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866B1 -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866B1
KR100927866B1 KR1020070069108A KR20070069108A KR100927866B1 KR 100927866 B1 KR100927866 B1 KR 100927866B1 KR 1020070069108 A KR1020070069108 A KR 1020070069108A KR 20070069108 A KR20070069108 A KR 20070069108A KR 100927866 B1 KR100927866 B1 KR 100927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cquired
image content
target
mas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033A (ko
Inventor
조열
Original Assignee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9000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거나 즐거움을 제공하는 데에 적합하여 광고나 홍보에 이용될 수 있는 이미지 콘텐츠를 카메라를 통해 취득한 이미지와 제공되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스킹을 이용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취득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원하는 마스크를 불러오는 단계; (c) 취득 이미지를 로드(Load)한 후, 마스크의 형태로 마스킹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이미지 콘텐츠를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를 통하여 소비자에게서 시선 집중, 흥미 유발 등을 이끌어내어 제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홍보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미지 콘텐츠, 광고, 홍보, 카메라, 마스킹, 스킨 체인지, 동영상

Description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 {Method for generating interactive image contents, and device for the same,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거나 즐거움을 제공하는 데에 적합하여 광고나 홍보(PR)에 이용될 수 있는 이미지 콘텐츠를 카메라를 통해 취득한 이미지와 제공되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생산된 제품이 지속적으로 판매되기를 희망하는데 반해, 소비자는 제품이 본인에게 알맞은 성능과 디자인, 용도 등을 두루 갖추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를 희망한다. 광고는 이러한 양자가 희망하는 바를 반영·매개하기 때문에 그 필요성이 나날이 증가되고 있으며, 현대산업사회에서 생산과 소비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주요 매체로 주지되고 있다. 특히, 기업 입장에서는 생산제품을 소개하는 광고가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수록 매출이나 순이익의 향상 등 기업이 신장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기업은 광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데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런데, 효과적인 광고의 제공을 위해서는 광고가 게시되는 장소나 광고를 표현하는 방법이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광고가 게시되는 장소로는 보다 많은 사람들이 시청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감안할 때 다양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모이는 장소(예컨대, 편의점, 대형할인매장, 전시장 등)나 특정인과의 만남을 이유로 대기하는 장소(예컨대, 만남의 광장 등)가 이에 적합하다. 반면, 광고를 표현할 때에는 이를 시청하는 소비자들이 내내 지루함을 갖지 않도록 해야 하며, 친근감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더불어, 제품의 특징적 이미지를 부각시켜 소비자들의 시선이 오랜시간동안 집중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강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특화된 광고가 필요함을 절실히 느끼게 된다.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종래 보편화된 광고로는 POP(Point Of Purchase) 광고가 있다. POP 광고는 구매시점 광고 또는 판매시점 광고라고도 하는데, ①브랜드를 식별시킴, ②제품에 주목하게 함, ③설득력이나 충격적 동기를 통해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 결단을 내리도록 유도함, ④소비자의 타제품 선호심리를 전환 유도시킴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유용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POP 광고는 보통 인쇄물 형태로 제작되어 제품 정보를 알리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이로 말미암아 소비자의 시선을 장시간 고정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이러한 광고는 변형이 불가하여 1회 사용만이 가능한 관계로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다.
한편, 종래 광고 중에는 동영상 형태로 제작되어 LCD나 PDP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소비자에게 게시되는 것도 있었다. 이러한 광고는 제작된 광고물이 CD나 DVD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되며 변형을 마음대로 가할 수 있어 다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용상 효율적이긴 하나, 이 역시 제품 정보를 단순히 홍보하는 수준에 머물러 소비자의 시선을 장시간 고정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게다가, 이미 이를 관람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의 경우에는 광고를 외면하게 되어 고객의 꾸준한 관심유도에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더욱이, 이러한 광고는 지나치게 상업적이거나 무미건조한 경향을 보여 오히려 제품이나 기업에 대한 이미지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하였다.
