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584B1 - 식별부 및 캐릭터 내 색상의 인식을 통해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시키는 유아용 교육 장치 - Google Patents

식별부 및 캐릭터 내 색상의 인식을 통해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시키는 유아용 교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584B1
KR102084584B1 KR1020180010237A KR20180010237A KR102084584B1 KR 102084584 B1 KR102084584 B1 KR 102084584B1 KR 1020180010237 A KR1020180010237 A KR 1020180010237A KR 20180010237 A KR20180010237 A KR 20180010237A KR 102084584 B1 KR102084584 B1 KR 102084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unit
dimensional shape
modeling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151A (ko
Inventor
데이비드 노르탐 로보츠
Original Assignee
캄아일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캄아일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캄아일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58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06K9/20
    • G06K9/465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y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릭터(A)의 아웃 라인이 도시되어 있으며, 식별부(112)가 구비된 베이스 시트(110);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미리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부(120); 상기 식별부(112) 및 상기 캐릭터(A)의 아웃 라인 내의 색상을 인식하여 식별 정보(D1) 및 색상 정보(D2)를 생성하도록 형성된 스캔부(130); 상기 스캔부(130)로부터 식별 정보(D1) 및 색상 정보(D2)를 전송받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D1)를 이용하여 상기 캐릭터(A)의 미리 저장된 입체적 형상을 로딩하는 모델링부(140); 및 상기 모델링부(140)에 로딩된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150); 를 포함하며, 상기 모델링부(140)는,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 상에, 상기 캐릭터의 아웃 라인 내에 칠해진 색상 정보(D2)와 대응되도록 모델링하는 유아용 교육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별부 및 캐릭터 내 색상의 인식을 통해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시키는 유아용 교육 장치 {Education Device for Infant Modeling Three-Dimention Shape Through Identification Part and Recognition of Colors in Characters}
본 발명은 식별부 및 캐릭터 내 색상의 인식을 통해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시키는 유아용 교육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시트에 형성된 식별부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저장된 캐릭터의 입체적 형상이 로딩됨과 동시에, 베이스 시트에 형성된 캐릭터 내의 색상이 인식되어 상기 캐릭터의 입체적 형상 상에 모델링되는 유아용 교육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연령층이 낮은 아이들에게 색칠 공부는 아이들의 정서발달에 큰 도움을 주며, 유명 동화나 스토리에 나오는 캐릭터는 아이들에게 친숙함과 상상력을 자극하게 된다.
따라서, 유명 캐릭터에 대한 색칠 공부 책이 많이 발간되어 있고 이를 통해 아이들에게 정서적인 만족감을 주고 있다.
하지만, 아이들은 책을 이용한 색칠 공부를 완료한 후에 단순히 색칠이 완료된 책 속의 2D 캐릭터를 획득하게 될 뿐이고, 한번 색칠된 색칠 공부 책은 아이들에게 그림만 제공할 뿐이다.
한편, 종래 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0432542호는, 색채 학습용 교구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래 기술은, 유/소아를 위한 색채 학습용 교구로서, 특정 사물의 입체 모형(1)을 사출/진공압성형/주조 등과 같은 공지된 입체물 성형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제작하되 모형(1)의 형상이 각 연령층에 적합하게 단순화하여 표현되는 동시에, 상기 모형(1)에 완성된 채색이 입혀지지 아니하고 그 표면에 백색 계통의 도료로써 초벌칠만을 입히는 등의 방법으로 상기 모형(1)의 표면이 백색 계통의 색상인 채로 제공되는 색채 학습용 교구에 관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유아 또는 소아들에게 충분한 호기심과 재미를 제공하기 못하고, 유아 또는 소아들이 색채를 칠하기 위해서는, 매번 특정 사물의 입체 모형을 구비해야되는 문제가 있으며, 한번 색채가 칠해진 입체 모형은 재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들을 이용함으로써, 유아 또는 소아들이 쉽게 흥미를 느낄 수 있으며, 색채 학습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04325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뛰어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유발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집중 시간이 짧은 유아 또는 소아와 같은 사용자들을 위해, 캐릭터의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하는 속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사용자들이 색채 학습을 수행한 후, 입체화된 결과물을 빠르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릭터(A)의 아웃 라인이 도시되어 있으며, 식별부(112)가 구비된 베이스 시트(110);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미리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부(120); 상기 식별부(112) 및 상기 캐릭터(A)의 아웃 라인 내의 색상을 인식하여 식별 정보(D1) 및 색상 정보(D2)를 생성하도록 형성된 스캔부(130); 상기 스캔부(130)로부터 식별 정보(D1) 및 색상 정보(D2)를 전송받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D1)를 이용하여 상기 캐릭터(A)의 미리 저장된 입체적 형상을 로딩하는 모델링부(140); 및 상기 모델링부(140)에 로딩된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150); 를 포함하며, 상기 모델링부(140)는,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 상에, 상기 캐릭터의 아웃 라인 내에 칠해진 색상 정보(D2)와 대응되도록 모델링하는, 유아용 교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에 