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254B1 -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의 생성 및 이의 상호작용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의 생성 및 이의 상호작용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6254B1 KR102526254B1 KR1020230014555A KR20230014555A KR102526254B1 KR 102526254 B1 KR102526254 B1 KR 102526254B1 KR 1020230014555 A KR1020230014555 A KR 1020230014555A KR 20230014555 A KR20230014555 A KR 20230014555A KR 102526254 B1 KR102526254 B1 KR 1025262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user
- information
- poster
- gener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5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177 Indigofera tinctor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7275 indigo Drugs 0.000 description 1
- COHYTHOBJLSHDF-UHFFFAOYSA-N indigo powder Natural products N1C2=CC=CC=C2C(=O)C1=C1C(=O)C2=CC=CC=C2N1 COHYTHOBJLSH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36 patent blue V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5—Content authoring for generating interactive appl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를 수집하고, 콘텐츠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반하여,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고, 포스터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를 통해 제공하고, 장치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포스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래 실시예들은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영화, 드라마, 콘서트 및 공연 등을 홍보하기 위한 포스터를 일반적으로 종이로 인쇄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였으나, 홍보 효과를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홍보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간단한 알림이나 홍보 문구를 다채롭게 출력하는 디스플레이형 형태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컴퓨터의 그래픽 처리 기술이 발달하면서, 기존의 정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움직임과 상호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동적 이미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동적 이미지는 동영상과 같이 정해진 흐름에 따라 재생되는 이미지와 달리, 상호작용에 따라 움직이도록 제작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반응하는 반응형 포스터 및 이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실시예들은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의 상호작용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콘텐츠 정보, 시청 이력 정보,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포스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상태를 변경하는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시청 이력 정보에 기반하여,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포스터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장치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포스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시청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할 가능성이 높은 선호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선호 콘텐츠에 등장하는 등장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선호 콘텐츠의 총 시간에서 상기 등장 객체가 등장한 시간에 대한 비율인 등장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등장 객체 중 상기 등장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비율 이상인 등장 객체를 주요 객체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청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시청한 콘텐츠의 등장인물 정보를 수집하고, 등장인물의 선호도에 대한 등장인물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등장인물 선호도 정보에 기반하여 주요 객체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의 날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선호 콘텐츠에 등장하는 날씨와 관련된 배경 중 상기 날씨 정보와 일치하는 배경을 상기 선호 콘텐츠로부터 추출하여, 배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나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나이대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상기 선호 콘텐츠에 대해 게시한 게시글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선호 콘텐츠의 제목 및 상기 키워드에 기반하여, 상기 포스터 콘텐츠의 텍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요 객체, 상기 주요 객체의 크기 정보, 상기 배경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근접 입력 및 소리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포스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포스터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처음으로 터치한 구역인 터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터치 위치에 따라 상기 포스터 콘텐츠의 초점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포스터 콘텐츠의 주요 객체의 확대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포스터 콘텐츠에 게시된 콘텐츠의 장르를 확인하여 상기 장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나이를 확인하여 상기 나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채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포스터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시간인 터치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터치 시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밝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포스터 콘텐츠의 초점, 상기 주요 객체의 확대 비율, 상기 색상, 상기 채도 및 상기 밝기를 적용하여 객체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포스터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포스터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만족도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만족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콘텐츠의 포스터 콘텐츠의 제공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만족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콘텐츠의 추가 포스터 콘텐츠 제공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포스터 콘텐츠 제공 횟수에 따라 추가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추가 포스터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포스터 콘텐츠 제공 횟수는, 상기 사용자의 콘텐츠 선호 카테고리와 콘텐츠의 카테고리가 일치하는 경우, 제1 횟수로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콘텐츠 선호 카테고리와 콘텐츠의 카테고리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횟수보다 적은 제2 횟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제1 장치 및 제2 장치 간의 메모리 동기화가 요청되면, 상기 제1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의 리스트인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의 리스트인 제2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리스트 및 상기 제2 리스트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콘텐츠들 중 제1 콘텐츠가 상기 제2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제2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인 제1 전송 속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송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속도 보다 빠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된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제2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송 속도가 상기 제1 기준 속도 보다 느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전송 속도가 상기 제1 기준 속도 보다 빨라질 때까지 상기 제1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지 않고 대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지 않고 대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기간 동안 실행된 콘텐츠들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기준 기간 동안 실행되지 않은 콘텐츠들을 제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콘텐츠들 중에서 상기 제1 기준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횟수 이상 실행된 콘텐츠들을 제1-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기준 기간 동안 상기 제1 기준 횟수 미만 실행된 콘텐츠들을 제1-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제1-1 그룹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제1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제1-2 그룹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제1 전송 속도가 상기 제1 기준 속도 보다 느리지만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속도 보다 빠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전송 속도가 상기 제2 기준 속도 보다 느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지 않고 대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제2 그룹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제1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지 않고 대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의 상호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콘텐츠 정보, 시청 이력 정보,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포스터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상태를 변경하는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의 생성 및 이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포스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추가 포스터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를 동기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들을 상태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상태에 따라 메모리 동기화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의 생성 및 이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포스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추가 포스터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를 동기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들을 상태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상태에 따라 메모리 동기화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카테고리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사용자의 단말(10) 및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1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장치(3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되거나,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웹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30)와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장치(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등을 통해 장치(30)에 접속할 수 있다.
