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083B1 -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083B1
KR102633083B1 KR1020210042755A KR20210042755A KR102633083B1 KR 102633083 B1 KR102633083 B1 KR 102633083B1 KR 1020210042755 A KR1020210042755 A KR 1020210042755A KR 20210042755 A KR20210042755 A KR 20210042755A KR 102633083 B1 KR102633083 B1 KR 102633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namic image
image
user
interac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6728A (ko
Inventor
박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Priority to KR1020210042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083B1/ko
Publication of KR20220136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06T7/248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involving reference images or pa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생성하고자 하는 동적 이미지의 카테고리에 대한 결정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복수의 가이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드로잉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표시된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참고하여 드로잉 툴 상에서 직접 그린 커스텀 이미지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커스텀 이미지에 기초하여 동적 이미지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동적 이미지를 상호작용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생성된 동적 이미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또는 다른 오브젝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직접 그린 그림이 살아 움직이는 듯한 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FOR IMPLEMENTING USER INTERACTIVE DYNAMIC IMAGE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그린 그림을 활용하여 사용자 또는 다른 오브젝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만화나 캘리그라피와 같은 그림은 기존에는 오프라인 상에서 인쇄 매체를 통해서만 제공되었으나 최근 컴퓨터 그래픽 기술과 멀티미디어 기기의 발달로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원하는 다양한 이미지들을 검색하고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양한 전자기기와 터치펜과 같은 인터페이스 장치들이 널리 보급되면서, 사용자들 스스로 다양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컴퓨터의 그래픽 처리 기술이 발달하면서, 기존의 정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움직임과 상호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동적 이미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동적 이미지는 동영상과 같이 정해진 흐름에 따라 재생되는 이미지와 달리, 상호작용에 따라 움직이도록 제작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예컨대, 동적 이미지는 클릭이나 터치에 의해 물체가 움직이거나, 시간에 따라 물체의 색상 또는 형태가 변화하거나, 다른 물체와의 물리적인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동적 이미지는 기존의 정적 이미지와 달리 사용자의 주의를 쉽게 환기시킬 수 있어 광고, 교육, 컨텐츠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93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그린 그림을 활용하여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생성하고자 하는 동적 이미지의 카테고리 별로 가이드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을 보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은, 생성하고자 하는 동적 이미지의 카테고리에 대한 결정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복수의 가이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드로잉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표시된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참고하여 드로잉 툴 상에서 직접 그린 커스텀 이미지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커스텀 이미지에 기초하여 동적 이미지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동적 이미지를 상호작용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동적 이미지는 상기 상호작용 화면 내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적 이미지의 상호작용은, 상기 동적 이미지의 카테고리와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적 이미지의 상호작용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동적 이미지 내 물체를 움직이거나, 상기 상호작용 화면 내 다른 물체들과의 물리적인 상호작용을 나타내거나, 상기 동적 이미지와 관련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적 이미지 내 물체의 움직임 또는 상기 상호작용 화면 내 다른 물체들과의 물리적인 상호작용 방식은, 미리 저장된 물리엔진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이미지는 외곽선이 점선으로 표시된 물체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물체는 상기 동적 이미지의 카테고리와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스텀 이미지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외곽선을 투명하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스텀 이미지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외곽선 부분을 마스킹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적 이미지가 저장된 경로를 통해 전달 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비-일시적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그린 그림을 활용하여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생성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카테고리에 따른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을 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된 동적 이미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또는 다른 오브젝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사용자는 직접 그린 그림이 살아 움직이는 듯한 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본 발명 또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필요한 도면이 아래에서 간단히 소개된다. 아래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목적일 뿐 한정의 목적이 아니라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들에 대한 표현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드로잉 화면 및 이에 표시된 가이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예시적인 가이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4는 드로잉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가이드 이미지를 따라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상호작용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생성한 동적 이미지가 다른 오브젝트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생성하고자 하는 동적 이미지의 카테고리에 대한 결정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100)가 수행된다. 동적 이미지의 카테고리란, 예컨대 동물, 식물, 사물, 인간 등의 대분류부터 개, 고양이, 오리, 나무, 꽃, 과일, 남자, 여자와 같이 세부적인 소분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가이드 이미지 데이터 및 각 카테고리의 상호작용 방식을 기술하는 데이터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복수의 가이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드로잉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200)가 수행된다. 사용자가 드로잉 툴을 실행시킨 후, 단계(S100)에 따라 생성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면, 프로세서는 미리 저장된 해당 카테고리의 가이드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로드하여 표시한다.
