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443B1 - 제작 진행중인 상대방 그림에 대해 실시간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작 진행중인 상대방 그림에 대해 실시간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443B1
KR102476443B1 KR1020220081342A KR20220081342A KR102476443B1 KR 102476443 B1 KR102476443 B1 KR 102476443B1 KR 1020220081342 A KR1020220081342 A KR 1020220081342A KR 20220081342 A KR20220081342 A KR 20220081342A KR 102476443 B1 KR102476443 B1 KR 102476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picture production
picture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2099A (ko
Inventor
김종민
김승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Publication of KR20220162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1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04L65/4015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where at least one of the additional parallel sessions is real time or time sensitive, e.g. white board sharing, collaboration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oy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알림부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캔버스 영역을 복수의 레이어로 구분하여 사용자들에게 각각의 제작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통해 1:1 구도의 교사와 학습자에게 적용 시에는, 맞춤형 미술지도 학습이 가능해질 수 있고, 또래 간에 적용 시에는, 서로의 그림을 공유하면서 회화적 표현의 폭을 확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제작 진행중인 상대방 그림에 대해 실시간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service delivery system that allows real-time editing of the partner's picture in progress}
본 발명은 다자간 비대면 환경에서 각각 수행하는 그림 제작의 과정이 상호 실시간 시각적으로 공유되도록 하는 동시에, 실시간 제작 진행중인 상대방 그림에 대해 실시간 편집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다자가 하나의 그림을 동시에 그리면서 함께 완성하는 상호작용 방식의 인터렉티브형 그림 제작환경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흥미로운 제작환경에서 회화에 대한 예술적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쌍방향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웹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는 소정의 문서 편집 서버와 전자 단말 장치를 네트워크로 연동하고, 사용자가 전자단말 장치의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브라우저 상에서 웹 편집기를 실행시키면, 상기 웹 편집기를 통해 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이때, 문서 편집 서버에는 상기 전자 단말 장치를 통해 작성 중인 문서에 대한 문서 데이터가 저장되고, 사용자가 상기 웹 편집기를 통해 상기 전자 단말 장치에서 문서에 대한 편집 명령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편집 명령이 상기 문서 편집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문서 편집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 데이터에 반영됨으로써, 상기 전자 단말 장치에서 작성 중인 문서와 상기 문서 편집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 데이터가 항상 같은 편집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웹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는 클라이언트 측인 전자 단말 장치에서 작성 중인 문서와 동일한 편집 상태를 갖는 문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문서 편집 서버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문서 편집 서버와 다수의 전자 단말 장치들 간의 연동도 가능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문서를 동시에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해 주지만, 다수의 사용자들이 문서를 동시에 편집하는 환경에서는 각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편집 명령들 간의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문서에 삽입되어 있는 도형, 이미지, 표 등과 같은 개체들 중 사용자 1과 사용자 2가 같은 개체에 동시에 편집 명령을 인가하게 되면, 해당 편집 명령을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를 해결해야 한다.