청구항에 기재된 단수의 표현은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구항의 사용자는 하나의 사용자 또는 둘 이상의 사용자를 지칭할 수 있다.
장치(30)는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3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단말(10)의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단말(10)의 화면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장치(30)와 사용자 사이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장치(3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사용자의 단말(10)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3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 및 프린터 장치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 내에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30)와 별도로 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의 수행을 위한 다수의 인공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의 생성 및 이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30)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거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장치(30)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는 콘텐츠와 콘텐츠의 제목, 카테고리, 형태, 길이, 배경, 등장인물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의 카테고리는 로맨스, 액션, 범죄, SF, 코미디, 스릴러, 공포, 전쟁, 스포츠, 판타지, 음악, 뮤지컬, 애니메이션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콘텐츠의 종류는 영화, 드라마, VOD, 콘서트, 공연, 연극, 뮤지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202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연락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시청 이력 정보는 사용자가 시청한 콘텐츠의 제목, 카테고리, 형태, 시청 시간, 시청 장소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장치(30)는 콘텐츠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반하여,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포스터 콘텐츠는 콘텐츠를 홍보하기 위해 제작된 포스터 형태의 홍보물을 의미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장치(30)는 포스터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장치(30)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30)와 별도로 디스플레이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든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터치 스크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는 사용자의 단말(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가 사용자의 단말(10)인 경우, 장치(30)는 포스터 콘텐츠를 사용자의 단말(1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장치(30)는 장치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장치(30)에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치(30)는 센서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센서는 모션 센서, 조명 센서, 근접 센서, 위치 센서, 터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근접 입력 및 소리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206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포스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포스터 콘텐츠에 포함된 등장인물, 사물, 소리, 색채, 음악, 밝기, 채도, 텍스트, 초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포스터 콘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스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를 변경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30)는 콘텐츠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할 가능성이 높은 선호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에 대한 정보,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시청 이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를 결정하는 과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302 단계에서, 장치(30)는 선호 콘텐츠에 등장하는 등장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등장 객체는 선호 콘텐츠에 포함된 등장 인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등장 객체는 콘텐츠에 등장하는 인물 및 콘텐츠에 등장하는 동물, 신화적 존재, 사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장치(30)는 등장 비율을 산출하고, 등장 객체 중 등장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비율 이상인 등장 객체를 주요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선호 콘텐츠의 총 시간에서 등장 객체가 등장한 시간에 대한 비율인 등장 비율을 산출하고, 등장 비율을 미리 설정된 기준 비율과 비교하여, 등장 객체 중 등장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비율 이상인 등장 객체를 주요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 비율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장치(30)는 시청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시청한 콘텐츠의 등장인물 정보를 수집하고, 등장인물의 선호도에 대한 등장인물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등장인물 정보는 사용자가 시청한 콘텐츠의 등장인물에 대하여 등장인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장인물 종류는 여성, 남성, 동물로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시청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시청한 콘텐츠 중에서 등장인물의 종류에 따라 콘텐츠를 분류하고, 등장인물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콘텐츠의 개수에 따라 등장인물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장인물 종류가 여성, 남성, 동물이고, 등장인물 정보가 여성으로 분류된 콘텐츠가 10개, 등장인물 정보가 남성으로 분류된 콘텐츠가 3개, 동물로 분류된 콘텐츠의 개수가 7개인 경우, 장치(30)는 등장인물 선호도를 여성은 50%, 남성은 15%, 동물은 35%로 산출하여, 등장인물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장치(30)는 등장인물 선호도 정보에 기반하여 주요 객체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S304 단계에서 산출한 등장인물 선호도에 비례하여 주요 객체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장인물 선호도가 여성은 50%, 남성은 15%, 동물은 35%인 경우, 장치(30)는 주요 객체가 여성, 남성, 동물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분류하고, 여성, 동물, 남성의 순으로 분류된 주요 객체의 크기를 크게 결정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의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단말(10)에는 위치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에 구비된 위치 센서와 송수신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의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한 