도 2는 드로잉 화면(10) 및 이에 표시된 가이드 이미지(100)를 나타낸 것이다. 드로잉 화면(10)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가이드 이미지(100)가 표시되며, 좌측에는 사용자가 그림을 그릴 때 필요한 드로잉 툴(110)이 표시된다. 드로잉 툴(110)에는 예컨대, 그림 선의 굵기, 종류, 색상 등을 선택하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가이드 이미지(100)는 사용자가 쉽게 그림을 따라 그릴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이미지로서, 각 이미지마다 카테고리가 태깅되어 있어 이후 생성되는 동적 이미지의 상호작용 방식을 결정하는 기초가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우산' 카테고리를 선택한 경우 도 2와 같이 우산 형태의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되고, 이로부터 생성된 동적 이미지는 도 5와 같이 화면 내 빗방울을 튕겨 내는 상호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예시적인 가이드 이미지를 나타낸다. 제1 가이드 이미지(101)는 예컨대 '식물', '나무', '크리스마스 트리' 등의 카테고리에 해당될 수 있고, 제2 가이드 이미지(102)는 예컨대 '과일', '사과' 등의 카테고리에 해당될 수 있고, 제3 가이드 이미지(103)는 예컨대 '동물', '새', '오리' 등의 카테고리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 이미지(100 내지 103) 내 물체는 외곽선이 점선으로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점선을 따라 그림을 그리거나 색을 칠하는 등의 활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어서 사용자가 표시된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참고하여 상기 드로잉 툴 상에서 직접 그린 커스텀 이미지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S300)가 수행된다.
도 4는 드로잉 화면(10) 상에서 사용자가 가이드 이미지를 따라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좌측 드로잉 툴(110)에서 커스텀 이미지(200)를 그리는데 필요한 선의 굵기, 색상, 종류(예컨대, 붓, 크레파스, 색연필, 형관펜 등)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선택한 후 사용자는 입력장치(마우스, 터치펜 등)를 이용하여 화면 상에서 가이드 이미지(100)를 따라 자유롭게 그림을 그릴 수 있다.
그리기를 완료한 후, 사용자가 좌측 상단의 완료 버튼(120)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커스텀 이미지 생성 작업이 완료되며, 사용자가 그린 커스텀 이미지(200)는 저장부에 데이터로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가 저장되기 전에, 가이드 이미지의 외곽선을 투명하게 처리하거나 마스킹 함으로써 점선 가이드가 보이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저장된 상기 커스텀 이미지에 기초하여 동적 이미지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S400)가 수행된다. 동적 이미지는 상호작용 화면 내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호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인 상호작용 방식이나 규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동적 이미지는 저장된 경로의 참조를 통해 다른 애플리케이션 내에 로드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동적 이미지를 상호작용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500)가 수행된다. 본 단계는 상기 동적 이미지가 저장된 경로를 통해 전달 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동적 이미지는 저장된 경로의 참조를 통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SNS 메신저, 이메일, 이미지 처리 앱, 인터넷 브라우저 등) 내에 로드될 수 있고, 각 애플리케이션이 동적 이미지의 포맷을 지원한다면 해당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도 5는 상호작용 화면(30) 상에서 사용자가 생성한 동적 이미지(300)가 다른 오브젝트(310)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동적 이미지(300)의 상호작용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상호작용 규칙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동적 이미지의 카테고리(즉, 동적 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가이드 이미지의 카테고리로서 단계(S100)에서 결정됨)와 관련된다. 예컨대, 도 5와 같이 '우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동적 이미지(300)의 경우, 화면 상에 표시된 빗방울 등 다른 오브젝트(300)와 충돌하여 빗방울을 튕겨 내는 등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만약 동적 이미지가 '우산'이 아닌 '모닥불'에 해당할 경우 빗방울과 접촉해 불이 꺼지는 등의 상호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에서는 하나의 예시를 들어 동적 이미지의 상호작용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호작용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입력(터치, 마우스 클릭, 키보드 입력, 음성 입력 등)에 대응하여 상기 동적 이미지의 오브젝트를 움직이거나, 동적 이미지의 오브젝트와 상호작용 화면 내 다른 오브젝트들 간의 물리적인 상호작용(예컨대, 두 오브젝트가 충돌하여 변형되는 등)을 나타내거나, 동적 이미지와 관련된 음성(예컨대, 나무가 흔들리는 소리, 동물 울음소리 등)을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히, 동적 이미지의 오브젝트 움직임 또는 동적 이미지의 오브젝트와 상호작용 화면 내 다른 오브젝트들 간의 물리적인 상호작용 방식은, 미리 저장된 물리엔진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엔진 프로그램은 동적 이미지의 오브젝트의 형태, 질감 등의 특성에 따라 상호작용 화면 내 다른 오브젝트를 튕겨내거나 파괴하는 등 현실의 물리법칙을 가상공간에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그린 이미지가 살아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도 5에서 우산이 빗방울 튕겨내는 상호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빗방울 등 화면상의 움직이는 오브젝트(310)가 동적 이미지(300)의 우산과 충돌할 경우 파티클 형태로 변형되면서 충돌 전 움직임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다. 