결되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재와 불꽃이 하부통부로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제2 하단면; 상기 제2 하단면 중앙에서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 타공판 바닥 거치대; 상기 제2 하단면에서 소정 높이의 위치에서 상기 내측 원통부의 내부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타공판 측면 거치대; 상기 타공판 바닥 거치대 및 상기 타공판 측면 거치대를 통해 상기 내부통부의 상기 제2 하단면 위에서 소정 높이로 상기 제2 하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 거치되고,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되어 그 위에 연소를 위한 연료를 적재할 수 있는 타공판; 상기 내측 원통부 상단에 다수의 공기 홀이 다수의 열로 형성된 상측 통풍 구멍; 및 상기 내측 원통부 하단 주변에 상기 타공판의 거치 위치 아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하측 통풍 구멍; 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통부는; 상기 하부통부의 바닥 및 외측 원통 외벽을 형상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 개방면에서 중앙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공기를 상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하부 케이스 끝단에서 및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다수의 제1 방열판; 상기 다수의 제1 방열판 밑에서 소정 높이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의 크기보다 넓은 영역으로 형성되어 상단에서 볼 때 상기 토출구가 가려질 수 있도록 그 중심이 상기 토출구의 중심과 일치하며 상기 제1 방열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방열판; 상기 제2 방열판을 상기 제1 방열판에 고정시켜 상기 제2 방열판을 상기 하부통부 내부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중간 지지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 끝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외부통부가 상기 하부통부 위에 거치될 때 상기 외부통부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상기 하부통부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지지 단열재; 상기 제2 방열판 중 적어도 일부의 제2 방열판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통부의 개방부와 상기 하부통부의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열기를 차단하기 위한 방열판 단열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측면부 하단 주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외부 통풍 구멍; 상기 외부 통풍 구멍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 영역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하부통부의 토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통부의 개방부 안쪽으로 불어넣기 위한 통풍 팬; 상기 통풍팬의 온/오프 및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통풍 팬 및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통부의 제1 하단면은 상기 하부통부의 하부 케이스 상단 테두리에 대응하도록 걸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통부의 개방부는 상기 하부통부의 토출구보다 더 넓은 크기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원통부의 지름은 상기 외측 원통부의 지름보다 상기 제1 걸림턱의 연장 길이 이상으로 작아 상기 통풍팬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외부통부 개방부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내측 원통부와 상기 외측 원통부 사이의 틈을 공기 통로로 이용하여, 상기 상측 통풍 구멍, 상기 하측 통풍 구멍을 통해 상기 내부통부 안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펠렛 화로대는 펠렛을 한꺼번에 가득 채워두고 위에서부터 연소를 시켜 오랫동안 별도의 재료 충전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펠렛 화로대는, 팬을 통해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어 위에서부터 연료를 연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펠렛 화로대는, 야외에서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충전식 배터리 전원 장치를 구비하고, 다이얼을 통해 연소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되는 연소통 및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통해 열기의 전도 및 열기의 복사 전달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위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하단의 전자 부품이나 플라스틱 등에 손상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통과, 외부통부 내부통부가 분리되고, 내부통부도 타공판이 별도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어, 청소 및 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멍을 오랫동안 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소 시간을 갖는 장점뿐만 아니라, 완전 연소에 의한 재나 그을림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화로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화로대의 연소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렛 화로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렛 화로대의 하부통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렛 화로대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화로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펠렛 화로대(100)는 외부통부(200) 및 내부통부(300)를 포함한다. 외부통부(200)는 펠렛 화로대(100)의 이중 보호벽 형성을 하는 기능을 하며, 내부통부(300)는 외부통부(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펠렛이 연소될 수 있도록 펠렛을 담을 수 있는 기능을 하며, 외부통보에서 내부통보로 공기가 유입되어 펠릿연료가 연소될 수 있도록, 상층부, 중층부, 하층부, 바닥층부에 공기 유입 구멍이 있다.
