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865B1 -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865B1
KR101334865B1 KR1020120054995A KR20120054995A KR101334865B1 KR 101334865 B1 KR101334865 B1 KR 101334865B1 KR 1020120054995 A KR1020120054995 A KR 1020120054995A KR 20120054995 A KR20120054995 A KR 20120054995A KR 101334865 B1 KR101334865 B1 KR 101334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sketch
user
presen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찬
Original Assignee
이예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찬 filed Critical 이예찬
Priority to KR102012005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 그림 저작프로그램이 구동된 후, 선택된 오브제가 밑그림 형태로 제공되는 단계와; ⒝ 사용자가 상기 밑그림을 따라 그림을 그리는 단계와; ⒞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기 그림을 실감나는 3 차원 그림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높은 만족도와 성취감을 만끽할 수 있으며 유아들의 소근육발달, 지능개발 등 교육 컨텐츠로 적극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 {The method of helping painting for kids to develope their creativity}
본 발명은 유, 아동용 전자교재에서 제공되는 2 차원 그림 초안(점선으로 외곽선이 이루어진 밑그림)을 손가락이나 전자펜을 이용하여 미리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성하면, 그 작성 수준에 따라 실감나는 인터랙티브 3 차원 그림으로 변환처리하는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 아동용 전자교재는 텍스트, 그림 및 사운드를 결합시켜 전통적인 서적에 비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보다 생동감 넘치는 가상 체험을 유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전자교재는 아이폰, 아이패드, 갤럭시 노트 등의 스마트 기기가 발전됨에 따라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전자교재의 수요자인 유, 아동에게 많은 정보만을 제공할 뿐 창의력 개발을 지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림을 그리는 전자교재인 경우 주어진 컨텐츠를 따라 하는 수준으로 유, 아동에게 반복적인 교육만 강요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들이 전자 교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2 차원 오브제들을 검지손가락이나 전자팬을 이용하여 그리게 되면, 그린 수준에 따라 실감나는 인터랙티브 3 차원 오브제로 변환되어 높은 만족도와 성취감을 만끽할 수 있으며 유아들의 소근육발달, 지능개발 등 교육 컨텐츠로 적극 활용될 수 있는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그림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 그림 저작프로그램이 구동된 후, 선택된 오브제가 밑그림 형태로 제공되는 단계와; ⒝ 사용자가 상기 밑그림을 따라 그림을 그리는 단계와; ⒞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기 그림을 실감나는 3 차원 그림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오브제 밑그림은 외곽선이 점 형태 또는 색상이 연한 실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오브제 밑그림의 점들은 상기 사용자가 선을 그을 때 미리 깜빡거려 선긋기를 유도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는 검지손가락 또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린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 단계와 ⒞ 단계 사이에 상기 그림에 색을 칠하는 ⒟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은, 사용자의 나이가 어린 경우에는 단순한 오브제를 제공하고 오브제 밑그림의 점들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가 그린 그림이 인식이 곤란하거나 미리 정해진 규칙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 이전에 상기 오브제 밑그림의 점들을 따라 선을 긋는 데모 과정을 보여준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 단계 이후에 변환된 그림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가 그림을 그리는 순서대로 보여주는 리뷰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변환된 3 차원 그림은 음성 또는 촉각 등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그림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유, 아동들이 전자교재에서 제공된 다양한 2 차원 오브제들을 검지손가락 또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서 그림을 그리고, 이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의해 실감나는 3 차원 그림으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가 높은 만족도와 성취감을 만끽할 수 있으며 유아들의 소근육발달, 지능개발 등 교육 컨텐츠로 적극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전자교재의 그림 인터랙티브 시스템이 선택된 오브제를 밑그림 형태로 제공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도 1의 오브제 밑그림의 점을 따라 그려진 그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1의 오브제 밑그림의 점을 따라 그려진 그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그려진 그림이 유, 아동용 전자교재의 그림 인터랙티브 시스템에 의해 실감나는 3 차원 그림으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 아동용 전자교재의 그림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유, 아동 전자교재의 그림 인터랙티브 시스템을 이용하여 그려진 2 차원 경찰차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7은 도 6의 그림이 3 차원 변환툴에 의해 실감나는 3 차원 경찰차로 변환된 그림이다.