간단한 방법으로, 물리엔진 프로그램은 빗방울과 우산 등의 오브젝트를 각각 일정한 크기의 원으로 설정하고, 각 오브젝트의 중심 간 거리가 상기 원의 반지름을 더한 값보다 작을 경우 충돌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보다 복잡한 물리 상호작용, 예컨대 충돌 후 빗방울이 튕겨나가는 방향과 모습은 우산의 형태(경사 등), 빗방울이 움직이는 속도 등을 고려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호작용의 또 다른 예시로는, 사용자가 그린 이미지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우스 드래그나 터치로 상호작용 화면 상에 선을 그리면, 미리 생성된 동적 이미지(꽃, 식물 그림 등)가 그려지는 선을 따라서 나타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그린 그림을 활용하여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생성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카테고리에 따른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을 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된 동적 이미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또는 다른 오브젝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사용자는 직접 그린 그림이 살아 움직이는 듯한 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으로서,
    생성하고자 하는 동적 이미지의 카테고리에 대한 결정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복수의 가이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드로잉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표시된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참고하여 드로잉 툴 상에서 직접 그린 커스텀 이미지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커스텀 이미지에 기초하여 동적 이미지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동적 이미지를 상호작용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동적 이미지는 상기 상호작용 화면 내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호작용을 나타내고,
    상기 동적 이미지의 상호작용은, 상기 동적 이미지의 카테고리와 관련되되, 상기 동적 이미지의 상호작용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동적 이미지 내 오브젝트를 움직이거나, 상기 동적이미지의 오브젝트와 상기 상호작용 화면 내 다른 오브젝트들 간의 물리적인 상호작용을 나타내거나, 상기 동적 이미지와 관련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동적 이미지의 오브젝트 움직임 또는 상기 동적이미지의 오브젝트와 상기 상호작용 화면 내 다른 오브젝트들 간의 물리적인 상호작용 방식은, 미리 저장된 물리엔진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동적이미지의 오브젝트와 상기 상호작용 화면 내 다른 오브젝트들 간의 물리적인 상호작용은,
    상기 물리엔진 프로그램이 상기 동적이미지의 오브젝트의 형태 및 질감의 특성에 따라 상기 상호작용 화면 내 다른 오브젝트들을 튕겨내거나 파괴하는 현실의 물리법칙을 가상공간에서 구현하는 것이며,
    상기 물리엔진 프로그램은,
    상기 동적이미지의 오브젝트와 상기 상호작용 화면 내 다른 오브젝트들 간의 물리적인 상호작용이 상기 동적 이미지의 오브젝트가 상기 상호작용 화면 내 다른 오브젝트들을 튕겨내는 것인 경우, 상기 동적 이미지의 오브젝트와 상기 상호작용 화면 내 다른 오브젝트들을 각각 일정한 크기의 원으로 설정하고, 상기 동적 이미지의 오브젝트와 상기 상호작용 화면 내 다른 오브젝트들 간의 중심 거리가 상기 원의 반지름을 더한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동적 이미지의 오브젝트와 상기 상호작용 화면 내 다른 오브젝트들 간의 충돌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동적 이미지의 상호작용은,
    사용자가 마우스 드래그나 터치로 상기 상호작용 화면 상에서 선을 그릴 때 상기 동적 이미지가 상기 선을 따라서 나타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이미지는 외곽선이 점선으로 표시된 물체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물체는 상기 동적 이미지의 카테고리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텀 이미지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외곽선을 투명하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텀 이미지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외곽선 부분을 마스킹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이미지를 상호작용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이미지가 저장된 경로를 통해 전달 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9. 제1항,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비-일시적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42755A 2021-04-01 2021-04-01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33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755A KR102633083B1 (ko) 2021-04-01 2021-04-01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755A KR102633083B1 (ko) 2021-04-01 2021-04-01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728A KR20220136728A (ko) 2022-10-11