한편, 최근 들어 일체의 정보를 차단한 채 수용자들의 궁금증을 유발하는 티저(Teaser) 광고가 각광을 받고 있다. 티저 광고는 기업들이 신제품이나 새 브랜드를 출시하기 직전(즉, 신제품 론칭(Launching)시)에 많이 활용하고 있는 광고로서, 광고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요건 중 주목도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 그 이유는 오늘날 광고의 성패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해당 광고를 시청하는가, 즉 해당 광고에 주목하는가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색상의 화려함, 제품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 제품과 매치되는 요소(예컨대, 배경음악)의 부가 등이 광고에 요구될 수 있겠으나, 상당수 사람들이 기발한 아이디어를 시선이 집중되는 광고의 제1 요건으로 꼽고 있다(http://m-talk.inews24.com/php/news_view_mtalk.php?g_menu=381900&g_serial=216582 참조).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광고는 제작시 시간상·비용상 많은 부담을 초래할 뿐만 아 니라, 일회적인 특징(즉, 다른 광고에 적용시키기 곤란함)으로 보편 적용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발한 아이디어임과 동시에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거나 즐거움을 제공하는 데에 적합한 이미지 콘텐츠를 카메라를 통해 취득한 이미지와 제공되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마스킹을 이용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취득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원하는 마스크를 불러오는 단계; (c) 상기 취득 이미지를 로드(Load)한 후, 상기 마스크의 형태로 마스킹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킹을 이용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취득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취득 이미지 저장부; 동적 객체 또는 정적 객체의 형태를 가지는 대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대상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상기 대상 이미지와 상기 취득 이미지를 로드한 후 상기 대상 이미지의 형태로 상기 취득 이미지를 마스킹하고, 마스킹된 취득 이미지와 상기 대상 이미지를 혼합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취득 이 미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생성된 이미지 콘텐츠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을 통하여 이미지를 취득하는 이미지 취득장치;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 및 상기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로부터 생성된 이미지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나 홍보에 이용될 수 있는 이미지 콘텐츠를 카메라를 통해 취득한 취득이미지와 제공되는 대상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제품 홍보, 시선 집중, 흥미 유발 등을 동시에 제공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광고에 적용할 경우 광고의 상업적이거나 무미건조한 측면을 상쇄시켜 주는 효과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지 콘텐츠에 변형을 가해 다양화시킴으로써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게다가, 소재의 일부 편집만으로도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효과를 거둬 신선함과 고객으로부터의 꾸준한 관심유도를 이끌어내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에 따라 새로운 것을 제작해야 하는 불편을 많이 감소시킬 수 있어 제작에 따른 시간상·비용상 부담을 덜어주며, 다른 광고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보편적인 특성을 구비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의 내부구성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에 표현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는 통신부(110), 취득이미지 저장부(112), 대상이미지 저장부(114),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120), 이미지 콘텐츠 저장부(122), 전원부(130) 및 제어부(132)를 포함한다.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촬영장치(예컨대, 카메라)를 통하여 취득한 이미지와 대상이미지 저장부(114)에 저장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스킨체인지 방법을 이용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에서, 스킨체인지 방법이라 함은 서로 다른 두 디지털 이미지(A, B)를 결합하여 이로부터 상기 두 디지털 이미지(A, B)의 특징을 모두 구비하는 새로운 디지털 이미지(C)를 창출하는 방법을 말한다. 그리고, 이미지 콘텐츠라 함은 상기 창출된 새로 운 디지털 이미지(C)를 말하며, 이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픽처(Picture)나 동영상,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스킨체인지 방법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스킨체인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2b는 스킨체인지 방법에 의해 창출된 이미지 콘텐츠의 예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스킨체인지 방법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먼저 촬영장치가 센서영역 내에 위치한 관람객을 촬영하여 취득이미지(202)를 취득한다. 이후, 통상의 마스킹(Masking)을 이용하여 취득이미지(202)를 대상이미지(200)와 결합한다. 이때, 마스킹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68118호 "PC화면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 PC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나타난 바가 참조될 수 있다. 그러면, 대상이미지(200) 상에 취득이미지(202)가 반영된 제1 이미지 콘텐츠(204)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제1 이미지 콘텐츠(204)는 양감(Volume)이 느껴지지 않아 자연스러운 표현이 불가하다. 이에, 양감이 풍부해지도록(즉, 그라데이션 효과가 가미되도록) 제1 이미지 콘텐츠(204)에 투명도가 반영된 효과이미지(206)를 결합한다. 이때, 효과이미지(206)는 대상이미지(200)에서 추출된 일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면, 취득이미지(202)와 대상이미지(200)의 특징을 모두 구비하면서도 양감이 풍부한 제2 이미지 콘텐츠(208)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이미지 콘텐츠는 이러한 제2 이미지 콘텐츠(208)를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콘텐츠는 제1 이미지 콘텐츠인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미지 콘텐츠의 예시는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2b의 (a) 내 지 (d)에 있어서 각각, 좌측에 위치하는 이미지는 취득이미지(202)에 해당하며, 중앙에 위치하는 이미지는 제1 이미지 콘텐츠(204)에 해당한다. 그리고, 우측에 위치하는 이미지는 제2 이미지 콘텐츠,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에 해당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의 구성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통신부(110)는 촬영장치가 센싱영역에 위치된 특정인 또는 특정사물을 촬영하면 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수신된 취득이미지는 통상 특정시각에 취득된 픽처(Picture)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취득이미지는 일정시간에 걸쳐 취득된 동영상인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10)는 이외에도 생성된 이미지 콘텐츠를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촬영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달성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된다.