온도, 습도, 미세먼지, 강우량, 강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장치(30)는 선호 콘텐츠에 등장하는 날씨와 관련된 배경 중 날씨 정보와 일치하는 배경을 선호 콘텐츠로부터 추출하여, 배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의 날씨가 눈이 오는 경우, 장치(30)는 선호 콘텐츠의 등장하는 날씨가 눈이 내리는 경우, 선호 콘텐츠에 등장하는 날씨와 관련된 배경 중 눈이 내리는 배경을 선호 콘텐츠로부터 추출하여 배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나이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나이대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선호 콘텐츠에 대해 게시한 게시글에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나이대를 분류하는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나이가 13세인 경우, 나이대가 10대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선호 콘텐츠에 대하여 게시한 게시글을 검색하고, 검색된 게시글에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S309 단계에서, 장치(30)는 선호 콘텐츠의 제목 및 키워드에 기반하여, 포스터 콘텐츠의 텍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선호 콘텐츠의 제목 및 키워드를 조합하여 포스터 콘텐츠의 텍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선호 콘텐츠의 제목 및 키워드를 순서대로 배열하여 포스터 콘텐츠의 텍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포스터 콘텐츠의 텍스트 정보는 포스터 콘텐츠에 포함될 홍보 문구를 의미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장치(30)는 주요 객체, 주요 객체의 크기 정보, 배경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에서의 중요 인물인 주요 객체를 선별하고, 사용자의 시청 이력을 이용하여 등장인물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등장인물 선호도 정보에 따라 주요 객체의 크기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날씨와 일치하는 날씨에 해당하는 배경을 선호 콘텐츠로부터 추출하여, 배경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나이대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게시글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이용하여 포스터 콘텐츠의 텍스트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청 이력, 사용자의 현재 환경, 사용자가 해당하는 나이대의 관심사 등을 반영하여 사용자 맞춤형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특정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모두 동일한 포스터 콘텐츠를 제공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포스터 콘텐츠에 대한 집중도를 높여 홍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콘텐츠의 재생을 유도하도록 하여 콘텐츠의 재생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포스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치(3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포스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근접 입력 및 소리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30)는 포스터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처음으로 터치한 구역인 터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포스터 콘텐츠를 표시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처음으로 터치한 구역인 터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30)는 터치 위치에 따라 포스터 콘텐츠의 초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사용자가 처음으로 터치한 터치 위치에는 초점을 맞추고, 터치 위치를 제외한 구역을 모자이크 처리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와 사용자의 단말(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포스터 콘텐츠의 주요 객체의 확대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10)에 포스터 콘텐츠가 표시된 경우, 장치(30)는 사용자와 사용자의 단말(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포스터 콘텐츠의 주요 객체의 확대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사용자의 단말(10)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포스터 콘텐츠의 주요 객체의 확대 비율을 크게 설정하고, 사용자와 사용자의 단말(1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포스터 콘텐츠의 주요 객체의 확대 비율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30)는 포스터 콘텐츠에 게시된 콘텐츠의 장르를 확인하여 장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장치(3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콘텐츠의 장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장르가 로맨스, 액션, 범죄, SF, 코미디, 스릴러, 공포, 전쟁, 스포츠, 판타지, 음악, 뮤지컬, 애니메이션인 경우, 장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은 로맨스는 빨간색, 액션은 주황색, 범죄는 검정색, SF는 노란색, 코미디는 연두색, 스릴러는 초록색, 공포는 하늘색, 전쟁은 파란색, 스포츠는 남색, 음악 및 뮤지컬은 보라색, 애니메이션은 분홍색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의 장르에 따라 미러 설정된 색상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나이를 확인하여 나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채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사용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채도를 높게 설정하고, 사용자의 나이가 어릴수록 채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장치(30)는 포스터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시간인 터치 시간을 확인하여 터치 시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밝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터치 시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밝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시간이 오전 7시부터 오전 11시까지인 아침 시간대인 경우, 밝기가 제1 밝기로 설정되고, 터치 시간이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인 오후 시간대인 경우, 밝기가 제1 밝기보다 낮은 제2 밝기로 설정되고, 터치 시간이 오후 5시부터 오후 11시인 저녁 시간대인 경우, 밝기가 제2 밝기보다 낮은 제3 밝기로 설정되고, 터치 시간이 오후 11시부터 오전 7시까지인 새벽 시간대인 경우, 밝기가 제3 밝기보다 낮은 제4 밝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밝기, 제2 밝기, 제3 밝기 및 제4 밝기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장치(30)는 포스터 콘텐츠의 초점, 주요 객체의 확대 비율, 색상, 채도 및 밝기를 적용하여 객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장치(30)는 터치 입력, 근접 입력 및 소리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하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포스터 콘텐츠의 초점, 주요 객체의 확대 비율, 색상, 채도 및 밝기를 포함하는 객체의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포스터 콘텐츠를 변경하는 상호작용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호작용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체험감 및 경험감을 느끼도록 유도하여 