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596B1 -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596B1
KR102476596B1 KR1020210173442A KR20210173442A KR102476596B1 KR 102476596 B1 KR102476596 B1 KR 102476596B1 KR 1020210173442 A KR1020210173442 A KR 1020210173442A KR 20210173442 A KR20210173442 A KR 20210173442A KR 102476596 B1 KR102476596 B1 KR 102476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plate
conveying roller
steel sheet
de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우
민병익
김진용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아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아이테크 filed Critical (주)제이아이테크
Priority to KR102021017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2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 시스템에 따라 형성된 데크플레이트는 전체적으로 아치 형상의 캠버(camber) 구조가 적용되어 제품길이가 긴 데크플레이트가 하중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Deck plate production system and deck plate system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길이가 긴 데크플레이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데크플레이트는 천정 내지 바닥 등의 구조에 사용하는 파형(波形)으로 성형된 판이다. 단면을 사다리꼴 모양 또는 사각형 모양으로 성형(成形, forming)함으로써 면외(面外) 방향의 강성(剛性)과 길이 방향의 내좌굴성(耐挫屈性)을 높게 한 판으로서 키스톤 플레이트(keystone plate, 파형강판)라고도 한다. 이하 관련된 선행문헌들을 소개한다. 하기 선행문헌에서의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0257호 '단부 보강 및 폐쇄를 위한 데크플레이트 헌치장치'는 포밍 완료된 데크플레이트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절단하고 절단된 양쪽 절단면 단부에서 동시에 헌치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배출되도록 하여 생산성이 높고, 단부 보강력이 일층 증대되도록 한 단부 보강 및 폐쇄를 위한 데크플레이트 헌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포밍된 데크플레이트의 단부 보강 및 폐쇄를 위한 헌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이송 방향에 설치되어 있는 베드와; 상기 베드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이송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왕복대와; 상기 왕복대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의 이송방향으로 정열되어 설치된 고정측 하부금형 및 가동측 하부금형과; 상기 베드의 선단에 설치되어 헌치 절곡 가공을 위해 이송 완료된 데크플레이트의 일측 단부를 고정시키는 데크플레이트 이송 유닛과; 상기 왕복대의 후단에 설치되어 이송 완료된 데크플레이트의 일정 길이를 절단하여 양쪽으로 분할된 절단면을 형성시키는 데크플레이트 절단유닛과; 상기 고정측 하부금형과 가동측 하부금형의 사이에 데크플레이트의 분할된 절단면이 위치되도록 상기 왕복대를 헌치 작업 위치까지 이송시키는 왕복대 이송수단과; 상기 왕복대의 상방에 지지 설치되어 헌치 위치에 도달되어 있는 데크플레이트를 고정시킨 후 양쪽 절단 단부를 굽힘 절곡시켜 폐쇄 단부로 성형시키는 상부 헌치유압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위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의 단부 보강 및 폐쇄를 위한 헌칭장치에 대한 언급만 있을 뿐 데크플레이트 전반에 대한 공정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으며, 이로부터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의 단부가 헌칭되는 것 외에는 기존의 데크플레이트와 구조상 큰 차이를 가지지 않았다.
또한, 큰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데크플레이를 적용하는 경우 데크플레이트가 하중 등에 의해 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0257호 '단부 보강 및 폐쇄를 위한 데크플레이트 헌치장치' (등록일자 2014년12월01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큰 구조물의 시공에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데크플레이를 적용함에 있어서, 데크플레이트가 하중에 의해 휘는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를 제조하는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헌칭된 말단을 갖는 데크플레이트(600)의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강판(110)이 감기는 코일축(120)과 상기 코일축(120)에 감긴 강판(11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130)를 구비하여 상기 강판(110)을 라인에 공급하는 강판 롤 공급모듈을 포함하는 강판 공급부(100); 상기 공급되는 강판(110)을 절곡하는 절곡롤러세트; 및 상기 공급되는 강판(110)을 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세트;를 포함하는 강판 절곡공정부(200); 상기 강판(110)을 라인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롤러세트; 및 공급되는 상기 강판을 성형하는 성형롤러세트;를 포함하는 강판 성형공정부(300); 성형된 상기 강판(110)을 절단하는 강판 절단부(400); 상기 성형되고 절단된 강판(110)의 말단을 헌칭하는 강판 헌칭부(500); 및 상기 헌칭이 완료된 데크플레이트(600)를 자성을 갖는 캐리어를 이용하여 라인 외부로 이송하는 데크플레이트 이송부(1000);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 성형공정부(300)의 이송롤러세트는 라인의 양 측에 위치하여 한쌍을 이루는 다수의 이송롤러프레임(310); 상기 이송롤러프레임(310)의 상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이송롤러(320); 