취득이미지 저장부(112)는 제어부(132)의 제어에 따라 취득이미지를 저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취득이미지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이미지 콘텐츠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가 이러한 취득이미지 저장부(112)를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대상이미지 저장부(114)는 대상이미지를 저장한다. 대상이미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적객체를 포함하는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대상이미지가 동영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정적객체를 포함하는 픽처인 것도 가능하다. 한편, 대상이미지는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 에 기저장됨이 통상적이나, 관리자나 웹을 통하여 필요에 따라 수시로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대상이미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취득이미지와 함께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반이 된다.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킨체인지 방법을 이용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 스킨체인지 방법에 사용된 취득이미지는 정적객체를 포함하는 픽처이다. 반면, 이와 결합되는 대상이미지로는 동적객체를 포함하는 동영상이 사용된다. 따라서, 동적객체의 움직임에 마스킹된 취득이미지가 반응하지 않는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는 완성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120)가 상기한 바를 해결하는 방법을 후행하는 도 3a 내지 도 3g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미지 콘텐츠 저장부(122)는 제어부(132)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 콘텐츠를 저장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생성된 이미지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표현한다. 이에, 이미지 콘텐츠 저장부(122)는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에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작동이 원활하게 운영되지 않을 경우를 감안하거나 특정 이미지 콘텐츠의 반복 사용을 위해서는 이미지 콘텐츠 저장부(122)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취득이미지 저장부(112), 대상이미지 저장부(114) 및 이미지 콘텐츠 저장부(1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저장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가 원활하 게 작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는 촬영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가 그 구성부로 이미지 취득부(미도시), 이미지 변환부(미도시) 및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취득부는 카메라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미지 변환부는 A/D Converter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촬영으로 취득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미지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부들을 거쳐서 취득되는 이미지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32)의 제어에 따라 취득이미지 저장부(112)에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입력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특정신호(예컨대, 이미지의 임의지정)를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132)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에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동반 참여로 인한 더 많은 관심과 호응을 이끌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촬영장치나 상기 이미지 취득부는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481,933호 "영상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인식 장치"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피사체로부터 보다 뚜렷한 영상을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취득이미지와 대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120)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가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대상이미지 저장부(114)에 저장된 대상이미지가 동적객체를 포함함은 이미 설명하였다. 그런데, 동적객체는 시간경과에 따라 움직임을 동반한다. 이하,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에서 (a)와 (b)는 시간경과에 따라 움직임이 반영된 동적객체의 모습이다. 그리고, (c)는 이러한 동적객체와 결합되는 취득이미지이며, (d)와 (e)는 (a)와 (b)가 각각 (c)와 결합한 후 양감처리를 통해 창출한 이미지 콘텐츠이다. 도 3a에서 (a)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던 동적객체는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b)와 같은 모습을 하게 된다. 이때, 단순히 스킨체인지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d), (e)와 같은 이미지 콘텐츠를 취득하게 된다. 그런데, (d)에 삽입된 (c)와 (e)에 삽입된 (c)는 그 모양이 서로 다르다. 이는 동적객체의 움직임에 취득이미지가 능동적으로 반영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예컨대 동적객체에 사람의 얼굴을 반영시키고자 하는 경우 동적객체가 움직임을 보이게 되면 얼굴의 일부 또는 팔이나 다리 등이 반영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동적객체의 움직임에 취득이미지가 능동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다음을 제안한다.
㉠ 동적객체(300)를 여러 영역(302 내지 312)으로 구분한다(도 3b 참조).
㉡ 동적객체(300)의 각 영역에 취득이미지(202)를 반영할시 동적객체(300)의 움직임에 따라 취득이미지(202)의 위치나 방향을 변동시킨다(도 3c의 (a) 내지 (c) 참조). 특히, 취득이미지(202)는 도 3c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심원을 그리면서 위치나 방향이 변동된다.
㉢ 동적객체(300)의 각 영역에 취득이미지(202)를 반영할시 선결과제로써 마스킹 대상이 될 영역을 지정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각 영역에 따른 마스킹 범위를 도 3d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정한다. 예컨대, 동적객체(300)의 제1 영역(302)에 따른 제1 마스킹 범위는 도면부호 330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제6 영역(312)에 따른 제6 마스킹 범위는 도면부호 340에 나타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 영역에 따른 마스킹 범위를 결정할시 그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한다.