외부통부(200)는 제1 하단면(202), 외측 원통부(203), 손잡이(204), 외부 통풍 구멍(205), 통풍팬(206), 제어부(207), 제1 걸림턱부(208)를 포함한다.
제1 하단면(202)은 중앙 부근에 개방부(201)를 포함하는 외부통부(202)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외측 원통부(203)는 제1 길이의 높이로 형성된 외측 벽이며, 이를 통해 외부통부(202)가 원통형 화로대의 외격을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204)는 외측 원통부(203)의 측면부 하단 주변에 형성되어 펠렛 화로대(100) 또는 외부통부(202)를 잡고 옮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이러한 손잡이(204)는 필요에 따라 제거하여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외부 통풍 구멍(205)은 외측 원통부(203)의 외측에 측면부 하단 주변에 형성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통풍 구멍이며, 외측 원통부(203)의 주변을 따라 일렬로 또는 다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통풍팬(206)은 개방부(201) 하단에 부착되어 외부 공기를 외부통부(202) 안쪽으로 불어넣는 기능을 하는 팬이다. 제어부(207)는 통풍팬(206)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하며, 통풍팬(206)의 온/오프 기능 또는 통풍팬(206)의 속도 조절, 그리고 통풍팬(206)의 동작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 제어부(207)는 통풍팬(206)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부는 충전식 배터리일 수도 있고, 일회용 배터리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7)는 통풍팬(206)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이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이얼부(미도시)를 통해 펠렛의 연소양, 연소 속도, 불꽃의 높이, 주변 온도 등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07)는, 통풍팬(206)에 외부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전원 코드를 포함하여, 외부 전원으로 동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걸림턱부(208)는 외측 원통부(203)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꺾여서 연장 형성된다. 제1 걸림턱부(208)은 내부통부(300)가 외부통부(200) 내측에 삽입될 때 상단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내부통부(300)는 내측 원통부(301), 제2 걸림턱부(302), 바닥층 통풍구멍(303), 제2 하단면(304), 하단 받침면(305), 연결부(306), 상측 통풍 구멍(307), 하측 통풍 구멍(308)을 포함한다.
내측 원통부(301)는 제2 길이의 높이로 형성되며, 원통형의 측면을 이루는 요소이다. 또한, 제2 걸림턱부(302)는 내측 원통부(301)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꺾여서 연장 형성된다. 제2 걸림턱부(30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턱부(208) 상단에 안착되어 내부통부(300)가 외부통부(200)에 안착되되 외부통부(200)의 하단면에서 소정 높이 이상 띄워져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하단면(304)은 중앙 부근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바닥층 통풍구멍이 형성된 바닥면이다. 받침면(305)은 제2 하단면(304) 아래에서 제3 길이로 떨어져 상기 제2 하단면(304)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단면(304)을 통해 배출되는 재와 불꽃이 하부로 떨어져 통풍팬이 열에 의해 녹거나 작동이 중단되는 것을 막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연결부(306)는 제2 하단면(304)과 상기 하단 받침면(305)을 연결하기 위한 기능을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연결부(306)들이 하단 받침면(305)의 테두리의 일 영역과 제2 하단면(304)의 테두리의 일 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된다.
통풍 구멍(307) 내측 원통부 상단에 다수의 공기 홀이 다수의 열로 형성된다. 하측 통풍 구멍(308)은 내측 원통부 하단 주변에 형성된다.
한편, 내측 원통부(301)의 제2 길이와 제2 하단면(304)과 하단 받침면(305) 사이의 제3 길이의 합은 외측 원통부(203)의 제1 길이보다 소정 길이 이상 짧아, 상기 내부통부(300)의 상기 제2 걸럼턱부(302)가 상기 외부통부(200)의 상기 제1 걸림턱부(208)에 걸려 상기 내부통부(300)가 상기 외부통부(200) 내부에 삽입되어 걸쳐질 때, 상기 하단 받침면(305)이 상기 제1 하단면(202)에서 상기 소정 길이 이상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한다.