도 8은 도 6의 인터랙티브 기능을 부가된 3 차원 그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유, 아동 전자교재의 그림 인터랙티브 시스템을 이용하여 그려진 2 차원 고양이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0는 도 9의 그림이 3 차원 변환툴에 의해 실감나는 3 차원 고양이로 변환된 그림이다.
도 11은 도 9의 인터랙티브 기능을 부가된 3 차원 그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전자교재의 그림 인터랙티브 시스템이 선택된 오브제를 밑그림 형태로 제공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유, 아동용 전자교재의 그림 인터랙티브 시스템(10)은 모바일 기기(1)에서 구동되는 그림 저작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그림 저작 프로그램은 터치 스크린(3)에서 구동되며 그림판(3), 전자 크레용(4), 선 두께 설정부(5), 전자 지우개(6) 및 되살리기/다시 실행(7)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1)는 아이폰, 아이패드, 갤럭시S, 갤럭시 노트 등과 같은 스마트 전자기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림 저작 프로그램은 전자 크레용(4), 선 두께 설정부(5), 전자 지우개(6) 및 되살리기/다시 실행(7)과 오브제(8)를 그릴 수 있는 그림판(3)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과 부가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터치 스크린(2)에 제공된 오브제(8)는 외곽에 다수의 점으로 이루어진 밑그림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오브제들은 전술된 바와 같이 외곽이 다수의 점으로 이루어진 밑그림 형태로 제공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곽이 연한 실선으로 이루어진 밑그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도 1의 오브제 밑그림의 점을 따라 그려진 그림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1의 오브제 밑그림의 점을 따라 그려진 그림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그려진 그림이 유, 아동용 전자교재의 그림 인터랙티브 시스템에 의해 실감나는 3 차원 그림으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이하 도면들에서는 번호 매김을 하지 않고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제공한 오브제 밑그림을 그림 저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려진 그림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최종 3 차원 변환된 종이컵을 보여주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제공된 오브제 밑그림에 따라 각각 그림 저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려진 그림들이며, 그림을 그리는 수준이 다르다 하더라도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최종 3 차원 변환되는 그림은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종이컵임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검지 손가락 또는 전자펜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3 차원 변환툴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정할 수 있다.
본 발명 시스템의 이용자 나이는 매우 중요하며, 특히 유, 아동의 나이에 따라 손가락 사용이 부자유스러울 수 있으며, 전자펜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그림 저작 프로그램의 메뉴를 정확하게 클릭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나이가 어린 경우에는 복잡한 오브제는 배제하고 단순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점 크기가 큰 오브제를 활용하도록 한다.
3 차원 변환툴은 밑그림 오브제의 인접된 점들이 얼마나 정확하게 선으로 연결되어 있는가를 검증하고 이를 근거로 변환하되, 전술된 바와 같이 나이를 중요한 인자로 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차원 변환툴은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그림을 "상, 중, 하" 또는 "Excellent, Best, Good, Bad"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하" 또는 "Bad"인 경우에는 그림을 변환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오브제 밑그림의 점들을 따라 선을 긋는 데모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여기서, "하" 또는 "Bad"는 그림으로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를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 아동용 전자교재의 그림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유, 아동용 전자교재의 그림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을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저작 프로그램이 구동된 후, 선택된 오브제가 밑그림 형태로 제공되는 단계 (S110)
먼저, 본 발명의 그림 저작 프로그램은 아이폰, 아이패드와 같은 스마트 기기에서 구동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스마트 기기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 있는 유, 아동의 손가락 움직임을 통한 소근육 발달이라는 목적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오브제들은 외곽선이 다수의 점들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쉽게 점을 따라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용자가 밑그림의 점을 따라 그림을 그리는 단계 (S120)
사용자는 검지손가락 또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밑그림의 점을 따라 그림을 그린다. 이때, 실감나고 재미있는 그림 그리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종이에서 그림을 그리는 듯한 음향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밑그림의 어느 점부터 선을 그어야 할 지 모르는 경우, 예컨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선행되어지는 점들을 깜빡이게 하여 하거나 점들을 번호로 대체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나이에 따라 숫자를 모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은 나이에 대한 제한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밑그림의 점들을 모두 활용하여 선을 그릴 수 있도록 미완성된 부분을 하이라이트나 기타 방법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려진 그림에 원하는 색을 칠하는 단계 (S130)
사용자는 그림 저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원하는 색을 칠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색을 어떻게 어디에 칠하여야 하는지를 모르는 사용자들에게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이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채색에 대한 예시를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의 임의 선택권이나 자유 의지에 대한 재량권을 극히 제한할 수 있는 것으로 교육상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그림을 실감나는 3 차원 그림으로 변환하는 단계 (S140)
본 발명의 3 차원 변환툴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정할 수 있다.