이상 상기 제안된 바(즉, ㉠ 내지 ㉢)에 따르면, 첫째, 동적객체(300)가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에도 각 영역에 해당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동적객체(300)의 움직임에 따라 특정영역의 양단 크기가 변화하는 경우(예컨대, 도 3d의 (a)와 (b)를 비교해보면, (a)에 비해 (b)에서 제4 영역(308)의 좌단은 그 크기가 감소하는 반면, 우단은 그 크기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에도 상기 특정영역에 왜곡(Distortion)되는 홀스(Holes)의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세째, 동적객체(300)의 각 영역에 반영된 이미지들이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동적객체(300)를 이루는 여러 영역(302 내지 312)들에 취득이미지(202)의 특정부분이 마스킹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 동적객체(300)에 마스킹되는 취득이미지(202)가 동일한 경우(도 3e)
이 경우, 취득이미지(202)는 사전 분할되지 않는다. 따라서, 취득이미지(202)의 스캔영역을 달리하는 방법으로 동적객체(300)의 특정영역에 취득이미지(202)의 해당부분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취득이미지(202)의 A 영역을 스캔 실시하면 동적객체(300)의 제1 영역(302)이 마스킹 대상으로 설정되며, 이에 취득이미지(202)의 해당부분이 삽입된다. 다음 단계에서,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취득이미지(202)의 B 영역을 스캔 실시하면 동적객체(300)의 제1 영역(302)과 제2 영역(304)이 마스킹 대상으로 설정되는데, 제1 영역(302)에는 이미 취득이미지(202)의 특정부분이 삽입되었으므로 이 경우에는 제2 영역(304)에만 취득이미지(202)의 해당부분이 삽입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이후 과정을 진행하면, (c)와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적객체(300)의 나머지 영역에도 각각 취득이미지(202)의 해당부분이 삽입된다.
이러한 방법은 취득이미지(202)의 특정부분이 순서대로 동적객체(300)에 마스킹될시 취득이미지(202)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 동적객체(300)에 마스킹되는 취득이미지(202)가 상이한 경우(도 3f)
이 경우, 취득이미지(202)는 동적객체(300)의 각 영역에 합당한 형태(예컨대, 도면부호 320a 내지 320d)로 사전 분할된다. 따라서, 취득이미지(202)에서 분할된 이미지의 위치를 변동시키는 방법으로 동적객체(300)의 특정영역에 취득이미지(202)의 해당부분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적객체(300)의 제1 영역(302) 상에 제1 분할이미지(320a)를 위치시킨 다음, 마스킹을 전개하면 제1 영역(302)에 제1 분할이미지(320a)의 해당부분이 삽입된다. 다음으로,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적객체(300)의 제2 영역(304) 상에 제2 분할이미지(320b)를 위치시킨 다음, 마스킹을 전개하면 제2 영역(304)에 제2 분할이미지(320b)의 해당부분이 삽입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이후 과정을 진행하면, (c)와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적객체(300)의 나머지 영역에도 각각 분할이미지(320c, 320d)가 삽입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 방법은 선결과제로 취득이미지(202)를 분할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120)(또는 제어부(132))가 통신부(110)로부터 취득이미지(202)를 전달받는 즉시 도 3g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적객체(300)의 영역별 크기에 비례하도록 취득이미지(202)를 분할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이때, 도 3d에 나타난 바를 참작하여 취득이미지(202)를 분할함이 보다 바람직하겠다.
이와 같이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120)가 상기 제안된 바를 참작하여 스킨체인지 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게 되면, 동적객체가 시간경과에 따라 움직임을 보이더라도 취득이미지가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곧 일련의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이미지 콘텐츠에 시시각각 변화되는 사람의 얼굴이 왜곡없이 조화롭게 반영됨을 실현시켜 관람객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고나 홍보에 이용될시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어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가 생성한 이미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구현한 개념도이다.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400)은 이미지 취득장치(410),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400)은 이미지 취득장치(410)를 통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이로부터 이미지를 취득하면,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를 통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후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420)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미지 취득장치(4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메라나 캠코더와 같은 촬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촬영을 통하여 특정 이미지(즉, 본 발명에 따른 취득이미지)를 취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특정 이미지는 상기 촬영장치를 감안할 때 픽처 뿐만 아니라 동영상도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이미지 취득장치(410)에 의해 취득되어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로 전달되는 본 발명에서의 이미지는 픽처로 대표되는 단편적 이미지(정적 이미지)와 동영상으로 대표되는 연속적 이미지(동적 이미지)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런데, 이미지가 픽처인 경우는 도 3a 내지 도 3g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다. 이에, 이하에서는 이미지가 동영상인 경우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언급한다.