저장된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에는 텍스트가 메타 데이터로서 저장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110)의 식별부(112)는 텍스트로 형성되어 상기 스캔부(130)가 상기 베이스 시트(110) 상의 텍스트를 인식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모델링부(140)는 상기 식별부(112)에서 인식된 텍스트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와의 매칭을 통해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로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출력부(150)는, 터치 패널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터치할 때,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반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은,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 중 일측을 터치하면, 타측을 향해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아용 교육 장치(100)는, 상기 캐릭터(A)에 대응되는 특유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음성 출력부(16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 출력부(160)는,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터치할 때, 상기 특유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시트(110)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캐릭터(A, B)의 아웃 라인이 도시되며, 상기 식별부(112)는 바코드로 형성되어 상기 캐릭터(A, B)들의 아웃 라인 내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캔부(130)는 상기 바코드를 각각 인식하며, 상기 모델링부(140)는 상기 캐릭터(A, B)들의 입체적 형상을 각각 로딩하고, 상기 영상 출력부(150)는, 상기 캐릭터(A, B)들의 입체적 형상이 동시에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유아용 교육 장치를 이용하는 유아용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a)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베이스 시트(110) 상의 캐릭터(A)의 아웃 라인 내에 색상이 칠해지는 단계(S110); (b) 상기 스캔부(130)에서, 상기 베이스 시트(110) 상에 구비된 식별부(112) 및 상기 캐릭터의 아웃 라인 내의 색상을 인식하여 생성된 식별 정보(D1) 및 색상 정보(D2)가 상기 모델링부(140)로 전송되는 단계(S120); (c) 상기 모델링부(140)에서, 상기 (b) 단계(S120)에서 전송된 식별 정보(D1)에 대응되는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로부터 로딩되는 단계(S130); (d) 상기 모델링부(140)에서, 상기 (b) 단계(S120)에서 전송된 색상 정보(D2)를 통해, 상기 (c) 단계(S130)에서 로딩된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하는 단계(S140); 및 (e) 상기 영상 출력부(150)에서, 상기 (d) 단계(S140)에서 모델링된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출력되는 단계(S150); 를 포함하는, 유아용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e) 단계(S150)에서, (e-1) 상기 영상 출력부(150)는 터치 패널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터치하면, 상기 입체적 형상이 반응하여 움직이는 단계(S152);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1) 단계(S152)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터치할 때, 상기 유아용 교육 장치(100)에 구비된 음성 출력부(160)에 의해, 상기 캐릭터(A)에 대응되는 특유의 음성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에 저장된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에는 텍스트가 메타 데이터로서 저장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110)의 식별부(112)는 텍스트로 형성되며, 상기 (b) 단계(S120)는, (b-1) 상기 스캔부(130)에서, 상기 텍스트를 인식하는 단계(S122); 상기 (c) 단계(S130)는, (c-1) 상기 모델링부(140)에서, 상기 (b-1) 단계(S122)에서 인식된 텍스트와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갖는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데이터 베이스부(120)로부터 로딩되는 단계(S132);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캐릭터의 입체적 형상 자체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로딩함과 동시에, 캐릭터의 입체적 형상에 색상을 입히는 과정에서만, 모델링부에 의해 그래픽 작업이 수행되는 바, 색상이 입혀진 캐릭터의 입체적 형상이 출력되는 속도를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성인에 비해 집중 시간이 짧은 유아 또는 소아들에게 있어서, 집중력이 유지되는 시간 내에 색상이 입혀진 캐릭터의 입체적 형상의 출력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인 유아 또는 소아들의 색채 학습 효율 및 흥미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증강현실 기술과 색칠 공부 책의 색칠이 완료된 캐릭터를 이용하여 아이들에게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아이들의 상상력과 호기심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인 색채 학습용 교구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장치의 베이스 시트 내에 있어서, 바코드가 캐릭터 아웃 라인 내측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의 b는 바코드가 캐릭터 아웃 라인 외측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장치가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로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프로그램의 순서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장치의 영상 출력부에서 캐릭터의 입체적 형상을 출력하기 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의 b는 영상 출력부에서 캐릭터의 입체적 형상을 출력한 후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유아용 교육 장치의 구성들을 먼저 설명한 후, 상기 유아용 교육 장치를 이용한 유아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시트는 평면 상에 캐릭터의 아웃 라인이 도시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캐릭터는 하나의 예임을 명시한다.