따라서, 웹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에서는 다수의 사용자들 간의 문서 공동 편집을 정상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법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가운데 에듀테크 스타트업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맞춤형 학습 서비스, 게임기반 학습, 외국어 교육, 코딩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개학이 연기되고, 비대면 원격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업계는 에듀테크 확산을 위해 발빠르게 대처하고 있으며, 국내 교육서비스 및 에듀테크 스타트업은 코로나19로 영향을 받는 학생들에게 자사 서비스 무료 이용 혜택을 주며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이에, 미술 교육업계에서도 비대면 환경에서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원격 온라인 미술교육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고, 상기 원격 온라인 미술교육 시스템 역시, 다수의 사용자들 간의 그림 문서에 대해 공동 편집을 정상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과제를 배제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1498호(발명의 명칭: 컨텐츠 공동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자간 비대면 환경에서 각각 수행하는 그림 제작의 과정이 상호 실시간 시각적으로 공유되도록 하는 동시에, 실시간 제작 진행중인 상대방 그림에 대해 실시간 편집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다자가 하나의 그림을 동시에 그리면서 함께 완성하는 상호작용 방식의 인터렉티브형 그림 제작환경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흥미로운 제작환경에서 회화에 대한 예술적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쌍방향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환경에서의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간에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원격방식의 그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이벤트 신호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단말;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이벤트 신호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단말; 상기 제1,2 단말 및 웹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하면서 미리 저장된 그림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이벤트 신호의 실시간 입력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가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에 모두 실시간 반영되도록 하며, 상기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2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은, 캔버스 상에 점, 선, 면, 형, 색, 빛, 질감, 양감 중 적어도 하나의 회화적 표현이 가능한 드로잉 툴(Drawing Tool)을 이용하여 그림 제작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신호는,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 상에서의 상기 드로잉 툴을 구성하는 각 아이콘을 선택하여 캔버스 영역에 드래그, 터치(클릭) 중 어느 하나의 스트로크(stroke)를 발생시키면서 그림을 표현하고자 하는 제작신호; 및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 상에서의 캔버스 영역을 상기 단말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획하도록 요청하는 레이어 생성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생성하여 관리하면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에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단말의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서버모듈 관리부; 상기 제1,2 단말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제1,2 이벤트 신호를 데이터화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2 이벤트 신호의 데이터에 따라 실시간 반응하기 위한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을 미리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서버모듈 관리부에 의해 부여된 식별정보에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1,2 이벤트 신호의 데이터를 매핑하여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에 반영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알림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이벤트 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레이어 생성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단말의 알림부에 상기 레이어에 대응되는 분할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데이터화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기록 및 저장되도록 하는 영상녹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벤트 신호는,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 상에서의 기진행한 그림 제작과정에 대해 영상으로 리플레이되도록 요청하는 리플레이 요구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이벤트 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리플레이 요구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영상녹화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단말의 알림부에 상기 기진행한 그림 제작과정이 영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은, 상기 드로잉 툴 중 임의의 두께를 갖는 점, 선, 면에 대한 조형요소를 표현하는 제1 아이콘에 대해 상기 이벤트 신호에 따라 두께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두께 설정은, 상기 제1 아이콘을 터치(클릭)하는 스트로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알림부에, 상기 설정된 두께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아이콘의 크기가 활성화된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은, 상기 드로잉 툴 중 색에 대한 조형요소를 표현하는 제2 아이콘에 대해 상기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색상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색상 설정은, 상기 제2 아이콘을 1차적으로 터치(클릭)한 후, 원하는 색상을 2차적으로 터치(클릭)하는 스트로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알림부에,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한 드로잉 툴의 적어도 일부 아이콘이 상기 설정된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활성화된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각각에는, 상기 제1,2 사용자를 각각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제1,2 사용자의 음성을 각각 감지하는 음성 센서;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탑재된 영상통화 SDK(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음성 센서로부터 감지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제1,2 단말 간 상호 실시간 공유되도록 하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를 거쳐 알림부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음향출력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알림부에,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공유되는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2 사용자를 촬영하는 실시간 영상이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 상에서의 캔버스 영역에 오버랩된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오버랩되는 실시간 영상은, 상기 캔버스 영역 상의 가장자리에 자동 위치하도록 구성되되, 일부를 드래그하는 스트로크가 발생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캔버스 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환경에서의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간에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원격방식의 그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쌍방향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제어부가 미리 저장된 그림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단말이 상기 a)단계에서 생성된 서버모듈에 모두 접속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에 제1 단말을 통한 제1 사용자의 제1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2 단말을 통한 제2 사용자의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1,2 이벤트 신호가 모두 입력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가 제1,2 이벤트 신호의 실시간 입력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를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에 모두 실시간 반영하고, 상기 반영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e) 알림부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단계는, d-1)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벤트 신호의 데이터 내에,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 상에서의 캔버스 영역을 상기 단말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획하도록 요청하는 레이어 생성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2) 상기 레이어 생성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가 해당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단말의 알림부에 상기 레이어에 대응되는 분할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자간 비대면 환경에서 각각 수행하는 그림 제작의 과정이 상호 실시간 시각적으로 공유되도록 하는 동시에, 실시간 제작 진행중인 상대방 그림에 대해 실시간 편집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다자가 하나의 그림을 동시에 그리면서 함께 완성하는 상호작용 방식의 인터렉티브형 그림 제작환경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흥미로운 제작환경에서 회화에 대한 예술적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알림부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캔버스 영역을 복수의 레이어로 구분하여 사용자들에게 각각의 제작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통해 1:1 구도의 교사와 학습자에게 적용 시에는, 맞춤형 미술지도 학습이 가능해질 수 있고, 또래 간에 적용 시에는, 서로의 그림을 공유하면서 회화적 표현의 폭을 확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림 제작의 과정을 상호 실시간 시각적으로 공유함과 동시에, 다자간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진행한 그림 제작과정에 대한 리플레이 영상이 제공되도록 한 구성까지 더하여 맞춤형 미술지도 학습을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드로잉 툴을 이루는 아이콘에 대해 그 속성 설정이 사용자의 간단한 동작(스트로크)에 의해 변환되면서, 그 변환된 설정 상태가 보다 확연히 드러나도록 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보다 향상된 시인성을 갖는 제작환경에서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그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상기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상기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단말, 알림부, 이미지 센서, 음성 센서 및 음향출력부를 나타낸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원격지에 있는 교사와 학습자가 그림학습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이미지.