및 상기 이송롤러프레임(310)의 하부에 상기 상부이송롤러와 대응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하부이송롤러(330);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600)에 아치 형상의 캠버 구조를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프레임(310)들 중 최말단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에 체결된 상부이송롤러(320)와 하부이송롤러(330)에 맞물려져 형성된 강판(110)의 기준 높이(h2) 및 상기 최말단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이송롤러프레임(310)에 체결된 상부이송롤러(320)와 하부이송롤러(330)에 맞물려져 형성된 강판(110)의 기준 높이(h2')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에 체결된 상부이송롤러(320)와 하부이송롤러(330)에 맞물려져 형성된 강판(110)의 기준 높이(h1)보다 낮게 설정되며, 상기 강판 절단부(400)에서 강판의 기준 높이(h3) 및 상기 강판 헌칭부(500)에서 강판의 기준 높이(h4)가 상기 기준높이(h2)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상기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600)에 관한 것으로서, 양 단부가 절곡되어 폐합 보강된 헌칭단부(640)와, 아치형의 상면인 상단융기부(610)와, 양측에 형성되는 아치형의 리브부(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데크플레이트(600)가 상기 상단융기부(610)에 결합되는 트러스형 조립철근(700)에 의해 병렬로 연결되는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트러스형 조립철근(700)은 상측 상현재 및 두 개의 하측 하현재로 이루어진 철근(720) 및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수평 돌출부(711)가 형성된 래티스 철근(710)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하측 하현재의 철근(720)들은 클램프(900)에 의해 상기 상단융기부(610)에 고정되되, 상기 클램프(900)는 상기 두 개의 하현재 철근(720)들을 파지하기 위하여 '凹'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트러스파지부(910)와, 상기 트러스파지부(910)의 양측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융기부(61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921)이 형성된 체결플레이트(920)를 포함하며, 상기 래티스 철근(710)은 래티스 클램프(800)에 의해 상기 상단융기부(610)에 고정되며, 상기 래티스 클램프(800)는 상기 상단융기부(61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821)이 형성된 체결플레이트(820) 및 양측에 각각 상기 래티스 철근(710)의 수평 돌출부(711)가 삽입되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래티스 삽입부(8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는 전체적으로 아치 형상의 캠버(camber) 구조가 적용되어 데크플레이트가 하중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은 강판 공급부에 포함하는 강판장력 조절모듈로 인해 코일축(120)에 감긴 강판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강판에 걸리는 장력을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에 의해 제조되는 복수의 데크플레이트들을 연결하기 위해 상단부에 트러스형 조립철근이 설치된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형 조립철근에 클램프 또는 래티스 클램프를 이용하여 파지시킴으로써, 일정한 하중에도 트러스형 조립철근이 데크플레이트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체결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강판 공급부의 강판 롤 공급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강판 강판공급부의 앞단에 결합된 강판장력 조절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강판 절곡공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강판 성형공정부와 강판 절단부 및 강판 헌칭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강판 헌청부의 헌칭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데크플레이트의 헌칭단부 하측에 결합되는 수밀용 커버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클램프의 적용설명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클램프의 적용사시도이다.
도 13은 래티스 클램프의 적용설명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래티스 클램프의 적용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상기 데크플레이트(600)는 도 8과 같이 단부가 절곡되어 폐합 보강된 헌치형으로 데크플레이트(600)에 관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아치 형상의 캠버 구조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캠버 구조에 의해 데크플레이트(600)에 부여되는 하중에 의해 휘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캠버 구조를 가지는 데크플레이트(600)를 제조하기 위한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상기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강판 공급부(100), 강판 절곡공정부(200), 강판 성형공정부(300), 강판 절단부(400), 강판 헌칭부(500) 및 데크플레이트 이송부(1000)를 포함한다.
먼저, 강판 공급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판 롤 공급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강판 롤 공급모듈은 강판(110)이 감기는 코일축(120)과 상기 코일축(120)에 감긴 강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130)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상기 코일축(120)에 감긴 강판(110)을 풀어 라인에 공급한다.