KR102633083B1 true KR102633083B1 (ko) 2024-02-05

Family

ID=8359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755A KR102633083B1 (ko) 2021-04-01 2021-04-01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0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865B1 (ko) * 2012-05-23 2013-12-03 이예찬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
KR102184162B1 (ko) 2019-11-13 2020-12-11 유시영 반응형 웹툰 제작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866B1 (ko) * 2007-01-25 2009-11-23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호작용형 이미지 콘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시스템
KR101761233B1 (ko) * 2015-09-02 2017-07-25 (주)옐리펀트 어린이의 자작그림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 제작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576909B1 (ko) * 2018-08-08 2023-09-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드로잉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59326B1 (ko) 2018-12-06 2020-09-23 주식회사 마이더스터치 작가체학습단말기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865B1 (ko) * 2012-05-23 2013-12-03 이예찬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
KR102184162B1 (ko) 2019-11-13 2020-12-11 유시영 반응형 웹툰 제작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728A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73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instruction
KR101787588B1 (ko) 그래픽 객체의 조작
Smith et al. Unity 5. x Cookbook
Eng Qt5 C++ GUI Programming Cookbook: Practical recipes for building cross-platform GUI applications, widgets, and animations with Qt 5
KR102484309B1 (ko)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반응형 그림 제작 시스템
Maloney et al. An introduction to morphic: The squeak user interface framework
KR102633083B1 (ko)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Meyer et al. HTML5 and JavaScript Projects
Lamberti et al. A multimodal interface for virtual character animation based on live performance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Hillmann UX and Experience Design: From Screen to 3D Space
Drasner SVG animations: from common UX implementations to complex responsive animation
US11301125B2 (en) Vector object interaction
Godbold Mastering UI Development with Unity: An in-depth guide to developing engaging user interfaces with Unity 5, Unity 2017, and Unity 2018
Sandberg Creative Coding on the web in p5. js: a Library where JavaScript Meets Processing
Ulloa Kivy–Interactive Applications and Games in Python
Hussain et al. Cocos2d-x game development essentials
Goodwill et al. Beginning Swift games development for iOS
Kerfs Beginning Android Tablet Games Programming
Aurigemma Fairytool: Learn and Socialize by making games
Teale Building Games with Flutter: The ultimate guide to creating multiplatform games using the Flame engine in Flutter 3
Sung et al. Build Your Own 2D Game Engine and Create Great Web Games.
Di Giuseppe et al. Building a 3D Game with LibGDX
Shankar Pro HTML5 Games: Learn to Build Your Own Games Using HTML5 and JavaScript
Pagella Making Isometric Social Real-Time Games with HTML5, CSS3, and JavaScript: Rendering Simple 3D Worlds with Sprites and Maps
Shankar et al. Pro HTML5 g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