도 6은 그림 제작 프로그램에 의한 캔버스 및 드로잉 툴이 알림부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7은 제1 사용자가 제1 레이어에 그림을 그리는 실시예를 나타낸 이미지.
도 8은 제2 사용자가 제2 레이어에 상기 제1 레이어에 그려진 그림을 따라 그리는 실시예를 나타낸 이미지.
도 9는 도 7 및 도 8에서의 실시예가 교사와 학습자에게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이미지.
도 10은 드로잉 툴을 이루는 아이콘에 대해 그 속성 설정이 변환됨에 따라 해당 아이콘의 크기가 대응 변화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이미지.
도 11 내지 도 19는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에 의한 다양한 회화적 표현이 디스플레이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이미지.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상기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상기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단말, 알림부, 이미지 센서, 음성 센서 및 음향출력부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는 원격지에 있는 교사와 학습자가 그림학습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6은 그림 제작 프로그램에 의한 캔버스 및 드로잉 툴이 알림부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7은 제1 사용자가 제1 레이어에 그림을 그리는 실시예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8은 제2 사용자가 제2 레이어에 상기 제1 레이어에 그려진 그림을 따라 그리는 실시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9는 도 7 및 도 8에서의 실시예가 교사와 학습자에게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10은 드로잉 툴을 이루는 아이콘에 대해 그 속성 설정이 변환됨에 따라 해당 아이콘의 크기가 대응 변화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11 내지 도 19는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에 의한 다양한 회화적 표현이 디스플레이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비대면 환경에서의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간에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원격방식의 그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단말(110), 제2 단말(120), 웹(130), 제어부(140) 및 알림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본 발명을 위해 필수적인 최소한의 구성일뿐, 이보다 더 부가적인 구성요소들을 갖는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110)은 키보드, 패드, 마우스 등 다양한 공지의 입력기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위치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후술될 제1 이벤트 신호를 웹(130) 및 제어부(140)에 입력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120)은 상술한 제1 단말(110)과 원격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그 구성요소는 상기 제1 단말(110)과 동일하게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기를 통한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이벤트 신호를 상기 웹(130) 및 제어부(140)에 입력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단말(110, 120)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태블릿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PC, 스마트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2 단말(110, 12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게재된 통상의 단말장치에 해당하므로, 세부 구성은 도면에 미도시 하였음은 물론, 그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웹(130)은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음향,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터넷 서비스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2 단말(110, 120)과 연결되어 상기 제1,2 단말(110, 120)을 각각 이용하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게 그림 제작과 관련한 다양한 공지의 미디어가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후술될 그림 제작 프로그램을 서비스하기 위한 제어서버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 단말(110, 120) 및 웹(130)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상호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40)는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저장된 그림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110, 120)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이벤트 신호의 실시간 입력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가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에 모두 실시간 반영되도록 하며, 상기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서버모듈 관리부(141), 데이터 생성부(142), 데이터 베이스부(143), 데이터 처리부(144) 및 알림신호 출력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은 도 11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버스 상에 점, 선, 면, 형, 색, 빛, 질감, 양감 중 적어도 하나의 회화적 표현이 가능한 드로잉 툴(Drawing Tool)을 이용하여 그림 제작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신호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 상에서의 상기 드로잉 툴을 구성하는 각 아이콘을 선택하여 캔버스 영역에 드래그, 터치(클릭) 중 어느 하나의 스트로크(stroke)를 발생시키면서 그림을 표현하고자 하는 제작신호와,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 상에서의 캔버스 영역을 상기 단말(110 or/and 120)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레이어(L1, L2)로 구획하도록 요청하는 레이어 생성신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모듈 관리부(141)는 상술한 그림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생성하여 관리하면서 상기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이 상기 서버모듈에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단말(110, 120)의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142)는 