상기 강판 공급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판장력 조절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판 롤 공급모듈에 적용되는 강판(110)은 일반적으로 두께 1.1mm, 폭 1133mm의 강판재가 쓰이나 두께와 폭은 필요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강판(110)이 큰 중량과 장력을 가짐에 따라 강판 롤의 원활한 풀림 제어를 위하여 코일축(120)에 감긴 강판(110)의 롤 상부에 강판(11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130)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롤러(130)는 유압시스템에 의해 롤을 압박하고 풀어주게 된다.
또한, 상기 강판장력 조절모듈은 상기 강판 롤 공급모듈로부터 풀린 강판(110)이 후술하는 강판 절곡공정부(200)에 도입되기 전에 강판(110)의 장력을 제어하며, 이를 위해 후술하는 강판 절곡공정부(200)의 앞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판장력 조절모듈은 회전 가능한 조절축(140)과, 상기 조절축(140)의 양 말단에 설치되는 암(arm)(150)과, 상기 두 암(arm)(150)의 말단에 설치되는 롤러(160)와, 강판 장력의 상태에 따라 상기 조절축(140)의 회전여부를 제어하는 조절축회전제어모듈(1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의 라인에 이송되는 강판(110)은 5~30m/s의 속력으로 진행되어야 하므로 상기 코일축(120)에 감긴 강판(110)은 빠른 속도로 풀리다가, 강판(110)의 절단 공정 시에는 일시 멈추어야 하므로, 강판 롤 공급모듈에서 강판(110)의 풀림은 일시 중단된다. 이 때 코일축(120)으로부터 공급되는 강판(110)에 너무 강한 장력이 걸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상기 조절축(140)이 암(150)을 내려 롤러(160)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롤러(160)에 의해 강판(110)이 늘어지게 되어 강판(110)에 걸린 장력이 낮아지게 되고, 이후 다시 강판(110)의 이송을 위해 상기 조절축(140)으로부터 강판(110)이 풀려질 때에는 일정한 장력이 걸려야 하므로 상기 조절축(140)이 암(150)을 올려 롤러(160)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롤러(160)에 의해 늘어졌던 강판(110)이 당겨지면서 강판(110)에 장력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조절은 상기 조절축회전제어모듈(17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수동으로도 제어 가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강판 절곡공정부(200)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 강판 절곡공정부(200)는 크게 이송롤러세트와 절곡롤러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롤러세트는 강판(110)이 이송되는 라인의 양 측에 위치하여 한 쌍을 이루는 이송롤러프레임(210)이 다수 존재하며, 상기 이송롤러프레임(210)에는 한쌍의 상부이송롤러(220)가 연결된 축과 한쌍의 하부이송롤러(230)가 연결된 축이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롤러세트를 통해 강판(110)이 일정한 속도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송되는 강판(110)은 다수의 절곡롤러세트에 의해 양 측부가 압력을 받으면서, 점차 측부가 하향 절곡되어 평면에서 점차 ∪ 형태로 변화하게 된다.
이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강판(110)은 강판 절단부(400)에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는데, 이때 강판(110)에 절단 부위를 마킹하기 위하여 강판(110) 측부의 일부를 타공하여 홈을 형성하는 마킹모듈(240)이 상기 강판 절곡공정부(200)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강판 절단부(400)에는 상기 타공된 홈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이 구비되어 절단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타공된 홈을 상기 센서모듈이 감지하여 강판 절단부(400)에서 상기 타공된 홈으로부터 일직선으로 강판(110)을 절단하게 되며, 절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강판 헌칭부(500)가 헌칭 공정을 수행하여 데크플레이트(600)의 양 단부를 절곡하여 폐합 보강된 헌치형으로 마감한다. 상기 헌칭 공정은 데크플레이트(600) 양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헌칭시키는 공정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600)에 일정한 성형 및 전체적으로 아치형의 캠버 구조를 부여하기 위한 강판 성형공정부와(300), 그 이후에 설치되는 강판 절단부(400) 및 강판 헌칭부(500)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상기 강판 성형공정부(300)의 이송롤러세트는 라인의 양 측에 위치하여 한쌍을 이루는 다수의 이송롤러프레임(310)들과, 상기 이송롤러프레임(310)의 상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이송롤러(320) 및 상기 이송롤러프레임(310)의 하부에 상기 상부이송롤러와 대응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하부이송롤러(33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롤러프레임(320)은 내측에 있는 레일과 맞물리는 브라켓(340)과; 상기 브라켓(3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나사봉(350)과; 상기 나사봉(350)을 회전시켜 상기 브라켓(3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조작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송롤러프레임(320) 내측의 레일과 맞물리는 브라켓(340)의 상하를 조절함으로써 강판(110)의 기준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준높이는 상기 상부이송롤러(320) 및 하부이송롤러(330)에 맞물려 형성되는 강판의 높이를 의미한다.