유아용 교육 장치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장치(100)는, 베이스 시트(110), 데이터 베이스부(120), 스캔부(130), 모델링부(140) 및 영상 출력부(150)로 구성된다.
베이스 시트(110)에는 평면 상에, 2D 형태로 캐릭터(A)의 아웃 라인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아웃 라인 내에는 사용자인 유아 또는 소아가 다양한 색채 도구를 이용하여 색채 학습을 하도록, 여백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자유롭게 캐릭터(A)의 아웃 라인 내에 색채를 칠할 수 있으며, 캐릭터(A)의 아웃 라인 내에 색채가 칠해지지 않는 부분은, 캐릭터의 바탕색 또는 흰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110)의 일측에는 식별부(1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식별부(112)는 텍스트 형태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캐릭터(A)의 명칭으로 기재될 수 있고, 도 2에는 "Bada"라는 캐릭터의 명칭으로 기재되어 있다.
스캔부(130)는, 식별부(112) 및 캐릭터(A)의 아웃 라인 내의 색상을 모두 인식하도록 형성되며, 식별부(112)의 인식을 통해 식별 정보(D1)를 생성함과 동시에, 캐릭터(A)의 아웃 라인 내의 색상 인식을 통해 색상 정보(D2)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스캔부(130)는 상기 모델링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식별 정보(D1)를 데이터 베이스부(120)에 전송하도록 형성되며, 색상 정보(D2)는 모델링부(140)에 전송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스캔부(130)는 식별부(112) 및 아웃 라인 내의 색상을 모두 인식할 수 있다면, 그 어떠한 방식의 스캔 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부(120)에는 다수의 캐릭터의 입체적 형상이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이 중 스캔부(130)로부터 전송받은 식별 정보(D1)에 대응되는 캐릭터의 입체적 형상을 로딩하여 모델링부(140)로 전송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부(120)는 새로운 캐릭터들의 입체적 형상을 업데이트하여 추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모델링부(140)는, 스캔부(130)에서 생성되는 식별 정보(D1)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부(120)에 미리 저장된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로딩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모델링부(140)는 스캔부(130)로부터 전송받은 색상 정보(D2)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부(120)로부터 로딩된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 상에 색상을 형성함으로써, 색상이 입혀진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완성된다.