제1,2 단말(110, 120)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제1,2 이벤트 신호를 데이터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3)는 데이터 생성부(142)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2 이벤트 신호의 데이터에 따라 실시간 반응하기 위한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을 미리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44)는 서버모듈 관리부(141)에 의해 부여된 식별정보에 상기 데이터 생성부(142)에 의해 생성된 제1,2 이벤트 신호의 데이터를 매핑하여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에 반영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45)는 데이터 처리부(144)를 통해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45)는 데이터 처리부(144)를 통해 매핑되는 이벤트 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레이어 생성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단말(110 or/and 120)의 알림부(150)에 상기 레이어에 대응되는 분할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제2의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알림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데이터화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3)에 기록 및 저장되도록 하는 영상녹화부(14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벤트 신호는 그림 제작 프로그램 상에서의 기진행한 그림 제작과정에 대해 영상으로 리플레이되도록 요청하는 리플레이 요구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45)는 데이터 처리부(144)를 통해 매핑되는 이벤트 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리플레이 요구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영상녹화부(146)를 통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43)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단말(110 or/and 120)의 알림부(150)에 상기 기진행한 그림 제작과정이 영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3의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은 드로잉 툴 중 임의의 두께를 갖는 점, 선, 면에 대한 조형요소를 표현하는 제1 아이콘에 대해 상기 이벤트 신호에 따라 두께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두께 설정은 제1 아이콘을 터치(클릭)하는 스트로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45)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알림부(150)에, 상기 설정된 두께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아이콘의 크기가 활성화된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제4의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은 드로잉 툴 중 색에 대한 조형요소를 표현하는 제2 아이콘에 대해 상기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색상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색상 설정은 제2 아이콘을 1차적으로 터치(클릭)한 후, 원하는 색상을 2차적으로 터치(클릭)하는 스트로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45)는 알림부(150)에,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한 드로잉 툴의 적어도 일부 아이콘이 상기 설정된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활성화된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제5의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150)는 제어부(140)의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45)로부터 출력되는 알림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텍스트와 이미지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110),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단말(120)에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알림부(17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1 단말(110) 및 상기 제2 단말(120) 각각에 더 구비되어, 상기 제1,2 사용자를 각각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160)와, 상기 제1,2 사용자의 음성을 각각 감지하는 음성 센서(170)와, 상기 제어부(140)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40)는 미리 탑재된 영상통화 SDK(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160)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음성 센서(170)로부터 감지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제1,2 단말(110, 120) 간 상호 실시간 공유되도록 하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알림신호 출력부(145)를 거쳐 상기 알림부(150)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음향출력부(180)로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 통신부(14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145)는 도 3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알림부(150)에, 데이터 통신부(147)를 통해 공유되는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2 사용자를 촬영하는 실시간 영상이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 상에서의 캔버스 영역에 오버랩된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제6의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오버랩되는 실시간 영상은 상기 캔버스 영역 상의 가장자리에 자동 위치하도록 구성되되, 일부를 드래그하는 스트로크가 발생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캔버스 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서버모듈 생성단계(S100), 서버모듈 접속단계(S200), 이벤트 신호 입력단계(S300), 알림신호 출력단계(S400) 및 알림부 디스플레이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모듈 생성단계(S100)에서는 제어부(140)가 미리 저장된 그림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생성한다.
상기 서버모듈 접속단계(S200)에서는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110)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단말(120)이 상기 서버모듈 생성단계(S100)에서 생성된 서버모듈에 모두 접속한다.