일반적으로 동영상은 픽처가 연속적으로 표현되는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예 컨대, TV를 통해 방영되는 드라마나 영화는 1초당 24컷의 픽처가 연속적으로 표현되는 형태이며, 애니메이션은 1초당 10~20컷의 픽처가 연속적으로 표현되는 형태이다. 즉, 이미지 취득장치(410)가 피사체에 대한 동영상을 촬영한다 하더라도 이는 순차적으로 표현되는 복수개의 픽처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는 복수개의 픽처들을 순서대로 제공받아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를 차례대로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420)를 통하여 표현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420)에 표현된 것(예컨대, 헤엄치는 물고기의 몸 속에 손을 흔들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관람객이 보게 된다면 전에 없던 경험에 관람객은 놀라움과 신기함, 신선함 등을 얻게 될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바를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616,532호 "광고 콘텐츠 제공방법"과 더불어 광고나 홍보에 적용한다면 이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한층 배가시키는 요인이 됨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취득장치(410)는 센서(예컨대, 인체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센서는 센싱영역에 들어온 관람객을 센싱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면, 센싱된 정보에 따라 이미지 취득장치(410)가 그때 취득된 이미지를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로 전송하게 되고,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는 이를 이용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며 디스플레이 장치(420)를 통하여 이를 표현하게 된다. 그러면, 필요시에만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가 작동되어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전력을 절약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한편,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이미지 취득장치(410)가 촬영을 감행할시 도 5의 (a)나 (b)와 같이 피사체의 일부만 노출된 픽처가 취득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취득되는 픽처는 누구인지 또는 무엇인지를 분별하는 분별정보를 담고 있지 못하므로 무의미하며, 나아가 관람객의 이목을 집중시키거나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센서가 감지한 때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뒤 이미지 취득장치(410)가 촬영을 감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이미지 취득장치(410)는 도 5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사체의 전부가 노출된 픽처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347,058호 "얼굴 촬영/인식 방법"에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는 이미지 취득장치(410)와 연동하여 영상캡처 프로그램(예컨대, 프랩스나 라이브캠 등)을 탑재 운용할 수 있다. 영상캡처 프로그램은 동영상에서 특정 픽처를 추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영상캡처 프로그램은 윈도우 기반으로 실행되며, 다음과 같은 셋업 모드(Setup Mode)의 설정이 가능하다. 첫째, 이미지 취득장치(410)가 촬영을 실시하는 영역의 위치나 크기, 갯수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둘째, 촬영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세째,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여 일정 움직임이 있을 경우에 한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가 생성한 이미지 콘텐츠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420)는 LCD나 PD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는 이미지 콘텐츠는 CD나 DVD와 같은 저장매체에 기록되어, 이후 컴퓨터와 같은 장치를 통해 반복 재생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400)의 운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이미지 취득장치(410)는 구비되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촬영을 시도하여 이미지를 취득한다(S600). 이미지 취득장치(410)는 이렇게 취득된 이미지를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로 전송한다(S602). 그러면,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의 통신부(110)가 이를 수신하고, 제어부(132)는 이를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120)로 전달한다(S610). 또는, 제어부(132)는 이를 취득이미지 저장부(112)에 저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추후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120)가 대상이미지 저장부(114)에 저장된 대상이미지를 로드할시 동시에 취득이미지 저장부(112)에 저장된 취득이미지를 로드하게 된다.
이후,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120)는 대상이미지 저장부(114)에 저장된 대상이미지를 로드한다(S612). 그런 다음,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120)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기술한 스킨체인지 방법과 도 3a 내지 도 3g를 참조하여 기술한 본 발명의 방법을 참작하여 취득이미지와 대상이미지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한다(S614). 그 후, 제어부(132)는 이미지 콘텐츠를 이미지 콘텐츠 저장부(122)에 저장시킨다(S616).
이후, 제어부(132)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420)로 송출하고(S618), 디스플레이 장치(420)는 이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한다(S62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4에 제안된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의 능동적 참여를 반영하여 다음과 같이 실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구현한 개념도이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700)은 이미지 입력장치(710),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 및 디스플레이 장치(420)를 포함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4의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과 여기에서 언급할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구별하기 위해 이들을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즉, 전자는 제1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400)으로 표기하고, 후자는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700)으로 표기한다. 또한,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장치도 식별을 위해 도 7 이후에서는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에 언급된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는 제1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로 정의한다.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700)은 제1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400)과 달리 사용자(user)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 2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700)은 이를 위해 이미지 입력장치(710)를 더 구비한다. 더 구체적으로,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700)은 이미지 입력장치(710)에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를 입력하면 이를 이미지 콘텐츠에 반영하여, 자연적으로 사용자의 능동적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한다. 반면, 제1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400)의 경우 사용자는 피사체가 되어 능동적 참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촬영된 이미지들 중에서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기도 하나, 이를 사용자의 능동적 참여로 보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이미지 입력장치(7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이미지 취득장치(4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차이점이 있다면, 이미지 입력장치(710)는 즉석에서 사용자가 드로잉 작업(문자나 그림을 화면에 그려서 입력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여건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 입력장치(7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드와 드로잉 도구(예컨대, 크레파스, 매직펜 등) 및 카메라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미지 입력장치(710)는 이에 그치지 않고, 태블릿(tablet), 터치스크린, 스캐너 등으로 구현됨도 가능하다. 이 경우, 카메라는 이미지 입력장치(710)에 포함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이미지 입력장치(710)는 카메라 단독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즉석에서 드로잉 작업을 수행함은 기대할 수 없으므로 사진과 같이 드로잉 완료된 상태의 것이 카메라에 제시된다.