구체적으로, 모델링부(140)는 캐릭터(A)의 아웃 라인 내에 사용자에 의해 칠해진 색상에 대응되는 색상이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에 입혀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칠해진 색상의 종류 및 그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색상이 입혀진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평면상에 그려진 캐릭터 자체를 3D로 변환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장치(100)는,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 자체는 식별 정보(D1)를 이용하여 로딩함과 동시에,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에 색상을 입히는 과정에서만, 모델링부(140)에 의해 그래픽 작업이 수행되는 바, 색상이 입혀진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출력되는 속도를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성인에 비해 집중 시간이 짧은 유아 또는 소아들에게 있어서, 집중력이 유지되는 시간 내에 색상이 입혀진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장치(100)의 완성된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에 관한 정보는 영상 출력부(150)로 전송되도록 형성되며, 영상 출력부(150)는 전송된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인 유아 또는 소아는 평면인 베이스 시트(110) 상에 색상을 칠하는 색채 학습을 수행하면, 영상 출력부(150)에는 사용자에 의해 칠해진 색상이 입혀진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출력되는 바,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사용자의 색채 학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영상 출력부(150)는, 터치 패널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터치할 때,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반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영상 출력부(150)에 시각적으로 출력된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은, 사용자가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 중 일측을 터치하면, 타측을 향해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터치하면,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아 또는 소아인 사용자가 이러한 특정 동작을 따라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바, 사용자에게 색채 학습이 지루하고 단순한 학습이 아닌, 놀이로써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장치(100)는, 캐릭터(A)에 대응되는 특유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음성 출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음성 출력부(160)는, 사용자가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터치할 때, 캐릭터(A)의 특유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효과 이외에 청각적인 효과를 제공함에 따라,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색채 학습 효율 및 흥미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장치의 베이스 시트 내에 있어서, 바코드가 캐릭터 아웃 라인 내측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의 b는 바코드가 캐릭터 아웃 라인 외측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모식도이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텍스트 형태로 형성된 식별부(112)와는 달리, 바코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캐릭터(A)의 식별 정보(D1)를 나타내고 있는 바코드는, 캐릭터(A) 아웃 라인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스캔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바코드 상에 덧칠이 되더라도, 캐릭터(A)의 식별 정보(D1)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장치가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로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베이스부(120)에 저장된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에는 텍스트가 메타 데이터로서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 시트(110)의 식별부(112)는 텍스트로 형성되어, 스캔부(130)가 베이스 시트(110) 상의 텍스트를 인식하도록 형성되며, 모델링부(140)는 상기 식별부(112)에서 인식된 텍스트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와의 매칭을 통해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로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베이스부(120)에는 다양한 캐릭터들의 3D 이미지가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3D 이미지들마다 텍스트가 메타 데이터로써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스캔부(130)로부터 인식된 식별부(112)의 텍스트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부(120)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3D 이미지를 로딩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장치(100)는, 베이스 시트(110)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캐릭터(A, B)의 아웃 라인이 도시되며, 식별부(112)는 바코드로 형성되어 캐릭터(A, B)들의 아웃 라인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스캔부(130)는 바코드를 각각 인식하며, 모델링부(140)는 상기 캐릭터들의 입체적 형상을 각각 로딩하고, 상기 영상 출력부(150)는, 상기 캐릭터들의 입체적 형상이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출력부(150)에는 복수의 캐릭터의 입체적 형상이 출력됨으로써, 유아 또는 소아에게 뛰어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유아용 교육 프로그램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프로그램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프로그램은 전술한 유아용 교육 장치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유아용 교육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베이스 시트(110) 상의 캐릭터(A)의 아웃 라인 내에 색상이 칠해지는 단계(S110), 상기 스캔부(130)에서, 상기 베이스 시트(110) 상에 구비된 식별부(112) 및 상기 캐릭터의 아웃 라인 내의 색상을 인식하여 생성된 식별 정보(D1) 및 색상 정보(D2)가 상기 모델링부(140)로 전송되는 단계(S120), 상기 모델링부(140)에서, 상기 단계(S120)에서 전송된 식별 정보(D1)에 대응되는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로부터 로딩되는 단계(S130), 상기 모델링부(140)에서, 상기 단계(S120)에서 전송된 색상 정보(D2)를 통해, 상기 단계(S130)에서 