상기 이벤트 신호 입력단계(S300)에서는 제어부(140)에 상기 제1 단말(110)을 통한 제1 사용자의 제1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2 단말(120)을 통한 제2 사용자의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1,2 이벤트 신호가 모두 입력된다.
상기 알림신호 출력단계(S400)에서는 제어부(140)가 제1,2 이벤트 신호의 실시간 입력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를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에 모두 실시간 반영하고, 상기 반영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알림신호 출력단계(S400)는 제어부(140)가 상기 이벤트 신호의 데이터 내에,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 상에서의 캔버스 영역을 상기 단말(110 or/and 120)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레이어(L1, L2)로 구획하도록 요청하는 레이어 생성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레이어 생성신호 검출단계(S410)와, 상기 레이어 생성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40)가 해당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단말(110 or/and 120)의 알림부(150)에 상기 레이어에 대응되는 분할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제2의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제2 알림신호 출력단계(S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 디스플레이 단계(S500)에서는 알림부(150)가 상기 알림신호 출력단계(S400)에서 제어부(140)에 의해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 제1 단말
120 : 제2 단말 130 : 웹
140 : 제어부 141 : 서버모듈 관리부
142 : 데이터 생성부 143 : 데이터 베이스부
144 : 데이터 처리부 145 : 알림신호 출력부
146 : 영상녹화부 147 : 데이터 통신부
150 : 알림부 160 : 이미지 센서
170 : 음성 센서 180 : 음향출력부

Claims (2)

  1. 비대면 환경에서의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간에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원격방식의 그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이벤트 신호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단말;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이벤트 신호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단말;
    상기 제1,2 단말 및 웹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하면서 미리 저장된 그림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2 단말이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이벤트 신호의 실시간 입력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가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에 모두 실시간 반영되도록 하며, 상기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2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은,
    캔버스 상에 점, 선, 면, 형, 색, 빛, 질감, 양감 중 적어도 하나의 회화적 표현이 가능한 드로잉 툴(Drawing Tool)을 이용하여 그림 제작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소프트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벤트 신호는,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 상에서의 상기 드로잉 툴을 구성하는 각 아이콘을 선택하여 캔버스 영역에 드래그, 터치(클릭) 중 어느 하나의 스트로크(stroke)를 발생시키면서 그림을 표현하고자 하는 제작신호; 및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 상에서의 캔버스 영역을 상기 단말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획하도록 요청하는 레이어 생성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생성하여 관리하면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서버모듈에 모두 접속되면, 상기 제1,2 단말의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서버모듈 관리부;
    상기 제1,2 단말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제1,2 이벤트 신호를 데이터화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2 이벤트 신호의 데이터에 따라 실시간 반응하기 위한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을 미리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서버모듈 관리부에 의해 부여된 식별정보에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제1,2 이벤트 신호의 데이터를 매핑하여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에 반영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반영된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알림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매핑되는 이벤트 신호의 데이터에 상기 레이어 생성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단말의 알림부에 상기 레이어에 대응되는 분할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각각에는,
    상기 제1,2 사용자를 각각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제1,2 사용자의 음성을 각각 감지하는 음성 센서;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탑재된 영상통화 SDK(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음성 센서로부터 감지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제1,2 단말 간 상호 실시간 공유되도록 하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를 거쳐 알림부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음향출력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신호 출력부는,
    상기 알림부에,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공유되는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2 사용자를 촬영하는 실시간 영상이 상기 그림 제작 프로그램 상에서의 캔버스 영역에 오버랩된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오버랩되는 실시간 영상은,