이미지 입력장치(710)는 이외에도 실제 물건(예컨대, 휴대폰, 지갑 등)을 취득이미지로써 입력할 수 있다.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700)은 이러한 이미지 입력장치(710)를 통하여 다양한 입력과정을 어떻게 응용하는가에 따라 화면상의 스토리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700)은 유아 교육이나 각종 홍보 이벤트에서 집중력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이미지 입력장치(710)가 보드, 드로잉 도구 및 카메라의 결합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다음 사항이 참작됨이 바람직하다. 첫째, 보드와 드로잉 도구는 그 바탕색상이 상호 보색대비(補色對比)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보드에 드로잉된 이미지를 카메라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둘째, 보드나 드로잉 도구 혹은 이들 부근에는 센서(예컨대,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카메라의 보드 촬영이 드로잉 작업이 완료된 후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이미지 입력장치(710)는 드로잉중인 사용자가 쳐다보기 편리한 위치에 LCD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진행중인 드로잉 작업에 오류가 없는지를 사용자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더하여, 이미지 입력장치(710)는 이레이저(eraser) 장치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진행중인 드로잉 작업에 오류가 발견될 경우 이의 수정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대체적으로 제1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차이점이 있다면, 취득이미지에 오브젝트(object) 외에 배경(background)이 포함될 수 있어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가 이를 가공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하,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가 수행하는 이 기능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서술한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취득이미지를 오브젝트와 배경으로 구분할 때 그 각각은 도면부호 800 및 80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대상이미지가 이미지 콘텐츠의 주체인 경우(구체적으로, 마스킹을 이용하여 취득이미지를 대상이미지에 반영시키는 경우)에는 취득이미지의 일부만이 대상이미지에 캡처되므로 취득이미지가 배경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무방하다. 그러나, 취득이미지가 이미지 콘텐츠의 주체가 되는 경우에는 취득이미지 전체가 대상이미지에 반영된다. 이 경우, 취득이미지의 배경이 대상이미지에서 도드라져 보이면 이미지 콘텐츠의 전체적인 어울림을 파열시킬 수 있다. 이에,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는 필히 취득이미지를 가공해야 하는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도 8b 참조. 먼저,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는 취득이미지(202)를 오브젝트(800)와 배경(802)으로 구분한다. 다음,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는 배경(802)을 투명하게 처리한다. 다음,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는 가공된 취득이미지(804)를 대상이미지(200)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 콘텐츠(806)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미지 콘텐츠(806)에서 가공된 취득이미지(804)는 대상이미지(200)와 보색대비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가공된 취득이미지(804)의 파일 포맷은 png로 설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png 파일은 배경을 투명하게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② 도 8c 참조. 먼저,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는 취득이미지(202)를 오브젝트(800)와 배경(802)으로 구분한다. 다음,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 치(720)는 오브젝트(800)를 추출하고 배경(802)을 삭제한다. 다음,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는 종전 배경(802) 위치에 대상이미지(200)의 바탕색상/바탕무늬와 동일한 것을 새로운 배경(808)으로 첨가한다. 다음,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는 가공된 취득이미지(804)를 대상이미지(200)에 결합시켜 이미지 콘텐츠(806)를 생성한다. 상기에서 가공된 취득이미지(804)의 파일 포맷은 jpg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파일 포맷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에서, 취득이미지는 사용자에 의해 드로잉되므로 단편적 이미지인 것이 일반이다. 그런데, 이러한 취득이미지는 연속적 이미지 속성을 가지도록 표현됨도 가능하다. 이를 구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이미지와 결합하는 취득이미지의 위치를 변동시켜 생성되는 이미지 콘텐츠에서 마치 취득이미지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도록 표현할 수 있다. 예컨대, 이는 도 8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체화할 수 있다. 즉, 대상이미지((a))와 취득이미지((b))를 결합시켜 제1 이미지 콘텐츠((c))를 생성하고, 이후 대상이미지((a))에서 취득이미지((b))의 위치를 변동시켜 재결합시키면 제2 이미지 콘텐츠((d))가 생성된다. 제1 이미지 콘텐츠((c))와 제2 이미지 콘텐츠((d))를 비교해 보면 취득이미지에 유동성이 부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시간차를 두고 사용자에 의해 드로잉되는 취득이미지를 즉각 반영하여 이미지 콘텐츠에서 취득이미지가 동적 경향을 보이도록 표현할 수 있다. 예컨대, 이는 도 8e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체화할 수 있다. 즉, 대상이미지((a))와 제1 취득이미지((b))를 결합시켜 제1 이미지 콘텐츠((c))를 생성하고, 이후 제2 취득이미 지((d))가 입력되는 즉시 이를 반영하면 제2 이미지 콘텐츠((e))가 생성된다. 제1 이미지 콘텐츠((c))와 제2 이미지 콘텐츠((e))를 비교해 보면 취득이미지가 입력되는 즉시 반영되어 유동성이 부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외, 본 발명에서는 대상이미지를 취득이미지와 더불어 순차적으로 변환시킴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에는 대상이미지를 변경하는 시간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상이미지 없이 취득이미지만으로 이미지 콘텐츠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취득이미지 뿐만 아니라 대상이미지도 드로잉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각의 이미지(예컨대, 취득이미지의 오브젝트, 배경, 대상이미지 등)를 취득하여 이미지 콘텐츠에 반영함도 가능하다. 