또한, 상기 내측 원통부(301)의 지름은 상기 외측 원통부(203)의 지름보다 상기 제1 걸림턱(208)의 연장 길이 이상 작아 상기 통풍팬(206)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외부통부(200)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내측 원통부(301)와 상기 외측 원통부(203) 사이의 틈을 공기 통로로 이용하여, 상기 상측 통풍 구멍(307), 상기 하측 통풍 구멍(308) 및 상기 제2 하단면(304)의 바닥층 통풍구멍(303)을 통해 상기 내부통부(300) 안쪽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화로대의 연소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펠렛이 내부통부(300) 상단부까지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도 통풍팬(203)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통부(300)와 외부통부(200) 사이의 틈으로 들어와 내부통부(300)의 상단 및 하단 및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펠렛으로 공급될 수 있어, 펠렛더미 위측에서부터 차례대로 연소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렛 화로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렛 화로대의 하부통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렛 화로대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렛 화로대(400)를 살펴보면, 펠렛, 장작, 숯 및 차콜 중 적어도 하나를 연료로 사용하는 펠렛 화로대(400)는 외부통부(500), 내부통부(600) 및 하부통부(700)로 구성된다. 외부통부(500)는 이중 보호벽을 형성하고, 외부통부(500)와 내부통부(600) 사이에 공기 흐름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내부통부(60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내부통부(600)가 삽입되도록 하는 원통형 모양의 외부 케이스이다. 내부통부(600)는 외부통부(500) 내부에 삽입되고, 외부통부(500) 위에 얹혀져 그 내부에서 펠렛이 연소될 수 있도록 펠렛을 담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부통부(700)는, 외부통부(500)와 상기 내부통부(600)를 그 상부에 올려둔 채로 지지하고, 통풍팬(707)을 통해 공기를 상기 외부통부(500) 및 내부통부(600)로 주입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통부(500)는, 제1 하단면(502), 외측 원통부((503), 제1 걸림턱부(504)를 포함한다.
제1 하단면(502)는 외부통부(500)의 하단면을 형성하며 중앙 부근에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방부(501)를 포함한다. 외측 원통부(503)는 제1 길이의 높이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며 외측 외형부를 형성한다. 제1 걸림턱부(504)는, 외측 원통부(503)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꺾여서 연장 형성되어 걸림턱을 형성한다.
내부통부(600)는 내측 원통부(601), 제1 걸림턱부(602), 제2 하단면, 타공판 바닥 거치대(603), 타공판 측면 거치대(604), 타공판(605)을 포함한다.
내측 원통부(601)는 외측 원통부(503)의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의 높이로 형성된 원통형 몸체를 구성한다. 제2 걸림턱부(602)는, 내측 원통부(601)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꺾여서 연장 형성된다. 제2 걸림턱부(602)는 제1 걸림턱부(504) 위에 걸쳐져 내부통부(600)가 외부통부(500) 안쪽으로 삽입되어 그 위에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제2 하단면은 내측 원통부(601) 하단에 연결되어 원형으로 형성되며, 재와 불꽃이 하부로 떨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타공판 바닥 거치대(603)는 제2 하단면 중앙에서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되어 타공판(605)를 중앙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타공판 측면 거치대(604)는, 제2 하단면에서 소정 높이의 위치에서 상기 내측 원통부(601)의 내부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타공판(605)를 테두리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타공판(605)은, 상기 타공판 바닥 거치대(603) 및 상기 타공판 측면 거치대(604)를 통해 상기 내부통부(600)의 상기 제2 하단면 위에서 소정 높이로 상기 제2 하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 거치되고, 다수의 타공홀(606)이 형성되어 그 위에 연소를 위한 연료를 적재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타공홀(606)은 하측 통풍 구멍(608)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타공판(605) 위쪽의 펠렛 등의 연료로 유입될 수 있는 공기 통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내측 원통부(601)의 측면에는 상측 통풍 구멍(607)과 하측 통풍 구멍(608)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통풍 구멍(607)은 상기 내측 원통부(601) 상단에서 다수의 공기 홀이 다수의 열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측 통풍 구멍(608)은 상기 내측 원통부(601) 하단 주변에 상기 타공판(605)의 거치 위치 아래에 형성되고, 하나의 열 또는 다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측 통풍 구멍(607)과 하측 통풍 구멍(608)은 외부통부(500)의 개방부(50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외측 원통부(503)와 내측 원통부(601) 사이로 들어온 후, 내측 원통부(60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통로 구멍 기능을 한다.