포스터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참여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추가 포스터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30)는 포스터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이후, 포스터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장치(30)는 포스터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를 입력하기 위한 만족도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포스터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를 수신하면, 수신한 만족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만족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만족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콘텐츠의 포스터 콘텐츠의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만족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콘텐츠의 추가 포스터 콘텐츠 제공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콘텐츠 선호 카테고리와 콘텐츠의 카테고리가 일치하는 경우, 추가 포스터 콘텐츠 제공 횟수를 제1 횟수로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콘텐츠 선호 카테고리와 콘텐츠의 카테고리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추가 포스터 콘텐츠 제공 횟수를 제1 횟수보다 적은 제2 횟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횟수 및 제2 횟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콘텐츠 선호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콘텐츠의 선호 카테고리와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의 카테고리는 로맨스, 액션, 범죄, SF, 코미디, 스릴러, 공포, 전쟁, 스포츠, 판타지, 음악, 뮤지컬, 애니메이션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콘텐츠 선호 카테고리가 액션이고, 콘텐츠의 카테고리가 액션인 경우, 장치(30)는 추가 포스터 콘텐츠 제공 횟수를 제1 횟수로 결정할 수 있으며, 콘텐츠의 카테고리가 로맨스인 경우, 추가 포스터 콘텐츠 제공 횟수를 제1 횟수보다 적은 제2 횟수로 결정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장치(30)는 추가 포스터 콘텐츠 제공 횟수에 따라 추가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여, 추가 포스터 콘텐츠를 사용자의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제1 장치 및 제2 장치 간의 메모리를 동기화하기 위해 메모리 동기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장치(30)는 제1 장치(301) 및 제2 장치(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장치(30)를 제1 장치(301) 및 제2 장치(302)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 많은 장치가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장치(30)를 관리하는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제1 장치(301) 및 제2 장치(302) 간의 메모리를 동기화하고자 하는 요청을 입력할 수 있고, 제1 장치(301) 및 제2 장치(302) 간의 메모리 동기화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제1 장치(301) 및 제2 장치(302) 간의 메모리 동기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를 동기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제1 장치(301) 및 제2 장치(302) 간의 메모리 동기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제1 장치(301) 및 제2 장치(302) 간의 메모리를 동기화하고자 하는 요청을 입력할 수 있고, 제1 장치(301) 및 제2 장치(302) 간의 메모리 동기화 요청이 입력되면,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제1 장치(301) 및 제2 장치(302) 간의 메모리 동기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의 리스트인 제1 콘텐츠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장치(301)은 제1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확인한 후, 제1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의 리스트인 제1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 장치(30)는 제1 장치(301)로부터 제1 콘텐츠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장치(302)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의 리스트인 제2 콘텐츠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장치(302)은 제2 장치(302)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확인한 후, 제2 장치(302)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의 리스트인 제2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 장치(30)는 제2 장치(302)로부터 제2 콘텐츠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콘텐츠 리스트 및 제2 콘텐츠 리스트를 비교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S602 단계에서 획득된 제1 콘텐츠 리스트와 S603 단계에서 획득된 제2 콘텐츠 리스트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는 제1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들과 제2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비교하여, 각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들이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콘텐츠들 중 제1 콘텐츠가 제2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 리스트에는 제1 콘텐츠, 제2 콘텐츠 및 제3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고, 제2 콘텐츠 리스트에는 제2 콘텐츠 및 제3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장치(30)는 제1 콘텐츠 리스트 및 제2 콘텐츠 리스트를 비교한 결과, 제1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콘텐츠들 중 제1 콘텐츠가 제2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장치(301)과 제2 장치(302)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인 제1 전송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S607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전송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보다 빠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속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607 단계에서 제1 전송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보다 빠른 것으로 확인되면, S608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콘텐츠가 제2 장치(302)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장치(301)은 제1 콘텐츠를 제2 장치(302)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1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콘텐츠가 제2 장치(302)로 전송되면, 제2 장치(302)로 전송된 제1 콘텐츠가 제2 장치(302)의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장치(302)은 제1 장치(301)로부터 수신된 제1 콘텐츠를 제2 장치(302)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S607 단계에서 제1 전송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보다 느린 것으로 확인되면, S609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전송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보다 