특별히 데크플레이트(600)에 아치 형상의 캠버 구조를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강판 성형공정부(300)의 이송롤러세트를 구성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들 중에서 말단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 및 상기 말단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이송롤러프레임(310)에 각각 체결된 상부이송롤러(320) 및 하부이송롤러(330)에 맞물려서 형성되는 강판(110)의 각각의 기준 높이(h2, h2')가 그 사이에 위치하는 나머지 이송롤러프레임(310)들에 의해 형성되는 강판(110)의 기준 높이(h1)보다 낮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이송롤러프레임(310)들에 의해 이송되는 데크플레이트(600)의 상단융기부(610) 및 데크플레이트(600) 양측에 형성되는 리브부(620)에 일정한 아치 형상의 캠버 구조가 부여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강판 성형공정부(300)의 이송롤러세트를 구성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들 중에서 강판 절단부(400) 바로 앞인 말단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과 말단으로부터 4번째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에 의해 형성되는 강판(110)의 각각의 기준 높이(h2, h2')가 그 사이에 존재하는 즉, 말단으로부터 2번째 및 3번째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에 체결된 상부이송롤러(320) 및 하부이송롤러(330)에 맞물려서 형성되는 동일한 높이의 강판(110)의 기준높이(h1)보다 낮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판 절단부(400)에서 형성되는 강판의 기준높이(h3) 및 강판 헌칭부(500)에서 형성되는 강판(110)의 기준높이(h4)가 상기 말단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에 맞물려서 형성되는 기준높이(h2) 보다 낮아져야 한다. 이는 상기 기준높이(h3, h4)가 상기 기준높이(h2)보다 높을 경우 데크플레이트(600)에 형성된 캠버 구조가 다시 풀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강판 헌칭부(500)에서 형성되는 헌칭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헌칭 공정은 단부 측판 헌치절곡 단계, 단부 상판 헌치절곡 단계 및 헌치 가공된 데크플레이트 배출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단부 측판 헌치절곡 단계는, 도 7과 같이 한 쌍의 측판 헌치실린더(562)의 작동로드에 각기 연결된 측판 푸셔(564)가 데크플레이트(600)의 이송중심축으로 동시 이동하여 1차로 데크플레이트(600)의 양쪽 절단면측 측판이 절곡된다. 이후 측판 헌치실린더(562)는 후퇴 동작하여 측판 푸셔(564)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단부 상판 헌치절곡 단계는 상판 헌치실린더(572)가 동작하여, 상부금형(574)이 하강 동작하여 고정측 하부금형(516)과 가동측 하부금형(518)에 맞물림 결합된다. 이에 의해 2차로 데크플레이트(600)의 양쪽 절단면측 상판이 하방으로 굽힘 절곡된다. 굽힘 절곡이 완료되면, 상판 헌치실린더(572)의 역동작으로 상부금형(574)이 상승하여 원위치된다.
상기 단부 측판 헌치절곡 단계와 단부 상판 헌치절곡 단계가 완료되면, 데크플레이트(600)의 양쪽 절단면에서는 도 8과 같이 상면 및 측면에 절곡보강이 이루어지면서 단부가 폐쇄된다. 즉, 데크플레이트의 헌치 절곡 과정에서 양쪽 절단면에 2부분의 단부가 동시에 폐쇄된다.