로딩된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하는 단계(S140) 및 상기 영상 출력부(150)에서, 상기 단계(S140)에서 모델링된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출력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이 때, 단계(S150)는, 상기 영상 출력부(150)는 터치 패널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터치하면, 상기 입체적 형상이 반응하여 움직이는 단계(S152)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시각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단계(S152)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터치할 때, 상기 유아용 교육 장치(100)에 구비된 음성 출력부(160)에 의해, 상기 캐릭터(A)에 대응되는 특유의 음성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 효과 이외에 청각적 효과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흥미도가 증대되도록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베이스부(120)에 저장된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에는 텍스트가 메타 데이터로서 저장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110)의 식별부(112)는 텍스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단계(S120)는, 상기 스캔부(130)에서, 상기 텍스트를 인식하는 단계(S122)를 포함하며, 단계(S130)는, 상기 모델링부(140)에서, 상기 단계(S122)에서 인식된 텍스트와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갖는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데이터 베이스부(120)로부터 로딩되는 단계(S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릭터의 입체적 형상마다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 자체는 식별 정보(D1)를 이용하여 로딩함과 동시에,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에 색상을 입히는 과정에서만, 모델링부(140)에 의해 그래픽 작업이 수행되는 바, 색상이 입혀진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출력되는 속도를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교육 장치의 영상 출력부에서 캐릭터의 입체적 형상을 출력하기 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의 b는 영상 출력부에서 캐릭터의 입체적 형상을 출력한 후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모식도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모델링부(140)에서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에 색상을 입히는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영상 출력부(150)에는 아직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등장하지 않는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모델링부(140)에서 색상이 입혀진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한 후, 영상 출력부(150)로 전송하면, 색상이 입혀진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시각적인 특수 효과와 함께 등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들의 흥미 유발을 위해, 다른 캐릭터들의 입체적 형상이 영상 출력부(150)에 출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유아용 교육 장치
110: 베이스 시트
112: 식별부
120: 데이터 베이스부
130: 스캔부
140: 모델링부
150: 영상 출력부
160: 음성 출력부

Claims (10)

  1. 캐릭터(A)의 아웃 라인이 도시되어 있으며, 식별부(112)가 구비된 베이스 시트(110);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미리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부(120);
    상기 식별부(112) 및 상기 캐릭터(A)의 아웃 라인 내의 색상을 인식하여 식별 정보(D1) 및 색상 정보(D2)를 각각 생성하도록 형성된 스캔부(130);
    상기 스캔부(130)로부터 식별 정보(D1) 및 색상 정보(D2)를 별도로 전송받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D1)를 이용하여 상기 캐릭터(A)의 미리 저장된 입체적 형상을 로딩하는 모델링부(140); 및
    상기 모델링부(140)에 로딩된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150); 를 포함하며,
    상기 모델링부(140)는,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 상에, 상기 캐릭터의 아웃 라인 내에 칠해진 색상 정보(D2)와 대응되도록 모델링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에 저장된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은, 텍스트가 메타 데이터로 저장되거나 또는 바코드로 형성된 식별부(112)로 구분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에 저장된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식별부(112)로써 메타 데이터로 저장된 경우,
    상기 베이스 시트(110)의 식별부(112)는 텍스트로 형성되어 상기 스캔부(130)가 상기 베이스 시트(110) 상의 텍스트를 인식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모델링부(140)는 상기 식별부(112)에서 인식된 텍스트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와의 매칭을 통해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로딩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에 저장된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에 대응하는 바코드가 식별부(112)로써 저장된 경우,
    상기 베이스 시트(110)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캐릭터(A, B)의 아웃 라인이 도시되며, 상기 식별부(112)는 바코드로 형성되어 상기 캐릭터(A, B)들의 아웃 라인 내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캔부(130)는 상기 바코드를 각각 인식하며, 상기 모델링부(140)는 상기 캐릭터(A, B)들의 입체적 형상을 각각 로딩하고, 상기 영상 출력부(150)는, 상기 캐릭터(A, B)들의 입체적 형상이 동시에 출력되는,
    유아용 교육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부(150)는, 터치 패널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터치할 때,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반응하도록 형성된,
    유아용 교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은,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 중 일측을 터치하면, 타측을 향해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이동되도록 형성된,
    유아용 교육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교육 장치(100)는,
    상기 캐릭터(A)에 대응되는 특유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음성 출력부(16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 출력부(160)는,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터치할 때, 상기 특유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형성된,