한편, 하부통부(700)는, 하부 케이스(701), 제1 방열판(702A), 제2 방옆판(702B), 중간 지지대(710), 지지 단열재(704), 방열판 단열재(705), 외부 통풍 구멍(706), 통풍 팬(707), 제어부(708) 및 배터리부(709)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701) 상기 하부통부(700)의 바닥 및 외측 원통 외벽을 형상하며, 다수의 제1 방열판(702A)은, 상기 하부 케이스(701)의 상단 개방면에서 중앙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공기를 상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703)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하부 케이스 끝단에서 및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개 형성된다. 다수개의 제2 방열판(702B)은, 상기 다수의 제1 방열판(702A) 밑에서 소정 높이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703)의 크기보다 넓은 영역으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방열판(702B)은 상단에서 볼 때 상기 토출구(703)가 가져질 수 있도록 그 중심이 상기 토출구(703)의 중심과 일치하며 상기 제1 방열판(702A)과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방열판(702A)와 상기 제2 방열??(702B)는 도 3에서와 같이 측면에서 봤을 때 공기 흐름이 위 아래로 바로 연결되지 않고 지그재그로 흐르고 위쪽의 열기가 하단의 전자부품이나 모터, 모터 팬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즉, 공기는 통풍 팬(707)을 통해 위쪽으로 지그재그로 흘러 토출구(703)를 통해 위로 흐르게 하고, 뜨거운 열기는 하부로 직접 전달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이러한 방열판은 위에서부터 쏟아지는 복사열을 막아주며 공기흐름을 여러 번 돌려주어 열을 기능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중간 지지대(710)는 상기 제2 방열판(702B)을 상기 제1 방열판(702A)에 고정시켜 상기 제2 방열판(702B)을 상기 하부통부(700) 내부에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지지 단열재(704)는, 상기 하부 케이스(701)의 상단 끝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외부통부(500)가 상기 하부통부(700) 위에 거치될 때 상기 외부통부(500)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상기 하부통부(700)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지지 단열재(704)는 이음부의 진공도를 높여주어 공기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방열판 단열재(705)는 상기 제2 방열판(702B) 중 적어도 일부의 제2 방열판(702B)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통부(500)의 개방부(501)와 상기 하부통부(700)의 토출구(703)를 통한 열기가 복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방열판에 붙어 있는 방열판 단열재(705)는 초기 복사열을 막아 열을 초기 진압하여 50도 이하로 하부통부 온도를 유지하게 하고, 제2 방열판(702B)의 피로도를 현저하게 도와준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통풍 구멍(706)은 상기 하부 케이스(701)의 측면부 하단 주변에 다수개 형성된다. 외부 통풍 구멍(706)은 일렬 또는 다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통풍 팬(707)은, 상기 외부 통풍 구멍(706)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701) 내부 영역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하부통부(700)의 토출구(703)를 통해 상기 외부통부(500)의 개방부(501) 안쪽으로 불어넣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어부(708)는, 통풍팬(707)의 온/오프 및 속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다이얼식으로 구성되어 팬의 속도 조절을 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터리부(709)는 상기 통풍 팬(707) 및 상기 제어부(708)로 전원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고, 충전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통부(500)의 제1 하단면(502)은 상기 하부통부(700)의 하부 케이스 상단 테두리에 대응하도록 걸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통부(500)의 개방부(501)는 상기 하부통부(700)의 토출구(703)보다 더 넓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원통부(601)의 지름은 외측 원통부(503)의 지름보다 상기 제1 걸림턱(504)의 연장 길이 이상으로 작아 상기 통풍팬(707)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외부통부 개방부(501)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내측 원통부(601)와 상기 외측 원통부(503) 사이의 틈을 공기 통로로 이용하여, 상기 상측 통풍 구멍(607), 상기 하측 통풍 구멍(608)을 통해 상기 내부통부(600) 안쪽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펠렛 화로대는 펠렛을 한꺼번에 가득 채워두고 위에서부터 연소를 시켜 오랫동안 별도의 재료 충전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펠렛 화로대는, 팬을 통해 외부 통기를 내부로 유입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어 연소를 펠렛 위에서부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펠렛 화로대는, 야외에서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 충전식 전원 장치를 구비하고, 다이얼을 통해 연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400 : 펠렛 화로대 200, 500 : 외부통부
300, 600 : 내부통부
201, 501 : 개방부 202, 502 : 제1 하단면, 203, 503 : 외측 원통부
204 : 손잡이 205, 706 : 외부 통풍 구멍 206, 707 : 통풍팬
207, 707 : 제어부 208, 504 : 제1 걸림턱부