그 다음으로, 헌치 가공된 데크플레이트 배출 단계에서는 가동측 하부금형(18)이 하강 동작한다. 따라서 데크플레이트(600)의 배출 방향으로 방해되는 장애물을 없어져서 데크플레이트(600)가 용이하게 이송 가능하게 되어 헌치 가공된 데크플레이트(600)가 반출방향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헌칭공정을 통해 데크플레이트(600)의 단부에 폐쇄된 상면 및 측면 에 일부 겹침형성이 되어 보강된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어 보강력이 증대되고, 슬래브 시공시 종래와 같이 단부를 폐쇄시키는 작업이 없어져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특허문헌 1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0257호에 이러한 헌칭 공정 프로세스 및 헌칭장치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헌칭 공정이 완료된 이후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600)를 이송하는 데크플레이트 이송부(1000)는 자성을 갖는 캐리어를 이용하여 헌칭 공정을 마친 데크플레이트(600)를 부착 후 들어올려 라인 외부로 이송 후 적재한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600)는 양 단부가 절곡되어 폐합 보강된 헌칭단부(640)가 형성되면서, 동시에 전체적으로 아치 형상의 캠버 구조가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캠버 구조로 인해, 데크플레이트(600)의 상단융기부(610)가 아치형으로 융기된 형태로 존재하며, 아울러 상기 데크플레이트(600) 양측에 형성되는 리브부(620) 역시 일정한 아치형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캠버 구조에 따른 아치 형성 정도는 시공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600)의 끝단이 절곡되어 폐합되면서 다수 강판이 겹쳐진 헌칭단부 하측(641)을 커버하여 수밀 강화를 위한 수밀용 커버(630)의 설명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의 강판 헌칭부(500)에서 헌칭공정이 이루어지면서 데크플레이트(600)의 헌칭단부 하측(641)은 수평으로 돌출되고, 절곡된 강판이 여러겹 폐합된 형태로 존재하는데, 완전한 폐합이 어려워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을 통해 물이 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밀용 커버(630)를 돌출된 헌칭단부 하측(641)에 결합시키면 수밀 강화에 따른 물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인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데크플레이트(600)가 트러스형 조립철근(700)에 의해 병렬로 연결된 것으로, 데크플레이트(600)의 상단융기부(610)에 상기 트러스형 조립철근(700)이 결합된다. 상기 트러스형 조립철근(700)은 상측 상현재 및 두개의 하측 하현재로 이루어진 철근(720)들과, 상기 철근(720)들에 래티스 철근(710) 용접된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래티스 철근(710)은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수평 돌출부(711)을 포함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은 트러스형 조립철근(700)이 데크플레이트(600)의 상단융기부(6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별도의 체결수단인 클램프(900) 및 래티스 클램프(8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1을 참고 상기 클램프(900)을 설명하면, 상기 2개의 하측 하현재의 철근(720)들은 클램프(900)에 의해 상기 상단융기부(610)에 고정된다. 이러한 클램프(900)는 상기 두개의 하현재 철근(720)들을 덮어 파지하기 위하여 '凹'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트러스파지부(910)와, 상기 트러스파지부(910)의 양측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융기부(61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921)이 형성된 체결플레이트(9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凹'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트러스파지부(910)는 상기 2개의 하현재 철근(720)들을 완전히 파지하므로 상기 클램프(900)가 트러스형 조립철근(7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종래에는 클램프(900)가 도 12와 같이 2개의 하현재 철근(720)를 각각 파지형태로 존재하였으나, 이 경우 상측 상현재 철근(720)으로 인해 중앙부에 나사 등을 체결하기 어려웠으며, 그로 인해 하중 발생 시 중앙부 절곡부위가 변형에 취약하여 클램프(900)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도 11과 같이 하나의 트러스파지부(910_에 2개의 하현재 철근(720)들이 모두 파지되는 형태로 개선하였으며, 그로 인해 클램프(900) 중앙부의 절곡 부분이 변형되지 않게 되었으며, 클램프(900) 설치가 수월하다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또 다른 체결수단인 래티스 클램프(800)에 대해 도 13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트러스형 조립철근(700)은 래티스 클램프(800)에 의해 상기 상단융기부(610)에 고정되며, 이를 위해 