    상기 캔버스 영역 상의 가장자리에 자동 위치하도록 구성되되, 일부를 드래그하는 스트로크가 발생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캔버스 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81342A 2021-05-31 2022-07-01 제작 진행중인 상대방 그림에 대해 실시간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76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70154 2021-05-31
KR1020210070154 2021-05-31
KR1020210155876A KR102420577B1 (ko) 2021-05-31 2021-11-12 쌍방향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876A Division KR102420577B1 (ko) 2021-05-31 2021-11-12 쌍방향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099A KR20220162099A (ko) 2022-12-07
KR102476443B1 true KR102476443B1 (ko) 2022-12-15

Family

ID=82407069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876A KR102420577B1 (ko) 2021-05-31 2021-11-12 쌍방향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210155877A KR102450263B1 (ko) 2021-05-31 2021-11-12 반응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220081343A KR102476444B1 (ko) 2021-05-31 2022-07-01 비대면 환경에서의 사용자 간에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원격방식의 그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20081341A KR102476442B1 (ko) 2021-05-31 2022-07-01 상호작용 방식의 인터렉티브형 그림 제작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81342A KR102476443B1 (ko) 2021-05-31 2022-07-01 제작 진행중인 상대방 그림에 대해 실시간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120157A KR102484311B1 (ko) 2021-05-31 2022-09-22 반응형 그림 제작 서비스의 제어방법
KR1020220120156A KR102484310B1 (ko) 2021-05-31 2022-09-22 단말의 기울기에 따라 그림 제작이 가능한 반응형 시스템
KR1020220120155A KR102484309B1 (ko) 2021-05-31 2022-09-22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반응형 그림 제작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876A KR102420577B1 (ko) 2021-05-31 2021-11-12 쌍방향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210155877A KR102450263B1 (ko) 2021-05-31 2021-11-12 반응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220081343A KR102476444B1 (ko) 2021-05-31 2022-07-01 비대면 환경에서의 사용자 간에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원격방식의 그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20081341A KR102476442B1 (ko) 2021-05-31 2022-07-01 상호작용 방식의 인터렉티브형 그림 제작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157A KR102484311B1 (ko) 2021-05-31 2022-09-22 반응형 그림 제작 서비스의 제어방법
KR1020220120156A KR102484310B1 (ko) 2021-05-31 2022-09-22 단말의 기울기에 따라 그림 제작이 가능한 반응형 시스템
KR1020220120155A KR102484309B1 (ko) 2021-05-31 2022-09-22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반응형 그림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230334734A1 (ko)
JP (2) JP7459415B2 (ko)
KR (8) KR102420577B1 (ko)
WO (2) WO2022255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254B1 (ko) 2023-02-03 2023-04-26 이가람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의 생성 및 이의 상호작용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448B1 (ko) 2013-04-26 2020-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4689A (ja) * 1996-10-15 1998-05-15 Nikon Corp 画像記録再生装置
JP2003067585A (ja) 2001-08-27 2003-03-07 Fumio Onuma 似顔絵商品流通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4110714A (ja) * 2002-09-20 2004-04-08 Toyota Motor Corp 電子資料共同編集システム
JP2004139289A (ja) * 2002-10-17 2004-05-13 Hitachi Ltd 図面編集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40174365A1 (en) * 2002-12-24 2004-09-09 Gil Bub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 animation
KR100927866B1 (ko) * 2007-01-25 2009-11-23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시스템
KR20090001498A (ko) 2007-04-19 2009-01-09 스토리블렌더 인코퍼레이티드 컨텐츠 공동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N105824413B (zh) * 2010-04-23 2019-05-21 意美森公司 用于提供触觉效果的系统和方法
US20120066577A1 (en) * 2010-09-09 2012-03-15 Microsoft Corporation Concurrent Editing of Online Drawings
US20140026036A1 (en) * 2011-07-29 2014-01-23 Nbor Corporation Personal workspaces in a computer operating environment
US20130031463A1 (en) * 2011-07-29 2013-01-31 Denny Jaeger Personal workspaces in a computer operating environment
KR101423524B1 (ko) * 2011-12-21 2014-08-01 주식회사 더클락웍스 그림 그리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림 공유 시스템과 그 방법
US8918453B2 (en) * 2012-01-03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data representation for user equipments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8970476B2 (en) * 2012-02-09 2015-03-03 Vtech Electronics Ltd. Motion controlled image creation and/or editing
KR101434728B1 (ko) * 2012-05-15 2014-08-29 조현근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영상 통화 중 드로잉 협업 방법