본 발명 시스템의 이용자 나이는 매우 중요하며, 특히 유, 아동의 나이에 따라 손가락 사용이 부자유스러울 수 있으며, 전자펜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그림 저작 프로그램의 메뉴를 정확하게 클릭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나이가 어린 경우에는 복작한 오브제는 배제하고 단순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점 크기가 큰 오브제를 활용하도록 한다.
3 차원 변환툴은 밑그림 오브제의 인접된 점들이 얼마나 정확하게 선으로 연결되어 있는가를 검증하고 이를 근거로 변환하되, 전술된 바와 같이 나이를 중요한 인자로 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차원 변환툴은 사용자에 의해 그려진 그림을 "상, 중, 하" 또는 "Excellent, Best, Good, Bad"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하" 또는 "Bad"인 경우에는 그림을 변환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오브제 밑그림의 점들을 따라 선을 긋는 데모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여기서, "하" 또는 "Bad"는 그림으로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를 벗어나는 경우이다.
이렇게 오브제가 실감나는 3 차원 그림으로 변환이 완료되면, 그림은 선택 또는 자동 저장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선택 사항으로 사용자가 그린 그림이 순서대로 그려지는 단계를 보여 주거나 이와는 반대로 완성된 그림이 어떻게 최초 밑그림 상태로 복원되는지를 보여줄 수도 있다.
도 6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그림 저작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경찰차나 고양이를 그린 그림이며, 도 7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에 의해 실감나는 3 차원 그림으로 변환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8 및 도 11과 같이 인터랙티브 기능을 부가한 그림으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직접 그림을 그리고, 그 그림이 실감나는 3 차원 그림으로 변환되어 음성이나 촉감에 의해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그림으로 변환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따라서, 도 8의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그림속의 경찰차 앞, 뒤를 터치하면서 자동차를 전, 후퇴시킬 수 있으며, 속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그림에 원근감이 부여된 배경을 합성하여 그림이 뒤로 흘러가도록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인터랙티브 그림은 사용자가 "부릉부릉"하고 음성입력을시 자동차의 시동이 걸리게 할 수 있으며, 자동차를 툭툭칠 때 또는 만졌을 때 소리를 내거나 차가운 느낌을 문자나 소리로 표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1의 경우 사용자가 고양이 몸을 쓰다듬으면 그림 속의 고양이가 기지개를 켜고 좋아하는 표정을 짓고, "야옹"이라고 음성으로 말하면, 고양이도 "야옹"이라고 상호반응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시 고양이가 점프하거나, 달리기 등의 다양한 인터랙티브 요소를 부가할 수 있어 정서적 측면에서 강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고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당연히 속하게 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브제의 밑그림을 점 형태로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한 실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
1 : 모바일 기기 2 : 터치 스크린
3 : 그림판 4 : 전자 크레용
5 : 선 두께 설정부 6 : 전자 지우개
7 : 되살리기/다시 실행
8 : 오브제

Claims (9)

  1. ⒜ 그림 저작프로그램이 구동된 후, 선택된 오브제가 밑그림 형태로 제공되는 단계와;
    ⒝ 사용자가 상기 밑그림을 따라 그림을 그리는 단계와;
    ⒞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기 그림을 실감나는 3 차원 그림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오브제 밑그림은 외곽선이 점 형태 또는 색상이 연한 실선이고,
    상기 사용자는 검지손가락 또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고,
    상기 ⒝ 단계와 ⒞ 단계 사이에 상기 그림에 색을 칠하는 ⒟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규칙은 사용자의 나이가 어린 경우에는 단순한 오브제를 제공하고 오브제 밑그림의 점들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그린 그림이 인식이 곤란하거나 미리 정해진 규칙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 이전에 상기 오브제 밑그림의 점들을 따라 선을 긋는 데모 과정을 보여주고, 상기 ⒞ 단계 이후에 변환된 그림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가 그림을 그리는 순서대로 보여주는 리뷰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20054995A 2012-05-23 2012-05-23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 KR101334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995A KR101334865B1 (ko) 2012-05-23 2012-05-23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995A KR101334865B1 (ko) 2012-05-23 2012-05-23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865B1 true KR101334865B1 (ko) 2013-12-03