물론, 화면분할 방법을 참작하여 1개의 카메라를 운용하여 상기 다수의 이미지를 취득함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능동적 참여가 반영된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700)의 실물 구조를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의 실물형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700)의 실물 구조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3가지 타입을 제시하였는데, 그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용이변경 가능하다.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본체(930) 상단에는 사용자의 드로잉 작업이 가능하 도록 보드(912)와 드로잉 도구(914)가 구비된다. 그리고, 그 상부에는 보드(912)에 드로잉된 이미지를 잘 촬영하기 위해서 카메라(916)가 구비된다. 카메라(916)는 본체(930)에 내장된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다음 도 9b를 참조하면, 본체(930) 상단에는 태블릿(918)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 태블릿(918)은 사용자에 의해 드로잉된 이미지가 즉시 전달될 수 있도록 본체(930)에 내장된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태블릿(918) 위치에 터치스크린이나 스캐너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9c를 참조하면, 대체적인 구성은 도 9b의 경우와 동일하다. 차이점이 있다면, 태블릿(918)이 본체(930)에 내장된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에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 이미지 입력장치(710)는 상기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에 연결되는 카메라(916)를 더 구비한다. 카메라(916)는 본체(930)에 내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드로잉된 이미지가 태블릿(918)에 전기적 연결된 화면표시 장치(920)에 나타나면 이를 촬영하여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화면표시 장치(920)는 본체(930)에 내장되어 카메라(916)와 마주보도록 설계됨은 당연하다.
한편, 카메라(916)가 꼭 본체(930)에 내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카메라(916)는 태블릿(918)의 화면표시부를 바라보도록 설계되면 족하다. 한편, 도 9c의 경우도 태블릿(918) 위치에 터치스크린이나 스캐너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이미지 입력장치(710)와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7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서 이들은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의 내부구성을 표현한 블록도,
도 2a는 스킨체인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b는 스킨체인지 방법에 의해 창출된 이미지 콘텐츠의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가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구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취득장치의 바람직한 촬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구현한 개념도,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의 실물형 개념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 110 : 통신부
112 : 취득이미지 저장부 114 : 대상이미지 저장부
120 :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 122 : 이미지 콘텐츠 저장부
130 : 전원부 132 : 제어부
200 : 대상이미지 202 : 취득이미지
204 : 제1 이미지 콘텐츠 208 : 제2 이미지 콘텐츠
300 : 동적객체
400 : (제1)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
410 : 이미지 취득장치 420 : 디스플레이 장치
700 :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
710 : 이미지 입력장치 720 : 제2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
800 : 오브젝트 802 : 배경

Claims (17)

  1. 마스킹을 이용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이미지 콘텐츠 생성 장치가 취득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이미지 콘텐츠 생성 장치가 원하는 마스크를 불러오는 단계;
    (c) 상기 이미지 콘텐츠 생성 장치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대상 이미지를 상기 취득 이미지와 함께 로드(load)하고 상기 취득 이미지를 상기 마스크의 형태로 마스킹하여 상기 취득 이미지와 상기 대상 이미지가 혼합된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대상 이미지가 동적 객체인 경우 상기 대상 이미지를 영역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 영역 중 마스킹 대상이 될 영역을 선정하며 상기 선정된 영역마다 상기 취득 이미지를 마스킹하여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미지 콘텐츠 생성 장치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1) 이미지 취득장치가 사용자에게 입력받거나 촬영을 통하여 상기 취득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이미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대상 이미지가 동적 객체인 경우 상기 선정된 영역마다 상기 취득 이미지를 마스킹할 때에 인접한 영역의 취득 이미지끼리 일부 중첩되도록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대상 이미지가 동적 객체인 경우 상기 선정된 영역마다 각각 마스킹된 취득 이미지의 위치나 방향을 상기 대상 이미지의 움직임에 따라 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기에 앞서 상기 취득 이미지에 포함된 배경을 투명 처리하거나 상기 대상 이미지와 동일 색상 또는 동일 무늬로 변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11. 마스킹을 이용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취득된 취득 이미지를 저장하는 취득 이미지 저장부;
    동적 객체 또는 정적 객체의 형태를 가지는 대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대상 이미지 저장부;
    상기 대상 이미지를 상기 취득 이미지와 함께 로드(load)하고 상기 취득 이미지를 로드된 마스크의 형태로 마스킹하여 상기 취득 이미지와 상기 대상 이미지가 혼합된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대상 이미지가 동적 객체인 경우 상기 대상 이미지를 영역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 영역 중 마스킹 대상이 될 영역을 선정하며 상기 선정된 영역마다 상기 취득 이미지를 마스킹하여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취득 이미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생성된 이미지 콘텐츠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대상 이미지가 동적 객체인 경우 상기 대상 이미지를 영역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마다 상기 취득 이미지를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는, 인접한 영역의 취득 이미지끼리 서로 일부 중첩되도록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장치.