    유아용 교육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따른 유아용 교육 장치를 이용하는 유아용 교육 방법으로서,
    (a)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베이스 시트(110) 상의 캐릭터(A)의 아웃 라인 내에 색상이 칠해지는 단계(S110);
    (b) 상기 스캔부(130)에서, 상기 베이스 시트(110) 상에 구비된 식별부(112) 및 상기 캐릭터의 아웃 라인 내의 색상을 인식하여 생성된 식별 정보(D1) 및 색상 정보(D2)가 상기 모델링부(140)로 전송되는 단계(S120);
    (c) 상기 모델링부(140)에서, 상기 (b) 단계(S120)에서 전송된 식별 정보(D1)에 대응되는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로부터 로딩되는 단계(S130);
    (d) 상기 모델링부(140)에서, 상기 (b) 단계(S120)에서 전송된 색상 정보(D2)를 통해, 상기 (c) 단계(S130)에서 로딩된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하는 단계(S140); 및
    (e) 상기 영상 출력부(150)에서, 상기 (d) 단계(S140)에서 모델링된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출력되는 단계(S150); 를 포함하는,
    유아용 교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S150)에서,
    (e-1) 상기 영상 출력부(150)는 터치 패널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터치하면, 상기 입체적 형상이 반응하여 움직이는 단계(S152); 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교육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1) 단계(S152)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을 터치할 때, 상기 유아용 교육 장치(100)에 구비된 음성 출력부(160)에 의해, 상기 캐릭터(A)에 대응되는 특유의 음성이 출력되는,
    유아용 교육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에 저장된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에는 텍스트가 메타 데이터로서 저장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110)의 식별부(112)는 텍스트로 형성되며,
    상기 (b) 단계(S120)는,
    (b-1) 상기 스캔부(130)에서, 상기 텍스트를 인식하는 단계(S122);
    상기 (c) 단계(S130)는,
    (c-1) 상기 모델링부(140)에서, 상기 (b-1) 단계(S122)에서 인식된 텍스트와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갖는 상기 캐릭터(A)의 입체적 형상이 데이터 베이스부(120)로부터 로딩되는 단계(S132); 를 포함하는,
    유아용 교육 방법.
KR1020180010237A 2018-01-26 2018-01-26 식별부 및 캐릭터 내 색상의 인식을 통해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시키는 유아용 교육 장치 KR102084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37A KR102084584B1 (ko) 2018-01-26 2018-01-26 식별부 및 캐릭터 내 색상의 인식을 통해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시키는 유아용 교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37A KR102084584B1 (ko) 2018-01-26 2018-01-26 식별부 및 캐릭터 내 색상의 인식을 통해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시키는 유아용 교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151A KR20190091151A (ko) 2019-08-05
KR102084584B1 true KR102084584B1 (ko) 2020-04-28

Family

ID=6761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237A KR102084584B1 (ko) 2018-01-26 2018-01-26 식별부 및 캐릭터 내 색상의 인식을 통해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시키는 유아용 교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626B1 (ko) 2021-06-23 2022-12-29 박지혜 증강현실을 이용한 체험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102463364B1 (ko) 2021-06-24 2022-11-07 박지혜 증강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9953A (ko) * 2015-10-02 2017-04-12 김은숙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151A (ko) 201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323B1 (ko) 언어 학습용 블록 교구
CN105931506A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儿童涂色系统及其显示方法
Bardt Material and mind
Porter Making and Unmaking in Early Modern English Drama-Spectators, Aesthetics and Incompletion
KR20200057196A (ko) Fst 기술을 활용한 언어 학습 교육방법
KR102084584B1 (ko) 식별부 및 캐릭터 내 색상의 인식을 통해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시키는 유아용 교육 장치
Zhu et al. Augmented reality meets tangibility: a new approach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O2017205438A1 (en) Interactive system for decorating two and three-dimensional objects
Jain et al. Fittle: A novel braille toy
Castro et al. Integrarte: Digital Art Using Body Interaction.
Charles et al. Using multiliteracies and multimodalities to support young children's learning
KR101334865B1 (ko)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 아동용 인터랙티브 그림 제작 방법
CN204797485U (zh) 一种益智型智能早教地垫
KR102084178B1 (ko) 클라우드 기반 영유아 스팀 교육을 위한 토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RU2720842C1 (ru) Способ развития творческих способностей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3048738U (ja) 文字学習パネルセット
Maddalena Critical Essay—Plastic Child-Gardening Tools: Lego’s Nostalgia For the Open-Ended Toy
Ardalan et al. Art and Technology: Innovative KÐ12 Digital Lessons
KR101885746B1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동작 컨텐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608276B1 (ko) 유아 언어 학습 방법
KR102389954B1 (ko) 한글 학습 장치
Im Draw2Code: Low-Cost Tangible Programming for Young Children to Create Interactive AR Animations
Jones Drawing for designing
KR20200057197A (ko) Btcd 기술을 활용한 스팀 융합교육방법
KR20200111350A (ko) Btcd 기술을 활용한 o2o 언어 학습 교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