KR101334865B1 (ko) * 2012-05-23 2013-12-03 이예찬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
KR20140085048A (ko) * 2012-12-27 201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50066687A (ko) * 2013-12-09 2015-06-17 홍충식 실시간 화면 공유 메신저
US20150341399A1 (en) * 2014-05-23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collaboration services and user terminal for receiving collaboration services
US20180095653A1 (en) * 2015-08-14 2018-04-05 Martin Hasek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handwritten interaction
KR101761233B1 (ko) * 2015-09-02 2017-07-25 (주)옐리펀트 어린이의 자작그림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 제작서비스 제공시스템
WO2017053440A1 (en) * 2015-09-23 2017-03-30 Edoardo Rizzi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KR20170089252A (ko) * 2016-01-26 2017-08-03 박재동 그래픽 디자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그래픽 소스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9832308B1 (en) * 2016-05-12 2017-11-28 Google Inc. Caller preview data and call messages based on caller preview data
US11126325B2 (en) * 2017-10-23 2021-09-21 Haworth, Inc. Virtual workspace including shared viewport markers in a collaboration system
US10616666B1 (en) * 2018-02-27 2020-04-07 Halogen Networks, LLC Interactive sentiment-detecting video streaming system and method
KR102159326B1 (ko) 2018-12-06 2020-09-23 주식회사 마이더스터치 작가체학습단말기 및 시스템
KR102280805B1 (ko) * 2018-12-06 2021-07-23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단말기
KR102184162B1 (ko) * 2019-11-13 2020-12-11 유시영 반응형 웹툰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2558566B1 (ko) * 2021-03-09 2023-07-24 (주)비케이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448B1 (ko) 2013-04-26 2020-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444B1 (ko) 2022-12-15
KR102450263B1 (ko) 2022-10-04
JP7459415B2 (ja) 2024-04-02
KR20220162099A (ko) 2022-12-07
KR102476442B1 (ko) 2022-12-15
KR102484309B1 (ko) 2023-01-04
WO2022255572A1 (ko) 2022-12-08
US20230325070A1 (en) 2023-10-12
KR102420577B1 (ko) 2022-07-14
KR20220162098A (ko) 2022-12-07
KR20220162101A (ko) 2022-12-07
US20230334734A1 (en) 2023-10-19
JP7446555B2 (ja) 2024-03-11
KR102484311B1 (ko) 2023-01-04
JP2023532620A (ja) 2023-07-31
KR20220162100A (ko) 2022-12-07
KR102484310B1 (ko) 2023-01-04
KR20220162103A (ko) 2022-12-07
JP2023534089A (ja) 2023-08-08
KR20220162102A (ko) 2022-12-07
WO2022255571A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levins Teaching digital literacy composing concepts: focusing on the layers of augmented reality in an era of changing technology
US20190235740A1 (en) Rotatable Object System For Visual Communication And Analysis
JP4772380B2 (ja) ジャストインタイムのユーザ支援を提供する手法
US8842100B2 (en) Customer authoring tools for creating user-generated content for smart pen applications
CN106415446A (zh) 通过触觉交互对内容属性的可访问性检测
US20210272353A1 (en) 3d simulation of a 3d drawing in virtual reality
KR102476443B1 (ko) 제작 진행중인 상대방 그림에 대해 실시간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hevalier et al. What does augmented reality mean as a medium of expression for computational artists?
Vlasenko et al. Exploring usability principles for educational online courses: a case study on an open platform for online education
US11003467B2 (en) Visual history for content state changes
KR102159326B1 (ko) 작가체학습단말기 및 시스템
US20140026036A1 (en) Personal workspaces in a computer operating environment
US20130031463A1 (en) Personal workspaces in a computer operating environment
KR101355652B1 (ko) 인터렉티브 방명록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KR102240410B1 (ko) 학습장치 및 학습 방법
US20230177855A1 (en) Notifications in Extended Reality Environments
Perkins Flash Professional CS5 Bible
Sarker Understanding how to translate from children’s tangible learning apps to mobile augmented reality through technical development research
Ikram FYP-02 REPORT
TW201227607A (en) Instinctive connect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s
Izkara et al. Wearable Personal Assistants for the Management of Historical Centers
Wang et al. Experimentally exploring the benefits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design conceptualisation
Ashraf et al. Using Geo-Located Augmented Reality for Community Evaluation
Chevalier et al. General Article
Chiu Telepinup: Dynamic remote interaction in design re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