Family

ID=49986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995A KR101334865B1 (ko) 2012-05-23 2012-05-23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8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728A (ko) *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22255572A1 (ko) * 2021-05-31 2022-12-08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반응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852U (ko) * 1997-09-30 1997-12-11 최신도 어린이 교육용 그림판
JP2004206262A (ja) * 2002-12-24 2004-07-22 Toyota Motor Corp スケッチに基づく3次元形状データ作成方法
KR20080027959A (ko) * 2005-08-22 2008-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리기 도구를 가지는 자율 핸드헬드 장치
KR20090027999A (ko) * 2007-09-13 2009-03-18 이원구 어린이용 그림 학습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852U (ko) * 1997-09-30 1997-12-11 최신도 어린이 교육용 그림판
JP2004206262A (ja) * 2002-12-24 2004-07-22 Toyota Motor Corp スケッチに基づく3次元形状データ作成方法
KR20080027959A (ko) * 2005-08-22 2008-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리기 도구를 가지는 자율 핸드헬드 장치
KR20090027999A (ko) * 2007-09-13 2009-03-18 이원구 어린이용 그림 학습교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728A (ko) *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33083B1 (ko) * 2021-04-01 2024-02-05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22255572A1 (ko) * 2021-05-31 2022-12-08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반응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llmer et al. KidCAD: digitally remixing toys through tangible tools
CN106601043A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多媒体互动教育设备及方法
Apperley et al. Postdigital literacies: Materiality, mobility and the aesthetics of recruitment
Hu et al.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3D educational game based on VR headsets
Palaigeorgiou et al. FingerTrips: learning geography through tangible finger trips into 3D augmented maps
Heller et al. Infographic designers' sketchbooks
Tang et al. Learning to create 3D models via an augmented reality smartphone interface
Baskinger et al. Drawing ideas: a hand-drawn approach for better design
KR101334865B1 (ko)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
Blackwell Visual representation
KR102084584B1 (ko) 식별부 및 캐릭터 내 색상의 인식을 통해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시키는 유아용 교육 장치
Rosand Time Lines
Castro et al. Integrarte: Digital Art Using Body Interaction.
CN109085920A (zh) 一种基于vr技术的虚拟阅读系统
CN204797485U (zh) 一种益智型智能早教地垫
Kim et al. Development of children’s story production system for children creativity improvement
Ryu et al. A serious game design for english education on Smart TV platform
Skogen Do You See What I See? Investigations into the Underlying Parameters of Visual Simplicity
RU2720842C1 (ru) Способ развития творческих способностей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önig et al. Haptic exploration of virtual buildings using non-realistic haptic rendering
De Roeck et al. Interweaving digitality in the fabric of design
Nakamura et al. Education of Drawing Courses and Students’ Achievements
Cai et al. The Importance of Design Sketch for Art Design
Laviole Spatial augmented reality for physical drawing
Rosand The temporal dimension of ma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