상기 래티스 클램프(800)는 상기 상단융기부(610)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821)이 형성된 체결플레이트(820) 및 양측에 각각 상기 래티스 철근(710)의 수평 돌출부(711)가 삽입되어 래티스 철근(710)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는 홈부(811)를 갖는 래티스 삽입부(8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이 개방된 홈부(811)에 상기 수평 돌출부(711)에 해당하는 래티스 철근(710)이 삽입되어 상측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며, 상기 체결공(821)은 볼트, 리벳 등에 의해 상기 래티스 철근(710)이 상기 상단융기부(610)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참고로, 종래에는 래티스 철근(710)을 상기 상단융기부(610)에 직접 용접하여 고정시켰으나, 노출부위에 그을림 및 강도 저하에 따른 이탈 및 그로 인한 구멍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고자, 도 14와 같이 양단에 각각 체결공(821)이 형성된 래티스 클램프(800)를 다수 적용하였으나, 체결공(821)이 많다 보니 시공 시 콘크리트 페이스트 누수 우려가 높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도 13과 같이 중심에 체결공(821) 하나만 형성하고, 2개 형성된 홈부(811)에 래티스 철근(710)을 삽입시킴으로써, 최소의 체결공(821) 형성은 물론높은 결합 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100. 강판공급부
110. 강판
120. 코일축
130. 가이드롤러
140. 조절축
150. 암(arm)
160. 롤러
170. 조절축회전제어모듈
200. 강판 절곡공정부
210. 이송롤러프레임
220. 상부이송롤러
230. 하부이송롤러
240. 마킹모듈
300. 강판 성형공정부
310. 이송롤러프레임
320. 상부이송롤러
330. 하부이송롤러
340. 브라켓
350. 나사봉
360. 핸들조작부
400. 강판 절단부
500. 강판 헌칭부
516. 고정측 하부금형
518. 가동측 하부금형
562. 헌칭실린더
564. 측판 푸셔
572. 상판 헌치실린더
574. 상부금형
600. 데크플레이트
610. 상단융기부
620. 리브부
630. 수밀용 커버
640. 헌칭단부
641. 헌칭단부 하측
700. 트러스형 조립철근
710. 래티스 철근
711. 수평돌출부
720. 철근
800. 래티스 클램프
810. 래티스 삽입부
811. 홈부
820. 체결플레이트
821. 체결공
900. 클램프
910. 파지부
920. 체결플레이트
921. 체결공
1000. 데크플레이트 이송부

Claims (7)

  1. 헌칭된 말단을 갖는 데크플레이트(600)의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강판(110)이 감기는 코일축(120)과 상기 코일축(120)에 감긴 강판(110)의 롤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강판(110)의 롤을 압박하거나 풀어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130)를 구비하여 상기 강판(110)을 라인에 공급하는 강판 롤 공급모듈을 포함하는 강판 공급부(100);
    상기 공급되는 강판(110)을 절곡하는 절곡롤러세트; 및 상기 공급되는 강판(110)을 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세트;를 포함하는 강판 절곡공정부(200);
    상기 강판(110)을 라인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롤러세트; 및 공급되는 상기 강판을 성형하는 성형롤러세트;를 포함하는 강판 성형공정부(300);
    성형된 상기 강판(110)을 절단하는 강판 절단부(400);
    상기 성형되고 절단된 강판(110)의 말단을 헌칭하는 강판 헌칭부(500); 및
    상기 헌칭이 완료된 데크플레이트(600)를 자성을 갖는 캐리어를 이용하여 라인 외부로 이송하는 데크플레이트 이송부(1000);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 공급부(100)는 상기 강판(110)의 장력을 제어하는 강판장력 조절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강판장력 조절모듈은 회전 가능한 조절축(140)과, 상기 조절축(140)의 양 말단에 설치되는 암(arm)(150)과, 상기 두 암(150)의 타측 말단에 설치되는 롤러(160)와, 강판 장력의 상태에 따라 상기 조절축의 회전여부를 제어하는 조절축회전제어모듈(170)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축회전제어모듈(170)은 상기 강판 롤 공급모듈에서 강판(110)의 풀림이 일시 중단되면 상기 조절축(140)의 암(150)을 내려 상기 롤러(160)에 의해 상기 강판 롤 공급모듈로부터 풀린 강판(110)을 눌러 늘어지도록함으로써 상기 강판(110)에 걸린 장력이 낮아지도록 하며, 상기 강판 롤 공급모듈에서 강판(110)의 풀림이 다시 개시되면 상기 조절축(140)의 암(150)을 올려 상기 롤러(160)에 의해 눌러 늘어진 강판(110)이 당겨지면서 일정한 장력이 걸리도록 제어하며,
    상기 강판 성형공정부(300)의 이송롤러세트는