  14. 사용자에게 입력받거나 촬영을 통하여 이미지를 취득하는 이미지 취득 장치;
    마스킹을 이용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외부로부터 취득된 취득 이미지를 저장하는 취득 이미지 저장부와, 동적 객체 또는 정적 객체의 형태를 가지는 대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대상 이미지 저장부와, 상기 대상 이미지를 상기 취득 이미지와 함께 로드(load)하고 상기 취득 이미지를 로드된 마스크의 형태로 마스킹하여 상기 취득 이미지와 상기 대상 이미지가 혼합된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대상 이미지가 동적 객체인 경우 상기 대상 이미지를 영역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 영역 중 마스킹 대상이 될 영역을 선정하며 상기 선정된 영역마다 상기 취득 이미지를 마스킹하여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이미지 콘텐츠 생성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취득 이미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생성된 이미지 콘텐츠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콘텐츠 생성 장치; 및
    상기 이미지 콘텐츠 생성 장치로부터 생성된 이미지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취득장치는, 피사체를 센싱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촬영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취득장치는,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이미지를 수정하는 이레이저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취득장치는, 보드판과 필기도구, 태블릿, 터치스크린, 스캐너 및 카메라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 시스템.
KR1020070069108A 2007-01-25 2007-07-10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시스템 KR100927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840 2007-01-25
KR20070007840 2007-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033A KR20090003033A (ko) 2009-01-09
KR100927866B1 true KR100927866B1 (ko) 2009-11-23

Family

ID=4048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108A KR100927866B1 (ko) 2007-01-25 2007-07-10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572A1 (ko) * 2021-05-31 2022-12-08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반응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083B1 (ko) * 2021-04-01 2024-02-05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728A (ko) * 2000-08-04 2002-02-09 이성한 동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14078A (ko) * 2000-08-16 2002-02-25 김성민 컴퓨터의 이미지 편집시스템
KR20030066180A (ko) * 2002-02-05 2003-08-0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온라인을 통해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를 자동으로제작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0066377A (ko) * 2003-01-17 2004-07-27 김주성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한 실시간 이미지 합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728A (ko) * 2000-08-04 2002-02-09 이성한 동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14078A (ko) * 2000-08-16 2002-02-25 김성민 컴퓨터의 이미지 편집시스템
KR20030066180A (ko) * 2002-02-05 2003-08-0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온라인을 통해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를 자동으로제작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0066377A (ko) * 2003-01-17 2004-07-27 김주성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한 실시간 이미지 합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572A1 (ko) * 2021-05-31 2022-12-08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반응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033A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09504B (zh) 显示信息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0613699B2 (en) Multi-view display cueing, prompting, and previewing
CN101946500B (zh) 实时视频包含系统
US20180330152A1 (en) Method for identifying, ordering, and presenting images according to expressions
KR20180132063A (ko) 개인의 생활 스토리 시뮬레이션 시스템
US20140178029A1 (en) Novel Augmented Reality Kiosks
JP7440020B2 (ja) 情報処理方法、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TWI779343B (zh) 狀態識別方法、裝置、電子設備及電腦可讀儲存介質
US20130290994A1 (en) Selection of targeted content based on user reactions to content
WO2013120851A1 (en) Method for sharing emotions through the creation of three-dimensional avatars and their interaction through a cloud-based platform
CN115151938A (zh) 用于标识视听内容内的产品的系统
JP2020074041A (ja) 遊戯用撮影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TW202121250A (zh) 展示對象的控制方法與裝置、電子設備及記錄媒體
JP5256163B2 (ja) 情報表示装置
JP6048475B2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927866B1 (ko)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시스템
JP5932253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09688347A (zh) 多屏互动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601329B1 (ko) 디지털사이니지를 이용한 맞춤형 고객 대응 장치
JP2007033936A (ja) 広告出力方法および広告出力装置
Liew et al. ARCards: Marker-Based Augmented Reality Recognition for Business Cards
KR20190028015A (ko) 딥 러닝 기반 영상 처리를 이용한 증강 현실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68640B1 (ko) 대형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JP2017046162A (ja) 合成動画作成システム、合成動画作成補助システム及び合成動画作成プログラム
KR102581583B1 (ko) 커스터마이징 상품 주문이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