301, 601 : 내측 원통부 302, 602 : 제2 걸림턱부
303 : 바닥층 통풍구멍
304 : 제2 하단면, 305 : 하단 받침면
306: 연결부 307, 607 : 상측 통풍 구명 308, 608 : 하측 통풍 구멍
603 : 타공판 바닥 거치대, 604: 타공판 측면 거치대,
607 : 타공판 606 : 타공판 홀
700 : 하부통부 701: 하부 케이스 702: 방열판 703 : 토출구
704 : 지지 단열제 705 : 방열판 단열제
709: 배터리 710 : 중간 지지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펠렛, 장작, 숯 및 차콜 중 적어도 하나를 연료로 사용하는 펠렛 화로대에 있어서,
    이중 보호벽 형성을 위한 외부통부;
    상기 외부통부 내부에 삽입되어 펠렛이 연소될 수 있도록 펠렛을 담을 수 있는 내부통부; 및
    상기 외부통부와 상기 내부통부를 그 상부에 올려둔 채로 지지하고, 통풍팬을 통해 공기를 상기 외부통부 및 내부통부로 주입시키기 위한 하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통부는,
    중앙 부근에 형성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제1 하단면;
    제1 길이의 높이로 형성된 외측 원통부; 및
    상기 외측 원통부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꺾여서 연장 형성된 제1 걸림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통부는,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의 높이로 형성된 내측 원통부;
    상기 내측 원통부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꺾여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턱부 에 얹혀질 수 있는 제2 걸림턱부;
    상기 내측 원통부 하단에 연결되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재와 불꽃이 하부통부로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제2 하단면;
    상기 제2 하단면 중앙에서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 타공판 바닥 거치대;
    상기 제2 하단면에서 소정 높이의 위치에서 상기 내측 원통부의 내부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타공판 측면 거치대;
    상기 타공판 바닥 거치대 및 상기 타공판 측면 거치대를 통해 상기 내부통부의 상기 제2 하단면 위에서 소정 높이로 상기 제2 하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 거치되고,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되어 그 위에 연소를 위한 연료를 적재할 수 있는 타공판;
    상기 내측 원통부 상단에 다수의 공기 홀이 다수의 열로 형성된 상측 통풍 구멍; 및
    상기 내측 원통부 하단 주변에 상기 타공판의 거치 위치 아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하측 통풍 구멍;
    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통부는;
    상기 하부통부의 바닥 및 외측 원통 외벽을 형상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 개방면에서 중앙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공기를 상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하부 케이스 끝단에서 및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다수의 제1 방열판;
    상기 다수의 제1 방열판 밑에서 소정 높이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의 크기보다 넓은 영역으로 형성되어 상단에서 볼 때 상기 토출구가 가려질 수 있도록 그 중심이 상기 토출구의 중심과 일치하며 상기 제1 방열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방열판;
    상기 제2 방열판을 상기 제1 방열판에 고정시켜 상기 제2 방열판을 상기 하부통부 내부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중간 지지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 끝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외부통부가 상기 하부통부 위에 거치될 때 상기 외부통부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상기 하부통부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지지 단열재;
    상기 제2 방열판 중 적어도 일부의 제2 방열판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통부의 개방부와 상기 하부통부의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열기를 차단하기 위한 방열판 단열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측면부 하단 주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외부 통풍 구멍;
    상기 외부 통풍 구멍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 영역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하부통부의 토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통부의 개방부 안쪽으로 불어넣기 위한 통풍 팬;
    상기 통풍팬의 온/오프 및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통풍 팬 및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화로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통부의 제1 하단면은 상기 하부통부의 하부 케이스 상단 테두리에 대응하도록 걸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통부의 개방부는 상기 하부통부의 토출구보다 더 넓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화로대.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원통부의 지름은 상기 외측 원통부의 지름보다 상기 제1 걸림턱의 연장 길이 이상으로 작아 상기 통풍팬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외부통부 개방부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내측 원통부와 상기 외측 원통부 사이의 틈을 공기 통로로 이용하여, 상기 상측 통풍 구멍, 상기 하측 통풍 구멍을 통해 상기 내부통부 안쪽으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화로대.