빨라질 때까지 제1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콘텐츠가 제2 장치(302)로 전송되지 않고 대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장치(301)은 제1 콘텐츠를 제2 장치(302)로 전송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들을 상태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 중에서 제1 기준 기간 동안 실행된 콘텐츠들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 중에서 제1 기준 기간 동안 실행되지 않은 콘텐츠들을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기간이 최근 1주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30)는 제1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 중에서 최근 1주일 동안 한 번이라도 실행된 콘텐츠들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고, 제1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 중에서 최근 1주일 동안 한 번도 실행되지 않은 콘텐츠들을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콘텐츠들 중에서 제1 기준 기간 동안 제1 기준 횟수 이상 실행된 콘텐츠들을 제1-1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횟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콘텐츠들 중에서 제1 기준 기간 동안 제1 기준 횟수 미만 실행된 콘텐츠들을 제1-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기간이 최근 1주일로 설정되어 있고, 제1 기준 횟수가 5회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3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콘텐츠들 중에서 최근 1주일 동안 5회 이상 실행된 콘텐츠들을 제1-1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고,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콘텐츠들 중에서 최근 1주일 동안 5회 미만 실행된 콘텐츠들을 제1-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상태에 따라 메모리 동기화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전송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보다 느린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콘텐츠가 제1-1 그룹으로 분류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콘텐츠는 S804 단계를 통해 제1-1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제1 콘텐츠가 제1-1 그룹으로 분류된 것으로 확인되면, S806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콘텐츠가 제2 장치(302)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803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콘텐츠가 제1-2 그룹으로 분류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콘텐츠는 S805 단계를 통해 제1-2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1 콘텐츠가 제1-2 그룹으로 분류된 것으로 확인되면, S8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전송 속도가 제2 기준 속도 보다 빠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속도는 제1 기준 속도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제1 전송 속도가 제2 기준 속도 보다 빠른 것으로 확인되면, S806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콘텐츠가 제2 장치(302)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제1 전송 속도가 제2 기준 속도 보다 느린 것으로 확인되면, S807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콘텐츠가 제2 장치(302)로 전송되지 않고 대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804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콘텐츠가 제2 그룹으로 분류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콘텐츠는 S803 단계를 통해 제2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제1 콘텐츠가 제2 그룹으로 분류된 것으로 확인되면, S807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콘텐츠가 제2 장치(302)로 전송되지 않고 대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는 프로세서(31) 및 메모리(32)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는 상술한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31)는 도 1 내지 도 8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8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3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3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3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카테고리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콘텐츠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카테고리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시청 이력 정보에 기반하여,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포스터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장치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포스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근접 입력 및 소리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포스터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포스터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처음으로 터치한 구역인 터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터치 위치에 따라 상기 포스터 콘텐츠의 초점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포스터 콘텐츠의 주요 객체의 확대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포스터 콘텐츠에 게시된 콘텐츠의 장르를 확인하여 상기 장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나이를 확인하여 상기 나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채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포스터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시간인 터치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터치 시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밝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포스터 콘텐츠의 초점, 상기 주요 객체의 확대 비율, 상기 색상, 상기 채도 및 상기 밝기를 적용하여 객체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의 생성 및 이의 상호작용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시청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할 가능성이 높은 선호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선호 콘텐츠에 등장하는 등장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선호 콘텐츠의 총 시간에서 상기 등장 객체가 등장한 시간에 대한 비율인 등장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등장 객체 중 상기 등장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비율 이상인 등장 객체를 주요 객체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청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시청한 