    라인의 양 측에 위치하여 한쌍을 이루는 다수의 이송롤러프레임(310); 상기 이송롤러프레임(310)의 상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이송롤러(320); 및 상기 이송롤러프레임(310)의 하부에 상기 상부이송롤러와 대응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하부이송롤러(330);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600)에 아치 형상의 캠버 구조를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프레임(310)들 중 최말단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에 체결된 상부이송롤러(320)와 하부이송롤러(330)에 맞물려져 형성된 강판(110)의 기준 높이(h2) 및 상기 최말단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이송롤러프레임(310)에 체결된 상부이송롤러(320)와 하부이송롤러(330)에 맞물려져 형성된 강판(110)의 기준 높이(h2')가 상기 최말단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과 상기 다른 이송롤러프레임(310) 사이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에 체결된 상부이송롤러(320)와 하부이송롤러(330)에 맞물려져 형성된 강판(110)의 기준 높이(h1)보다 낮게 설정되며, 상기 강판 절단부(400)에서 강판의 기준 높이(h3) 및 상기 강판 헌칭부(500)에서 강판의 기준 높이(h4)가 상기 기준높이(h2)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프레임(310)은 내측에 있는 레일과 맞물리는 브라켓(340); 상기 브라켓(3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나사봉(350); 및 상기 나사봉(350)을 회전시켜 상기 브라켓(3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조작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130)는 상기 강판 절곡공정부(200)의 앞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절곡공정부(200)는 강판(110)의 절단 부위를 마킹하기 위하여 강판의 측부의 일부를 타공하여 홈을 형성하는 마킹모듈(240)이 설치되고,
    상기 성형된 상기 강판을 절단하는 절단부(400)에 타공된 상기 홈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이 구비되어 절단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의 강판 공급부(100), 강판 절곡공정부(200), 강판 성형공정부(300), 강판 절단부(400) 및 강판 헌칭부(500)를 거쳐 형성되는 강판(110)으로 이루어지며, 양 단부가 절곡되어 폐합 보강된 헌칭단부(640); 아치형의 상면인 상단융기부(610); 및 양측에 형성되는 아치형의 리브부(620);를 포함하여 캠버(camber) 구조를 가지는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캠버 구조는 상기 강판 성형공정부(300)의 이송롤러세트를 거치면서 형성되며,
    상기 강판 성형공정부(300)의 이송롤러세트는 다수의 이송롤러프레임(310)들 중 최말단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에 체결된 상부이송롤러(320)와 하부이송롤러(330)에 맞물려져 형성된 강판(110)의 기준 높이(h2) 및 상기 최말단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이송롤러프레임(310)에 체결된 상부이송롤러(320)와 하부이송롤러(330)에 맞물려져 형성된 강판(110)의 기준 높이(h2')가 상기 최말단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과 상기 다른 이송롤러프레임(310) 사이에 위치하는 이송롤러프레임(310)에 체결된 상부이송롤러(320)와 하부이송롤러(330)에 맞물려져 형성된 강판(110)의 기준 높이(h1)보다 낮게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강판 절단부(400)에서 강판의 기준 높이(h3) 및 상기 강판 헌칭부(500)에서 강판의 기준 높이(h4)도 상기 기준높이(h2)보다 낮게 설정됨으로써, 상기 데크플레이트(600)의 상단융기부(610) 및 양측의 리브부(620)에 모두 아치 형상의 캠버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헌칭단부(640)의 하측에 결합되는 수밀용 커버(6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7. 제5항에 따른 복수의 데크플레이트(600)의 상단융기부(610)에 결합되는 트러스형 조립철근(700)에 의해 병렬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 결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형 조립철근(700)은 상측 상현재와 두 개의 하측 하현재로 이루어진 철근(720) 및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수평 돌출부(711)가 형성된 래티스 철근(710)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하측 하현재의 철근(720)들은 클램프(900)에 의해 상기 상단융기부(610)에 고정되되, 상기 클램프(900)는 상기 두 개의 하현재 철근(720)들을 파지하기 위하여 '凹'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트러스파지부(910)와, 상기 트러스파지부(910)의 양측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융기부(61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921)이 형성된 체결플레이트(920)를 포함하며,
    상기 래티스 철근(710)은 래티스 클램프(800)에 의해 상기 상단융기부(610)에 고정되며, 상기 래티스 클램프(800)는 상기 상단융기부(61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821)이 형성된 체결플레이트(820) 및 양측에 각각 상기 래티스 철근(710)의 수평 돌출부(711)가 삽입되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래티스 삽입부(8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결합 시스템.