KR1020210097868A 2021-04-02 2021-07-26 펠렛 또는 장작을 사용할 수 있는 펠렛 화로대 KR102478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4720 WO2022211579A1 (ko) 2021-04-02 2022-04-01 펠렛 또는 장작을 사용할 수 있는 펠렛 화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670 2021-04-02
KR20210043670 2021-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515A KR20220137515A (ko) 2022-10-12
KR102478781B1 true KR102478781B1 (ko) 2022-12-19

Family

ID=8359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868A KR102478781B1 (ko) 2021-04-02 2021-07-26 펠렛 또는 장작을 사용할 수 있는 펠렛 화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7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47832A1 (en) 2016-06-06 2017-12-07 Yu-Chia Lin Portable biomass stove
CN207035220U (zh) 2017-08-14 2018-02-23 陈胜兵 一种新型柴火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3613A2 (en) * 2005-03-29 2006-10-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mprovements in cooking stoves
KR20130007112U (ko) 2012-06-01 2013-1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적재능력을 개선한 피팅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KR20160019845A (ko) * 2015-02-17 2016-02-22 (주)호성에이엔씨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47832A1 (en) 2016-06-06 2017-12-07 Yu-Chia Lin Portable biomass stove
CN207035220U (zh) 2017-08-14 2018-02-23 陈胜兵 一种新型柴火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515A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1314B (zh) 利用热电发电的便携式燃烧设备
US6615821B1 (en) Camp stove
US20120060819A1 (en) High Efficiency Combustion Stove
US20060225724A1 (en) Solid-fueled cooking or heating device
KR101675992B1 (ko) 공기 순환식 난로
KR101291402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102478781B1 (ko) 펠렛 또는 장작을 사용할 수 있는 펠렛 화로대
US20180031246A1 (en) Cooking stove
WO2006086915A1 (fr) Four de combustion multifunction
KR101637100B1 (ko) 난방용 의자
KR101224417B1 (ko) 펠릿 난로
KR101758014B1 (ko) 휴대용 가스 온열장치
WO2022037396A1 (zh) 一种碳烤炉的出风结构
JP2021004711A (ja) 調理機能付きストーブ
WO2022037395A1 (zh) 一种多功能碳烤炉
KR101782594B1 (ko)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TW201701810A (zh) 可攜式焙燒裝置及使用該焙燒裝置的焙燒方法
WO2022211579A1 (ko) 펠렛 또는 장작을 사용할 수 있는 펠렛 화로대
KR101914590B1 (ko) 조립식 구들 구조체
JP3210124U (ja) ペレットストーブ
KR200425900Y1 (ko) 석탄 보일러
EP3040618B1 (en) Stove with removable burning chamber
CN220981383U (zh) 一种户外炊事气化炉
KR101634360B1 (ko)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KR102415462B1 (ko) 다목적 화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