콘텐츠의 등장인물 정보를 수집하고, 등장인물의 선호도에 대한 등장인물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등장인물 선호도 정보에 기반하여 주요 객체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의 날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선호 콘텐츠에 등장하는 날씨와 관련된 배경 중 상기 날씨 정보와 일치하는 배경을 상기 선호 콘텐츠로부터 추출하여, 배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나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나이대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상기 선호 콘텐츠에 대해 게시한 게시글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선호 콘텐츠의 제목 및 상기 키워드에 기반하여, 상기 포스터 콘텐츠의 텍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요 객체, 상기 주요 객체의 크기 정보, 상기 배경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스터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의 생성 및 이의 상호작용 제공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4555A KR102526254B1 (ko) | 2023-02-03 | 2023-02-03 |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의 생성 및 이의 상호작용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4555A KR102526254B1 (ko) | 2023-02-03 | 2023-02-03 |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의 생성 및 이의 상호작용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6254B1 true KR102526254B1 (ko) | 2023-04-26 |
Family
ID=8609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4555A KR102526254B1 (ko) | 2023-02-03 | 2023-02-03 |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의 생성 및 이의 상호작용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625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7916B1 (ko) * | 2024-05-17 | 2024-09-20 | 영원아이앤에스(주) | 사용자 상호작용 기능 및 동적 정보를 포함하는 pdf 형식의 전자문서 생성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8142A (ko) * | 2016-11-02 | 2018-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190120106A (ko) | 2019-04-30 | 2019-10-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동영상의 대표 이미지를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
KR102389153B1 (ko) | 2021-06-21 | 2022-04-21 | 김영은 | 음성 반응형 전자책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
KR102484311B1 (ko) | 2021-05-31 | 2023-01-04 |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 반응형 그림 제작 서비스의 제어방법 |
-
2023
- 2023-02-03 KR KR1020230014555A patent/KR1025262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8142A (ko) * | 2016-11-02 | 2018-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190120106A (ko) | 2019-04-30 | 2019-10-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동영상의 대표 이미지를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
KR102484311B1 (ko) | 2021-05-31 | 2023-01-04 |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 반응형 그림 제작 서비스의 제어방법 |
KR102484309B1 (ko) | 2021-05-31 | 2023-01-04 |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반응형 그림 제작 시스템 |
KR102389153B1 (ko) | 2021-06-21 | 2022-04-21 | 김영은 | 음성 반응형 전자책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이벌찬, ‘작품 한 편에 포스터만 30종류? 넷플릭스는 왜 이럴까’, 조선경제, 페이지 1~2, (2022.02.03.)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7916B1 (ko) * | 2024-05-17 | 2024-09-20 | 영원아이앤에스(주) | 사용자 상호작용 기능 및 동적 정보를 포함하는 pdf 형식의 전자문서 생성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55465B2 (en) | Book analysis and recommendation | |
JP2021535458A (ja) | 機械学習抽出物とセマンティックグラフとを使用して構造化データを作成し、検索、推奨および発見を促進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US11636367B2 (en) |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rediction sets based on a known set of features | |
CN110521213B (zh) | 故事影像制作方法及系统 | |
US11153633B2 (en) | Generating and presenting directional bullet screen | |
JP6261547B2 (ja) | 判定装置、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 |
US20130305280A1 (en) | Web Identity to Social Media Identity Correlation | |
CN113157157B (zh) | 基于直播的互动图像管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 |
WO2022247220A9 (zh) | 界面处理方法及装置 | |
US20150287069A1 (en) | Personal digital engine for user empowerment and method to operate the same | |
KR102526254B1 (ko) | 반응형 포스터 콘텐츠의 생성 및 이의 상호작용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JP7337172B2 (ja) | 音声パケット推薦方法、装置、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 |
US11257000B2 (en) |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rediction sets based on a known set of features | |
US20190080354A1 (en) | Location prediction based on tag data | |
JP2017201535A (ja) | 判定装置、学習装置、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 |
KR102408328B1 (ko) | 추천 템플릿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작 및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 |
CN112000823A (zh) | 功能入口显示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KR102503854B1 (ko) |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 |
KR102061532B1 (ko) | 피드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
JP6700146B2 (ja) | 評価値に基づいて推奨するコンテンツを決定するシステム | |
CN115687747A (zh) | 一种内容推荐方法及相关装置 | |
US10182264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ng media content based on a location of a user relative to a viewing area | |
CN115129975A (zh) | 推荐模型训练方法、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KR102407013B1 (ko) | 검색 키워드를 추천하는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2674099B1 (ko) | 영상 콘텐츠의 분류 및 시청 관련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기획 및 a/b 테스트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