KR1020210173442A 2021-12-07 2021-12-07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 KR102476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442A KR102476596B1 (ko) 2021-12-07 2021-12-07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442A KR102476596B1 (ko) 2021-12-07 2021-12-07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596B1 true KR102476596B1 (ko) 2022-12-13

Family

ID=8443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442A KR102476596B1 (ko) 2021-12-07 2021-12-07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596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4320A (ja) * 1997-03-03 1998-09-14 Nisshin Steel Co Ltd 長手方向に曲率を有する長尺折板の成形方法
KR100259515B1 (ko) * 1997-10-15 2000-06-15 윤석봉 롤포밍기 및 롤포밍기용 스택커
JP3236475B2 (ja) * 1995-06-27 2001-12-1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溶接管の製造方法
KR100655962B1 (ko) * 2006-05-23 2006-12-11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보호용 외주링 제조장치
KR100797295B1 (ko) * 2006-12-21 2008-01-23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설비의 스트립 반곡방지장치
KR100860795B1 (ko) * 2007-06-07 2008-09-29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 포장용 내부보호링 제조장치
KR20090129098A (ko) * 2008-06-12 2009-12-16 무송기공(주) 언코일러
KR20110033452A (ko) * 2009-09-25 2011-03-31 김현화 2축 다열 제어가 가능한 엔씨 롤 피더 및 슬리터를 구비한 소재공급장치
KR101051122B1 (ko) * 2011-03-09 2011-07-21 태연기계주식회사 철근 자동 가공장치
KR20110106073A (ko) * 2010-03-22 2011-09-28 현대씨엔에스 주식회사 강판코일용 슬리팅장치의 장력불안흡수장치
KR101470257B1 (ko) 2013-12-20 2014-12-08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단부 보강 및 폐쇄를 위한 데크플레이트 헌치장치
JP6650792B2 (ja) * 2016-03-08 2020-02-19 Jfe建材株式会社 ロール成形方法
KR102184887B1 (ko) * 2019-08-14 2020-12-01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경사형 폐합 마구리부를 갖는 강재 데크의 제조방법 및 강재 데크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6475B2 (ja) * 1995-06-27 2001-12-1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溶接管の製造方法
JPH10244320A (ja) * 1997-03-03 1998-09-14 Nisshin Steel Co Ltd 長手方向に曲率を有する長尺折板の成形方法
KR100259515B1 (ko) * 1997-10-15 2000-06-15 윤석봉 롤포밍기 및 롤포밍기용 스택커
KR100655962B1 (ko) * 2006-05-23 2006-12-11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보호용 외주링 제조장치
KR100797295B1 (ko) * 2006-12-21 2008-01-23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설비의 스트립 반곡방지장치
KR100860795B1 (ko) * 2007-06-07 2008-09-29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 포장용 내부보호링 제조장치
KR20090129098A (ko) * 2008-06-12 2009-12-16 무송기공(주) 언코일러
KR20110033452A (ko) * 2009-09-25 2011-03-31 김현화 2축 다열 제어가 가능한 엔씨 롤 피더 및 슬리터를 구비한 소재공급장치
KR20110106073A (ko) * 2010-03-22 2011-09-28 현대씨엔에스 주식회사 강판코일용 슬리팅장치의 장력불안흡수장치
KR101051122B1 (ko) * 2011-03-09 2011-07-21 태연기계주식회사 철근 자동 가공장치
KR101470257B1 (ko) 2013-12-20 2014-12-08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단부 보강 및 폐쇄를 위한 데크플레이트 헌치장치
JP6650792B2 (ja) * 2016-03-08 2020-02-19 Jfe建材株式会社 ロール成形方法
KR102184887B1 (ko) * 2019-08-14 2020-12-01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경사형 폐합 마구리부를 갖는 강재 데크의 제조방법 및 강재 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99349B (zh) 风轮机叶片
CN109680931A (zh) 一种后浇带无顶撑支模加固装置及其施工方法
US7947209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water barrier in an unhardened roof tile
US11518067B2 (en) Method for forming fiber composite preforms
KR102476596B1 (ko)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
US4004874A (en) Apparatus for production of cast concrete members
WO1999039062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n insulation support sheet for use with an insulated roof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4863296A (zh) 一种整体模块式钢筋桁架楼层板及其施工方法
CN107724583B (zh) 一种空心楼盖及施工工法
KR100693279B1 (ko) 트러스거더의 자동용접장치
WO2013014157A1 (en) Hollow-core concrete slab
JP4444097B2 (ja) コンクリート成型装置
CN114045968B (zh) 一种叠合板的施工方法及建筑结构
CN109296117B (zh) 复合式中空内模板轻质隔墙及施工方法
KR101781354B1 (ko) 프리캐스트 아치부재의 제작을 위한 곡률가변형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아치부재의 제작방법
CN115367609A (zh) 一种楼板用免拆模板的吊装方法
KR100202270B1 (ko)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
CN113002021A (zh) 组装工装、片材式主梁的组装系统及铺放方法
CN113653239A (zh) 一种自承式钢筋桁架模板体系施工方法
US11364703B2 (en) Plant comprising a single facer, and method
JPS6350023Y2 (ko)
KR20200141573A (ko) 파이프라인 설치용 스팅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라인 설치시스템
CN214424517U (zh) 一种箱涵侧模移动机构
CN212799252U (zh) 一种预埋钢丝绳套吊环结构
CN212897647U (zh) 用于钢混结构的智能钢筋定位及纠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